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래놀이를 활용한 그룹언어치료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언어능력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경희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에서는 전래놀이를 활용한 그룹언어치료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문장 따라 말하기, 문장 완성하기,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대상자는 평균연령 55세로 브로카 실어증 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 선별검사 도구로 한국판-웨스턴 실어증 검사(K-WAB)와 대구 실어증 진단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였고, 대응표본 t 검증을 통해 사전-사후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전래놀이를 활용한 그룹언어치료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문장 따라 말하기, 문장 완성하기, 읽기 유창성을 향상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래놀이를 활용한 그룹언어치료가 브로카 실어증 환자의 언어능력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at determining the effect of group language therapy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lay on Broca's aphasics' sentence repetition, sentence completion and reading fluenc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eight Broca's aphasics who were about 55 years old. For this purpose, two screening tests which are K-WAB(Korea version-Western Aphasia Battery) and Daegu Diagnostic Test of aphasia were operated. A group therapy program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lay included six games such as Kirogi game, Picking flowers, Fox play, Komaya, Word connecting game and Playing yut. Pre-Post experimental design was utilized. A t-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group therapy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lay improved Broca's aphasics' sentence repetition. Second, a group therapy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lay improved Broca's aphasics' sentence completion. Third, a group therapy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lay improved Broca's aphasics' reading fluency.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a group therapy by using Korean traditional play was effective on Broca's aphasics' language ability.

      • 준비운동프로그램이 표현활동 학습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경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는 표현활동 특성을 고려한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고안, 적용하여 이것이 표현활동 학습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표현활동영역의 정상적 운영 방안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두 집단간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만족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나. 두 집단간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참여태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서울시 성북구의 J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6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은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 비교집단은 일반적 준비운동을 적용하여 표현활동 수업을 진행하였다.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만족도 검사도구로는 우길동(2001), 박순이(2001)가 사용한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여 J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한 결과 신뢰도 수준이 α=0.928로 특이한 문항이 발견되지 않아 검사도구로 확정하여 사용하였다.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참여태도 검사도구로는 일본의 高橋 & 長容川 등이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사용하였던 도구와 한광희(2000), 이동섭(2002), 박광렬(2007)이 사용한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여 J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한 결과 신뢰도 수준이 α=0.941로 특이한 문항이 발견되지 않아 검사도구로 확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실험처치 전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은 표현활동 특성에 맞게 고안된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적 준비운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본시 학습내용은 같고 준비운동 내용만 다르게 하여 주2회씩 6주간 총12차시를 걸쳐 실시한 후 사후검사를 하였다. 두 집단 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통계 처리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만족도 두 집단 간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만족도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4가지 하위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간 사후검사 결과에서는 4개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 학습성과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흥미 및 관심, 협동심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평균점수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참여태도 두 집단 간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참여태도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5가지 하위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간 사후검사 결과에서는 5개의 하위요인 중 안정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적극성, 책임감, 협동심, 인내심 영역에서는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평균 점수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표현활동 특성에 맞는 준비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표현활동 수업이 일반적 준비운동을 실시한 표현활동 수업에 비해 표현활동 학습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태도 역시 큰 향상을 나타내기에는 적용 시간 면에서 다소 부족했으나 긍정적인 향상은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warm-up program suitable for expressive activities, to examine its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expressive activities and ultimately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normalization of expressive activity education.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level with expressive activity learning between two different groups? 2. What are the differences in expressive activity participation between two different grou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 students in two fourth-grade classes in J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ngbook-gu, Seoul. An experiment participated in a warm-up program, and a control group got typical warm-up exercise before the two groups received instruction about expressive activities. A pre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experiment, and then a warm-up program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activities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got typical warm-up exercise. After the two groups got a different warm-up exercise, both groups received the same instruction.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in 12 sessions during a six-week period of time, twice a week, and then a posttest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making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of the two group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Satisfaction Level with Expressive Activity Learning Whe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two groups was compar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atisfaction level with all the four subareas after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between the two groups in satisfaction level with two out of the four subareas in the posttest, which involved confidence and learning outcome.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other two subareas that were interest and cooperative spirits, but the intergroup ga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Participation Attitude to Expressive Activities As a result of assessing their participation in expressive activitie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all the five subareas after the experiment was implemented.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group gap in one of the five subareas in the posttest, which was st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cored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on the other areas involving positiveness, responsibility, cooperative spirits and endurance,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expressive activity instruction that applied the warm-up program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ve activities gave more satisfaction to the learners than the other kind of instruction that provided typical warm-up exercise. The former also served to improve the class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to some extent, though the experiment was not long enough to let them make a great progress in that regard.

