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Study of Cervical Muscle Strength Assessment and Intervention Deep Cervical Flexor in Subjects with Forward Head Posture

        이정훈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In people with forward head posture (FHP), the cervical vertebrae are flex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neck extensor is activated, strength of the deep cervical flexors is weakened, and the craniocervical angle (CVA) is reduced. FHP anomalies are assessed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PBU) and craniocervical flexion test (CCFT). Is used to increase muscle activity in deep cervical flexors (DCF). The DCF option has been activated, and muscle strength is measured and increased. A study that examined ways to improve FHP by using exercise or equipment that uses effective equipment, and the fact is that it is lacking. is there. In this study, 1)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thod for measuring muscle strength of the neck using a load-cell-type muscle strength sensor, 2) does the CCFT method using PBU actually increase DCF strength? 3)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DCF strengthening intervention method using a load-cell-type muscle force measuring sensor of DCF force, neck pain, and neck bone alignment in people with FHP. In the first study, we included 16 healthy adults (5 men and 11 women), with a portable force measuring system and load-cell-type with four neck movements (craniocervical flexion, craniocervical extension, cervicothoracic flexion, and cervicothoracic extension). Cervical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in the supine position and the prone position by using the muscle force measurement sensor of the above,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investigated. The reliability of the load-cell-type muscular force sensor and the portable muscular force measurement system inside the probe were excellent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0.78–0.99). The reliability between the load-cell-type muscular strength sensor and the stylus of the portable muscular strength measurement system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ICC: 0.68–0.99). The load-cell-type muscle strength sensor of the portable muscle strength measurement system showed excellent validity (ICC: 0.83–0.98). In the second study, we included 24 participants (6 men and 18 women) and used a PBU to measure CCFT intermediate muscle strength to load-cell-type muscle strength. The measurement sensor was used to measure the DCF strength. The average DCF strength measured using the CCFT Medium Strength Sensor using the PBU is the following: maximum muscle strength: 3.21±2.80kg, 20 mmHg: 0.87±0.70kg, 22 mmHg: 1.03±0.89kg, 24 mmHg: 1.30±1.14kg, 26 mmHg: 1.45±1.30kg, 28 mmHg: 1.68±1.52kg, 30 mmHg: 1.91±1.73kg. The ratio of muscle strength at each pressure of maximum muscle strength is 20 mmHg: 27.76±2.26%, 22 mmHg: 32.82±1.63%, 24 mmHg: 42.05±2.15%, 26 mmHg: 47.01±2.25%, 28 mmHg: 55.11±2.57%, 30 mmHg: 62.89±3.17%. In the third study, 30 FHP participants (11 men, 19 women)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used a PBU-based CCFT exercise method and a load-cell-type muscle force sensor. Then, the practice method of maintaining CCF muscle strength and performing CCFT in real time is divided into two groups, arbitrated and CVA, DCF strength, and neck pain of FHP participants. CCFT using a load-cell-type muscular force sensor significantly increased CVA and DCF strength and significantly reduced neck pain compared with CCFT using PBU.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ad-cell-type muscular force sensor was a highly reliable and useful device for measuring muscular force, which can be used to measure muscular force in real time. The method of confirming and performing CCFT can be used in an intervention method that strengthens cervical muscle strength and further presents a method to improve the posture of participants with FHP and selectively strengthen DCF. The intervention method of performing load-cell using can be used as a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DCF strength by substituting the practice method of using PBU.

