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일본의 영어교과서 비교 : 언어요소를 중심으로

        황하나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8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on middle school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Considering that grammar plays an important role in language, and that preceding studies have compared textbooks in a large extent;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textbooks, activities in 4 skills, grammar, communicative functions, vocabularies and so forth, this study was performed focusing on the arrangement of the grammar in the textbooks. For the study, nine middle school textbooks -the whole graders' textbooks from 3 publishing companies- from each country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Prator's hierarchy of difficulties’, it was analyzed that how 10 grammar points were arranged in the textbooks.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Selected 10 grammar points are personal pronoun, be-verbs, present simple verbs, past simple verbs, singular and plural nouns, interrogatives, auxiliary verbs, conjunctions, relative pronouns, comparative and superlative forms. First, in the case of the personal pronouns / be-verbs / present simple verbs, they are arranged in the first lessons in the Korean textbooks. However, in the Japanese textbooks, the first and second personal pronoun, be-verbs of 'am' and 'are', and present simple verbs of first and second personal pronouns are arranged in the first lesson and the third personal singular pronoun, be-verb of 'is' and the present simple verbs of third personal singular pronoun are arranged after 2 lessons. Secondly, in the case of the past simple verbs, regular verbs and irregular verbs are arranged in the one lesson in Korean textbooks. In Japanese textbooks, however, regular verbs are taught in one lesson before irregular verbs are taught. Thirdly, while the singular and plural nouns are arranged after the personal pronouns and the present simple verbs in Korean textbooks, those are arranged between the first, second personal pronouns and verbs and the third personal singular pronouns and verbs. Fourthly, in Korean textbooks, interrogatives are arranged after students learn interrogative sentences using be-verbs and present simple verbs. Meanwhile in Japanese textbooks, interrogatives are arranged after interrogative sentences using be-verbs are taught so that students can expand their abilities into interrogative sentences using simple verbs smoothly. Fifthly, the auxiliary verbs are taught before teaching conjunctions in Korea. However, in Japan, those are taught after conjunctions. Sixthly, in case of conjunctions, relative pronouns, comparative and superlative forms, those are arranged in a row in Korean textbooks. But in Japanese textbooks, comparative and superlative forms are introduced first and then conjunctions and relative pronouns are arranged.

