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마케팅 적용에 관한 연구

        JI ERIC SEUNG-HOON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40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marketing approaches and their execution elements within the context of social welfare. The deduction is based on the concept of marketing mindset in the for-profit sector, which has developed and evolved over time. First, the literature review aims to derive marketing approaches and their specific execution elements in the social welfare sector. This is done by merging social welfare-related activities with types of marketing mindset in the for-profit sector. The marketing approaches and their execution elements deriv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are then thoroughly reviewed and verified by a group of selected social welfare field experts. To obtain its validity, the marketing approaches in social welfare and related execution elements are evaluated and revised via two interview methods: ‘the focused group interview(FGI)’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field experts’. After thorough review, the Delphi method is used to determine the importance and urgency of each marketing execution element when actually put into practice, and to prioritize them by utiliz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types of marketing approaches specifically for the social welfare sectors can be deduced: ‘policy and service-oriented approach’, ‘service delivering-oriented approach’, ‘service user(client) oriented approach’, ‘network and cooperation-oriented approach’. Second, nine highly prioritized marketing execution elements among the social welfare marketing approaches can be deduced: ‘developing social welfare-related services based on new paradigms and social issues’, ‘imposing individualized policy and service based on different service areas and demographics’, ‘operating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the social worker’s service development and providing skills’, ‘the analysis of needs and wants of service users within local community’, ‘discovering unfound service users’, ‘expanding opportunities by providing various service selections for service users’, ‘building cooperative network and strengthening the roles of the organizations within local community’, ‘sharing an organization’s mission, vision, values and goals between departments in organizations’, and ‘creating environment for harmoniou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within the organiz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can b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framework and its support system in order to apply the four types of the social welfare marketing approaches and their nine major execution elements deduced from this study. Second, social workers must receive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the types of ‘social welfare marketing approache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regional cooperative network by organizing ‘association’ and ‘practice field’ among social welfare-related service organizations. Fourth, creating an evaluation system for program certification is needed in order to ‘certify’ organizations by applying marketing executive elements. Fifth, ‘a marketing support center’ must be established as part of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s by providing ‘integrated’ service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Specificall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can be made in regard to establishing the marketing support center: first, it is necessary to adopt ‘integrated’ consulting to strengthen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capability and its management; seco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nd disseminate manuals based on social welfare marketing approache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ird, execution elements based on sector, region, industry-type, and demographics need to be classified and implemented to create marketing strategies and plan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분야에 마케팅을 적용하기 위해서 영리부문에서 시대에 따라 서로 다른 지향성을 갖고 변화되어온 마케팅 사고방식(marketing mindset) 유형들을 토대로 사회복지실천 분야에 적합한 마케팅 접근방식과 이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실행 요소들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 연구를 통해서 영리를 추구하는 조직에서의 마케팅 사고방식 유형별 실행 요소와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업무와 활동을 접목시켜 사회복지 분야에 적합한 마케팅 접근방식과 구체적인 마케팅 실행 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제시한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마케팅 접근방식과 구성하는 실행 요소들을 사회복지 현장 전문가들을 통해 검증하였다. 마케팅 사고방식 유형별 실행 요소에 대한 타당성을 갖고자 ‘포커스그룹인터뷰(FGI)’와 ‘전문가 대상 심층 면접’을 통해 이를 검토하고 보완하고자 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델파이(Delphi) 패널조사’를 실시하여 FGI와 심층 면접을 통해 검토한 각 마케팅 실행 요소들을 중요도와 시급도로 조사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마케팅 실행 요소들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분야에서의 마케팅 접근방식은 네 가지 유형으로써 ‘정책 및 서비스 중심적 접근방식’, ‘서비스 제공 중심적 접근방식’, ‘서비스 이용자(클라이언트) 중심적 접근방식’, ‘네트워크 및 협력 중심적 접근방식’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사회복지 마케팅 접근방식의 실행 요소들 중 사회복지실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우선순위가 높은 상위 9개의 실행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이들은 ‘새로운 패러다임과 사회적 이슈를 고려한 서비스 개발’, ‘사업별, 대상별로 개별화된 정책 및 서비스 도입’, ‘서비스 개발과 제공을 위한 직원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 운영’, ‘지역사회와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ㆍ욕구조사 및 결과 분석’, ‘사각지대에 놓인 서비스 대상자 발굴’, ‘서비스 이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 선택 기회 확대’, ‘지역사회 내 기관의 역할 강화와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기관 내 부서 간의 미션, 비전, 가치 공유와 목표 제시’, ‘기관 내 부서 간의 원활한 소통과 협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마케팅 접근방식 유형별 ‘주요 9개 실행 요소’를 활용하여 사회복지 서비스 현장을 지원할 수 있는 체계와 제도적 차원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마케팅 접근방식’ 유형에 기반을 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 기관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에서의 기관 간에 ‘연계망’ 및 ‘실천의 장’을 구성하여 지역별 협력적 네트워크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마케팅 실행 요소의 반영 여부를 ‘인증’할 수 있는 인증 평가 사업의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중앙정부 혹은 지자체의 부속으로 ‘통합적인(integrated)’ 사회복지시설 운영 지원을 위한 마케팅 지원센터를 설립해야 한다. 해당 마케팅 지원센터를 통해 수행해야 할 주요 업무들은 다음과 같이 보다 세부적으로 제안해 볼 수 있다. 하나, 사회복지 기관의 역량강화를 위한 ‘통합적인’ 컨설팅 지원 사업을 마련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 사회복지 마케팅 접근방식 매뉴얼을 개발하여 각 사회복지 시설들에 보급하는 일이 시급하다. 셋, 부문별, 분야별, 지역별, 사업별, 대상별 실행 요소들로 구분하여 마케팅 적용 방안에 도입하는 것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