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hanges of contributors of coronal limb alignment after open wedge high tibial osteotomy : effect of joint space changes on postoperative alignment

        이승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919

        Background We aimed 1) to assess 3 major variables [femoral condylar orientation (FCO), tibia plateau inclination (TPI) and knee joint space tilt angle (JTA)] which would mainly contribute to overall limb alignment in patients undergoing medial open-wedge high tibial osteotomy(HTO) and compare the variables with those of normal knees, 2) to assess the changes of the 3 variables after HTO, and to compare the actual correction amount with the amount computed based on the two planning methods (Dugdale and Miniach methods), 3) to fi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JTA changes, and 4) to find factors associated with categories of final alignment after HTO. Materials and Methods We assessed 66 patients undergoing open-wedge HTO (HTO group) and 160 normal knees (control group). The weight loading line (WLL), FCO, TPI, and JTA were measured on whole limb standing anteroposterior (AP) radiographs in all the subjects preoperatively. Additionally, same measurement was performed in the HTO group postoperatively, then the differences of the variables between the pre- and post-HTO were calculated. The amount of correction based on the two planning methods (Dugdale and Miniach methods) were computed, and compared with the actual correction angle calculated using TPI difference. In terms of categories of final alignment, WLL ratio within ±5% from the target WLL were classified as ideal correction, more than +5% as overcorrection and less than -5% as undercorrecti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amount of JTA change by HTO were analyzed using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with backward method, and the factor associated with over- and/or undercorrection was investig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ll the variables were more varus than the HTO group, preoperatively (P < 0.001 in all). Particularly, JTA of the HTO group was more than 3 fold of that of the control group (4.1° vs. 1.2°, P < 0.001). After HTO, besides the change of TPI, JTA also decreased by 2 degree on average. The amount of JTA change was larger in patients with more preoperative varus alignment and larger preoperative JTA, preoperatively (B = -0.19, P = 0.006, and B = -0.28, P = 0.001, respectively; R2 for regression model = 0.361). In comparison between Dugdale and Miniach methods, the correction amount computed by Miniachi method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by Dugdale method (8.6° and 9.7°, P = 0.028). Between the two methods, angle computed by Dugdale method was more close to actual amount of correction (8.6° vs. 8.9°, respectively). In terms of categories of final alignment, 37 knees (56%) were classified as ideal correction and 29 knees (44%) as overcorrection. There was no knee classified as undercorrection. Among the radiographic variables evaluated except postoperative WLL, the change of JTA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ideal correction group and the overcorrection group (1.5° and 3.0° respectively, P < 0.001).