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얀마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높임 표현 교육 연구

        HTWE SU HLAI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861

        미얀마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높임 표현 교육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전공 HTWE SU HLAING* 본 연구는 미얀마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높임 표현 교육 방안을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 사회에서 대화자 간에 높임 표현을 사용할 때에는 상대방과의 관계, 나 이, 직위, 친밀도, 격식성 여부 등을 고려한다. 그러므로 한국어 높임 표현을 제 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지식을 적용하는 데에서 나아가 대화 상대와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상황에 대한 이해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한국어의 높임 표 현은 화자와 청자 그리고 세계와의 관계를 전제로 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위계 관계를 고려하여 형성된 것이므로 한국어의 예절 표현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이 다. 한 언어를 배움에 있어 해당 언어를 사용하여 화·청자 간에 의사소통을 하는 것은 서로 다른 양식의 문화를 이해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외국어로서의 언어를 교육할 때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문화 및 타문화를 인식 하도록 하고 화·청자 간의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집단적인 문화까지 아우르는 상호문화 능력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한 언어의 문법 체계에 대한 이해가 기본이 되어야 할 것이며, 더불어 해당 언어를 상황에 맞게 사용해야 원활한 의사소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언 어 사용에 있어 의사소통의 상호작용에서 해당 언어에 담긴 문화적 요소까지 이 해하도록 교육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어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높임 표현을 가르칠 때에는 관련 어법의 정확한 사용에서 나아가 적절한 사용을 위한 상호문화 능력 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상호문화 교육적 관점을 적용하여 한국어 높임 표현을 교육할 것을 제안하고 그 교육 내용을 구현해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언어의 높임 표현 실현 방법과 사용 맥락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대조하고, 미얀마인 학습자들 * GKS(Global Korea Scholarship Program) 장학금 수혜자임. 이 한국어 높임 표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국어학과 한국어학에서의 교육 관련 연구, 그리고 사회언어학 관점과 문화적 관점 및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한 높임 표현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면서 본 연구의 타당성과 필요성 을 다시 한번 확인하며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높임 표현의 개념 및 유형을 고찰하였다. 먼 저, ‘높임법’ 및 ‘높임 표현’의 용어에 관한 개념을 여러 학자들이 어떻게 정의하 고 있는지를 살펴봤고 한국의 높임 표현 체계를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미얀마어 의 언어문화 및 높임 표현에 관한 연구자들의 개념 정의를 살피고 미얀마어의 높임 표현의 개념과 유형을 정리하여 제시하고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높임 표현 의 유형을 대조하였다. 제3장은 한국어와 미얀마어 높임 표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조언어학적 관 점에서 살피고, 두 언어에서의 높임 표현 실현 방법을 어휘적 높임 표현과 문법 적 높임 표현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언어 사용의 상황에 따른 높임 표 현의 사용을 살피기 위해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높임 표현 사용 맥락을 대조 분 석하였다. 4장에서는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높임 표현을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하여 사용하고 있는지, 한국어의 높임 표현을 배우며 목표어에 담긴 언어문 화를 어떻게 인식하여 사용하고 있는지 설문 조사를 하여 분석하였다. 5장에서는 설문 조사 기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미얀마인 한국어 학습 자들을 위한 한국어 높임 표현 교육을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제안하였 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서 결론을 기술 하였다. 주제어 : 한국어, 미얀마어, 높임 표현 실현, 높임 표현 사용, 상호문화 능력

      • (The) growth of teak (TEctona grandis Linn.f) in different aged plantations in Bago Yoma range, Myanmar

