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목회적 돌봄을 위한 연구 : 사랑과 소통 중심으로

        이성언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제1장에서는 세속화되어가는 한국교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바탕으로 한 ‘목회적 돌봄’의 필요성을 말하였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십자가 기반의 목회적 돌봄을 위한 사랑, 십자가 사랑과 소통, 그리고 그 결과를 살피는 것을 연구 문제로 정하였다. ‘목회적 돌봄’, ‘사랑’,‘소통’, ‘회심’ 등의 주요 단어를 정의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가 하나님 나라의 확장과 진전에 기여할 것을 소망하였다. 제2장에서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용서를 다루었다. 목회의 본질인 ‘영혼 돌봄’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구속이 근거이며, 십자가 구속은 하나님 사랑의 본질이라는 것을 이야기했다. 그러므로 십자가 구속의 은혜를 누리는 성도는 마땅히 타인을 용서한다는 것을 말했고, 용서의 효과와 혜택에 대해서도 이야기했다. 제3장에서는 목회적 돌봄과 사랑에 대해 다루었다. 목회적 돌봄과 사랑에 대한 이해를 제공했고, 목회적 돌봄에 있어서 사랑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인 ‘아가페’임을 이야기 했다. 그 실천으로 ‘치유’, ‘유지’, ‘인도’, ‘화해’, 그리고 ‘양육’으로 일컫는 목회적 돌봄의 다섯 기둥을 적용했으며, 아래와 같은 일곱 가지 구체적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첫째, 서로 진심을 다해 용서해야한다. 둘째, 서로 화목해야한다. 셋째,서로 기쁨과 슬픔에 참여해야한다. 넷째,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이해하며 섬겨야한다. 다섯째, 서로 신앙 성장을 위해서 최선을 다해야한다. 여섯째, 서로 친밀한 소통과 교제를 나누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성령의 도우심을 따라 감당해야 한다. 제4장에서는 소통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교회의 소통부재 원인과 문제점들을 말했으며, 소통을 위한 변화와 혁신을 위해 예수님의 소통, 사도 바울의 소통으로부터 해법을 찾아보았다. 그리스도의 십자가 기반의 소통으로 오직 하나님 중심, 그리스도 중심의 ‘경청’과 ‘바른 안목’과 ‘바른 언행’과 ‘바른 행실’을 이야기했다. 목회적 소통은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의 구체적 실천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제5장에서는 십자가 사랑과 소통의 결과를 진술하였다. 먼저 비회심자에게는 진정으로 거듭나 새 생명을 얻도록 안내한다는 것과, 이미 회심한 자에게는 ‘회복’을 돕는다는 점을 말하였다. 이는 개인의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기독교적인 가치구현으로 나가게 한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구원의 확신, 영적 성숙, 그리고 삶의 변화를 가져오고, 나아가 교회의 부흥과 선교의 확장에도 기여하게 된다는 논리를 전개한 것이다. 그 증거로 미국의 영적대각성이나 평양대부흥과 같은 역사의 현장에서 찾아 간결하 게 제시하였다. 제6장에서는 전체를 요약하고 십자가 사랑과 소통은 결국 개인의 구원 및 영적 성숙을 넘어서 교회의 부흥과 선교의 활성화라는 가치를 드러내는 것이 목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 목적에 부합하도록 기독교적인 사랑과 소통을 나눌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제언을 하였다. 첫째, 건전한 교리로 무장을 해야 한다. 둘째, 경건생활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삶과 신앙의 일치를 도모해야 한다. 넷째, 교회의 재정 건전성을 확보해야한다. 다섯째,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인 부흥을 추구해야한다. 이를 위해 목회자는 원래의 직임에 보다 충실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더욱 깊이 연구하여 설교하고 가르치는 일에 충실해야하며, 바르게 메시지를 선포하는 것이 가장 뛰어난 ‘사랑의 실천’이며, ‘소통의 방법’이라는 것을 강하게 주장하였다.