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n overcorrection was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JTA changes (odds ratio = 3.04, P = 0.002). Conclusion We found that three major variables determining overall coronal alignment was more varus in the HTO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ularly, JTA of the HTO group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varus limb alignment, and the JTA decreased by 2° on average after HTO which could result in additional valgus realignment effect after HTO. Even though more preoperative varus alignment and more preoperative tilt of JTA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larger change of the JTA after HTO, accurate estimation of the JTA change may not be possible due to low R2 value. Planning of target angle by Miniachi method showed significantly larger angle than that of Dugdale method. Therefore, if JTA change was not considered, Miniachi method could increase risk of overcorrection after HTO. Development of new method which could estimate the change of JTA more accurately would be warranted via further studies. 배경 본 연구는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을 시행받는 환자에서 1) 관상면 하지 정렬에 기여하는 3가지 주요 변수를 평가하고, 2) 수술 후 3가지 변수의 변화 및 실제 교정 각도와 술 전 Dugdale 방법과 Miniach 방법을 이용하여 계산한 계획 각도의 차이를 비교하며, 3) 술 후 관절간격의 기울기의 변화 정도와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하고, 4) 수술 후 하지의 최종 정렬 상태와 연관된 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내측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을 시행받은 66명의 환자와 정상 대조군으로 1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립 전하지 전후면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체중 부하선과, 원위 대퇴 경사도, 경골 고평부 경사도, 슬관절간격의 기울기를 측정하였고, 환자군에서 수술 전 상태와 수술 후 상태, 그리고 환자군에서 수술 전 상태와 정상 대조군의 상태를 비교하였다. 수술 후 슬관절간격의 기울기에 변화에 기여하는 인자들에 대해 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수술 전 Dugdale 방법과 Miniach 방법을 이용하여 교정각도를 계산하였고, 이를 실제 교정된 각도와 비교하였다. 수술 후 체중 부하선이 원래 목표했던 체중 부하선과의 차이가 5% 이내인 경우를 적절한 교정으로 보았고, 목표했던 체중 부하선에 비해 5% 이상 외반인 경우를 과교정, 5% 이상 내반인 경우를 저교정으로 정의하였으며, 이상교정된 경우에 이에 기여하는 인자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3가지 변수가 환자군에서 모두 유의하게 내반되어 있었다. 특히 관절간격의 기울기는 대조군에 비해 3배가 넘는 차이를 보였다. (환자군: 4.1°, 대조군 : 1.2°, P<0.001) 수술 후에는 경골 고평부 경사도의 변화 외에도 관절간격의 기울기가 평균 2도 감소하였다. 수술 전 교정각도의 계산을 위한 Dugdale 방법과 Miniach 방법을 비교하였을 때, Miniachi 방법으로 계산한 교정각이 Dugdale 방법으로 계산한 값에 비해 유의하게 컸다.(각각 9.7° 와 8.6°, p = 0.028). 또한 실제 교정각도는 8.9°로 Dugdale 방법으로 계산한 값에 더 근접하였다. 관절간격의 기울기는 수술 전에 내반 정도가 클수록 그리고, 수술 전 관절간격의 기울기가 더 내반되어 있을수록 수술 후의 그 변화량이 더 큰 경향을 보였다(β = -0.19, p = 0.006 and β = -0.28, p = 0.001, respectively; R2 for regression model = 0.361). 수술 후 정렬 상태를 평가하였을 때 총 29 명의 환자(44%)에서 과교정이 되었으며, 저교정된 환자는 없었다. 적절하게 교정된 군과 과교정된 군간에 인구학적 요소들과 하지의 정렬에 기여하는 해부학적 인자들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관절간격의 기울기의 변화량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과교정된 군에서 그 변화량이 유의하게 더 컸다(각각 1.5° 와 3.0°, p<0.001).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관절간격의 기울기 변화량이 클수록 과교정의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Odds ratio = 3.04, p = 0.002) 결론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환자군의 3가지 주요 관상면 정렬 기여 변수가 모두 다 내반되어 있었으며, 특히 관절간격의 기울기가 환자군에서 내반 정렬에 상대적으로 큰 기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내측 개방형 경골 근위부 절골술 후에 관절간격의 기울기가 감소하여 결국 평균 2도의 추가적인 외반 교정효과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수술 전 내반 변형의 정도와 관절간격의 기울기와 연관이 있었다. 하지만 추정 회귀식의 수정된 결정 계수 값이 낮아 관절간격 기울기 변화를 만족스럽게 예측할 수는 없었다. 수술 전 교정각도를 계산할 때 Miniachi의 방법으로 계산한 값이 Dugdale 방법으로 계산한 값보다 유의하게 컸으며, 이론적으로는 Miniachi 방법이 더 타당해 보이지만 관절간격의 기울기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과교정의 위험이 더 큰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과교정의 위험성을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서는 관절간격의 변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향후 관절간격의 기울기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후안 마요르가(Juan Mayorga) 『하멜린(Hamelin)』의 ‘몬테로’ 연기 접근방법 연구 : -M.F.A. Project를 중심으로-