      • 6, 8, 10세 정상아동의 생성이름대기 특성 비교

        이경희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6, 8, 10세 정상아동을 대상으로 생성이름대기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령별 각각 20명씩 총 60명의 아동이 참여하였으며, 남녀의 비율은 동일하였다. 실험은 크게 의미범주(‘동물’, ‘가게에서 살 수 있는 물건’)와 음소범주(‘ㄱ’, ‘ㅅ') 생성이름대기 검사로 실시되었고, 한 범주에서 두 가지 단서를 제시하였다. 검사 시간은 각각 단서에 따라 1분으로 제한하였고 산출된 낱말 수를 이용해 군집 개수, 군집 크기, 전환 횟수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범주 및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 산출된 낱말 수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미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는 어휘력 및 범주화의 향상으로 인해 8세와 10세 간이 낱말 산출 수, 군집개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는 음운 인식의 발달로 인해 6세에서 8세 간이 낱말 산출 수와 군집개수가 증가하였다. 둘째, 낱말 산출시 하위범주별로 산출하는 군집(cluster)의 경우, 군집개수는 의미범주 및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 모두에서 연령에 따라 유의하게 커졌으나 군집크기는 6세와 10세간만 차이가 나타나고, 6세와 8세, 8세와 10세 간은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셋째, 하위범주 간 이동하는 전환(switch) 횟수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커졌고, 의미범주 및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 모두 8세와 10세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음소의 출현빈도에 따른 낱말 산출 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가장 출현빈도가 높은 ‘ㄱ’이 9번째의 출현빈도를 보인 ‘ㅅ’보다 낱말 수가 많이 산출되었다. 즉, 학령기 아동에게 음소의 출현빈도는 낱말 산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성별은 의미범주 및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미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 여자는 무생물 범주인 ‘가게물건’, 남자는 생물범주인 ‘동물’에서 많은 낱말이 산출되었다. 즉 범주의 특성이 성별차이를 이끌어 내는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음소범주 보다 의미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 더 많은 낱말을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에는 생성이름대기와 정상아동 언어발달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6세, 8세, 10세 아동의 생성이름대기 검사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지닌다. 또한 연령, 성별에 따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생성이름대기가 학령기 아동의 발달적인 특징을 구분 짓는 기준으로 삼을 수 있음을 밝혔다. 생성이름대기가 다양한 발달장애나 유전적 장애 아동들의 인지장애 평가에 유용하다는 외국 연구에 비해 국내에서는 자료가 미비한 실정이다. 후속연구로 ADHD, 난독증 등 다양한 대상으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면 한다.