      • 복합지반의 개량강도에 따른 응력분담비 산정

        이성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연약지반의 기초처리공법은 구조물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시멘트계열 개량체를 이용한 공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연약한 원지반 점토층과 시멘트계열 개량체로 형성된 복합지반에 대한 거동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못한 상태이다. 특히 복합지반의 역학적 특성중 응력분담비 적용의 근거에 대한 국내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에 대한 기초처리공법 중에서 시멘트계열 개량체와 점토지반의 응력과 응력분담비 등의 지반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계량체강도와 치환율을 달리 적용하여 복합지반을 조성하고 다양한 case로 실내모형시험을 수행하였다. 3단계의 하중 재하시 개량체와 점토지반에 작용하는 응력분포와 응력분담비 결과로부터 각각의 역학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응력분포는 개량체의 일축압축강도와 치환율이 증가될수록 개량체에 작용하는 응력 더 크게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각 강도별 응력분담비는 개량체 일축압축강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치환율에 따른 응력분담비는 치환율이 35%일 때 가장 큰 것으로 확인하였다. 응력분담비의 현장 적용시 점토지반과 개량체의 강성비에 따라 10∼15를 적용하며 강성비가 50이상인 경우라 할지라도 20이상의 값은 지양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치환율의 현장 적용 시 개량체 일축압축강도가 큰 경우라 할지라도 저치환율은 지양하고 치환율 35%를 바탕으로 각 상황에 맞도록 중간 치환율을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실내모형실험을 통하여 응력과 응력분담비를 제시함으로 향후 기초처리공법의 응력분담비적용의 참고자료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대구 소방공무원의 근무형태에 따른 식생활 실태

        이성언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working pattern.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specifically analyzed the dietary habits of firefighters. A random survey targeting firefighters on shiftwork and daywork (non-shift workers) at Daegu Fire Department was carried 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etary habits between shift workers and full-time day workers of firefighters in the Daegu area to find out the relevance of the effect of work type on their die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nutrition management guidelines for health promotion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of firefighters. The number of valid copies of questionnaires that were statistically treated is 150.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59 questions in 4 different categories: 6 questions on general information, 11 questions on health status, 29 questions on dietary habits, and 13 questions on dietary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For male workers, the proportion of day workers was 78.1%, and of shift workers, 93.0%. For females, the proportion of day workers was 21.9%, and of shift workers was 7.0%.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male shift wor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female shift workers. 2. The range of workers’ ages varies from the 20s to over 50s. The proportion of workers aged in their 20s was 20.3% for day workers and 10.5% for shift workers. The proportion of workers aged in their 30s was 32.8% for day workers and 43.0% for shift workers.The proportion of workers aged in their 40s was 25.0% for day workers and 26.7% for shift workers. The proportion of workers aged over 50 was 21.9% for day workers and 19.8% for shift workers. 3.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are underweight and normal was 32.8% for day workers and 14.0% for shift workers.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are overweight was 34.4% for day workers and 33.7% for shift workers. The proportion of obese workers was 32.8% for day workers and 52.3% for shift workers. As a result of the t-test on the difference in body mass index (BMI) according to the work type of the study subjects, BMI of the shift wor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BMI of the full-time day workers. 4.