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primary open-angle glaucoma :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and 2012

        Yoo, Eun Joo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31999

        Purpose: To investigate whether oral health is associated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POAG) in participants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articipants: The participants 19 years of age or older were included from the fifth KNHANES for the years 2010 and 2012. POAG diagnosis was based on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Geographical and Epidemiological Ophthalmology criteria. Oral health status was assessed using four factors: (1) the presence of current dental caries; (2) the experience of dental caries; (3) the presence of periodontitis; and (4) the presence of dental implants. Simpl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POAG and oral health. Results: The weighted prevalence of POAG was estimated to be 3.6%.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age and sex revealed that the presence of current dental cari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imary open-angle glaucoma (P = 0.026). This association was sustained after additionally adjusting for smoking status (P = 0.045) and systemic diseases (P = 0.039). Conclusion: The presence of current dental caries wa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POAG after controlling for other risk factors in the South Korean population. Our results support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demonstr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oral health and POAG.

      • Hierarchically Interpenetrated and Reentrant Micro-Cellular Frameworks for Stretchable Lithium Metal Batteries

        An, Yoo Joo 고려대학교 KU-KIST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1982

        Human-friendly wearable devices have been rapidly developed these days and there are strong demands for skin-like stretchability to fit the human body more closely and comfortably. In addition, it is crucial to integrate a stretchable energy storage component with high energy density and a high voltage window into wearable devices with small dimensions for long-term usage.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hierarchically interpenetrated reentrant microcellular structure combined with two-dimensional microcellular structure of graphene-MXene-carbon nanotubes (CNTs) and three-dimensional cellular melamine foam serving as a stretchable structure for lithium metal composite electrodes to provide stretchability for lithium metal electrodes, which hold great promise as advanced energy storage systems of the future. The non-conductive and deformable melamine foam, provide stable structural deformability, while the graphene/CNT/MXene network ensure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lithiophilicity, and mechanical stability, facilitating the deposition of lithium during electrodeposition. The reentrant structure was fabricated by radially compressing the hierarchical cellular structures, leveraging the structural stretchability of the accordion-like reentrant frameworks. The resulting composite electrodes with lithium deposition exhibit significantly lower overpotential during Li stripping and plating compared to conventional lithium metal foil anodes, and they demonstrate stabl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even under a mechanical strain of 30%. The reentrant micro-cellular electrodes exhibit significant potential in the advancement of lithium metal electrodes with a high energy density for stretchable batteries. 최근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등 인간 친화적인 웨어러블 기기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인체에 보다 편안하게 밀착이 가능한 높은 신축성을 가진 디바이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배터리가 차지하는 공간은 줄이되 충전 후 방전까지의 시간은 늘릴 수 있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배터리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높은 전도성 및 비표면적을 가지는 그래핀-맥신-탄소나노튜브의 안쪽으로 구부러진 재진입 구조를 리튬 증착을 위한 뼈대로 사용하여 신축 가능한 고성능의 복합 리튬 메탈 배터리 음극을 구현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래핀/탄소나노튜브로만 이루어진 뼈대에 리튬을 증착하여 복합 음극을 형성할 경우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에 금속 리튬이 둘러싸여 리튬 금속이 전극의 기계적 물성을 지배하게 되어 신축 시 쉽게 파손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전도성이 없어 리튬이 증착되지 않으면서도 유연성을 가져 형태 변형이 가능하며, 적은 부피에도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삼차원 구조의 멜라민 폼을 이용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구조적 변형성을 성공적으로 얻었으며 동시에 전기도금법으로 그래핀-맥신-탄소나노튜브 네트워크에 리튬을 안정적으로 전착하였다. 재진입 구조는 그래핀-맥신-탄소나노튜브/멜라민 폼을 방사형으로 압축하여 아코디언과 같은 프레임워크의 구조적 신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제작된 복합 리튬 메탈 배터리 음극은 충방전 테스트에서 낮은 과전위를 가지며 30% 신축시에도 안정적인 전기화학적 성능을 보였다. 이를 통해 높은 에너지 밀도의 신축성 배터리용 복합 리튬 메탈 배터리 음극으로의 활용 가능성 및 잠재력을 확인하였다.

      • Analysis of early failure rate and risk factors of national insurance covered dental implants : a nationwide study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in South Korea

