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덩샤오핑 개혁개방 사상의 연구 : -스프라겐스의 분석틀을 중심으로-

        Wang, Li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407

        Deng Xiaoping, as the chief designer of China's reform, opening up and modernization, put forward his reform ideas in the light of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the reality of China, and guided the success of China's reform. In today's deepening reform in an all-round way, it is of great practical significance to systematically study Deng Xiaoping's reform and opening-up thought. Spragens political theory analysis mainly includes the following three aspects: 1.  The understanding and diagnosis of  crisis and disorder. 2. The reestablishment of the political system , that is a new and better state. 3. The method of the implementation required to achieve this better state.

      • Using Geophysical and Geodetic Data to Improve Natural and Human-Induced Hazard Assessments

        Deng, Fanghui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University of Sout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47391

        소속기관이 구독 중이 아닌 경우 오후 4시부터 익일 오전 9시까지 원문보기가 가능합니다.

        I use geophysical and geodetic data to study dynamics of the Earth System, including volcanoes and induced seismicity, aiming to improve related hazard assessment at different time and space scales. My disserta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three projects: 1) Geophysical model for the origin of volcano vent clusters (Deng et al., 2017). We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to simulate long-term magma transport to explain the origin of volcanic vent clusters in Quaternary Colorado Plateau volcanic fields. We used density contrast inverted from gravity data to constrain the magma transport model. The development of vent clusters appears to be influenced by large-scale lithologic variation in the Proterozoic crust. 2) High-resolution DEM generation combining multiple remote-sensing data sets (Deng et al., 2019). As the first study (as far as we are aware) to combine satellite radar, ground-based radar, ground-based photography, and freely available global digital elevation models (DEMs), we have generated and released a high-resolution (10-m) DEM without data gaps for Nevado del Ruiz volcano, Colombia. The simulated inundation zones from volcano flow models using our new 10-m DEM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spect to a global 30-m DEM. 3) Surface deformation and induced seismicity due to fluid injection and oil and gas extraction (Deng et al., 2020). We found that the recent increasing number of earthquakes in western Texas is likely related to the increasing fluid injection rate. We have observed surface deformation due to fluid injection and oil/gas extraction using satellite data. Numerical models of the physical process were used to quantitatively assess the relation between induced seismicity and fluid injection/extraction. The result suggests that pore pressure change due to fluid injection is likely the main contributor to the elevated earthquakes.

      • TAM에 근거한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농산물 거래를 중심으로

        DENG, ZIQI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359

        온라인 시장 규모가 크게 성장하고 있으면서 농산물의 온라인 거래도 점점 발전해왔다. 특히 코로나19 기간에 농산물의 온라인 거래액이 급속하게 상승하였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온라인 상거래에서 농산물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그중에 중요한 결정변수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을 선정하여 농산물 특징, 배송서비스, 시스템 측면의 외부변수를 결합하고 코로나19 위험지각이 추가하며 각 변수가 농산물의 온라인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 대상으로 204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AMOS과 SPSS를 이용하여 분석결과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 품질, 배송서비스 품질, 농산물 특징인 가격 경쟁력, 농산물 다양성이 순으로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시스템 품질, 농산물 다양성, 배송서비스 품질이 순으로 지각된 용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농산물의 온라인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코로나19 위험지각이 농산물의 온라인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이 부분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농산물 품질은 지각된 유용성이나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데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development of online shopping market, the number of people who purchase agricultural products online start to increase. Especially during the COVID-19 period, the online trading amount of agricultural products increased rapidl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willingness of online shopping on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In order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re used in this paper. And external variables are considered as well like products quality, delivery services, trading systems and risk perception of COVID-19. This paper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Chinese consumers by 204 questionnaires. The AMOS and SPSS are use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ice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variety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quality of delivery service and the quality of the system had positive impacts on perceived usefulness. Second, the variety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quality of delivery service and the system quality had positive influence on perceived ease of use.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of online purchase of agricultural products. Fourth, it was shown that the risk perception of COVID-19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online purchase of agricultural products. Fifth,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were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In addition, the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purchase.