      • 가다머의 해석학적 지평연구 : 『진리와 방법』을 중심으로

        이정훈 장로회신학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지금 우리 시대는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이견의 여지없지 어떤 대상에 대한 탐구를 자연과학적인 방법으로 하는 것을 정답으로 생각한다. 심지어 정신과학의 기초를 세우고자 했던 딜타이도 자연과학적 연구방법을 벗어나지 못했다고 가다머는 평가한다. 그래서 가다머는 해석학의 역사를 되짚어 가면서 대상에 적합한 연구방법이 무엇인지를 반복해서 강조하고 묻는다. 그리고 가다머는 해석학의 대상으로서 역사에 대한 탐구가 자연에 대한 탐구와 같은 연구방법으로는 불충분하다고 이의를 제기한다. 가다머는 역사를 하이데거가 주장했던 불확실한 현실 속에 던져진 인간이 경험하는 세계이해의 과정으로 파악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이해는 결국 자기이해로 귀결되며, 현존재로서 인간이 가능성을 향해서 자신을 내어주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마치 바퀴가 굴러가듯이 전진하고 발전하는 순환의 과정으로 파악한다. 해석학의 기초는 이해가 가지는 이러한 순환적 구조에 있다. 학문은 진리를 추구하는 영역이다. 그렇다면 진리는 어디에 있는가? 하이데거의 주장대로 진리는 존재와 함께 한다. 존재하는 것은 살고, 살게 한다. 역사는 바로 이 살고 살게 하는 존재들에 의해서 연결되고 역동성을 얻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해석을 필요로 하는 낯선 역사의 사건과 상황을 구성한다. 가다머는 하나의 이야기를 마무리할 때마다 다시 역사와 그 기초가 되는 삶으로 돌아간다. 그러면서 그는 역사 속에 존재하는 진리성을 발견하는 학문이 해석학임을 주장한다. 개인의 삶이 역사적 맥락이라는 내적인 통일성으로 연결되도록, 살아보지 않은 시간과 세상을 보고 들을 수 있도록 우리에게는 전승되는 전통들이 있다. 그리고 전통이 제 역할을 하도록 일정부분 돕는 것이 권위이다. 그러나 인간이 이성의 힘을 알게 되고, 자신의 가능성을 더 많이 인식하게 되자 전통과 권위는 함께 페기 되고, 삶의 당연한 자기표현으로써 정당한 선입견들마저도 폐기대상으로 몰려서 버림을 받았다. 가다머는 이 모든 것을 복권할 것을 주장한다. 그리고 인간존재가 유한함을 인정하고 눈을 뜨고, 귀를 열고, 마음을 열어서 해석 대상을 보고 들으면서 해석자 자신의 가능성을 확장해가기를 바란다. 그래서 해석자는 겸손할 수밖에 없고 겸손해야한다. 왜냐하면 가다머의 주장대로 역사인식이 역사보다 클 수 없는 것처럼 해석자는 해석대상을 넘어설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의 원리, 진리성의 문제를 가다머는 놀이 개념을 통해서 설명한다. 하위징아의 주장에 따라 놀이가 인간의 본질이라고 한다면, 그것이 인간존재가 자유와 해방을 누리는 가장 원초적인 방식이기 때문일 것이다. 가다머는 놀이를 예술작품과 연결하면서 역사가 자기중심적인 통일성을 이루는 것처럼 놀이는 절대적인 독립성을 가지고 자신을 표현한다고 본다. 자기표현은 또한 자연이 존재하는 보편적인 방식이다. 놀이가 자기 자신을 주장하는 방식은 놀이의 규칙이나 질서를 통해서인데, 놀이하는 사람은 그 놀이에 적합한 규칙과 질서를 따라서, 그리고 자신의 선택과 진지성의 정도에 따라서 놀이에 몰입하게 된다. 몰입은 놀이함의 정점일 뿐만 아니라, 놀이함이 다시 놀이가 되는 자기이해의 순환구조를 보여준다. 이것이 놀이가 존재하는 방식이고, 예술작품의 존재방식이며, 역사가 존재하는 방식이다. 중요한 것은 놀이하는 사람이 주체가 아니라, 놀이이며, 놀이함이 총체적 변화를 통해서 놀이됨이 된다. 그래서 텍스트에 접근하는 해석자에게 요구되는 것이 역사의식이다. 내가 경험하지 못했던 시대의 전통과 권위에 대한 인정함이 있어야 하며, 올바른 이해를 위한 정당한 선입견을 습득해야 한다. 타자를 받아들이고 자아를 내보이는 것은 자연이 생존하는 이해의 방식이고, 역사의 존재방식인 것처럼 해석자는 자신을 넘어선 것들을 인정하고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므로 해석자는 자신이 역사보다, 진리보다, 해석의 대상인 텍스트보다 작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필자는 가다머의 해석학적 지평을 통해서 역사적 존재이며, 진리를 담고 있는 신약성서가 주장하는 바가 성취되고 성경을 읽고 해석하는 자들이 자신을 넘어선 역사와 진리의 한 부분이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자기중심적 통일성, 지평, 상호이해, 역사성, 영향사적 의식, 해석학적 경험

      •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중흥3구역 혼합형 주택재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정훈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Although Urban Renewal Projects are based on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Renewal Law” and has contributed to improvement i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ecurement of lacking renewal-based facility, the landscape is spoiled after large-scale development as redevelopment of large-scale apartment housing form caused features of detached houses to disappear, and the plan to reflect features of preservation and retaining areas has also been limited. Gwangju integrated rehabilitation (redevelopment) and redevelopment (rehabilitation) methods into a mixed development method in 2020 Gwangju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newal basic plan to resolve confusion of project enforcement methods, introduced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to recommend partial development for rehabilitation type development of small-household unit depending on local conditions, selecting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12 districts), Housing Redevelopment (14 districts) and Urban Environment Renewal Project (4 districts) out of a total of 123 districts, and establishing those districts as Renewal Expected District that can mix local improvement and redevelopment to promote. In this way, this research deducts analyzing articles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 existing redevelopment metho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deducting problems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and targeted location of Punghyang, Buk-gu Mixe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example with Mixe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targeted location of 3rdDistrict, Jungheung, Buk-gu, Gwangju as the key, and suggesting a method to utilize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in the aspect of government policy, procedures and practicality through surveys with expert city planners, public officials, city