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high blood pressure was 14.1% for day workers and 16.3% for shift workers,whereas that of worker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diabetes was 1.6% for day workers and 4.7% for shift workers, and that of worker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hyperlipidemia was 6.3% for day workers and 18.6% for shift workers. The proportion of shift worker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hyperlipidemi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oportion of day workers. 5. The proportion of non-smokers was 79.7% for day workers and 75.6% for shift workers, whereas that of non-drinkers was 20.3% for day workers and 20.9% for shift workers. 6.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work on cardio was 18.8% of day workers and 14.0% for shift workers, whereas that of workers who do not work on weight training was 31.3% for day workers and 16.3% of shift workers. 7. Based on self-rated health status,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are in unhealthy conditions was 2.3% for shift workers, whereas that of workers who felt unhealthy was 14.1% for day workers and 3.5% for shift workers.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felt extreme stress was 10.9% for day workers and 8.1% for shift workers. 8.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have built healthy dieatry habits was 45.3% for day workers and 30.2% for shift workers.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have regular dietary habits was 56.3% for day workers and 32.6% for shift workers. As a result of t-test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work type, it was found that shift workers had significantly lower regular eating and dietary habits than full-time day workers. 9.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always skip breakfast was 29.7% for day workers and 43% for shift workers. The reason was that 46.0% for day workers and 42.5% for shift workers did not have time. 39.4% for day workers and 37.8% for shift workers have consumed rice and side dishes as the type of preferred food for breakfast. 10.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always eat lunch was 73.4% of day workers and 67.5% for shift workers. The reason why workers skip their lunch was that 27.8% for day workers have no appetite, while 33.3% for shift workers did not prepare their meals. As for the type of preferred food for lunch, 78.1% for day workers and 87.2% for shift workers have consumed Korean food. 11.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always eat dinner was 65.6% for day workers and 70.9% for shift workers. The reason why 45.5% for day workers and 40.0% for shift workers skip dinner was weight control. As for the type of preferred food for dinner, 76.6% was day workers and 89.5% was shift workers have consumed Korean food. 12.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did not have a late-night meal was 34.4% for day workers and 26.7% for shift workers. 42.9% for day workers and 54.0% for shift workers eat late-night meals to satisfy hunger. As for the types of preferred foods for a late-night meal, 50.0% for day workers and 57.1% for shift workers have consumed fried chicken and Tangsuyuk. 13.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had snacks was 51.6% for day workers and 72.1% for shift workers. 42.4% for day workers and 48.4% for shift workers have answered that the reason for having snacks was to satisfy hunger, and 39.4% for day workers and 22.6% for shift workers have answered the reason for having snacks out of habit. As a result of the t-test for differences according to work type, it was found that the snack intake rate was relatively higher for shift workers than for full-time day workers. 14.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take health supplements was 57.8% for day workers and 53.5% for shift workers. The most preferred health supplements were vitamins, fibers, and omega-3. 