      • The Role of Language in Gender Relations : Harold Pinter's The Homecoming and Ashes to Ashes : 젠더 관계에서의 언어의 역할: 해롤드 핀터의 『귀향』과 『재에서 재로』

        Deng, Yang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359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은 삶과 사회의 여러 방면에서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언어의 사용이다. 본 논문은 가부장적 질서에서 여성을 지배하고 주체가 아닌 대상으로 취급하며, 하찮게 여기는 관습에 저항하는 언어의 두 가지 측면을 분석한다. 핀터(Harold Pinter)의 극 『귀향』(The Homecoming)과 『재에서 재로』(Ashes to Ashes)에 등장하는 두 여성 인물들은 언어 게임과 기억력 게임을 이용하여 남성보다 우월한 힘을 가지며 권력투쟁에서 승리한다. 『귀향』에서 루스(Ruth)는 남성들과의 말싸움이나 대화 속에서 상대방을 조종하거나 이기기 위하여 자신이 가진 능력과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여 언어 게임을 수행한다. 『재에서 재로』에서 레베카(Rebecca)는 언어 게임의 전술 중 하나로써 기억력 게임을 행하는데, 그녀는 현재의 상황을 통제하는 힘을 얻기 위해 과거의 역사적 사실들을 속이거나 기억들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이 두 극에 나타난 남녀관계에서의 언어의 사용은 푸코(Michel Foucault)가 설명한 권력과 담론의 개념과 유사하다. 푸코는 권력관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어가 언제 힘을 얻게 되고, 어디에서 다른 사람을 조종하기 위해 악용되기까지 하는지와 같은 언어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푸코의 언어 이론은 핀터의 극에서 남성과 여성 간의 권력관계를 설명하는데 유용한데, 핀터의 극에서 두 여성 인물인 루스와 레베카가 사용하는 언어와 권력의 상관관계를 주로 젠더 관계에서 극화한다. 따라서 이 논문은 두 여성 인물의 특성에 따라 사용되어지는 언어의 역할을 포스트모던 사회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중요한 특징으로 결론짓는다. 이러한 언어문제를 분석함으로써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한 관계에 나타난 부정적인 측면에 대응하고 여성들이 남성들과 같은 권리를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 사회적 지지, 창작무용 교육효과, 정서조절의 관계 : -중국 사천(四川)지역 무용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Deng, Yunyi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59

        중국의 교육 수준이 높아지고 아울러 젊은 세대의 소양이 향상됨에 따라 최근 중국에서는 표준 교과 과정의 개혁과 이에 따른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교육 분야에서 활동하는 교수 및 교사들 또한 새로운 도전의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중국에서는 해마다 무용학과의 지망생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기존의 무용 교육방법론에 대한 변화의 목소리도 커져가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중국의 무용교육이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을 직시하고, 이에 대한 발전적인 대안을 제시하여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발전을 촉진하는 새로운 교육목표의 설정과 대안을 마련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진행되었다. 무용교육에 있어서 이미 세계적으로 보편화 되어있는 창작무용은 중국의 무용교육 분야에 있어서는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신선한 교육 과정이다. 창작무용은 학습의 자율성과 독창성을 강조하여 학생들의 창의력, 감수성, 문제해결 능력을 발달시키는 한편 인간의 공간감각, 심미적 가치관,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양성한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는 일찍부터 무용교육기준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이 지식을 얻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정서와 감정을 경험하고, 보완적이고 과학적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필자 역시 이러한 교육적 효과에 근거하여 창작무용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양성하는 것이 지금까지 중국의 무용교육이 안고 있던 문제들을 해결하는 가장 좋은 방책이라고 파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작무용 교육이 사회적 지지, 정서조절 능력 등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창작무용 교육의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 목적의 실현을 위해 현재 중국 사천(四川)지역 소재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대학생과 대학원생 3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기술 통계,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창작무용 교육은 무용과 대학생과 대학원생들이 느끼는 사회적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정서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창작무용 교육효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사회적 지지와 정서조절은 창작무용 교육효과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와 창작무용 교육의 관계에서 학생들의 정서조절은 적극적인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창작무용 교육 과정은 무용전공 대학생의 적극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사용과 충분한 사회적 지지에 대한 학생의 인지능력 향상에 일정부분 기여하고, 나아가 학생들의 인지 발달, 자기 주도적 혁신, 학습 능동성 유지, 이상과 목표 실현, 시야 확대 등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서 그 효과를 입증하게 된다. As China's education level rises, the literacy of the young generation and the reform of the standard curriculum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leading to new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for professors and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China, the number of supporters of the dance department and the number of successful applicants are increasing year by year, and accordingly, the voice of change in dance education is also growing. This study faces the current dance education problem an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by establishing measures and supplementing them. I believe that it is a good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effectiveness of today's dance education by cultivating students' creative thinking. Creative dance is a new curriculum that has emerged in the field of dance education in China. This provides an important rationale for establishing dance education standards in developed countries because it emphasizes the freedom and uniqueness of learning and develops students' creativity, sensi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has the advantage of cultivating human space sense, aesthetic values, and social communication skills. In addition, it allows students to experience different emotions and emotions in the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and to form complementary and scientific val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creative dance educational effect on the development, and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creative dance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91 dance major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four universities in Sichuan, Chin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upport felt by dance major college student and graduate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reative dance educational effect. Seco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emotional regul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emotional regulation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reative dance education effect.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ocial support and emotion regulation not onl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reative dance educational effect, but also students’ emotional regulation plays an activ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reative dance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tudents' perception of ac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use and sufficient social support in dance college stud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cognitive development, self-directed innovation, maintenance of learning activity, realization of ideals and goals, and expanding perspective in the creative dance curriculum.