renewal project professionals and others; advanced researches; and reference. First, in the aspect of government policy, guidelines and utilizing manuals with details added to relevant guidelines should be established to utilize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and it is analyzed that definitions and contents of these terms should be added to relevant legislation and local government ordinances and become legalized and institutionalized. Second, project procedures and methods of local improvement method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aspect of government policy-making in order to promote additional plans and projects of retaining and preservation areas in Rehabilitation Redevelopment Method including redevelopment of existing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and preservation areas. Third, in the aspect of procedures and practicality,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are introduced to maintain features of detached houses and prevent spoil on landscape followed by large-scale development, so ties through extensive-level plans that consider surrounding districts and preservation and retaining areas, and materials related to formulation of plans, which can implement plans and projects by separating preservation and retaining areas with their blocks according to the relevant province’s features, should be established, and public financial support, urban landscape agreement and residents agreement are needed which can improve, maintain and support preservation and retaining areas. Fourth, in the case of Mixe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as preservation and retaining areas are included to devise a renewal plan, an example of excluding fine districts or no longer proceeding the project was investigated because agreement rate of more than 75% of proprietor of land or building could not be reached, so Mixed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is analyzed to need a separate rule when calculating agreement rate of preservation and retaining areas, and revision on relevant legislation that eases up agreement rate in authorization of establishing an association. Fifth,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was analyzed to need a change in method from existing urban renewal projects’ participation method for residents such as exhibiting before residents, briefing session for residents and a written notice, to establishing a plan through city plan facilitation at the stage of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newal basic plan; and a change to various participation methods for residents such as workshops and meetings for residents at the stage of establishing renewal plans and renewal districts. Notions and features of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introduced from Gwangju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newal basic plan, are considered to suggest utilizing methods in the aspect of government policy, procedures and practicality, so that local improvement project such as preservation and retention, and Mixed Urban Renewal Projects of redevelopment project can be utilized. With such research and analysis study, it is anticipated for detailed guidelines and utilizing manuals to be established, which can be used well in various city renewal projects with local improvement, redevelopment and mixed development forms. Key terms: Mixed Development,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Renewal basic plan, Housing Redevelopment, Retention, Residents' participation 도시정비사업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근거하여 주거지정비에서는 주거환경개선사업, 주택재개발, 주택재건축 사업으로 낙후된 주거환경개선과 부족한 정비기반시설확보에 기여하여 왔으나, 한편으로는 고밀 공동주택 형태의 전면개발로 인해 단독 주택지의 특성이 사라져 고밀개발에 따른 경관침해가 발생하였고, 보전지역과 존치지역에 대한 특성을 반영하는 계획에도 한계가 있어 왔다. 광주광역시에서는 2020 광주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서 수복(전면), 전면(수복) 방식을 혼합 개발방식으로 통합하여 사업시행방식의 혼선을 해소하고, 소가구단위의 수복형개발 등을 지역여건에 따라 부분별 개발을 권장하고자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을 도입하여, 총 123개 구역 중 주거환경개선사업(12개구역), 주택재개발(14개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4개구역)을 선정하여 현지개량과 전면개발을 혼합하여 추진할 수 있는 정비예정구역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을 기존의 재개발방식인 주택재개발사업과 주거환경개선사업과의 비교ㆍ분석을 통해 분석항목을 도출하여, 광주광역시 북구 중흥3구역 혼합주택재개발사업대상지 사례를 중심으로 북구 풍향 혼합주택재개발사업 사례 대상지와 비교ㆍ분석 등으로 문제점을 도출하고, 도시계획전문가, 공무원, 도시정비사업종사자 등의 설문조사와 선행연구, 참고문헌 등을 통해 정책적인 측면과 절차적ㆍ실행적 측면에서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정책적 측면에서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을 활용하기 위한 세부적인 내용을 관련 지침에 추가한 가이드라인과 활용매뉴얼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용어의 정의와 내용을 관련 법령과 지자체 조례에 추가하여 법ㆍ제도화가 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기존의 주택재개발사업의 전면개발과 보전지역을 포함한 수복재개발방식에서 추가적으로 존치지역과 보전지역의 계획과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현지개량방식의 사업 절차와 방식 등이 정책적 측면에서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절차적․실행적 측면에서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은 단독 주택지의 특성을 유지하고 고밀개발에 따른 경관침해현상을 방지하고자 도입되었으므로, 주변 구역과 존치, 보전지역을 고려한 광역적인 차원의 계획을 통한 연계와 해당 지역의 특성에 따라 존치지역과 보전지역을 블록별로 분리해 계획과 사업을 시행할 수 있는 계획수립관련 사항이 마련되어야 하며, 존치지역과 보전지역 등을 개량, 관리, 지원 등을 할 수 있는 공공의 금융지원, 경관협정, 주민협정 등이 필요하다. 