15. The proportion of workers who have not gotten nutrition education/nutrition counseling was 95.3% for day workers and 97.7% for shift workers, whereas that of workers who are willing to improve their dietary habits after getting nutrition counseling was 71.9% for day workers and 66.3% for shift workers. The most frequent answers for interesting topics from nutrition education were obesity/weight control, nutrients, and food groups/functions. 16. The proportion of day workers’ intake of carbohydrates, proteins, and vegetabl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hift workers and the proportion of shift workers’ intake of nuts and fast foo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ay workers. When compar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y workers and the shift workers, the BMI and the prevalence of hyperlipidemi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hift workers than in the day workers. These results may be related to dietary intake status. In the case of shift workers, the dietary intake statu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value than the day workers because regular meals were not made, and the snack intak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day workers. Also, in the results of the frequency of food intake analysis, the intake of carbohydrates, protein, and vegetabl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shift workers than in day workers, and the rate of fast food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day workers. Overall, in the case of shift worke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breakfast, lunch, and dinner compared to day workers, but regular meals were not achieved due to the working environment. This resulted in higher snacking frequency and fast food intake. As a result, it is suggested that irregular eating habits of shift workers and resulting unbalanced nutritional status are correlated with high BMI and hyperlipidemia prevalence of shift workers.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소방공무원의 근무형태에 따른 식생활 실태를 조사한 연구로서 대구 서부소방서를 중심으로 주간근무자와 교대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성별은 남성이 주간근무자 78.1%, 교대근무자 93.0%, 여성이 주간근무자 21.9%, 교대근무자 7%로 교대근무자에서 남성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 연령은 20대 주간근무자 20.3%, 교대근무자 10.5%, 30대 주간근무자 32.8%, 교대근무자 43.0%, 40대 주간근무자 25%, 교대근무자 26.7%, 50대 이상 주간근무자 21.9%, 교대근무자 19.8%로 다양한 연령대로 나타났다. 3. 근무형태에 따른 체질량지수(BMI)는 저체중 또는 정상이 주간근무자는 32.8%, 교대근무자는 14.0%, 과체중이 주간근무자는 34.4%, 교대근무자는 33.7%, 비만이 주간근무자는 32.8%, 교대근무자는 52.3%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근무형태에 따른 체질량지수(BMI) 차이를 t-검정한 결과, 교대근무자의 BMI가 주간근무자의 BMI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4. 건강검진 현황에서 판정경험을 확인한 결과 고혈압은 주간근무자 14.1%, 교대근무자 16.3%, 당뇨병은 주간근무자 1.6%, 교대근무자 4.7%, 고지혈증은 주간근무자 6.3%, 교대근무자 18.6%가 판정경험이 있다고 나타났다. 근무형태에 따른 차이를 t-검정한 결과, 교대근무자의 경우 주간근무자보다 고지혈증 판정을 받은 경험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5. 비흡연율은 주간근무자 79.7%, 교대근무자 75.6%로 나타났으며, 비음주가는 주간근무자 20.3%, 교대근무자 20.9%로 나타났다. 6. 운동량은 주간근무자 18.8%, 교대근무자 14.0%는 유산소 운동을, 주간근무자 31.3%, 교대근무자 16.3%는 근력운동을 하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7. 주관적 건강상태는 교대근무자 2.3%는 건강하지 않다, 주간근무자 14.1%, 교대근무자 3.5%는 건강하지 않은 편이다고 느낀다고 나타났다. 주관적 스트레스는 주간근무자 10.9%, 교대근무자 8.1%가 심하다고 나타났다. 8. 식습관으로는 주간근무자 45.3%, 교대근무자 30.2%가 식사 시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간근무자 56.3%와 교대근무자 32.6%가 규칙적으로 식사한다고 나타났다. 근무형태에 따른 차이를 t-검정한 결과, 교대근무자의 경우 주간근무자보다 규칙적인 식사습관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9. 아침식사는 주간근무자 29.7%, 교대근무자 43.0%가 안 먹는다고 나타났으며, 결식 이유로는 주간근무자 46.0%, 교대근무자 42.5%가 시간이 없어서라고 나타났다. 아침 식사 음식의 종류로는 주간근무자 39.4%, 교대근무자 37.8%가 밥·반찬을 주로 섭취한다고 나타났다. 10. 점식식사는 주간근무자 73.4%, 교대근무자 67.5%가 매일 먹는다고 나타났으며, 매일 먹지 않는 대상자의 결식 이유로는 주간근무자 27.8%는 입맛이 없어서, 교대근무자 33.3%는 식사가 준비되지 않아서라고 나타났다. 점심 선호음식으로는 주간근무자 78.1%, 교대근무자 87.2%가 한식으로 나타났다. 11. 