      • 임하나『당신의 빛나는 하루』 의 韓中翻譯

        DENG ZILI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359

        임하나 작가의 『당신의 빛나는 하루』는 명사들의 주옥 같은 명언과 작가본인의 생각을 담은 치유서다. 작가는 명인전기, 영화, 드라마작품, 자연법칙, 우화, 경기규칙 등을 통해서 우리에게 용기를 주기도 하고, 위로를 해주기도 하며, 채찍질을 하기도 한다. 작가는 하루하루가 쌓여가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루의 변화가 우리 인생에 변화를 가져올지 모르지만, 하루하루 조합하면 한 주, 한 달, 한 해로 긴 시간이 될 수 있다. 그래서 행복하고 보람 있게 하루하루를 보내는 것이 중요하다. 본서의 짧은 문장 하나하나가 간결하고 교훈이 담겨져 있다. 그리고 작가는 우리 인생에서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평범한 작은 일에서 큰 이치를 발견하는 데 능숙하다. 아침에 일어나 5분 정도 시간을 내어 읽으면 이날은 물론 앞으로의 삶에도 깨달음이 있을 것이다. 그렇게 하루하루 깨닫게 되면서 책 한 권을 다 읽고 나면 자신의 인생에 대해 다르게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른바 치유서라는 것은 이를 읽음으로써 독자의 마음에 지속적인 상쾌함을 주는 것이다. 본서는 독자들이 어려움을 두려워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맞서고 바른 에너지를 전달하며 자신감을 갖고 인생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수량 표현 교육 위계화 연구