넷째, 혼합형 주택재개발사업의 경우 존치지역과 보전지역을 포함하여 정비계획을 수립하게 됨에 따라 토지등소유자의 75%이상의 동의율을 충족하지 못하여 양호한 구역을 제척하거나 사업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는 사례가 조사되어 혼합주택재개발사업은 존치지역과 보전지역의 동의율 산정시 별도로 하는 규정과 조합설립인가 동의율을 완화하는 관련 법령의 개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은 기존 도시정비사업의 주민참여방식인 주민공람, 주민설명회, 서면통보 등에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수립 단계에서는 도시계획 퍼실리테이션을 통한 계획수립,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지정시에는 주민워크샵, 주민간담회 등의 다양한 주민참여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광주광역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에서 도입된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여, 존치, 보전 등의 현지개량사업과 전면개발사업의 혼합형 도시정비사업이 활용될 수 있도록 정책적 측면과 절차적ㆍ실행적 측면에서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사ㆍ분석 연구로 현지개량, 전면개발, 혼합개발 유형 등이 다양한 도시정비사업 유형과 잘 활용될 수 있는 세부적 가이드라인과 활용매뉴얼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 전주류씨 수곡파의 집단이주 경험과 문화적 기억의 형성

        이정훈 안동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what effect the construction of the dam, as a part of the national policy, has upon the lives of residents and the village community. The residents nearby the dam experienced and remembered the events related to the dam construction. Thu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cultural phenomenon disclosed through the memories of resi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process of dam construction, the submerged village and migration. The collective migration of the Sugok school in the Ryus of Jeonju is the subject for this case study. The Sugok school in the Ryus of Jeonju have built the village with people of the same family name since 16th century in the Musil, Baksil, Handeul area of Imdong Myon, Andong. Then, when the Imha dam was built in the late 1980s, the same family name villages of 400 years has been submerged. Despite the gloomy situation of losing their homes, residents tried to keep the community together through the collective migration. So, the residents built new immigration district in Sugok Ri and Ilseon Ri. Sugok Ri migration district was formed based on the people's aspirations not to leave their homes and Ilseon Ri migration district was selected in the context of physical conditions (site scale) and functional conditions (livelihood)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good Feng Shui)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cooperation of Gumi). Two villages which were formed in this way has made their structures of the rectangular villages. It was important to move the head house in Musil in the process of divided migration to Sugok Ri and Ilseon Ri. The head house in Musil symbolized the "identity of the family", also affected the migration of residents. After all, after the head house in Musil moved to Sugok Ri, about 30 households moved to Sugok Ri. Ilseon Ri accepted the application of the immigration of residents in Baksil, Handeul, and Yonggye village. About 70 households, thus, flocked to Sugok Ri. Residents of the migration district in Ilseon Ri who moved to another area showed their modern life-oriented tendency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and disclosed their traditional notion in the pursuit and maintenance of the value of cultural heritage and their Confucian lives. This allows residents to realize the ideal that the tradition and modernity coexist. Residents have strengthened the unity of community through their common identity of the same kinship and village and been positioning themselves in the modern society. In the process of embodying the identity, oral statement and symbols emerged as the mental and physical representations on which the cultural memories have been considered to be formed. Space configured through memories was mentioned based on the matter of collected memory, the space of power and generation, and the concept of Spectacle. And these notions are to function as a "memory space" which is embodied through people's memories.