저녁식사는 주간근무자 65.6%, 교대근무자 70.9%가 매일 먹는다고 나타났으며, 매일 먹지 않는 대상자의 결식 이유로는 주간근무자 45.5%, 교대근무자 40.0%가 체중조절로 나타났다. 저녁 선호음식으로는 주간근무자 76.6%, 교대근무자 89.5%가 한식으로 나타났다. 12. 야식은 주간근무자 34.4%, 교대근무자 26.7%가 안 먹는다고 나타났으며, 야식을 섭취하는 대상자의 섭취 이유로는 주간근무자 42.9%, 교대근무자 54.0%가 배가고파서로 나타났다. 야식 음식의 종류로는 주간근무자 50.0%, 교대근무자 57.1%가 치킨·탕수육을 주로 섭취한다고 나타났다. 13. 간식은 주간근무자 51.6%, 교대근무자 72.1%가 섭취한다고 나타났으며, 섭취이유는 주간근무자 42.4%, 교대근무자 48.4%가 배가고파서, 주간근무자 39.4%, 교대근무자 22.6%가 습관적으로 한다고 나타났다. 근무형태에 따른 차이를 t-검정한 결과, 교대근무자의 경우 주간근무자보다 간식 섭취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14. 건강기능식품은 주간근무자 57.8%, 교대근무자 53.5%가 섭취한다고 나타났으며, 섭취종류로는 비타민, 무기질과 오메가3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영양교육 및 상담경험은 주간근무자 95.3%와 교대근무자 97.7%가 없다고 나타났으며, 주간근무자 71.9%와 교대근무자 66.3%가 영양상담을 통해 식습관 개선 의향이 있다고 나타났다. 관심있는 영양교육으로는 비만·체중조절, 영양소와 식품군 순으로 주간근무자와 교대근무자에서 관심 있는 영양교육 주제로 나타났다. 16. 식품섭취빈도는 주간근무자의 탄수화물, 단백질, 채소류 섭취가 교대근무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교대근무자는 주간근무자에 비해 견과류, 패스트푸드 섭취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주간근무자와 교대근무자의 신체적 특성 비교 시, 주간근무자에 비해 교대근무자의 BMI와 고지혈증 유병률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식습관 섭취 현황과 관련될 수 있다. 교대근무자의 경우 식습관 섭취 현황에서 규칙적인 식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주간근무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간식 섭취 비율은 주간근무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식품섭취 빈도 분석결과에서 교대근무자의 경우 탄수화물, 단백질, 채소류 섭취가 주간근무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패스트푸드의 섭취 비율이 주간근무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교대근무자의 경우 주간근무자와 비교 시 아침식사, 점식식사, 저녁식사 빈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근무환경으로 인해 규칙적인 식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이러한 결과는 낮은 단백질 및 채소류 섭취와 높은 간식 섭취횟수 및 패스트푸드 섭취 결과로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교대근무자의 불규칙한 식습관, 이로 인한 불균형한 영양 상태는 교대근무자의 높은 BMI와 고지혈증 유병률 결과와 상관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Gide의 <좁은문>과 <배덕자>에 나타난 주인공의 자아형성 과정에서의 억압과 분출에 관한 연구

        李星彦 淑明女子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1839

        Chez Andre´ Gide, plus que chez aucun autre, l'oeuvre est inse´parable de l'auteur de lui-me^me. Gide parvient a` instaurer une relation profonde entre sa vie et ses idees dans ses oeuvres. Nous avons choisi pour object de cette etude <La Porte etroite> et <L'Immoraliste> qui sont toujours conside´re´es comme une autobiographie d'Andre´ Gide. Notre e´tude a pour but de de´couvrir le motif fondarnental de la psychologie refoule´e, pour en suite de´montrer de quelle manie`re il a tente´ d'e´chapper a` ce refoulement. Pour ce travail, nous allons nous appuyer sur Ie point de vue de la psychanalyse qui a pour object de tirer de la concience des souvenirs refoule´s dans l'inconscient humain. Nous allons nous appuyer surtout sur la the´orie de Freud. Dans la premie`re partie, nous allons e´clairer le processus de formation du moi par plusieurs e´le´ments exte´rieurs l’e´ducation des parents, le proble`me de la religion, le processus de l’identification qui forment le refoulement et de´forment l'ego dans l'inconscient. Dans la deauxieme partie, nous allons examiner l'instinct refoule´ qui tente d’acce´der a` la concience au moyen de deux etats contradictories : le narcissisme et la re´volte. D’aboard nous allons examiner le processus par lequel Je´ro^me et Alissa dans <La Porte e´troite> e´voluent vers un amour narcissique irre´el. Ensuite, nous allons examiner le processus par lequel Michel dans <L'Immoraliste> se re´volte contre le syste`me des valeurs socials et se libe`re de toutes les contraintes exte´rieures pour retrouver son moi authentique. Mais cette e´mergence de l’object re´foule dans des circontances excessives about it finalement a` l'echec et a` la mort. En conclusion, nous pouvons dire que l'essence du moi authentique chez Andre´ Gide se re´alize au moment ou l'emergence et le refoulement de l’instinct dans la nature humaine se reconcilient.