        DENG, SHIYUN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9

        Quantity expression is a grammatical content that exists in both the Korean and Chinese language systems and represents the number of objects commonly used in daily life. However, there are various types and classifiers of Korean language, and Chinese numeral and native numeral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ypes and classifiers. In addition, due to different types of usage constraints and scope of application, it is a very complex content for Chinese learners. Actually, in the pro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ntent of this education is insufficient, and it did not take into account what kind of content is needed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so Chinese learners cannot grasp the quantity expression of Korean well. Therefore, this study takes Chinese learners as the object, selects the quantity expression of Korean education content, and after hierarchical, designe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to supply the insufficient learning contents. Chapter II introduced the basic content of Korean quantity expression and hierarchicalization, and selected the target of hierarchicalization. It was to find out the specific mastery of Korean quantity expression system by Chinese learners. In the chapter Ⅲ, in order to adapt the selected quantity expression content to the learning requirements of Chinese learn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nd five Korean textbooks were analyzed. Through the survey of Chinese learners on their perception of quantity express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how many contents of Korean quantity expression was mastered can be known. And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s, how many contents of Korean quantity expression have been taught to learners can be seen. These were to confirm the learning requirements of Chinese learners. In Chapter IV, the learning objectives of each learning stage were set for Chinese learners based on the principles of hierarchicalization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ent of 'practicality' and ' cognitive development level'. The primary stage is to get familiar with the basic contents of Korean quantity expression and apply it in daily life. In the intermediate stage, the quantity expression can be utilized through various types. And in the advanced stag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ontents in specialized areas or unfamiliar contents in daily life contained in the quantity expression. Based 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e contents of Korean quantity expression was first hierarchized according to three criteria: learning ability of learners, use restriction and scope of application of different types of Korean quantity expression, and questionnaire results. Then the opinions on the hierarchical content of 10 advanced Chinese learners were collected for discussion, and the educational content of Korean quantity expression was finally confirmed. On the basis of previous results, a textbook material development scheme of Korean quaitity expression was proposed for Chinese learners in different learning stages. This study has certain significance for Chinese learners to learn scientific hierarchical quantity expression contents and use it accurately. However, as a result of a study for Chinese learners, it is not applicable to Korean learners from other countries. Part of the content was set as prior learning content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learners, and the content should be learned in advanced were only a few classifiers, so all hierarchical content could not be designed. In addition, this study is mainly aimed at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course of quantity expression for Chinese learners, there are not enough and various learning activities i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It is excepted that studies can be conducted continuously to seek specific quantity expression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in the future. 수량 표현은 한국어와 중국어의 언어 체계에 모두 존재하고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물건이나 사물의 수효를 나타내는 문법 내용이다. 그러나 한국어 수량 표현은 유형과 분류사가 다양해 한자어 수사와 고유어 수사를 유형과 분류사에 따라 선택해야 하며, 유형마다 사용 제약 및 적용 범위가 모두 다르므로 중국인 학습자에게 매우 복잡한 내용이다. 그러나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이에 대한 교육 내용이 부족하며 학습자의 입장에서 어떤 내용이 필요한지 고려하지 못하고 있어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수량 표현 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수량 표현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위계화한 후 부족한 학습 내용을 보충하여 교재 내용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한국어 수량 표현과 위계화에 관한 기본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위계화 대상을 선정하였다. 중국 학습자가 한국어 수량 표현 체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지 그 현황을 알아보았다. Ⅲ장은 선정한 수량 표현 교육 내용을 중국인 학습자의 학습 요구에 따라 적절하게 위계화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5종의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수량 표현의 인식 및 지식 활용 조사를 통하여 실제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수량 표현 내용을 어느 정도로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교재 분석을 통하여 현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에게 수량 표현에 관한 내용을 어떻게 교육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 요구를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교육 내용 위계화의 원리 중 `실용성'과 `한국어 능숙도'을 근거로 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각 학습 단계의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초급 단계에서는 한국어 수량 표현에 대한 기초를 익히고 일상생활에서 수량 표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중급 단계에서는 다양한 유형을 이용해서 수량 표현 활용할 수 있다. 고급 단계에서는 전문 분야에서 활용되는 수량 표현이나 일상생활에서 친숙하지 않은 내용을 파악하도록 한다. 교육 목표를 근거하여 한국어 수량 표현 교육 내용은 학습자의 습득력 및 유형별 사용 제약, 유형별 적용 범위, 설문 조사 결과 등 세 가지 기준에 따라 위계화하였다. 교육 목표에 따라 일차적으로 교육 내용을 위계화한 후 10명의 고급 중국인 학습자의 의견을 수집하고 논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교육 내용을 위계화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활용하여 교재 내용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가 과학적으로 위계화된 수량 표현 내용을 학습하여 정확하게 활용하도록 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다른 언어권 학습자에게 적용하기는 어려우며 수량 표현 교육 내용의 위계화를 진행하였으나 일부 내용을 학습자 부담을 낮추기 위해 선행 지식으로 설정하고 고급 학습 단계의 학습 내용은 소수의 분류사에 불과해 모든 위계화 내용을 활용한 교재 내용 설계는 하지 못했다. 또한, 본 연구는 주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수량 표현 교육 과정에 보충해야 할 내용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교재 내용 설계 시 학습활동이 충분하지 않고 다양하지 않아 아쉬운 점으로 남는다. 이후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구체적인 수량 표현 교육 내용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사교육 현상의 미디어 재현과 사회문화적 함의 : 텔레비전 드라마 <스카이 캐슬>의 사례를 중심으로