        유진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31966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early failure rate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ed (NHIC) dental implants and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on the early implant failure,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Customized database. The null hypothesis is that the early implant failure occurs equally regardless of the patient's socio-demographic, systemic and intraoral factors, institutional factors and implant factors. The NHIC dental implants consist of three stages: stage 1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stage 2 fixture placement operation, and stage 3 prosthetic restoration. Although the second stage had been completed by placing the implant fixture, if failure of osseointegraion occurred before the third stage, the new fixture could be placed after removing the existing fixture. In this study, the early failure of NHIC dental implants was defined as the fixture placement re-operation. We selected individuals who treated with NHIC dental implants from July 2014 to December 2017 and analyzed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early failure of implants using the Cox proportional risk model.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s, 1. 1,242,101 implants were placed in a total of 740,241 patients between July 1, 2014 and December 31, 2017, since the NHIC dental implant introduced. Among these, 4,279 implants were replaced due to the failure of osseointegration and the early failure rate was 0.34%. 2. For the patients’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risk of early implant failure was high in men and residents of Seoul. Early implant failures did not differ by age, income level, social security type and insurance eligibility. 3. Depending on the systemic factors of the patient, the risk of early implant failure was high for diabetic patients with medication and current smokers. On the other hand, whether hyperlipidemia, osteoporosis and diabetes were diagnosed, alcohol consumption and body mass index (BMI) did not affect early implant failure. 4. According to the patients’ intraoral factors, the more invasive periodontal treatment individual had, the higher the risk of implant failure. Mandibular anterior area showed the highest risk of the early implant failure. 5. For the institutional factors, the failure risk of the NHIC dental implants in dental clinics was higher than that in general hospitals and tertiary general hospitals. Medical institutions that placed the top 50 % of implants based on the number of implants showed a lower risk of early implant failure compared to those placed the lowest number of implants. 6. According to the implant factors, submerged type implants that internally connected had a higher risk of early implant failure externally connected implants and implants with RBM surface had a higher risk of early implant failure than those with SLA surface. Implant Design and the presence of micro-threads did not affect the risk of early implant failure.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other factors, such as the manufacturer.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consider the risk factors involved in osseointegration failure when planning implant treatment for predictable prognosi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맞춤형연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건강보험 임플란트를 시행한 환자들의 임플란트 초기 실패와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귀무가설은 환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연령, 소득수준, 건강보험 자격요건, 사회보장 유형과 거주지역), 전신적인 요인(혈압, 당뇨, 고지혈증, 골다공증 등의 전신질환, 신체계측지수, 흡연과 음주), 구강 내 요인(치주질환의 중증도, 임플란트 식립 위치) 그리고 임플란트를 식립한 기관 요인(의료기관 유형 및 시술량) 및 식립된 임플란트 요인(결합방식, 고정체의 표면처리 방식 및 디자인)과 관계없이 임플란트 초기 실패가 동일하게 발생한다는 것이다. 건강보험 치과 임플란트는 1단계 진단 및 치료계획, 2단계 고정체 식립술 그리고 3단계 보철수복의 총 세 단계로 진행된다. 고정체를 식립하여 2단계 시술을 종료하였으나 3단계 보철수복 전에 골유착 실패가 확인되어 고정체를 제거한 후 재식립한 경우를 본 연구에서는 임플란트의 초기 실패라고 정의하였다. 2014년 7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건강보험 치과 임플란트를 시행한 환자의 의료 이용 내역과 건강검진 자료를 활용하였고, Cox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초기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국민건강보험 맞춤형 자료를 통해 건강보험 임플란트가 시작된 2014년 7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42개월 동안 총 740,241명의 환자에서 1,242,101개의 건강보험 임플란트가 식립되었고, 4,279개의 임플란트가 재식립되어, 초기 실패율은 0.34 %였다. 2. 임플란트 초기 실패의 위험 요인을 분석한 결과, 환자의 인구 사회학적 요인에 따라서 남성 및 서울 거주자의 임플란트 초기 실패 위험이 높았고, 연령, 소득 수준, 사회 보장 유형 및 보험 자격 요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3. 환자의 전신적인 요인에 따라서는 당뇨병 약제 복용자, 현재 흡연자의 임플란트 초기 실패 위험이 높았고, 고지혈증, 골다공증 및 당뇨병 진단 여부 그리고 음주 및 체질량지수(BMI)는 임플란트 초기 실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환자의 구강 내 요인에 따라서는 경험한 치주치료의 심도가 높아질수록 실패 위험도 높아졌다. 또한 임플란트의 식립 부위에 따라서는 하악 전치부의 실패 위험이 가장 높았다. 5. 기관 요인에 따라서는, 식립된 임플란트 수를 기준으로 한 상위 50 %의 임플란트 초기 실패 위험이 낮았고, 치과 의원의 임플란트 초기 실패 위험이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에 비해 높았다. 6. 식립된 임플란트 요인에 따라서는 내측 연결형의 매립형 임플란트가 외측 연결형 임플란트보다 임플란트 초기 실패 위험이 높았고, RBM 표면의 임플란트가 SLA 표면의 임플란트에 비해 임플란트 초기 실패 위험이 높았으며, 임플란트 형태 및 미세 나사선의 유무는 임플란트 초기 실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제조사 등 다른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예지성 있는 임플란트 치료를 위하여 치료 계획 수립 시 골유착 실패에 관여하는 요인을 면밀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 Guiding image colorization through text-based palette generation

        유승주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0 국내석사

        RANK : 231965

        This paper proposes a novel approach to generate multiple color palettes that reflect the semantics of input text and then colorize a given grayscale image according to the generated color palette. In contrast to existing approaches, our model can understand rich text, whether it is a single word, a phrase, or a sentence, and generate multiple possible palettes from it. For this task, we introduce our manually curated dataset called Palette-and-Text (PAT). Our proposed model called Text2Colors consists of two 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the text-topalette generation networks and the palette-based colorization networks. The former captures the semantics of the text input and produce relevant color palettes. The latter colorizes a grayscale image using the generated color palette. Our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people preferred our generated palettes over ground truth palettes and that our model can effectively reflect the given palette when colorizing an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