        이승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87

        후안 마요르가(Juan Mayorga)의『하멜린(Hamelin)』은 거시적으로 아동성추행사건을 해결해나가는 판사의 권선징악이 중심 테제인 것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권력을 향한 욕망에 의해 피해 받는 사회적 약자들을 부각시키는 포스트 서사극(Post-Epic Theater)이라고 할 수 있다. 포스트 서사극은 연극의 재현성을 부정하면서 텍스트의 해체에만 의존하는 포스트드라마(Post-Drama)의 한계를 극복하고, 연극의 정치적·사회적 비판 능력을 회복하기 위해 브레히트의 서사극 기법(Epic Theater)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새로운 극적 양식이다. 그러나 포스트 서사극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이론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포스트 서사극으로서의『하멜린』과 인물의 연기접근 방법에 관한 실제적 연구는 전무하다. 그래서 본고는 『하멜린』‘몬테로’ 역할창조 연구를 통해, 포스트 서사극의 인물 형상화 작업에 적용 가능한 연기접근 방법론을 고찰하고, 실제 프로덕션 과정을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포스트 서사극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선행하였고,『하멜린』에 나타나는 포스트 서사극적 특성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그것들은, 첫째, 병렬적 구조의 장면구성과 복층 서사구조를 통해 이야기에 대한 관객의 감정이입(Empathy)과 동시에 생소화 효과(Alienation)를 유도, 둘째, 해설자의 역할놀이로 관객의 생소화 효과의 경험을 통한 이성적 사유 촉구, 셋째, 「피리 부는 사나이」 동화 삽입을 통해 관객의 변증법적 의미창발(Emergence)을 자극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몬테로 인물구축 과정에서 드라마로 관객의 집중을 유도하고, 동시에 적절한 거리를 두며 관객에게 질문을 던지는 비판적 사유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몬테로 역할창조의 목표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적 계층으로 드러나는 몬테로의 욕망단계의 층위, 둘째, 이중적 잣대의 모순을 드러내는 몬테로이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하멜린』에 나타나는 사회적 문제를 더욱 극명하게 시각화하기 위해 게스투스(Gestus)를 적극적으로 구축하였다. 또한 인물구축 과정에서 급격한 배우와 인물간의 전환(Transformation)을 수행하기 위해서 신체중심의 연기론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내적 충동을 신체적 움직임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루돌프 폰 라반(Rudolf von Laban)의 라반 움직임 분석(Laban Movement Analysis, LMA) 중 ‘에포트(Effort)’를 활용하여 몬테로의 포스트 서사극적 캐릭터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실제 프로덕션 과정을 통한 역할창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설자의 직접발화에 대응하는 인물 행동의 즉각적 변환, 둘째, 게스투스 구축을 통한 내면적 갈등의 시각화, 셋째, 신체성의 변화를 활용한 관객의 능동적 의미창발 유도가 그것이다. 본고의 궁극적 목표는 포스트 서사극의 이론적 토대를 기반으로 실제 프로덕션 과정에서 감정이입과 생소화 효과의 동시작용을 불러일으켜, 관객이 능동적인 참여자로서 작품의 정치적, 사회적 의미를 사유할 수 있는 실제적 방법론들을 확인하는 것이다. Juan Mayorga’s “Hamelin” semms to be the central theme of the judge’s recommendation and disciplinary action to solve child sexual harassment cases, but behind it, it can be said to be a “Post-Epic Theater” that highlights the socially disadvantaged affected by their desire for power. “Post-Epic Theater’ is a new dramatic stlye that creatively inherits Brecht’s Epic Theat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ost-Drama“, which relies only on the dismantling of text while denying the reproducibility of the play. However, research on ”Post-Epic Theater“ is centered on theory by several scholars in Korea, and there are no practical studies on ”Hamelin“ as a ”Post-Epic Theater“ and how to approach characters’ acting. Therefore, through a study on the role creation of ”Hamelin“ and ”Montero“,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approach methodology applicable to the character shaping work of ”Post-Epic Theater“ and verify it focusing on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To this end, theoretical research on ”Post-Epic Theater“ was preceded, and three ”Post-Epic Theater“ characteristics appeared in ”Hamelin“ were derived. They first induce the audience’s empathy and alienation of the story through the scene composition and the double-story narrative structure of the parallel structure, secondly, urge rational thinking through the audience’s unfamiliar effect experience through role play, and thirdly, stimulate the audience’s dialectical meaning.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Monero“ character, it attempted to induce the audience to concentrate through the drama, and at the same time, to ask questions to the audience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critical thinking. Therefore, the following goals of creating the ”Montero“ role were derived. 1. These include ‘the level of Montero’s desire stage revealed as a social class’, 2. ‘Montero, which reveals the contradiction of double standards’. And through this analysis, Gestus was actively established to more clearly visualize the social problems that appear in ”Hameli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body-centered acting theory was required to perform rapid treansformation between actors and characters in the process of character construction. To this end, we tried to construct a ”Post-Epic Theater“ of ”Montero“ by using ”Effort“ among Laban Movement Analysis(LMA) by Rudolf von Laban, which can visualize internal impulses as physical movements.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are as follow. First, ”immediate transformation of Gestus In response to the commentator’s direct utterance,“ Second, ”strengthening conflict of inner conflict through the construction of Gestus,“ Third, ”inducing the audience to actively create meaning using changes in physicality.“ The ultimate goal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practical methodologies that allow the audience to think about the political and social meaning of the work as active participants by inducing simultaneous empathy and unfamiliarity effects in the actual production process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of ”Post-Epic Theater“.