        Deng, Ling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359

        2018년 말부터 JTBC에서 방송하는 드라마 <스카이 캐슬>은 한국 사회의 상류 계층이 누리는 사교육의 양상을 재현한다. 이 드라마는 비지상파 드라마의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으면서 상류 계층의 사교육 형태를 둘러싼 논란도 많이 불러일으켰다. 텔레비전 드라마는 실제 사회를 하나의 가상 세계로 만들기 때문에 드라마에서의 상상이 실제 사회에서의 현실 간에 대응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출발하여 본 연구는 드라마 속에서 반영되는 ‘극화된 세계’가 어떠한 식으로 현실 속의 쟁점과 관심을 재현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2018년 말에 한국에서 숱한 관심과 쟁점을 생성한 드라마인 <스카이 캐슬>에 주목하면서 세밀한 방식으로 이 텍스트가 구성한 사회문화적 함의와 명암을 규명하고자 한다. 텍스트 차원을 넘어서 <스카이 캐슬>을 수용하는 과정보다 사회에서 이 드라마를 주목하여 숱한 담론들도 생산된다. 그러니까 <스카이 개슬> 이후 어떠한 담론들이 대두되는지, 특히 생성되는 담론들 속에 <스카이 캐슬>이 재현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들을 어떻게 풀어내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사회성 주제나 현실의 쟁점이 구현되는 드라마의 수용을 둘러싼 보다 확장된 담론작용을 연계시켜 <스카이 캐슬>의 특질과 이를 둘러싼 담론들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스카이 캐슬>은 상류층이 몰두하는 교육의 수단화라는 사교육방식과 상류층이 교육을 통한 계급 재생산의 야심 등 단면들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이 드라마가 ‘사회성 멜로드라마’이자 현실을 드러내는 ‘징후적인’ 텍스트라는 점에 착안한 분석을 시행한다. 뿐만 아니라 <스카이 캐슬>의 외부에 생성되는 담론들을 살펴보면, <스카이 캐슬>은 입시에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는 학종(학생부종합전형)으로 인해 생성된 입시의 불공평을 재현하면서 교육 제도 내에 존재하는 공정성을 넘어 계급적 욕망이 재생산되는 양상을 복합적으로 재현해낸다. 동시에 이 텍스트는 그런 욕망이 균열되고 파국을 만드는 상징적 함의를 보여주면서 일정한 풍자와 현실의 환기를 도모한다. The drama “SKY CASTLE”, which was shown on JTBC at the end of 2018, reproduced the aspect of private education enjoyed by the upper classes of Korean society. The drama recorded the highest viewership ratings of subscription channel dramas, but it also sparked intense controversy over the form of private education in the upper class. The TV dramas is an imaginary world built on the basis of real society. Therefore, there is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imagination in the TV dramas and the reality in the actual society. Based on the above viewpoints this point, the study seeks to explore how the "polarized world" reflected in the drama can reproduce issues and interests in real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TV dramas“SKY CASTLE”. Which gained countless popularity and discussion in Korea at the end of 2018, in order to explore the sociocultural meaning and the shade constituted by this text in a thoughtful manner. Therefore, the public opinion formed after the air of "SKY CASTLE", especially how it analyzes the social reality reappeared in "SKY CASTLE" were both the content of this research. nother word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KY CAST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acceptance of dramas that embody social themes or issues of rea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SKY CASTLE" shows the upper class devoted to the instrumentalization of education and the ambition to reproduce the class through education. Therefore, the drama is not only a "social melodramatic text" but also a "symbolic text" that reveals reality.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s education, "SKY CASTLE" shows that women and men have achieved equal positions in marital relationships. At the same time, the various interventions parents impose on children's education are unreasonable. In addition, from the public opinion generated by "SKY CASTLE", it reproduces the unfairness of entrance examinations due to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tudent book synthesis model) and the situation that transcends the fairness in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regeneration of class desires. At the same time, the text also embodies the symbolic meaning of this desire cracking and creating break, and seeks a certain irony and realistic breathing.