        Hlaing, Zar Chi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91

        Abstract in Korean 미얀마의 천연 티크 (Tectona grandis Linn.f) 숲의 면적이 줄어듦에 따라, 현존하는 티크 숲의 생태적 가치를 훼손하지 않고, 천연 티크의 재적을 늘리기 위해 티크 조림지가 오래 전부터 조성되어 왔으며, 이러한 상업적 티크 조림지의 생장량, 생산 잠재력, 사회적 그리고 환경적 영향 등에 대한 조림 성과를 이해하기 위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적 조림지의 성장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임업인, 산림 경영자 혹은 의사 결정자로 하여금 미얀마 조림 산업에 대해 검토를 가능하게 하고 검토 후, 경영 전략의 적절한 수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 티크 조림지의 조성과 경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동부 바고요마의 바고 지역과 서부 바고요마의 파카웅 지역에 위치한 두 티크 조림지의 생장량을 조사하였다. 동부 바고요마의 바고 지역에서는 세 영급의 숲을, 그리고 서부 바고요마의 파카웅 지역에서는 네 영급의 숲을 조사하였으며, 각 실험지에서 1.0 ha의 실험구를 만들고, 각 실험구에 존재하는 모든 나무의 직경과 수고를 측정하고, 그 중 약 20개의 나무를 무작위로 선발하여, 성장추를 뚫어 직경생장을 측정하였다. 조사 결과, 연평균 흉고직경 생장량은 바고지역의 경우 1.23 cm 였으며, 파카웅 지역의 경우 평균적으로 연간 1.40 cm 생장하였다. 총평균생산량(MAI)의 경우 바고지역과 파카웅지역이 각각 3.7 m3 ha-1 yr-1과 4.8 m3 ha-1 yr-1이었다. 바고 지역에서 10, 15, 20년 된 임분의 흉고 단면적은 각각 5.31, 7.84, 12.00 m2 ha-1 이었으며 지경 5cm 이상의 개체수는 496, 523, 280본 이었다. 파카웅 지역에서는 10, 15, 20, 25년 된 임분에 흉고 단면적은 각각 11.16, 9.54, 11.83, 7.21 m2 ha-1 이었으며 지경 5cm 이상의 개체수는 571, 505, 307, 136본 이었다. 본 실험지에 가장 적합한 생장식은 4차원 함수였다. 그러나 만약 수집된 자료가 영구 조사지에서 연속적으로 측정된 것이라면, 직경과 수고 간 관계 곡선을 도출하기 위한 Michailoff (1943) 함수와 생장 분석을 위한 Richards (1981) 함수가 생장 및 수확표 도출에 있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바고지역과 파카웅지역 모두 티크 조림지로서 적합한 생태적 조건, 즉 기후, 토양, 지형 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두 지역의 지위지수는 둘 다 40으로 나타났으나, 바고 지역에 비해 파카웅 지역이 수고 생장을 제외한 직경, 흉고 단면적, 재적 면에서 더 우세한 생장을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는 두 실험지 모두 티크 조림지 조성에 적절한, 기후, 토양, 지형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결과가 임업인, 산림 경영자 및 의사결정자에게 티크 조림지의 현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미얀마 조림사업 성과를 점검하고, 미얀마의 티크 연륜연대학과의 학제간 연계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임분단위의 직경-수고 간의 관계를 규명할 것과 지역 단위로 상업적 조림지의 생산성을 조사할 것으로 제안한다. Abstract Due to the shrinking of forestlands including the natural teak (Tectona grandis Linn.f) forests, teak plantations have been established with a view to enhancing the natural stock of teak without destroying the exist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in Myanmar. These commercial plantations are to be assessed and evaluated to understand their silvicultural performance including growth, production potential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implications.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growth patterns of commercial plantations in order to help foresters, forest managers and decision makers to review plantation forestry in Myanmar and make appropriate adjustments in management strateg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wo places in Bago Yoma Range – Bago (East Bago Yoma) and Paukkaung (West Bago Yoma) to investigate the growth of teak plantation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on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commercial teak plantations. There were three aged classes of plantations in Bago and four aged classes in Paukkaung site. Data were collected from sample plots (1.0 ha) in each study sites and all trees in the sample plot were measured for height and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and around 20 trees in each sample plot were randomly selected to measure tree-ring width by taking tree ring core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DBH growth rate was 1.23 (± 0.62 ) cm yr-1 in Bago site and 1.40 (± 0.95) cm yr-1 in Paukkaung site, and mean annual increment (MAI) was 3.7 m3 ha-1 yr-1 and 4.8 m3 ha-1 yr-1, respectively. In Bago site, the stand basal area were 5.31, 7.84 and 12.00 m2 ha-1 with 496, 523 and 280 stems (> 5.0 cm DBH) at 10, 15 and 20 years age classes, and 11.16, 9.54, 11.83 and 7.21 m2 ha-1 with 571, 505, 307 and 136 stems (> 5.0 cm DBH) at 10, 15, 20 and 25 years age classes in Paukkaung site, respectively. The most suitable site-specific equations for the growth performance were found as the quadratic fit functions with the stand age (A): DBH = 9.595 -0.042 (A) + 0.048 (A2) , Height = 1.951 + 0.942 (A) – 0.012 (A2), Basal area = 0.020 – 0.002 (A) + 0.001 (A2) and Volume = 0.076 – 0.015 (A) + 0.001 (A2) for Bago site plantations, and DBH = 17.049 – 1.063 (A) + 0.057 (A2), Height = 22.528 – 1.608 (A) + 0.060(A2), Basal area = 0.035 – 0.003 (A) + 0.001(A2) and Volume = 0.521 – 0.070(A) + 0.003(A2) for Paukkaung site plantations. However, it was found that Michailoff (1943) function ( y = 1.3+a*exp(b/x) ) for diameter-height relation curve and Richards (1981) function ( y = a/ (1+ exp(b-c*x) )^1/d ) for growth analysis could be used to investigate growth and yield tables for both study sites if data collection was continuous time series measurement and more observations. This study concludes that both study sites are suit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teak plantations considering ecological conditions: weather, soil properties and topography. Moreover, growth parameters of two study sites indicate that Paukkaung when compared with Bago site has better performance in growth in terms of diameter, basal area and volume, except height (same site index 40).