      • 스포츠 스폰서십의 法的 考察

        李聖彦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세계 마케팅 시장에서 스포츠 마케팅의 발전과 이에 발맞추어 우리 나라에서도 스포츠 마케팅 시장이 급성장을 하였고, 마케팅 분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스포츠 마케팅 분야 중에서도 가장 핵심은 스폰서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어서, 스포츠 스폰서 분야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論文에서는 먼저 스포츠 스폰서십을 槪括的으로 살핀다. 제 1장에서는 가장 먼저 연구의 동기와 목적 그리고 범위를 밝힌 후, 제 2장에서 스폰서십의 歷史와 構造그리고 스폰서 십을 다양한 分類方法에 의하여 여러 種類로 나누어 봄으로써 스포츠 마케팅과 스포츠 스폰서십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다. 제 3장부터 法的인 考察로 들어간다. 즉, 스폰서십을 스폰서와 선수 사이의 契約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契約이 어떻게 成立되며 解除되는지를 살핀다. 특히 이 장에서는 契約違反에 따른 損害賠償에 관련된 部分을 다루었는데, 發生할 수 있는 損害를 契約締結시 미리 豫定하는 損害賠 償額의 豫定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제 4장에서는 스폰서십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많은 法的問題들을 個別스폰서 契約, 팀/구단과의 스폰서 契約, 그리고 스폰서가 특정의 이벤트를 後援할 것을 약정하는 스폰서 契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個別스폰서 契約과 관련하여서는 최근에 公正去來委員會에서 프로야구 선수에게 專門家를 통해 계약을 맺을 수 있게 함에 따라, 외국의 에이전트 제도를 소개하고, 우리 나라에서 에이전트를 통해 代行契約이 이루어질 경우 法律關係가 어떻게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벤트 스폰서와 관련하여서는, 위험성 높은 스포츠 이벤트의 경우에는, 특정의 체육시설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의무적으로 보험에 가입해야하는 體育施設의設置.이용에관한法律의 예에서 처럼, 保險에 加入을 해야 그 개최가 가능하도록 하는 强制保險加入을 주장하였다. 엠부쉬 마케팅의 경우에는 眞正한 스폰서의 權利保護가 현행 損害賠償制度로는 부족하고, 또 많은 기업들이 이러한 損害賠償을 감수하고서도 엠부쉬 마케팅을 펼치기에, 懲罰的損害賠償을 도입할 것을 주장하였다. 스폰서가 이벤트의 參與者를 제한 할 수 있는가와 관련하여 인간의 基本權과 스폰서의 權利사이의 한계를 논하기 위해, 스폰서가 특정인의 경기 참여를 배제할 수 있는 基準을 제시하여 보았다. 제 5장에서는 스폰서가 저지를 수 있는 不法行爲를 다루었다. 스폰서 契約自體가 廣告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폰서가 그의 權利를 濫用하여 선수의 人格을 侵害할 경우, 이에 대한 救濟方案을 살펴 보았다. 또, 팀이나 구단의 경우에도 損害賠償의 주체가 될 수 있는지, 특히, 非財産的損害의 賠償을 청구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제 6장에서는 全般的인 要約과 함께 최근 행해지는 스포츠 스폰서십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연구의 結論을 내렸다. In these years sports marketing has developed very much and become the most important part in marketing fields. Although sponsorship, above all, is the core of sports marketing, there is little research in this field. So I took up the study of sponsorship from a legal point of view. After stating the purpose and the scope of this study in the first chapter, this thesis outlines the sponsorship dealing with the history, structure and various types of sponsorship in the second chapter. In the third chapter legal study begins. The third chapter regards sponsorship as a contract between sponsor and sponsored athlete and state how this contract can be made and cancelled. And this chapter also touches on the prearranged amount of damages when one party abides by the contract. In the forth chapter the legal matters relating to the sponsorship are presented. This chapter divides the matters into two, the matters relating to the individual sponsorship contract ( the contract between one athlete and sponsor ) and the group sponsorship contract. The group sponsorship contract is also divided into two ; one is the contract between team and sponsor and the other is the contract that the sponsor promises to sponsor some sport events.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is classification, this chapter presents many concrete legal matters and problems and then shows the solution of these matters and problems. When the sponsor violates the personal rights and privacy of the sponsored athlete beyond his right which the contract gave to him, what can the athlete do? I show the process to save and compensate the athlete in the fifth chapter. Finally, in the sixth chapter I briefly summarize the thesis and conclude the study indicating some weak points of the current sponsorship contract.