      • 유산균 발효유의 섭취가 장내 균총과 미생물 대사산물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관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1871

        본 연구는 유산균 발효유의 섭취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IBS)의 증상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진행 하였다. IBS 환자는 8주동안 하루에 한 번씩 유산균 발효유를 섭취한 그룹(실험군; n = 31)과 placebo (n = 32) 로 나누어 분변 시료를 수집 하였고, 분변 미생물 균총과 분변 내 유해효소, 부패물질 함량, 분변 SCFA를 분석하였다. 실험군에서 분변 내 Lactobacillus 의 균 수는 섭취 전 보다 섭취 8주 후에 그 수가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고(P < 0.05) placebo군 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분변 내 E. coli 의 균 수는 실험군에서 섭취 후에 유의적으로 그 수가 감소하였다(P < 0.05). 그러나 분변 내 Clostridium perfringens의 수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유해효소 (tryptophanase, azoreductase, β-glucosidase, β-glucuroni dase) 의 활성은 섭취 전과 후를 비교하여 실험군 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β-galactosidase 활성은 섭취군에서 섭취 전 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 < 0.05). 분변 내 부패물질인 ammonia와 indole의 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섭취군에서 섭취 후에 감소하는 수치를 보였고 황화수소의 경우에는 섭취 전과 8주 후간의 유의적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유산균 발효유의 섭취가 장내 미생물 균총과 환경을 개선시킨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IBS는 장내 균총의 변화에 깊은 연관이 있기 때문에, 유산균 발효유의 꾸준한 섭취는 IBS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yogurt consumption in the improve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IBS) symptoms. The IBS patients were fed with either yogurt (treatment group; n = 31) or a placebo (n = 32) once daily for 8 weeks. Then, fecal microflora, harmful enzyme activity, and the level of putrefactive metabolites and fecal SCFA were investigated. In the treatment group, the fecal Lactobacillus bacterial cou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lacebo group (P < 0.05) after 8 weeks of consumption. On the other hand, the fecal E. coli bacterial cou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placebo group (P < 0.05) 8 week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ecal Clostridium perfringens bacterial counts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The harmful enzyme activities (tryptophanase, azoreductase, β-glucosidase and β-glucuronidas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efore and after 8 weeks consumption in treatment group. In the treatment group, β-galactosidase activit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lacebo group (P < 0.05) after 8 weeks of consumption but decrease fecal level of ammonia and indole during yogurt consump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ecal levels of hydrogen sulfide throughout the experiment in both treatment and placebo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gestion of yogurt can improve intestinal environment by changing the microflora and their metabolite concentrations. In conclusion, continuous ingestion of yogurt may be effective way in alleviating IBS symptoms because gut microflor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IBS.