      • 고령화 사회의 노인문제에 대한 교회의 역할

        이정훈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경제성장과 공공의료기술의 발달, 생활수준과 교육수준의 향상 등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은 높아지게 되었다. 즉 평균수명의 연장은 노령기가 연장된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긴 노령기를 어떻게 보내야 할 것인가의 여가문제, 경제적 어려움과 외로움의 문제, 건강의 문제 등 다양한 문제들이 출현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이 오래 살기를 바랐던 소원은 성취하게 되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예상하지 못했던 여러 난관에 봉착하게 되었다. 또한 평균 수명 연장과 함께 출산율 저하는 고령화 속도를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되게 하고 있다. 이것은 곧 노인에 대한 대책이 시급함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미 고령화 사회를 지나 고령사회로 진입한 서구 선진국들은 고령화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시간적 여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미흡한 부분을 계속 보완하고 보충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고령화 속도가 너무나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고령사회에 대한 충분한 준비 없이 고령사회를 맞게 될 것이고 이것은 그대로 노인들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것이다. 따라서 노인문제는 자신이나 가족의 문제를 넘어 우리 사회의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되는 것은 시간문제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회는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고통당하는 노인들을 그냥 바라만 보고 있어서는 안 된다. 그들이 외롭지 않도록, 경제적으로 힘들지 않도록, 육체적으로 평안하도록 완벽하지는 못하지만 그들의 필요를 채워주워야 한다.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전체 인구의 10%로가 넘었다. 즉 10명 중의 1명은 65세 이상의 노인이다. 또한 점점 노인의 인구는 증가할 것이다. 이것은 선교적 관점으로 볼 때 성장이 멈춘 한국 교회에 주어진 새로운 시장을 의미 한다. 따라서 교회는 노인들을 위한 새로운 목회적 복지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전문화하며, 적극 지원함으로써 교회 성장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의 사역 가운데서 노인들이 배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야 하며, 관심을 극대화해야 한다. 둘째, 교회는 교회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하기보다 노인들의 입장에서 그들의 필요와 욕구를 채워주기 위한 교회를 위한 목회가 아닌 노인들을 위한 노인복지 목회를 해야 한다. 셋째, 교회의 모든 자원(교회 시설, 인적 자원, 물적 자원 등)은 노인들이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지원되어야 한다. 넷째, 교회는 노인들이 교회 사역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노인 자신들도 교회에 필요한 존재라는 의식을 갖게 해야 한다. 다섯째, 교회는 노인들에 대한 선입견을 버릴 수 있도록 어린이로부터 노인에 이르기 까지 함께 할 수 있는 사회통합을 이루어야 한다. 여섯째, 교회는 노인들을 위한 교육뿐만 아니라 언젠가 노인이 될 성인들 모두에게도 노인 준비교육이 필요하다. 일곱째, 교회는 노인복지 프로그램을 전문화하고 조직화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회는 과감한 투자와 지속적이 지원으로 소외당하는 노인들을 섬김으로 결국 그들을 영원한 하나님의 나라, 하나님의 영원한 보호와 통치가 있는 그곳으로 인도해야 한다.