      • Sensitive Detection of Atmospheric Methane and Nitrous Oxide Using Higher Harmonic Wavelength Modulation Spectroscopy

        Hlaing, May Hnin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Delaware State Uni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591

        Atmospheric methane (CH4), and nitrous oxide (N2O) are two of the most potent greenhouse gases with relatively significant radiative forcing, contributing to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In addition, due to their atmospheric residence time, both CH4 and N2O have much higher global warming potentials than the most prevalent greenhouse gas, carbon dioxide (CO2).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concentrations of CH4 and N2O have rapidly increased due to diverse natural and anthropogenic sources and sinks resulting in significant uncertainty in their emission budget. Currently, there are several commercial and academic research technologies and field instruments (earth, aerial, and geostationary satellite-based) to precisely quantify and profile atmospheric CH4 and N2O in real-time. However, there are limited arrays of technologies that can simultaneously and synchronously sample these two species on a local and global scale. Simultaneous detection of CH4 and N2O is of great interest in discriminating and correlating carbon and nitrogen emissions from biogenic and abiogenic sources, for instance, in measurements of soil flux and atmospheric monitoring near the surface and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region.Semiconductor laser-based sensing techniques have been widely in use to develop precise sensor systems for detecting and monitoring trace gases in the atmosphere. Among many sensing techniques, wavelength modulation spectroscopy (WMS) is a non-intrusive and highly sensitive technique for probing atmospheric broadened rotational-vibrational molecular transitions. By employing the principles of modulation technique, WMS higher harmonic detection (WMS-HHD) not only can simultaneously measure concentrations of trace species but also can improve detection sensitivity and spectral line resolution. In addition, semiconductor mid-infrared laser sources integrated with optical multipass cells in an open-path configuration, and optomechanical components with WMS methodology provide a simple, compact, low-power, and low-cost sensing technology suitable for deployment in diverse platforms, including mobile, ground-based and airborne systems.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 precise, non-intrusive, and ultra-sensitive sensor system to detect atmospheric CH4 and N2O in the 7.8 μm spectral region. The system is built upon a room-temperature thermo-electrically cooled mid-infrared quantum-cascade laser source, and Heriot design optical multipass cell implemented with WMS-HHD sensing technique. We show a central aspect of WMS-HHD where the structure of the higher harmonic signal and optimal WMS detection order is employed to, (i) accurately quantity laser tuning properties and frequency modulation response, and (ii) resolve overlapping rotational, vibrational molecular transition of multiple (CH4, N2O, and H2O) line-transitions of different oscillator strengths. Finally, we quantify the performance of the sensor system with detection limits of 52 parts per billion by volume (ppbv) for N2O and 162 ppbv for CH4. The laboratory precisions are 0.59%–1.12% for CH4 and 0.82%–1.85% for N2O, which translate to uncertainties of 10–22 ppbv for CH4 and 3 ppbv for N2O over the background of 1800 ppbv CH4 and 352 ppbv N2O, respectively.