      • LPS 유발 염증에 대한 萬金湯의 염증 억제 효과

        이연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871

        LPS 유발 염증에 대한 萬金湯의 염증 억제 효과 이 연 후 동신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지도교수 최진봉) 목적 萬金湯의 in vivo 및 in vitro 환경에서 LPS 유발 염증에 대한 염증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세포 실험에서 萬金湯을 처리한 대식세포 RAW 264.7 cell에 Lipopolysaccharide(LPS)로 염증 반응을 유도하여 세포의 Nitric oxide(NO), ProstaglandinE2(PGE2), Cytokine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고, iNOS, COX-2, Cytokine의 세포 내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이들 의 상위 신호인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MAPKs; ERK, JNK, p38)의 단 백질 인산화를 평가하였다. 동물 실험에서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정상군과 증류수를 투여한 대조군, 萬金 湯을 200 ㎎/㎏/day 와 400 ㎎/㎏/day로 투여한 실험군의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萬金湯을 매일 1회, 7일간 경구 투여 하였다. 이후 염증반응 유도를 위해 LPS 1 ㎎ /㎏을 복강에 주사하였고 3시간 후에 ethyl ether를 사용하여 마취한 후 심장 천자 법을 통하여 채혈하였다. 채혈한 혈액 중 EDTA tube에 담은 혈액은 즉시 면역세포 수를 분석하였고 microcentrifuge tube에 담은 혈액은 30분간 상온에서 굳힌 후 원심분리하여(3,000 rpm, 15분간) 혈청을 획득하였다. 채혈 후 비장조직을 분리하였 고, 모든 검체는 초저온 냉동고(-80℃)에 보관하면서 분석에 사용하였다. 면역세포 분석, PGE2, Cytokine 생성량,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하였고 상위 신호인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ERK, JNK, p38 단백질의 인산화를 평가하였다. 결과 세포 실험에서 萬金湯은 LPS군에 비해 세포 내 NO, PGE2, Cytokine 생성량을 농 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iNOS, COX-2, Cytokine의 유전자 발현량과 단백질 발현량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萬金湯은 LPS군에 비 해 MAPKs의 단백질 인산화 실험에서 JNK 단백질의 인산화는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ERK, p38단백질의 인산화는 LPS군과의 차이가 없었다. 동물 실험에서 萬金湯은 LPS군에 비해 면역 세포수는 백혈구, 호중구, 단핵구 수 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혈청 내 PGE2, Cytokine 생성량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萬金湯은 LPS군에 비해 iNOS, COX-2, Cytokine의 유전자 발현량 및 단백질 발현 량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MAPKs의 단백질 인산화 실험 결과 p38, ERK, JNK 단백질의 인산화 모두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으며 특히 JNK 단백질의 인산화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萬金湯은 JNK 단백질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염증 반응 억제에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염증성 질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Mangeum-tang, Anti-inflammatory, Herbal medicine

      • 軍服務關係에 관한 公法的 硏究

        민병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박사

        RANK : 1871

        군복무관계는 특별행정법관계의 한 유형으로 인식되어왔다. 군복무관계가 전통적인 특별행정법관계의 한 유형으로 인식되어진 이유는 군이라는 제도(조직)가 다른 사회집단과는 구별되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군이 가지는 특수성에 대해서는 사회학적 관점과 문화적 관점에서 다양한 논의들이 있었다. 군이라는 조직이 가지는 특수성으로는 목적의 절대성, 집단성, 명령·복종성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군의 특수성은 결국 법률관계를 형성하는 군사행정법관계와 군복무관계에 까지 이어지며 그 결과 군복무관계는 특별행정법관계로서 일반행정법관계와는 구별되어 포괄적인 지배권이 인정되었다. 특히 군의 특수성 중 명령·복종성은 이러한 포괄적 지배권을 더욱 강하게 인정하는 특수성으로 작용한다. 특별행정법관계의 전통적인 이론에 비판이 가해졌으며 그러한 비판의 주요 내용을 결국 특별행정법관계에도 법치주의 원리가 적용되어 구성원의 기본권 제한과 포괄적 지배권은 법률의 유보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하며 특별행정법관계 내에서 구성원에게 행한 행위도 사법심사의 대상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별행정법관계 이론에 대한 변화는 특별행정법관계의 한 유형이라 할 수 있는 군복무관계에도 적용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군복무관계에서도 군의 구성원인 군인의 기본권을 제한하고 포괄적 지배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법률의 수권이 필요하고 기본권을 제한하는 경우에도 기본권 제한의 일반원칙들을 준수해야 한다. 그리고 군복무관계에서 구성원에 행한 행위가 구성원의 법률상 이익을 침해하는 경우에는 언제나 사법심사의 대상이 된다. 이처럼 특별행정법관계에 대한 전통적인 이론이 수정되어 군복무관계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에는 이론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특별행정법관계에 대한 수정된 견해들이 실제적으로 어떠한 형태로 어떠한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지에 대해서는 종합적인 연구가 미흡한 점이 없지 않다. 특히 군복무관계에 있어서는 여전히 일반행정법관계와는 구별되는 것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나아가 다른 특별행정법관계의 한 유형이 일반공무원관계와도 구별되는 것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법률유보의 원칙들이 얼마나 또 어떤 모습으로 지켜지고 있는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오늘날 군대는 국민의 군대, 민주화된 군대를 표방하고 있다. 이러한 군대의 변화가 단순히 슬로건이나 보여주기 식으로 끝나지 않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게 군복무관계에서 그 동안 경시되었던 구성원의 기본권과 권리 보호에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군복무관계에 있어서 기본권의 제한과 법률유보의 원칙, 사법 심사의 가능성 등이 얼마나 적용되어지고 있는지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군복무관계를 크게 성립과 유지·관리, 종료의 세부분으로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서 문제점으로 제기되었던 기본권 침해에 관한 문제와 법률적인 문제점들을 고찰함으로써 특별행정법관계인 군복무관계에서의 기본권 제한의 정도와 법률유보 원칙의 적용 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문제점을 제시하고 나아가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초점을 두기로 한다. 군복무관계의 성립의 경우에는 남성만의 병역의무 부담의 문제와 양심적 병역거부와 관련된 기본권 침해의 문제가 제기된다. 군복무관계의 유지·관리에 있어서는 대통령령이 군인복무규율에 의한 군인의 기본권 제한의 문제와 영창제도에 의한 군인의 신체의 자유의 제한에 대한 문제, 그리고 군인의 이중배상금지에 따른 국가배상청구권의 제한 문제가 있다. 군복무관계의 종료에 있어서는 종료관계에서 나타나는 다른 특별행정법관계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수한 유형으로 전역과 전역보류에 따른 기본권의 제한 문제와 더불어 군복무관계 종료 후에 법률에 의해서 공헌에 대한 보상으로 주어지는 각종 혜택을 통하여 제한된 기본권의 회복과 그에 대한 보상체계에 대한 법적 검토가 필요하다.