      • 관람스포츠 산업에서 경기주최자의 관중에 대한 민사법적 책임에 관한 연구

        이성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839

        Recently, spectator sports industry has shown a remarkable growth in Korea. However, the sports organizers’ liability for the spectators has not increased as much. In other industries liability issue has become more critical through broadened application scope in liability without fault and the introduction of punitive damage reimbursement. By contrast, spectator sports industry has remained passive in terms of taking liabilities as it does not take the liability in damage due to cause, for instance. Bearing a critical perspective this, this thesis concentrated its focus on the sports organizers’ civil liability for the spectators in spectator sports industry in the following three points: liability for defects in sports games, liability for the spectators’ safety, and the sports organizers’ liability in consumer acts as business operators in spectator sports industry. Firstly, I observed the defects in sports games in two cases: the breach of game rules and the damage in sports integrity, and then explained the breach of game rules through the example of a bad call and the damage in sports integrity through the examples of doping and match fixing. In the process, I examined the sports organizers’ liability in three categories of liability for default, for defect security, and for tort. Among others, I maintained that the sports organizers’ liability for defect security must be acknowledged in spectator contracts because liability for defect security in spectator contracts and other standard contracts works well in protecting the spectators and in constituting the game organizers’ legal basis of liability. However, in some conditions part or all of such liability should be exempted in consideration of the inherent nature of sports, excessive burden of the sports organizers, as well as for political consideration. Secondly, I examined the responsibilities and liabilities regarding the spectators’ safety. The liability for manufactured products can be applied when accidents occur due to flaws in stadium facilities while the liability for default or tort liability can be applied when accidents occur due to inherent risks for reasons of breaches in the safety care obligations or in warning obligations in daily life. However, the spectators must take responsibilities on the ground that they are well-informed of the fact the any sport game necessarily involves risks of an accident. Such exemption should be limited and equitable distribution of obligations should be ensured. In case of a spectator injury, it is difficult in many cases to have a proper compensation provided because sometimes the assailants are not easily found and even if they were found, there is no guarantee that they can afford for the compensation. In this regard, it is appropriate to impose collective responsibility for illegal acts upon sports organizers to carefully protect the injured spectators. Lastly, I concentrated my focus on the responsibilities and liabilities in consumer acts. Sports fans as consumers have the right for to hav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watching games. For the reason, a business operator who fails to meet the obligation of providing required information can constitute a mistake, fraud, or coercion in civil law. If such breach in obligation is about unjust labeling or advertising, the business operator can bear