      • Integration of Nanostructured Semiconducting/Conducting Polymers in Organic Photovoltaic Devices

        Hlaing, Htay 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2012 해외박사(DDOD)

        RANK : 2591

        One of the main difficulties in incorporating nanotechnology into organic electronic devices is the complexity of fabricating nanoscale structures with relatively well-defined order over relatively large areas. Nanoimprint technology offers a promising route to address this problem, because it can be used to control morphology and molecular orientation of the polymer nanostructures from which functional devices can be built directly. In this dissertation, the development of novel architectures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s utilizing the polymer nanostructures fabricated by nanoimprint lithography is presented. First, nanoimprinted structures were fabricated with 100 nm spaced grooves from thin films of poly-(3 hexylthiophene), a conjugated semiconducting polymer. These structures have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formation of ordered heterojunction organic photovoltaic (OPV) devices. Grazing-incidence wide-angle X-ray scattering studies of the morphology and orientation of the polymer thin films showed that nanoimprinting introduced significant reorientation while Grazing-incidence small-angle X-ray scattering studies demonstrated the excellent fidelity of the pattern transfer. Temperature-dependent scattering measurements indicated that the imprinted induced orientation and alignment remain intact even at temperatures where the imprinted topographical features nearly vanish. In the second part of the thesis, the integration of conducting polymer, poly (3,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 sulfonate) (PEDOT:PSS), nanostructures in OPV devices were investigated. PEDOT:PSS nanostructures, fabricated by water-vapor assisted nanoimprinting, have potential to improve the device performance through both an increased interfacial area and the reorientation of the electron-donor polymer in the subsequently deposited active layer.

      •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DEFCAP: A novel apoptosis protein implicated in cancer and inflammation

        Hlaing, Tommy University of Michigan 2002 해외박사(DDOD)