      • 외래 검사실의 검사소요시간 단축전략

        이승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서론: 검사소요시간 (Turnaround time, TAT)는 임상의들이 검사의 질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중의 하나이다. TAT의 정의에 대해서는 문헌에 따라 다른데, 서울아산병원에서는 검체의 접수시간부터 결과보고 시간까지로 정의한다. TAT는 각 검사항목별 보고시간 기준으로 90%이상 보고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외래 당일 진료의 경우 진료 전 Routine chemistry검사는 접수 후 60분내 90%이상 보고되어야 한다. 서울아산병원에서는 여러 방식으로 TAT를 감소시켜왔으나 외래 환자수의 증가로 인해 목표 TAT를 만족하는 검체의 분율은 2009년 98.0%에서 2018년 77.4%로 저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검사장비의 증설과, 자동검체전처리장비에 선입선출 알고리즘 도입이 얼만큼 TAT를 단축시키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19년 12월-2020년 1월, 서울아산병원에 접수된 외래일반화학검체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TAT는 검사전단계, 검사단계, 검사후단계로 나눴으며, 검사전단계는 다시 채혈대기시간, 채혈시간, 검체운송시간, 검체전처치시간으로 세분하였다. 각 TAT 구간의 체크포인트는 검사실정보시스템 (Laboratory information system, LIS)에 기록된다. 2020년 6월부터 검사장비가 증설되었고 2020년 9월부터 자동검체전처리장비에 선입선출알고리즘이 도입되었다. 각 시점의 자료를 가지고 2019년 12월-2020년 1월과 같은 방법으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2019년 12월-2020년 1월까지 70.53%가 목표TAT를 만족하였다. 검사장비 증설 후 목표TAT달성분율은 76.40%로 증가하였으며, 선입선출알고리즘 도입 후에는 80.89%로 증가하였다. 고찰 및 결론: 외래 자동화검사실의 검사장비 증설 및 선입선출 알고리즘 도입으로 외래 TAT의 평균값과 표준편차가 단축되었다. 이에따라 임상의와 환자의 만족도가 증가할것이라 사료된다.