      • Drillship의 대형 Crane Pedestal 피로해석에 관한 연구

        이정훈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Drillship has several large cranes to handle the various equipments for drilling work. These cranes are supported by crane pedestals which are installed on main deck. Two major loads, i.e., hull girder bending moment and crane operation loading, shall be considered to confirm the structural strength in way of crane pedestal especially fatigue strength. However, the rules and guidance of fatigue analysis from classification societies are not covered dynamic load induced by crane operation. In this research, the fatigue analysis performed for the structures in way of crane pedestal considering the two loads as mentioned in the above. The damage ratio of crane pedestal is calculated as sum of the two damage ratio which is calculated separately. The damage ratio due to hull girder bending moment is calculated using DNV CN 30.7[1] and damage ratio due to crane operation is calculated using F.E.M 1.001 [2]. According to the result,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could be drawn. Firstly, Damage ratio at the connection between main deck and crane pedestal is governed by hull girder bending moment. Secondly, Stress of the crane operation loading at main deck is reduced by the panel deck. Thirdly the damage ratio at the connection between crane pedestal and panel deck is governed by crane operation load. Fourthly the cycle of crane operation loading is less than cycle of wave bending moment. 드릴십에는 시추작업 시 각종 장비들의 취급을 위하여 대형 크레인들이 상갑판에 설치된다. 이 크레인들은 시추 작업이나 운항중에 크레인 운용에 의한 하중 및 선체굽힘강도에 의한 하중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하중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 및 피로해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특히 피로해석의 경우 주요 선급의 지침에는 크레인 운용 시 발생하는 동하중을 이용한 피로해석방법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크레인 페데스털의 피로해석을 DNV CN 30.7[1] 에 정의된 간략화된 피로해석과 F.E.M 1.001[2]에 정의된 크레인의 사용횟수(Total Duration of Use)와 스펙트럼 계수(Kp)를 이용하여 파랑하중 및 크레인의 운용 시 발생하는 동하중에 의한 피로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크레인 페데스털의 피로해석에 파랑하중 외에 크레인 운용에 의한 동하중도 반영하게 되었고, 일반상선에 사용되는 간략화된 피로해석을 드릴십의 크레인 페데스털에 사용하는 방법을 정립하였다.

      •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받은 환자의 시술 전후 건강행태 변화 비교

        이정훈 영남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는 관상동맥 중재시술 전후의 환자들의 건강행태를 파악하고 질병관련 지식과 건강행태 이행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대책을 제시하고, 심장재활 환자를 위한 중재시술 후의 건강상담의 기초자료를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대구광역시 소재 Y 대학병에서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받은 후 3개월 이상, 2년 미만의 환자 중 40세 이상 69세 미만의 남녀 120명에게 2012년 5월 15일부터 2012년 10월 1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였다. 대상자의 건강행태 중 현재음주 60.9%, 현재흡연 22.5%로 관상동맥 중재시술 이후에도 음주와 흡연을 지속하는 환자가 많았고, 고혈압을 동반하고 있는 환자가 31.7%, 당뇨병을 동반하는 환자는 25.8%로 고혈압과 당뇨병 유병률이 인구집단의 유병률보다 훨씬 높았다. 관상동맥 중재시술 전후의 건강행태 점수(96점 만점)는 PCI 전후의 점수는 각각 65.42±12.99, 72.53±10.18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건강행태 하위범주별 점수를 비교한 결과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건강강좌 시청과 상담 및 진료시간을 잘 지키기 위한 행태 등의 건강책임과 식이 및 흡연․음주 관련 점수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p=.039, p=<.001). 그러나 운동 실천, 식습관의 변화,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휴식 등과 같이 실천적인 노력은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에 대한 관심도 증가, 흡연과 음주 관련 점수뿐만 아니라.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실천할 수 있는 교육과 상담 체계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관리하고 조정하기 위한 인력의 훈련과 배치가 필요하다.