      • 종유석 질감을 이용한 도자 표현 기법 연구

        이경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1839

        현대는 아주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도자분야에 있어서도 다양하고 창의성 있는 조형작업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스타일이나 장식기법에 있어서도 새롭고 다양한 변화들이 생겨나고 있다. 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모든 도예가들은 자신만의 독특한 장식기법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도예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저술활동에서는 도예의 기초적인 기술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기술의 체계와 정리는 조형 작업의 다양성과 완성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특허 등록을 통한 기술의 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연리문 제조공법을 이용한 악세사리(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1014호)나 자기제품의 자연무늬 형성방법에 관한 것(특1995-010878), 인조종유석 및 석순의 형틀제조와 제조방법(1985-0003003) 등 도자조형에 있어 경험에 의한 조형작업에서, 나아가 기술적 지식을 기초로 한 다양한 조형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기술의 필요성을 인지하기 보다는 경험이나 모방에서의 조형작업이 훨씬 더 많다. 그 기술의 범위 또한 체계화되어 있지 못한 게 현실이다. 본 연구자는 도자의 표현장식기법의 연구로, 희소성이 있으며 점토라는 원료의 특징에 부합되는 종유석질감을 이용한 표현장식기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종유석질감은 다양한 질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조형영역의 확대를 얻을 수 있다. 종유석의 표면에 드러난 질감들은 그 오랜 세월동안 쌓이고, 깎이고, 흘러내린 자연의 과정을 드러내 보인다. 이러한 영속적인 자연의 시간성을 담고 있는 종유석의 표면질감은 인간의 동경과 희구를 표현하는 훌륭한 조형적 모티브가 된다. 종유석 질감의 표현을 위해 자연의 산물인 점토를 재료로 택했으며, 요업(세라믹) 기술원에서 원료의 과학적 분석인 점토의 화학적 성분분석(Inductivel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ICP)과 입도분석(Laser Scatte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zer, PSA), 색도계 분석(UV-Visible Spectrophotometer),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실험을 통해 밀도와 기공률을 조사하고, 고온현미경실험조사를 통해 유약의 융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장식에서 중요한 안료의 색도계를 실험, 분석하였다. 이 결과 점토는 가소성이 가장 뛰어나 원료로 자연의 부산물인 종유석의 질감을 표현하는데 점토가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적 분석으로 표면장식기법을 연구한 결과 특허(제10-0921930호)등록을 하였고 부록으로 별첨하였다. 조형작업에 있어 표현장식의 다양성과 중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도자의 표면장식기법의 종류를 알아보고 작가의 관념을 바탕으로 한 표면장식의 조형작품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이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시작품을 제작하였다. 시작품제작은 조형의 영역을 확대하고자 다양한 질감을 결합하여 제작하였다. 조형작업에 있어 작가의 관념이 배제될 수는 없다. 기술의 개발 또한 작가의 사고와 기술적 지식에 의한 경험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자 또한 오랜 시간동안 형성 된 종유석에서 자연의 시간성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그 시간은 결국 우리가 존재하고 있는 시간에 대한 고찰이다. 도자에 있어 점토의 표면처리에 따른 다양한 변화와 기법은 현 시대에 인간의 본래성을 찾아가는 작업으로 재해석할 수 있었다. 이는 무심히 지나치는 시간이 아니라 "나"라는 존재의 가치를 두고 변화하는 시간이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요소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종유석이 조형적 모티브로서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하게 한다. 연구 전 과정을 걸쳐 살펴본 바와 같이, 조형기법의 공학적 이론 및 소재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작가의 관념과 경험에 의해 조형영역을 확장하고 발전시키는데 필수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Everything is changing so fast today, diverse and creative formative works are being tried. New and various changes are coming in styles and decoration technique as well. All potters are doing efforts to find their own unique decoration technique in the information overflow. Various researches and writings on pottery recognize the need of a basic technology on pottery. A systemization and an organization of technologies can increase the diversity and completeness of formative works and also acquire the technology through a patent registration. In case of formative works based on experiences such as an accessory using a manufacturing technique of Yeolimoon(marbling), a technology to form natural-look patterns on ceramic products(Patent No. 1995-010878), a tooling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of a