      •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업 수용 양상

        유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세계화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이 많은 인적, 물적 교류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교육현장에도 다양한 문화적 교류를 대비하기 위한 다문화 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다문화 교육에 대한 실질적 목표와 내용을 갖추지 못하고, 피상적인 구호만 외치고 있는 실정이다. 다문화 학습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도 부족하다. 많지 않은 기존 현장연구들은 대부분 수업 투입에 따른 단편적 결과를 묻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존의 강의식 수업 방식에 비해 체험활동이 결과적으로 효과가 높음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연구자의 경험에 비추어 오차가 많았다. 기존 연구들이 제한된 실험만으로 교육 효과를 단순화하고 있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결과보다 과정의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찰과 면담의 방법을 활용하여 다문화 학습 과정에서 수업 방식, 학습자의 선행 경험, 수업의 반복,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학습자에게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2개 학급 총 67명의 학생을 2년간 실층 조사하면서, 첫째, 수업 방법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강의식 수업과 체험활동식 수업을 실시하고 그 양상을 비교하여 보았다. 또 1년 경과 후의 효과 차이는 어떠한지 조사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외국어 능력과 선행 경험에 따른 수용 양상을 비교하였다. 셋째, 체험활동식 수업이 여러차례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습자 중심에서 학습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다문화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조사에 참여한 고등학생의 경우 1회 실시에서는 체험활동식 수업보다 강의식 수업에 대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1년 후 조사 대상 학생들을 다시 면담해 본 결과 강의식에 비해 체험활동식 수업의 잔상이 더 명확하게 남아 있었다. 둘째, 외국어 능력과 선행 경험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수업의 반복에 있어서도 단순히 수업 횟수에 따라 학습 효과가 증가하지는 않았으며, 수업 내용의 구성에 따라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다문화학습은 무조건 체험활동식 학습이어야 한다는 주장은 지나친 일반화이다. 학생들은 학습자가 고려된 강의가 보다 학생중심이라고 응답했으며, 체험활동식 학습도 어떻게 내용을 구성하느냐에 따라 효과에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기존의 무조건 쏟아내기식 학습이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려우며, 효과적인 다문화 학습을 위해 학습자 중심의 다각적인 심층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문화 학습에 있어 체험의 양적 증가에 앞서 질적 개선에 대한 숙고가 필요하다. 우리 교육은 당장 보이는 결과와 양적인 투입에 매달리는 경우가 많았다. 교육 목표와 내용이 학습자에게 어떻게 전달되고, 효과를 발휘하는지 제대로 된 검증을 하여야 한다. 이 후 학습자 눈 높이에 맞춘 학습자 발달 단계별 다문화 학습 방법 및 전략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 복합운동이 비만 남자중학생의 건강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배상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는 복합운동이 비만 남자중학생의 건강체력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대상은 P시에 소재하는 S, G 중학교 체질량지수가 25kg/㎡ 이상이고 평소에 규칙적인 운동을 실시하지 않는 비만 남자중학생 1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합운동집단, 통제집단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각 집단별로 9명씩 배정하였다. 연구 참여자 모두 실험 전과 후에 건강체력 변인(악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체질량지수)과 혈중지질 변인(총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측정에 성실히 참여하였다. 복합운동은 일주일에 3회, 매회 80분씩 12주간 규칙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을 통해 수집된 모든 자료는 Windows용 SPSS ver.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먼저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 분석을 통해 모든 변인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 값으로 동질성 검사를 위해 독립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고, 각 집단(복합운동, 통제)별 사전 사후 운동 효과 검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분석을 위한 유의수준은 a=.05로 설정하였으며, 이 실험을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 복합운동 처치 후 비만 남자중학생의 건강체력 변화를 살펴보면 악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순발력에 대한 복합운동집단의 사전 ᠊ 사후 평균값들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집단 간 변화에서는 악력과 체질량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12주 복합운동 처치 후 비만 남자중학생의 혈중지질 변화를 살펴보면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에 대한 복합운동집단의 사전 ᠊ 사후 평균값들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의 경우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총콜레스테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 간 변화에서는 중성지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12주 복합운동이 비만 남자중학생의 건강체력과 혈중지질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특히, 유산소운동과 저항운동을 함께 병행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성장 시기인 중학생의 건강증진과 비만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연구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obese middle school boys' health fitness and blood lipids. The subjects were 18 male obese students with more than 25kg/㎡ of body mass index who do not regularly exercise and attend G middle school located in S city, P provinc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combined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9 students were assigned to each group. All of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measurement sessions for health fitness variables(grip strength, cardiopulmonary endurance, flexibility, quickness and body mass index) and body lipid variables(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 cholesterol)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combined exercises consisted of 3 sessions(80 minutes) per week which lasted for 12 weeks(total 36 sessions). All documents collected through the measurement were analysed by SPSS 21.0 for Windows. Means(M) and standard deviations(SD) for the study variables were calculated through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o do equivalence check with preset value, independent t-test was used. In addi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before-and after-treatment for each group, a paired t-test was administered. The significance level( α )for all statistic analysis was set at.05( α ).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As for the change in health fitness among the male obese students after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and after-treatment in the means of grip strength, cardiopulmonary endurance, flexibility and quickness within the exercise group, wherea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me variables with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s of grip strength and body mass index between two groups. 2) As for the change in blood lipid among the male obese students after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and after-treatment in the means of total cholesterol, HDL and neutral fat within the exercise group .On the contrar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DL, neutral fat and LDL within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re was differences in the means of total cholesterol. Also, It showed mean differences in the part of neutral fat between the groups. To conclude, the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health fitness and blood lipids among the male obese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found that the combined exercises with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exercise enhanced health and reduced the risk of obesity among those students who were in times of growth. This finding would be a positive implication of this study.