      •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의 경화시간에 따른 화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정훈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SPF)는 우수한 단열성능 뿐만 아니라, 현장 시공성이 우수하며 단열성능 요구조건에 따른 두께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SPF의 장점으로 일반 건축물뿐만 아니라, 지하 및 냉동물류창고 내벽에 적용되는 단열재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창틀 주변의 균열 또는 틈새에 발포된 SPF는 기밀유지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을 개선시키는데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샌드위치 패널에서와 유사하게 SPF는 낮은 화재 저항성으로 인하여 화재의 발생빈도가 높으며, 빠른 화재확산속도로 인하여 대형화재를 야기할 수 있다. 추가로 검은 연기를 다량 발생시켜 재실자의 가시거리를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일산화탄소(CO) 및 시안화수소(HCN)와 같은 유독가스를 다량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최근 국내에서 발생된 냉동물류창고의 화재사례를 고려할 때, 공사현장에서 SPF를 활용한 단열작업 공정에서 발생된 화재는 막대한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SPF의 열분해 및 연소특성에 관한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발포 이후 경화시간에 따른 화재특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제와 경화제를 활용한 포터블 장치를 활용하여, 건축 공사현장에서와 동일한 원리의 경질 SPF가 제작되었다. 열중량분석을 통해 SPF의 열분해 물성이 측정되었으며, SPF의 다양한 발포 두께에 대하여 경화시간에 따른 VOCs가 측정되었다. 또한 ISO 5660-1에 근거한 콘 칼로리미터를 활용하여 경화시간에 따른 점화시간, 질량감소율, 열방출률, 연소열, CO 및 Soot yields 그리고 표면 점화온도가 측정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SPF의 발포 과정에서 경화제와 주제의 질량비는 현장 상황 및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질량비 변화에 따른 열분해 물성이 우선적으로 검토되었다. 경화제와 주제의 질량비가 0.9~1.2로 변화되더라도 최대 열분해 반응이 발생되는 기준온도(Reference temperature) 및 기준 반응속도(Reference rate)에는 큰 변화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Kissinger 및 Flynn-Wall-Ozawa methods에 의해 산출된 활성화 에너지는 정량적으로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화재 확산과정에서 열분해 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한 활성화 에너지에 상당한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SPF의 발포 이후에 경화시간에 따른 VOCs의 발생량은 초기 3 min에서 최대값이 확인되며, 이후 급격하게 감소되다가 35 min 이후에는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SPF의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VOCs의 발생량은 증가되지만, 정량적으로 큰 차이를 갖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SPF 발포 단계에서 점화원의 관리 및 환기를 위한 작업 주의 시간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콘 칼로리미터를 활용한 경화시간에 따른 SPF의 화재특성으로서, 복사 열유속에 노출된 시간을 기준으로 점화시간은 약 60 min 이내에는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으나, 이후에 점화시간의 큰 변화가 확인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질량감소율, 최대 열방출률 및 총 방출열량에서도 유사한 확인되었다. 유효 연소열의 경우에는 VOCs가 최대로 발생되는 3 min에서 최대값을 갖으며, 이후에는 경화시간에 상관없이 유사한 값을 갖는다. CO 및 Soot yields 역시 경화시간 3 min 시점에서 최대값을 보이며, 이후에는 큰 변화가 확인되지 않는다. 위 결과로부터 VOCs의 발생량 변화는 연소열, CO 및 Soot yields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복사 열유속의 환경에서 표면 점화시간의 측정을 통해 임계 열유속이 산출되었으며, 경화시간에 따라 표면 점화온도에 상당한 변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경화시간 10분과 24시간의 조건에서, 표면 점화온도는 각각 약 263℃와 318℃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발포 이후 초기 경화단계에서 SPF는 보다 낮은 온도에서 점화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SPF의 열분해 특성, 그리고 경화시간에 따른 VOCs의 발생량 및 화재특성 변화에 대한 이해는 냉동물류창고의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점화 및 화재확산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측정된 결과들은 SPF의 화재확산을 포함한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화재시뮬레이션의 입력인자로 활용될 예정이다.

      • VEILING :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유혹(seduction)' 개념을 중심으로

        이정훈 京畿大學校 建築專門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현대화 과정 이전의 서구사회가 확립해 온 체계는 견고하며, 지속적이고 고착적 이었다. 그러나 합리주의와 자본주의의 산업화로 특징지을 수 있는 '현대화의 과정'은 낡은 공동체적 질서와 가치를 날려 없애 버리는 가차 없는 자기 파괴의 과정일 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마저도 끊임없이 혁신시키는 창조적 자기 파괴과정이다. Marx & Engels의『 공산당 선언(Communist manifesto)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와 같은 현대성의 자기파괴는 현대성의 구조마저도 안정적으로 지속할 수 없는 조건을 창출하는 모순을 드러냈지만, 이러한 지속적인 '변화'가 현대성의 존재방식임에는 이견이 없는 듯 하다. 그렇다면, 오늘날 '건축' 또한 지속적인 변화를 통해서만 존재할 수 있다는 말인가? 어쨌거나 우리는 변화를 거부하는 모든 것들이 끊임없이 바뀌어 가는 오늘날의 상황 속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시대의 뒤안길로 사라져야 할 운명에 놓이는 것-물질적인 측면에서는 더더욱-을 종종 목도해 왔다. 그렇다면 건축의 새로운 존재방식으로서의 '변화'를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 낼 것인가? 