stalactite(Patent No. 1985-0003003) etc, they are expanding an area of formative works in various ways based on their existing technologies. But still formative works are depending much more on experiences or imitations than new technologies, and they do not urgently texture needs of new technologies yet. Also it is reality that a scope of the technology is not systemized yet. As a study on the expressive decoration technique of pottery,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tudy a technique of an expressive decoration using a stalactite texture material which has a scarcity and is in compliance with the characteristic of a clay. A stalactite texture clay has various Texture and can expand the area of formative works. Texture exposed on the surface of stalactite (A products grown downward from a wall or ceiling in a limestone cave, but sometimes includes all the products created in a cave including a stalagmite or a stone pillar.16)) reveal processes of the nature, being piled up, cut and rolled down for that long time. Surface texture of stalactite containing a perpetual time of the nature in itself could be a good formative motive to express man's longing and desire. I have taken clay as the material which is a products of the nature to express a stalactite texture, and examined its density and porosity through experiments, in Korea Institute of Ceramic & Tech. of a chemical ingredient analysis(Industry coupled plasma- Optical Emission Spectrometer, ICP), a particle size analysis(Laser Scatter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Analyzer, PSA), a chromaticity analysis(UV-Visible Spectrophotometer)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lso analyzed the melting point of the enamel by a high temperature microscope experiment, tested and analyzed the chromaticity of the paint which is important for a decoration. As a result, clay was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material to express a texture of stalactite, a products from the nature because of its best plasticity. As a result of studying based on a scientific analyses, we could acquire the certificate of a patent(No. 10-0921930) as attached herein after as an appendix. As said above, I have investigated technologies of surface decoration of pottery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versity and importance of expressive decoration in a formative works and confirmed formative artworks of a surface decoration based on a concept of the artist. Based on above results of analyses, I have made a trial products. the trial products was made by combining various texture to expand an area of a formative arts. In a formative works, the concept of the artist can not be excluded. Development of a technology also could be a result from the experience of the artist through his(her) idea and technical knowledg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lso intended to confirm the time of the nature from stalactite which was formed for a long time, and ultimately this time is also a study of the time in which we are staying now. In pottery, various changes and techniques of surface treatment on clay can be reinterpreted as works to seek for human being's nature. This is not a time to pass by in unconsciousness, but I could confirm that the time changing based on the existing value of 'Myself' is a factor that enriches our lives, and with this reason, the stalactite is confirmed to be suitable as a formative motive. As investigated throughout the process of this study, I could confirm that a profound understanding on the engineering theory and materials of a formative technique would be an essential factor to expand and develop the area of a formative works by a concept and experience of the artist.