      • 기상재해가 유입교통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2014년 2월 강원도 대설사례를 중심으로 -

        김건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The data about the scale of damage caused by heavy snowfall in South Korea can be used to measure the amount of direct damage, but there still a limit in estimating the amount of indirect damage. However, the condition after the snowfall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recover into the normal situation. Natural disaster caused by the heavy snowfall can produce the social benefits and costs not only during the disaster period, but also during the recovery period. Therefore, the estimation of the recovery period after a heavy snowfall may have a significant meaning as a material for measuring the indirect cost. In this study, the impact of the heavy snowfall which happened in February 2014 on the number of cars entering the highway and train passengers was analyzed by time-series regression. The analysis is using the traffic volume of 9 highway tollgates located in the Young-Dong region, meteorology data such ASOS(daily maximum depth of new snowfall), and also the data from the passengers in Gangneung st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during the heavy snowfall period, the inbound traffic volumes of the tollgates in the Young-Dong region decreased up to 40~78% when compared with those of days when no snowfall was observed during the study period. Also until 4 or 5 days after the heavy snowfall period, the traffic volumes have returned in normal level in all of tollgates.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passengers who reached Gangneung station increased up to 60% during the heavy snowfall period and the increasing tendency was sustained up to five days after the heavy snowfall ends. Through this study, we can find that the negative impact of the heavy snowfall on inbound traffic volume was sustained up to 3 or 4 days after the heavy snowfall period. Mayb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removal of the deep snow after the disaster period took substantial time. This suggests that in the area where this kind of disaster happened, local economy chaos could just be sustained up to several days after the day when the extreme weather causing the disaster stops and the indirect damage during the disaster recovery period should be also reconsidered as a big concern. 국내에서 폭설로 인한 피해규모를 공표하는 자료들은 직접적인 피해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정보로써 간접적인 피해정도를 가늠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자료이다. 하지만 눈은 정상적인 상황으로 복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눈으로 인해 발생되는 자연재해는 재해기간 외에도 복구기간에 발생하는 사회적인 편익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폭설기간 이후에 회복되는 기간의 추정은 간접적인 비용을 측정하기 위한 자료로써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4년 2월에 발생한 대설사례를 중심으로 폭설이 고속도로 유입교통량과 열차 이용객 수에 미치는 영향을 시계열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영동지역에 소재한 9개 고속도로 톨게이트 유입교통량과 기상청 ASOS 최심신적설 관측치, 강릉역 이용객 수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폭설기간에는 강설이 관측되지 않은 날에 비해 약 40%~78%정도가 감소하였고 폭설기간이 종료되고 4일~5일이 지난 후에 모든 톨게이트에서 비강설시의 유입교통량 수준으로 회귀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반면에 강릉역 이용객 수에서는 폭설 종료 후 5일째까지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증가추세는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한 결과를 나타냈지만 4일째 되는 날(토요일)에는 다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요일변수 중 토요일에 20%정도 증가한 결과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폭설로 인한 영향으로 인해 일정 기간이 지난 후 유입교통량이 회복되는 것은 방문객의 감소는 폭설기간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폭설로 인한 제설, 기상청 예보, 언론의 보도, 개인의 안전 중시 성향 등으로 인해 방문객이 기상재해 피해지역을 방문하는데 있어 방문의사를 고려하게 되는 기간이 포함된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는 기상재해로 인해 지역경제가 혼란이 야기된 지역에서는 재해기간 내의 직접적인 피해와 그로 인해 회복되는 기간 동안의 간접적인 피해 또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