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한민국 거주 건강보험 의무 가입 대상 유학생의 건강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조사 및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 - 한국 거주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을 중심으로 -

        ERGASHEV KHOJIAKBAR JAKHONGIR UGLI 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015

        Introduction: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institutions have predominantly refrained from enrolling in health insurance or have opted for relatively affordable private insurance. However, a significant policy shift occurred in 2015 under the auspices of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mandating that foreign students must compulsorily enroll in either health insurance or private insurance. Subsequently, in December 2018, the eligibility criteria for local enrollees were extended from a minimum stay of 3 months to 6 months, and from July 16, 2019, onwards, foreign nationals and overseas Koreans residing in South Korea for more than 6 months were obligated to enroll as local participants in health insurance. The enforcement of mandatory enrollment for health insurance for foreign students was officially implemented on March 1, 2021, in accordance with Article 109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with the aim of preventing misuse and enhancing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rogram. This transition aimed to strengthen the prevention of abuse and management systems with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cheme. On the other hand, the advantages of this policy change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clude the ability to access various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during their study period in Korea.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relief from the financial burden that may arise in the event of contracting severe diseases. Nevertheless,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findings, a considerabl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despite being enrolled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did not seek medical care. There is a scarcity of prior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by domestic international students, and specifically, there is a significant gap in the understanding of the patterns and factors related to the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by Uzbek international student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various aspects of the health of Uzbek international students, which have been hitherto overlooked and inadequately researched. Objective: This study targeted Uzbek international students currently enrolled at a university in Asan City, Chungcheongnam-do, who have resided in South Korea for more than 6 months and are obligated to enroll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primary aim of the research is to comprehend the health status and pattern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as well as to valid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use of medical services. Additionally, as secondary objectives, the study seek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levels of international students regard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providing insights into trends in medical service utilization. Furthermore, the study undertakes a descriptive survey to measure the extent of the economic burden that international students may face due to mandatory enrollment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comprised 140 Uzbek international students currently enrolled at the university as of August 2023. From this population, 105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sample,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to September 1, 2023. The survey yielded responses from 104 participants, excluding one non-respondent.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levels of the research subject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employ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medical service utiliza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ther independent variables, cross-tabu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Lastly, to examine the impact of all influencing factors on international students'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collected data included demographic information, satisfaction levels, and factors potentially affecting medical service utilization among Uzbek international students, providing a comprehensive basis for the subsequent analyses. Results: Upon examin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observed that 51% of the participants had not visited a medical institution in the past year, and 55.9% engaged in self-treatment when they fell ill. Regarding health status, 76% actively managed their health, with an average score of 4 points on a 5-point scale (indicating good health). This suggest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viewing themselves positively in terms of health, tend to underutilize medical services. After mandatory enrollment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more than half (61.5%)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negative views about the system. The primary reason cited was the perception that insurance premiums are expensive, accounting for 73%.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in medical service utiliza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economic factors, illness and treatment methods, health management, awareness of health, and perception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revealed significant variations in the participants' educational levels, residency status, duration of stay, illness experience, treatment history, medication intake, health management practices, and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health insurance.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nd their health management practices significantly influenced medical service utilization. Higher awareness and satisfaction wit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s well as proactive health management, were associated with increased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Additionally, the study revealed that older age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was correlated with higher medical service utilization. Students with dependents showed increased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and longer duration of stay was associated with higher rate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Moreover,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was linked to increased utilization of medical service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Finally, students who engaged in self-treatment when ill exhibited lower rate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Conclusion: A significant portion of Uzbek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research expressed negative thoughts and dissatisfaction with South Korea's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particularly citing the perceived high personal burden of health insurance premiums as the primary cause. Despite recogniz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s beneficial and necessary, many international students conveyed a common desire for reduced financial obligation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ir economic circumstances. Keywords: foreigners, international students, health status of international students, use of medical services by international students, national health insurance, medical insurance. 국내에서 재학하는 유학생들은 주로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민간보험에 가입하였다. 하지만, 2015년 대한민국 교육부 정책에 의해 외국인 유학생들은 건강보험 또는 민간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추후 2018년 12월에는 지역가입자들의 가입 기준이 대한민국 체류 3개월에서 6개월로 변경되었으며 2019년 7월 16일부터 대한 민국에 6개월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 및 재외국민은 의무적으로 건강보험의 지역 가입자로 가입하게끔 변경되었다. 외국인 유학생 국민건강보험 의무 가입 제도의 시행은 2021년 3월 1일 「국민건강보험법」 제109조에 따라 공식적으로 시행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국민건강보험제도 악용 방지 및 관리체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한편, 외국인 유학생들이 유학 생활을 하는 동안 한국 의료 기관에 방문하여, 다양한 질 높은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 위험한 질병에 걸렸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과중한 비용 부담을 완화되게 하는 것은 국민 건강보험의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국민건강 보험에 가입되어 있음에도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는 유학생이 많았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에 관한 선행연구는 많지 않고 특히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와 관련 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하고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던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건강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하고자 한다. 목적: 본 연구는 충청남도 아산시의 한 대학교에서 재학 중이며 국내에서 6개월 이상 거주하고 국민건강보험에 의무적으로 가입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유학생의 건강 상태와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또한 보조 목적으로는 유학생들의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조사 및 만족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의료서비스 이용 동향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학생 개인이 의무적으로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부담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조사 대상은 본 대학교에서 현재 재학 중인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140명 (2023년 8월 기준) 중 105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2023년 8월 1일부터 9월 1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무응답자 1명을 제외한 나머지 104명의 응답 완료된 설문지 자료를 모두 회수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과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과 다른 독립 변수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든 영향 요인이 유학생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및 단순 로지스틱 회귀분석(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 참여자들의 51%가 1년 동안 의료기관을 방문한 경험이 없고, 55.9%가 발병 시 자가치료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상태에 대한 결과 76%가 건강관리를 하여 5점 척도 기준으로 평균이 4점(좋다) 으로 나타났으며, 본인이 자신에 건강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즉, 유학생들이 본인이 자신은 건강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의료서비스를 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의무 가입 이후 국민건강보험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61.5%로 절반 이상이었다. 그 원인으로는 “보험료가 비싸다고 생각한다.”가 7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학생 들의 일반적인 특성, 경제적인 요인, 질병 및 치료 방법, 건강관리 및 건강에 대한 인식,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 등 사이에 의료서비스 이용의 차이 여부를 검정한 결과 연구 참여자의 학력, 거주 형태, 체류기간, 발병 경험, 치료 여부, 의약품 복용, 건강관리 여부, 건강보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과 건강관리 여부가 유학생들의 의료서비스 이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학생이 건강관리를 하는 경우와 국민건강보험제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의료기관 이용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으로 연구 결과를 통해 유학생의 나이가 많을수록 의료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자취하는 유학생 경우 의료서비스 이용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체류기간이 늘어 날수록 의료서비스 이용이 증가하고,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유학생의 의료서비스 이용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발병 시 자가치료를 하는 유학생의 의료서비스 이용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조사에 참여한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중에서 대한민국의 국민 건강보험제도에 대하여 부정적이고, 불만족스럽다고 응답한 비율은 적지 않았으며,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본인이 부담해야 하는 건강보험료가 비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유학생들은 모두 국민건강보험이 좋은 제도인 것은 알고, 대부분이 국민건강보험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유학생의 경제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금액을 낮추어 주면 좋겠다는 공통적인 의견이 많았다. 핵심 주제어: 외국인, 유학생, 유학생 건강 실태, 유학생 의료서비스 이용, 국민건강보험, 의료보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