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고등학교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영어 어휘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ONG BEIBEI 안양대학교 글로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1983

        English, as an important communicative language in the world and one of the three major subjects of the Chines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e study of English curriculum has always been highly concerned by the educational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circles. In recent years, the reform of senior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has increasingly requirements for students’ vocabulary. Although high school students have devoted a lot of energy to the learning and memory of words, there are still obstacles to new words in the process of reading and examination, which makes the article difficult to understand. This problem is more obvious among freshmen in senior high school. It directly leads to some students' fear of difficulties in English, and even thinks of giving up English learning for a time. Therefore, helping students smoothly transition from junior high school to senior high school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to be solved in senior high school English teaching. This study is based on the self-efficacy theory of psychologist Bandura, drawing on previous research results and taking academic self-efficacy as a starting point, to study its influence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junior-senior transition period. This study takes 212 fresh students from H Senior High School in eastern China as the research objects, and adopts 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the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Scale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And SPSS 26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o achiece th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following four questions: 1. What is the overall situa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of students in junior-senior transition perio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y? 2.What is the overall situation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of students in junior-senior transition perio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y? 3. Is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between high and low academic self-efficacy groups in junior-senior transition period? 4. Is there an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on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what is the influence? This study finally concluded that Chines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t junior-senior transition period was at the middle leve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gender and the scores of senior high school entrance examination. The use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t junior-senior transition period is at a medium level,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use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gender and the scores of senior high school entrance examination.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use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t junior-senior transition period. The students with high academic self-efficacy use more repetition strategies, elaboration strategies, organizational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and resource management strategies than the students with low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urvey and analysis, this study puts forward some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nd student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trengthen the use of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t junior-senior transition period.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English teaching methods betwee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be familiar with the different requirements of the new curriculum standards for English vocabulary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English knowledge structure and ability levels between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strengthen the teaching and training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Students should set correct learning goals, learn to attribute correctly, set a learning example, cultivate an optimistic mindset and take positive incentive measures. 영어는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의사소통 언어이자 중국 대학 입학시험 의 세 가지 주요 과목 중 하나로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영어 학습 연구는 교육 및 외국어 교육계에서 항상 큰 관심사였다. 최근 몇년 동안 고등학교 영어 교재와 대학 입학시험의 개혁으로 인해 학생들이 배워야 하는 어휘량이 증가하고 있다. 고등학생들은 단어를 배우고 암기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여전히 읽기와 시험 중 어 휘에 막혀 문장을 이해하지 못한다. 이 문제는 고등학교 신입생 사이에 서 특히 두드러진다. 그 결과 일부 학생은 영어를 두려워하게 되고,심지어 영어 학습을 포기할 생각까지 하게 된다. 따라서 학생이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원만하게 진학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은 고등학교 영어 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는 심리학자 반두라의 자기효능감 이론을 기반으로 이전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착안점으로 삼아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단계에서 영어 어휘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중국 동부지역에 소재한 H고등학교 1학년 학생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영어 어휘학 습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다음과 같은 네 가 지 질문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단계에 있는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전반적으로 어떠한가? 인 구학 특징 에 따라 차이 가 있는가? 2.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단 계에 있는 학생의 영어 어휘학습전략은 전반적으로 어떠한가? 인구학 특 징 에 따라 차이 가 있는가? 3.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단계 에서 학업 적 자기 효능감이 높은 집 단과 낮은 집 단이 사용하는 영어 어휘학습 전 략에 유의 미 한 차이 가 있는가? 4.학업 적 자기 효능감이 영어 어휘학습 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결과,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단계에 있는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중간 수준이었으며,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성별 및 고등학교 진학시험 성적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단계에 있는 학생의 영어 어휘학습전략 사용은 중간 수준이었으며,성별 및 고등학교 진학시험 성적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그룹의 학생은 낮은 그룹의 학생보다 반복 전략,세분화 전략,조직화 전략,메타인지 전략 및 자원 관리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중학 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단계에 있는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영어 어휘학습전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본 연구는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 감을 향상시키고,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는 단계에서 영어 어휘 학습전략의 사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와 학생 모두의 관점에서 몇 가지 제안을 제시하였다. 교사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영어 과목의 교수 방법의 차이를 이 해하고,중학교와 고등학교 영어 어휘에 대해 새로운 교육과정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숙지하며,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지식 구조와 능력 수준의 차이를 이해 하고, 어휘학습전략의 교육 및 훈련을 강화해야 한다. 학생은 정확한 학습 목표 를 설정하고,올바른 귀인 과정을 배우며,학습 모델을 설정하고,낙관적인 심리 상태를 키우며, 긍정적인 동기부여 조치를 개발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