      • 최초 명의신탁재산에서 파생된 주식에 대한 증여의제 과세범위 연구

        황하나 서울시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879

        Recently, the Supreme Court has shown a tendency to limit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icle 45-2 (1)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In the 2011-Du10232 case, the first case in which the Supreme Court had limited the range of title trusts which shall be deemed to be gifts,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if shares had been acquired with the sale proceeds of other shares which had been subject to an initial title trust and registered again under the name of the trustee of that initial title trust, such registration of shares shall not be seen as a title trust which shall be deemed to be a gift. The Supreme Court decision is based on the grounds that if the gift deeming provision were to be applied again to shares acquired with the sale proceeds of other shares which had been subject to an initial title trust and registered again under the name of the trustee of that initial title trust, such application could lead to negating the legal effects of the first gift deeming and that it would also be against taxation equity in the sense that too much gift tax could be imposed compared to when such shares or their sale proceeds were to have been gifted to the trustee at the first place. Since then, based on the same legal principle, the Supreme Court has also denied the application of the gift deeming provision in other cases where the trustee of an initial shares title trust had, through various types of shares transactions such as all-inclusive exchanges of shares, mergers and exercises of conversion rights of convertible bonds, acquired new shares replacing the old ones which had been subject to the initial title trust. However,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validity of the Supreme court’s judgment considering that no provision in the relevant laws including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provides for either an exception to applying the gift deeming provision to a title trust entrusted for the purpose of evading tax or a tax exemption similar to which can be seen in additional tax law.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d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aforementioned gift deeming provision and reviewed the validity of the grounds for limiting its scope of application set forth by the Supreme Court along with the problematic situations which could be caused by following the ruling of the Supreme Court.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of this pape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formed after the 2011-Du10232 decision show a tendency of narrowing the gift deeming provision’s scope of application based on unwritten legal principles such as taxation equity without any mentioning on the legal requirements stipulated in Article 45-2 (1)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such as the purpose of evading taxes. Especially, despite the fact that the factual background of how the trustee of an initial share title trust reacquired the new shares replacing the old ones which had been subject to the initial title trust is different in each case, the Supreme Court is denying dual application of the gift deeming provision mechanically and without sufficient reasoning. Second, whether registering shares acquired with the sale proceeds of other shares which had been subject to an initial title trust under the name of the trustee of that initial title trust shall be deemed a gift must not to be determined in the uniform way suggested by the Supreme Court, but on a case-by-case basis depending on whether the transaction derived from the initial title trust in each case meets the legal requirements set forth in Article 45-2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Third, if the Supreme Court’s ruling were to be applied even in cases where it is impossible to impose gift tax on the initial title trust in accordance with Article 45-2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due to reasons such as the expiration of the imposition period, such application would lead to consequences that are contrary to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provision. To judge that the provision is not applicable in such cases by reason that the shares were acquired by the trustee of the initial title trust despite the fact that subsequent title trusts are still being repeatedly entrusted with tax evading purposes would disable the sanctioning function of the gift deeming provision and is beyond the limits of the legal interpretation. Fourth, although the penalty imposed by the dual application of the aforementioned gift deeming provision may cause excessive burden to the relevant taxpayers, narrowing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icle 45-2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by interpretation which lacks any relevance with the legal requirements stipulated in the Article shall not be regarded as an acceptable solution to this problem as this is a problem to be solved through strict legal interpretation. 최근 대법원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 제45조의2의 적용범위를 축소시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명의신탁 증여의제 범위를 제한한 첫 사건인 대법원 2017. 2. 21. 선고 2011두10232 판결에서는 최초 명의신탁 주식의 매도대금으로 취득하여 다시 동일인 명의로 명의개서된 주식은 명의신탁 증여의제의 적용대상이 될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명의신탁재산의 처분대가로 새로운 주식을 취득한 후 종래 명의수탁자가 명의개서를 마친 경우 다시 증여의제 조항을 적용하게 되면, 최초의 증여의제 효과를 부정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고, 애초에 주식이나 그 매입자금이 증여된 경우에 비하여 지나치게 많은 증여세액이 부과될 수 있어 형평에 반한다는 이유에서다. 그 이후 대법원은 최초 명의신탁 이후 주식의 포괄적 교환, 합병, 전환사채의 전환권행사 등으로 새로운 주식을 취득한 사안에서도 같은 논거를 들어 증여의제 조항의 적용을 부인하였다. 그러나 상증세법을 비롯한 관련 법령에서는 조세회피목적의 명의신탁 행위에 대해 증여의제 조항의 적용이 제외되는 경우를 정하고 있지 않고, 가산세에서 볼 수 있는 세액 감면규정도 두고 있지 않다. 이 점에서 대법원 판례의 타당성을 따져볼 필요가 생긴다. 이를 위해서 명의신탁 증여의제 규정의 법적 성격을 규명하고, 판례가 명의신탁 증여의제 범위를 축소시키기 위해 일률적으로 들고 있는 논거의 정당성과 그로 인해 야기되는 문제 상황을 검토하였다. 이 글의 논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대법원 2011두10232판결 이후에 형성된 대법원 판례는 조세회피목적 등 상증세법 제45조의2 제1항에서 정한 명문의 요건에 대해서는 아무런 판단을 하지 않고, 과세형평 등 불문의 법리를 들어 증여의제 적용범위를 축소시키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동일인 명의로 새로운 주식을 취득하게 된 원인관계가 서로 다른 사실관계에 터잡고 있음에도 충분한 논증 없이 증여의제 중복적용의 부정이라는 기계적 결론에 이르고 있다. 둘째, 판례와 같이 최초 명의신탁 주식을 처분한 후 그 처분대가로 새로운 명의신탁재산을 취득하고 나아가 동일한 명의수탁자 명의로 명의개서를 마친 경우, 증여의제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는 일률적으로 판단할 근거가 없고 최초 명의신탁 이후에 이루어진 거래특성을 살펴 상증세법 제45조의2의 과세요건에 부합하는지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셋째, 최초의 명의신탁 행위에 대해 부과제척기간의 도과 등으로 상증세법 제45조의2에 따른 증여세 부과처분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최근 대법원 판례논거를 그대로 따른다면 동 조항의 입법취지에 반하는 결과가 발생하게 된다. 조세회피목적의 명의신탁 행위가 반복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일인 명의로 취득한 주식이라는 이유로 위 조항이 적용될 수 없다고 판단하는 것은 증여의제 조항의 제재적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것으로서 법 해석 작용의 한계를 벗어난 것이다. 넷째, 명의신탁 증여의제에 따른 제재가 자칫 과도한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 하더라도 상증세법 제45조의2 제1항의 규정과 무관한 요건으로 축소해석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고, 엄격한 법 해석을 통해 해결할 문제이다.