      • Synthesis, Ion-exchange reaction, and Colloidal solution of RE2(OH)5NO3·nH2O (RE = rare-earths) and their application for transparent luminescent film

        이경희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층상 복수 수산화물 (LDH)은 다양한 분야로의 응용 가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LDH 유사 물질인 층상 희토류 수산화물(LRH)이 최근 연구 동향이다. 층상 희토류 수산화물의 일반적 화학식은 RE2(OH)5X∙nH2O로 표현하며, 이제까지 보고된 것은 RE = Gd 보다 작은 크기의 희토류 화합물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반응물의 pH를 조절하여 RE2(OH)5NO3∙nH2O계열을 RE = Gd, Eu, Sm까지 확장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pH 조절만으로는 Nd나 La와 같은 큰 희토류 이온들로 구성된 LRH의 합성은 불가능하였기 때문에 pH에 영향을 받지 않는 합성방법이 요구되었다. Alkali-metal salt와 용매로 ethanol을 사용한 nonaqueous solvothermal 반응이 그 해답으로 Nd2(OH)5NO3∙nH2O와 La2(OH)5NO3∙nH2O를 합성할 수 있었다. 이렇게 합성한 LRH들의 층상 구조적 성질을 다양한 유기 음이온과의 이온 교환 반응 후 XRD, FTIR, EA 및 TG 결과로부터 확인하였다. 또한 alkali-metal salt를 이용한 합성방법을 통해 얻어진 생성물들은 초기에 층간에 alkali-metal salt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특징때문에 수용액 상에서 일부 박리화 하여 콜로이드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Tyndall 효과, TEM 및 AFM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수용액 상에서 안정하고 짙은 농도의 콜로이드를 얻기 어려웠기 때문에 formamide상에서 콜로이드를 유도하였을 때 LRH가 완전히 박리화 된 점과 Gd2O3:Eu 형광체를 접목하여 형광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필름의 발광 특성은 UV 램프를 조사하였을 때 나타나는 붉은 빛과 PL 스펙트럼을 얻어 확인하였고, AFM결과와 SEM 이미지로부터 substrate위에서 필름이 형성된 모양과 두께를 확인할 수 있었다. Although the layered double hydroxides (LDHs) have attracted a great deal of interest because they have a number of attractive properties for diverse applications, it was not until very recently that the layered materials composed of pure cationic rare-earth hydroxide layers were reported. Such a series of compounds, called the layered rare-earth hydroxides (LRHs), has the general formula RE2(OH)5X∙nH2O where RE = rare-earths. In the present work, RE = Sm, Eu, and Gd members of this family were synthesized by using a hydrothermal reaction under a controlled pH condition. In contrast, a non-aqueous solvothermal procedure was applied to prepare RE = Nd and La member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ynthesize these members in an aqueous system. A series of 1-alkanesulfonate, alkylsulfate, and organic carboxylate anions are easily intercalated into these layered rare-earth hydroxides by the ion-exchange reaction. Interestingly, the alkali-metal nitrates were partially intercalated in the interlayer gallery of the as-synthesized hydroxide from non-aqueous solvothermal reaction. Hydrothermal synthesis of LRHs was sensitive to the pH conditions and accordingly a careful adjustment around pH = ~ 6.7 – ~ 7.2 was required for the formation of layered hydroxide structure. For the pH independent non-aqueous solvothermal reaction, the ethanol containing alkali-metal hydroxide (KOH, RbOH or CsOH) was used as a solvothermal medium. A series of strong (00l) reflections observed in XRD patterns showed a characteristic of layered phase and corresponding to an interlayer separation of ~ 0.85 nm. The SAED patterns displayed the clear spots rectangularly arranged, indicating an order within the ab plane of LRHs. The spots assigned to (040), (220), and (400) reflections were consistent in the reciprocal lattices of RE2(OH)5X∙nH2O family. The determined lattice parameters are a = 0.73 – 0.76 nm and b = 1.29 – 1.36 nm. The compositions of LRHs were determined by ICP, TG, and elemental analysis. The ion-exchange reactions between NO3− and organic anions were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 60°C. Coupled with the disappearance of v3 (NO3−) band, the observations of characteristic bands for carboxylate, sulfonate, and sulfate groups in their IR spectra confirmed the intercalation of corresponding organic anions into the interlayer space of LRHs. One of the interesting features of LRHs containing ANO3 (A = K, Rb, or Cs) in the interlayer space was the fact that the exfoliated nanosheets were generated when they were dispersed in water by the ultrasonication. The formation of aqueous colloidal solution of LRHs was evidenced by the Tyndall effect, TEM, and AFM images. We demonstrated that the positively charged layered gadolinium hydroxide nanosheets can be produced by the exfoliation in fomamide and applied as precursor layers to prepare highly transparent and highly luminescent phosphor layers. The fabrication of Gd2O3:Eu coated quartz glass was exemplified by allowing the formamide suspension containing exfoliated layered hydroxide nanosheets to dry on the substrate and subsequent annealing. A strong emission of crystallites prepared at only 600 °C provides a low-cost process in both temperature and substrate.