        RANK : 2591

        Apoptosis (or programmed cell death) is the organized series of intracellular events that lead to a cell's demise. The families of proteins controlling these intracellular events have been conserved throughout evolution as seen by the examination and comparison of these proteins from lower organisms such as the nematode <italic>C. elegans</italic> to those of higher eukaryotes.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ins involved in these intracellular events are key to understanding the balance between cell survival, proliferation, and apoptosis—processes that have ramifications for normal tissue homeostasis throughout the lifespan of an organism as well as in the pathogenesis and progression of diseases such as cancer. Here we report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s and characterization of DEFCAP-L and DEFCAP-S (D&barbelow;eath E&barbelow;ffector F&barbelow;ilament forming C&barbelow;ed-4-like A&barbelow;poptosis P&barbelow;rotein), two isoforms for a novel member of the mammalian Ced-4 family of proteins. The NH<sub> 2</sub>-terminal region of DEFCAP consists of a pyrin-like motif (PLM)/pyrin domain (PD), a proline-rich sequence (PR), followed by a highly conserved NBD, a multiple LRR containing domain, and a COOH-terminal CARD. <italic> In vitro</italic> studies suggest that DEFCAP's LRR/CARD domains are critical for the induction of apoptosis and that anti-apoptotic molecules (Bcl-2, Bcl-xL, and DN Caspase-9) can block this event. <italic>In vitro</italic> coimmunoprecipitation studies suggest that DEFCAP is capable of associating with caspase-2 and -9. In order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DEFCAP's function and to identify DEFCAP protein-protein interactions, we performed a yeast two-hybrid assay using DEFCAP's PD/PLM domain and identified multiple binding partners including an uncharacterized novel protein designated NDBP-1 (NH<sub>2</sub>-terminal DEFCAP Binding Protein-1) and NDBP-2 (Jab1). Although at present the physiological significance of these protein interactions remains unknown, these results give important insight into the potential signaling pathways in which DEFCAP may be involved.

      • A Study on Effects of Road Infrastructure on Regional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Myanmar

        Soe Hlaing Tun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90

        본 연구는 도로기반시설이 미얀마 지역의 사회경제적 발전에 미치는 영 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도로기반시설 (도로밀도, 도로길 이, 포장도로 등) 및 사회경제지표(GRDP, 3개 주요부문 (즉, 농업, 공업, 및 서비 스업))에 대한 2차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로기반시설 구현을 통한 지역사회경제 적 성장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2차 자료는 2013년부터 2018년까지 6년간 미 얀마 7개 주와 7개 지역에서 수집하였으며 다중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도로기반시설 개발 (즉, 도로길이, 도로밀도, 포장도로)이 GRDP 성장에 영향을 미쳤고 농업 부문의 농업 하위부문, 산업 부문의 가공및 제조 하위부문 및 건설 하위부문, 실질적으로 모든 하위 부문을 포함하는 서비스 부문과 같은 3개 부문에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었다. 도로 기반시설로서의 도로 밀도는 GRDP와 인과관계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 기반시설의 개발이 미얀마 지역의 사회경제적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고수준의 도로 기반시설은 일반적으로 지역의 높은 사회경제적 발전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더 많은 사회경제적 부문을 유치하는 촉매제역할을 하며 사회 경제적 성장에 좋은 추세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발전을 지속 하기 위해 주와 지역에서 보다 지속가능한 도로 기반시설 구축사업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안하는 바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road infrastructure on regional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Myanmar. This research emphasizes regional socio- economic growth by the implementation of road infrastructure, using secondary data on road infrastructure (i.e., road density, road length, paved road), and socio- economic indicators (GRDP, and 3 main sectors (i.e., agriculture, industry, and service)). These secondary data were collected for the 6 years from 2013 to 2018 in 7 states and 7 regions of Myanmar, which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road infrastructure development (i.e., road length, road density, paved road) affected GRDP growth, and affected 3 main sectors such as agriculture subsector from the agriculture sector, processing and manufacture subsector and construction subsector from the industry sector, and service sector including all subsectors substantially. And road density as the road infrastructures is a causal relationship with GRDP. So,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development of road infrastructure could improve regional socio-economic growth in Myanmar. High road infrastructure is commonly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regional socio- economic development, and that is a catalyst to attract more socio-economic sectors as a good trend to socio-economic growth. Finally, this study recommends that it makes more sustainable road infrastructure projects in states and regions should be supported in order to sustain higher development of socio-economic.