the liability for damages of no fault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Act on the Fairness of Labeling and Advertising. Regarding the price of admission tickets, the state cannot regulate the ticket prices. However, the state can intervene in accordance with the relevant provisions of the Fair Trade Act in such cases as unfair common action during the pricing process or unfair transaction during the process of ticket distribution. Regarding the issue of sports game’s quality, it is difficult to make anyone take legal responsibility for the issue because it is within the unique boundary of sports. Nevertheless, the sports organizers must take responsibility for default liability or tort liability if they commercially exploited the quality by charging premium-rate fees or using advertisements to sell tickets. I hope that the arguments in this thesis concerning the sports organizers’ responsibilities would contribute to fairer distribution of responsibilities in spectator sports industry, safer environment for watching sports games, and the protection of consumers’ rights. 우리의 관람스포츠 산업은 성장하였지만, 경기주최자의 관중에 대한 책임은 관람스포츠 산업이 성장한 만큼 같이 증가하지 않았다. 다른 산업에서는 무과실책임의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징벌적 손해배상이 도입되는 등 그 책임이 강화되어 왔지만, 관람스포츠 산업은 귀책사유에 의한 손해에 대하여도 이를 경기의 일부로 보고나 면책의 법리를 만들어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 등 경기주최자의 책임을 인정하는데 소극적인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관람스포츠 산업에서 경기주최자가 관중에게 부담하여야 할 민사법적 책임을 스포츠 경기의 결함에 대한 책임과 관중의 안전에 대한 책임, 그리고 관람스포츠 산업의 사업자로서 소비자법상 부담하는 책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스포츠 경기에서 발생하는 결함을 경기규칙 위반과 스포츠의 순수성 훼손으로 나누어 보았고, 경기규칙 위반의 경우 오심을, 스포츠의 순수성 훼손의 경우 도핑과 승부조작을 대표적인 사례로 들어, 이러한 사례가 발생하였을 경우 경기주최자가 부담하는 책임을 채무불이행책임, 하자담보책임 그리고 불법행위책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관람계약과 유사한 전형계약들에서 인정하고 있는 하자담보책임이 피해자 보호나 경기주최자의 책임법리를 구성하는데 적합하기에 관람계약에서도 경기주최자의 하자담보책임을 인정할 것을 주장하였다. 다만, 스포츠의 본질적 특성, 경기주최자의 지나친 부담, 정책적 필요성을 근거로 일정한 경우 이러한 책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면제할 수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관중의 안전에 관한 의무와 책임을 살펴보았다. 경기장 시설의 하자로 발생하는 사고의 경우에는 공작물 책임이 인정될 수 있고, 내재적 위험으로 인하여 발생한 사고의 경우에는 ‘안전배려의무’나 ‘사회생활상의 주의의무’의 위반을 이유로 채무불이행책임이나 불법행위책임을 물을 수 있는데, 스포츠는 항상 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관중이 인식하였다는 이유로 그 책임을 관중에게 떠넘긴다. 이러한 면책의 항변은 제한되고, 합리적인 책임의 배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 관중 폭력 사고는 경우에 따라서는 가해자를 찾기 어렵거나 찾아도 재력이 충분하지 않아 적절한 배상이 불가능할 수 있기에 피해자의 두터운 보호를 위해서 경기주최자에게 공동불법행위책임을 부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소비자법상의 의무와 책임을 살펴보았다. 소비자로서 스포츠팬에게는 경기관람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가 있으며, 따라서 사업자의 정보제공의무 위반은 민법상의 착오 또는 사기 강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의무 위반이 부당한 표시·광고에 해당하는 경우 표시·광고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사업자는 무과실의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수 있다. 입장권의 가격과 관련하여서는, 국가가 입장권의 가격을 직접 규제하는 것은 어려우며, 다만 입장권 가격 결정 과정에서 부당한 공동행위가 발생하였거나 입장권의 유통과정에서 불공정거래행위가 발생한 경우, 공정거래법의 관련 규정에 따라 개입할 수 있다. 스포츠 경기의 품질에 대한 문제는, 스포츠의 고유 영역에 속하기에 이에 대한 법적 책임을 묻는 것은 어렵지만, 경기주최자가 프리미엄 요금을 받거나 입장권 판매를 위한 광고에 활용하는 등 경기의 품질을 상업적으로 이용한 경우에는 이에 대하여 채무불이행책임이나 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하여야 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경기주최자의 책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관람스포츠 산업에서 공정한 책임의 분배가 이루어지며, 보다 안전한 관람문화를 만들어지고, 소비자의 권리가 보다 보호되고 실현되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