      • 유기동물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제안

        Deng, Jianwen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359

        반려동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펫코노미 시대 열린 이면엔 키우던 동물을 내팽개치는 유기동물 증가 현상이란 그림자도 짙게 드리워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출발한 단체나 개인을 통해 유기동물 입양을 촉진하는 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였다. 유기동물 애플리케이션의 개발과 보완은 유기동물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해결하며, 동물과 공존하는 생명 존중의 이상적 세계관을 펼친다. 반려동물이 인류에게 부여하는 즐거움은 크지만 그들의 생존 복지는 여전히 미흡한 현실이다. 본 연구를 통해 유기동물 문제를 환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연구는 유기동물 구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향상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유기동물 관리 시스템 및 입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분석을 통해 유기동물 관리 과정의 한계점을 제기해 입양 서비스 보완 사항을 도출한다. 본 연구는 기존 서비스 분석 및 사용자 조사를 통해 총 5 개 유기동물 애플리케이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방향을 제안한다. 기본 서비스와 제안 서비스를 비교하기 위해 각각의 시나리오에 따른 사용성 평가를 실시한다. 평가 결과 및 인터뷰를 통해 도출한 개선점을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여 최종 작품을 완성한다. 결론적으로 5 개 제안은 (1)위치기반의 검색 시스템, (2)목격 신고 및 공유 기능, (3)유기동물 애플리케이션 탐색 페이지 및 상세 페이지의 정보 시각화, (4)자연사 및 안락사 당한 유기동물을 위한 추모 공간, (5)유기동물 입양 후 양육 과정에 대해 지속적인 주목, 추적 과정을 기록한다. 유기동물 문제는 사회 구조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생활 환경과 더불어 나타난 인위적 사회 문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동물 반려인에겐 적극적인 책임 의식이 요구되고, 사회 일반은 반려동물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주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 제시한 입양 과정 및 기존 입양 서비스에 대한 보완 제안은 향후 반려동물 전면 데이터 관리 및 유기동물 관리 제도의 연구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Great demand for companion animal has resulted introduction to era of ‘pet-conomy’ which eventually also resulted in increased cases of abandonment of the pets. Insights on animal abandonment issue, Web-sites and applications have arisen by communities and individuals to encourage adoption of abandoned animals. Development and supplement of application related to abandoned animal actively tackles abandoned animal issues that unfold an ideal universe where animals are respected as a being and coexist with human race. The pleasure that companion animal provides to mankind is great but their survival welfare is yet insufficient. This research reminds and raise the need for continuous efforts to solve animal abandonment issue. This research aims to improve usability of abandon animal rescue applications.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abandon animal managing system and adoption service platform, draw supplements required for adoption service by raising limitations of abandon animal management process. This research proposes total 5 interaction design direction to improve usability of applications by analysis of existing service and user experience. To compare existing service and proposed service, usability assessments a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respective scenario. Completion of final work through amendment and supplement of improvements required which raised out of assessment result and interview. Ultimately, 5 design direction proposes (1) Location-based search system, (2) Sight report and information share function, (3) Visualization of abandon animal search and details page for information, (4) Memorial Space for natural death and euthanasia of abandoned animals, (5) Recording of consistent tracking and attentions for raising process of post adoption of abandoned animals. The abandon animal issue is an artificial issue arising from rapid change in the social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lifestyle. In order solve this issue, animal companions should have an activ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e society needs to give more attention on continuous research for companion animals. It is expected that the adoption process and proposal on existing adoption service presented in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future research on full-scale data management of companion animals and abandoned anim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