      • The Impact of international trade with China on economic growth of Myanmar (1990/91 - 2016/17)

        NILAR, HLAING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018 국내석사

        RANK : 2590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stimate the long run equilibrium relationship among export and import between Myanmar and China and the GDP of Myanmar and the direction of long-run or short-run causality between the international trade among two countries and economic growth of Myanmar. The data used in this paper are timeseries data collected from Ministry of Planning and Finance of Myanmar. The analysis is used to estimate the dynamic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tional trade between Myanmar and China and GDP growth of Myanmar. In this study, the Augmented DickeyFuller (ADF) unit root test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the stationary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of Myanmar’s GDP and export and import with China after transforming them into first differences. The Johansen cointegrated test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all the data are cointegrated and they have long-run association.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is used to provide that export has a positive impact and import has a negative impact on GDP of Myanmar. The result is that there is a long-run causal relationship running from both exports and import to GDP, but not for short-run.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variables; exports and imports with China and GDP of Myanmar.

      • Provision of low cost housing and housing policy in Myanmar

        Le Le Hlaing Chung-Ang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589

        저 비용 주택 개발은 ”1백만호 주택 계획”을 2030년까지 완료할 계획을수립함에 따라 도시 주택 개발국(DUHD)의 중요한 당면 과제가 되고 있다.그러므로, DUHD는 다른 나라들에서 저 비용 주택 실현을 위한 정책으로 성공한보완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접근을 통한 합리적이고 적합한 정책을 수립할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서구 유럽의 선진국에서는 빈곤층과 중산층 가정에 대한 사회복지 및세금 체계 수립을 완료하였으며, 공공 주택의 제공 체계도 이미 구축 완료하였으며 안정화 되었다. 아시아 지역에서 조차도, 몇몇 나라에서는 빈곤층과중산층 가정에 대한 공공주택 건설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미얀마에서는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할 지라도 모든 것이 아직까지 초기단계이고, 빈부의 격차도 상당히 큰 것이 현실이다.한편, 저 소득층 국민들은 부동산 시장의 최소 할부금 급등과 어려운입주조건 때문에 자신 소유의 집을 구매하기가 어려우며, 이러한 현실 속에서적합한 “저 비s용 주택”을 개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포괄적인 관점에서 구매 가능한 주택의 가격과저비용 주택에 대한 의미의 차이점을 조사하려고 한다. 또한, 한국을 포함한인접국들의 합리적인 정책을 바탕으로 하여 미얀마에 적용가능 한 정책이 어떤것인가에 대하여 주안점을 두고 연구할 것이다.설문 조사 내용은 현재의 저 비용 주택 현황, 양곤(Yangon) 에 거주하는저비용 주택 거주자의 실제 구매 가능성 그리고 저비용 주택과 관련한 필요편의시설을 충분히 설치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들을 반영할 것이다.본 논문의 연구 결과에 따라, 적합하고 합리적인 정책이 미얀마에 적용될 수 있을것이다. The development of low cost housing has become an urgent and important function for the Department of Urban and Housing Development (DUHD) as it sets a plan to implement “One Million Housing Plan” in 2030. In doing so, DUHD needs to find the suitable and reasonable policies from conventional approach to additional ways which are successful in policy of other countries’ low cost housing practice. In Western and Europe, being as developed countries, they have set up the social welfare and tax system for low and middle income households, and the system of providing public housing is already settled and stabled. Even in Asia, some countries are successful in implementing public housing for low and middle housing in some extent. But, in Myanmar, everything is still in initial stage even compared to South-East Asia nations, also disparities between well-off and worse-off are quite huge realistically. Hence, people in low income are not affordable to purchase their own house as minimum down-payment is becoming increasingly high and the entry-requirement is getting difficult in real estate market, the low cost housing is very difficult to be developed appropriately under this circumstance. Therefore, this paper will examine global perspective of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meaning between an affordable and the low cost housing. Furthermore, it will emphasize upon the reasonable policies of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and which policy could be adaptable to My-anmar. Survey questionnaire will reflect the current low cost housing situa-tion, real affordability of low cost housing residents in Yangon and whether the necessary facilities could be fulfilled concerned with the low cost hous-ing. According to this result, applicable and reasonable policy can be applied in Myanm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