      • 스쿼시선수들의 코트이용 실태를 통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경희 부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Using the courts for Squash Players with actual conditions Satisfaction Study Kyoung Hee Le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research activities in the country through a questionnaire that squash players who use the facilities of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players are happy about the stadium used to identify the degree of squash players for performance-enhancing and developing the basic materials are intended to provid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quash courts, using an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in all parts seen by the difference, "select the motive and squash courts" for the 'leader' was showed by the most highly, "Years of using the facility," the '4 years' were the most reported high, "one week to use the number of squash courts," which appeared six days were the most highly prize, "often times use facility," the most highly emerged that afternoon, one times the average to spend time looking for the facilities available at the time the average time to time, the '3 hours 'were the highest. Leaders to participate in the training time, less time for the '2 hours' as the highest leaders to participate in one week on the number of training days for the '5' the most popular and the number of squash courts, one for the '3'is the most were higher. Second, we use an analysis of squash courts in all parts that are seen by the difference, performance-enhancing and stress, improves stamina is yes, while the highest appeared, attractive body weight loss and manag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Just so, 'appears in the most highly depends on the said items. Third, squash courts, an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re not as clearly appeared that things were different, the frequency of use and time for the courts 'satisfaction' was the most reported high gender, age, affili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that no national team experience, the award-winn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and time using the courts as relevant as the cross appeared, in time for the training of leaders for focusing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the most reported high levels, between groups The difference, gender, national team experience, the difference does not award experience, age and affiliation, education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ining of leaders at the time focused enough to cross the teenager appeared relevant was the training for guards Usually this shows up higher,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gender, age, affiliation, education, water experienc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rience, the team will interact with relevant training, according to security. Fourth, the squash court facility of selection consideration factors analysis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to have, the liver ma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acility location (distance) for the 'important' that appeared most highly, as a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the liver was significant both because of the facility location (distance) and there was no mutual relevance. The number of players training for the 'important' that appeared most highly, facilities (amenities, parking space) for the 'important' that appeared most highl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no difference seen by high Director (lead levels), "about the 'important' were the most reported high,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education as a good leader (lead levels), and according to the mutual relevance. Expenses for facilities and about 200,000 won lessons, the most highly arrives, look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gender differences do not have the team experience, age, belong, education, award-winning facility that was the difference in Terms and lessons that are relevant according to security and trade. Fifth, an analysis of factors that played a career in the game winning score of times in the 'twice' appeared the most high, look 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gender, age, affiliation, education, the award is not seen by the significant difference , team experience, 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ght standing and mutually relevant records showed. Last year, the above results for the 'third' were the highest. ' quarterfinals', 'Runners', 'winner', 'semifinals' appear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ge and affiliation, education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gender, national team experience, the award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ame with a winning record, and according to mutually relevant.

      • 중학교 1학년 영어 쓰기 활동 분석 : 교과서와 사교육 교재의 비교?분석을 통해

        이경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와 사교육 교재의 비교 분석을 통해 영어 쓰기 활동이 쓰기 교육의 목표로 제시하였던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쓰기 능력 함양을 위한 활동들로 올바르게 구성이 되어 있는지 알아보고, 교과서와 사교육 교재가 가지고 있는 제한점 및 개선 방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3종의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와 각각의 학습활동책, 그리고 사교육 교재인 학원교재 3종을 통해 제 7차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쓰기 성취 기준과 Rivers(1981)와 Tomlinson(1983)의 쓰기 유형에 따른 분류를 기준으로 통제, 유도, 자유 작문으로 나누어 각각의 활동 비율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와 각각의 학습 활동책, 사교육 교재가 쓰기 성취 기준에 부합하는지 분석한 결과, 특정 성취 기준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아예 몇몇의 성취기준이 빠져 있는 교과서도 있었다. 사교육 교재는 3종 모두 성취기준이 고르게 분포하지 않고 있었다. 둘째, 교과서와 각각의 학습 활동책, 사교육 교재의 쓰기 활동 자료를 유형별로 분석해 본 결과 교과서 3종과 각각의 학습 활동책은 모두 통제 작문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도 작문 그리고 자유 작문 순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교재는 통제작문의 비율이 높긴 하였지만 그 비중이 교과서에 비해 통제 작문에만 지나치게 치우쳐 있지 않았다. 교과서가 지나치게 통제 작문에만 치중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었다. 위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쓰기 성취기준에 의한 분석 결과에서 교과서는 사교육 교재에 비해 그 기준에 대해 고른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좀 더 수준을 높여 쓰기 학습에 흥미를 끌 수 있는 항목으로의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특성상 사교육에서의 학습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수준 높은 학생들은 자칫 공교육 수업에서 흥미를 잃게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쓰기 활동에서 지나친 통제 작문의 편중보다는 중학교 1학년 수준에서 통제 작문이 갖고 있는 장점을 살려 통제 작문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점차 자유 작문의 시간을 늘려 나가 학생들이 자유롭게 자기의 생각을 영어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이끌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공교육 교재에서 볼 수 있는 올바른 성취기준과 사교육 교재에서의 학습자의 흥미도를 고려한 쓰기 유형별 활동의 장단점을 서로 보완 수정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