나의 작업은, 이러한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써,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베일링(Veiling)의 작업을 통한 '유혹(Seduction)' 개념에서 실마리를 얻고자한다. '변화'는 보통 하나의 결핍에서 비롯된다. '체계를 무너뜨리고, 결정성을 탈피하며 다른 가능성을 부여하는 것, 그리하여 본래의 궤도를 이탈하게 하는 것', 이러한 것들이 변화의 한 형식일 것이다. 위에 언급한 이것이 바로 보드리야르가 말하는 '유혹'개념이다. 그런데 그에 따르면 해석(interpretation)은 숨은 의미를 찾는 가운데 (변화)공간-놀이와 내기의 공간, 유혹적인 정열의 공간-을 이용하지 않고 파괴해 버린다. 이로써 해석은 유혹에 대립되는 것이고, 해석적인 모든 이야기는 가장 유혹적이지 못한 것이 되어버리고 만다. 요컨대, 해석을 비껴가면서, 본래의 궤도를 이탈하는 것이 유혹적 인 것이고, 이 '유혹'이 곧 변화 가능성을 준다는 말이다. 그런데 "실재는 매혹이 부재하는 장소이며, 유혹은 실재를 둘러싸고 있는 베일(Veil)의 작용에 의해 발생 한다"는 그의 언급을 통해 종합해 볼 수 있듯이, 이러한 변화의 첫 단계로써, 우리는 '베일(Veil)의 작용'을 지목할 수 있다. 19세기 후반, 한 구조물의 성격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특히, 그 구조물의 특별한 의미를 파악해 두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던, 블론델(J. F. Blondel)에 의해 막이 올랐던 Architecture Parlante(Speaking Architecture), 즉 설화적 건축은 아마도 건축의 해석에 대한 가장 직접적인 의지의 표명일 것이다. 따라서 '변화'의 가능성을 억제하는, 이러한 해석(interpretation)을 지양하고 변화의 다양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건축의 베일링(Veiling)을 제안한다. 이것은 이야기의 가상으로 작용하며, 이야기의 표면상의 기호, 이야기의 굴절, 이야기의 뉘앙스가 지니는 불확실하거나 상궤를 벗어난, 의례적이고 면밀한 순환이다. 이러한 모든 것이 의미의 농도를 엷게 만든다. 그리고 유혹적인 것이 된다. The systems established in the western societies before modernization was started were adamant, continuous and fixed. However, 'modernization process' characterized by industrialization of rationalism and capitalism is the creative and self-destructive process continuously innovating even itself as well as the relentless self-destruction process eradicating old communistic orders and values. As we recognized in Communist Manifesto of Marx & Engels, while this self-destruction of modernity revealed contradiction as creating the conditions that the structure of modernity could not be stably sustained, it seemed to agree with the fact that these continuous "changes" were ways of existence for modernity. Then, is today's 'architecture' able to exist only through continuous changes? Anyway, we can not actively cope with current situations that all things denying changes have to be changed and frequently observed that many things faced their fate to be disappeared behind the scene-more in material aspects. If so, how can we make these "changes" as the new ways of existence for architecture? My research tried to find a clue from the concept of 'seduction' suggested in veiling activity of Jean Baudrillard, as one of alternatives for the possibility of "changes". "Changes" usually arise from a lack of something. 'Destroying systems, escaping from determination, and so deviating from original tracks' will be one of types of changes. Those behaviors mentioned above are the concept of "seduction" presented by Baudrillard. However, as searching for hidden meanings, interpretation destroys spaces(changes)-space for playing and betting, space for seductive passion-without using them. Thus, interpretation is confronted with seduction and all narrative stories become something that are not the most seductive. That is to say, stepping aside interpretation and deviating from original tracks are seductive and this 'seduction' creates the possibility of changes. However, as we think collectively from his saying that "the reality is the place without seduction and the seduction is generated by veiling surrounding the reality", the first step for these changes can be said as "veiling". In the late 19th century, Architecture Parlante(Speaking Architecture) emerged by J.F. Blondel who thought that we needed to understand especially specific meanings of a structure to express the properties of a structure, that is, narrative architecture will be the most direct expression of intention about interpretation on architecture. Thus, I suggested veiling of architecture, as the way to evade from this interpretation prohibiting possibility of "changes" and maximize the diversity of changes. Veiling works virtual stories and is the formal and sophisticated circulation deviating from obscurity and ordinary tracks contained in the nuance of a story, superficial symbols of a story and refraction of a story. All these things tarnish the intensify of meanings. And they become sedu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