      • US-fenton 산화법에 의한 난분해성 절삭가공폐수의 처리

        황하나 경상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879

        To effectively treat cutting oil wastewater, ultrasonication(US)-fenton process which is one of the advanced oxidation process was used.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of H₂O₂ and FeSO₄, pH, sonication time and FeSO₄ substitution in batch experiment for determining the optimum treatment conditions of cutting oil wastewater were investigated. Treatment efficiency,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and decomposition velocity of non-biodegradable pollutants were investigated.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of batch experiments,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pilot plant of US-fenton process, the pollutants treatment efficiency of three methods such as US-fenton process, activated sludge process and coagulation process in continuous experiment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optimum conditions of US-fenton process in batch process were 10% of the H₂O₂ treatment, 3g/ℓ of FeSO₄, pH 3 and 30min of ultrasonication time. The removal rates of COD_(Cr), COD_(Mn), SS, T-N and T-P at optimum conditions were 96, 94, 92, 68 and 95%, respectively. Judging from the results of coagulation process and US-fenton process, it identified non-degradable pollutants such as EDTA and Triethanolamine(TEA) in the wastewater produced at batch furnace, continuous furnace and FMPS process were existed. To investigate the decomposition of EDTA and TEA by US-fenton process, the variations of each compound by UV scanning and TLC were exami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UV scanning of two compounds of treated water by coagulation process was similar to that of raw water. But that by US-fenton process was different from that of raw water. This meant that EDTA and TEA were decomposed by US-fenton process. Like UV scanning, the TLC spot of treated water by US-fenton process was different from that of raw water. The results of decomposition velocity of pollutants at EDTA and TEA decomposition by US-fenton process was that decomposition velocity constant of COD_(Cr), COD_(Mn), T-N and T-P of EDTA decomposi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EA decomposition. To study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pilot plant of US-fenton process, the pollutants treatment efficiency of three methods such as US-fenton process, activated sludge process and coagulation process in continuous experiment were compared. The removal rate of pollutants by US-fenton process according to the effluent time were higher than any other processes. The removal rates of COD_(Cr), COD_(Mn), SS, T-N and T-P by US-fenton process were 98, 97, 93, 75 and 95%, respectively.

      • 창의적인 상품기획을 위한 디자인적 사고 연구

        황하나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879

        The theme of design as a business strategy in company management is the part to conduct diversified discussions and researches.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USA conduct active researches with Steve Jobs, the CEO of Apple and Tim Brown, the CEO of IDEO as leaders of business thinking on the basis of design thinking before about ten years. Korean companies has been making active efforts to design companies on the basis of design management but visible performances are not suggested in the company design management in the meaning to plan strategies of company and apply design as an important management resource of company through design thinking within company compared to design in the primary meaning to expand identity by designing products or images and its way or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is slight, too. At this poin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guideline of process to plan products through design thinking made as a tool of management finally by studying how design thinking applies in marketing and planning products which is the front line of the management and how its performance would be achieved deeply and investigating effects of design management on company. The thesis has three part in large: First, it would be examined consideration on business thinking, intuitive thinking and design thinking and cases of company products which are winning success by adapting those, and general comprehension of product planning. Second, it would be suggested process model to plan products on the basis of design thinking which is an integrated thinking and clear process model to plan products through its boundary, area and effects and adaption. Third, it would be considered correlation of design strategy and process model to plan products by adapting suggested process to actual case to plan products. The process model to plan products is conducted in the order of decision making to develop brand, idea launching, brand concept, product development and marketing strategy, and process model to plan products would be suggested with design thinking by categorizing per thinking to be applied more per each stage. However, design thinking is not a primary problem which can be added in a part but should be applied in a holistic thinking, so it would be promoted innovation in the central axis of economic activity to be moved divergent thinking, fresh idea, sensitivity and intuition, balance between inspiration and analytic thinking and knowledge and service creation by adapting design thinking by using visual metaphor, contextual comprehension of problem, communication with costumers, human-centered way of thinking which is the problem solving method of designers continuously among the whole process performanc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suggest a method about strategic application of product design according to the purpose when companies would plan products by drawing a conclusion that strategies on the basis of design thinking in the process to plan products to apply design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design in the strategic dimension of company management through overall thinking system used in business. 기업 경영에 있어 경영 전략으로써의 디자인이라는 주제는 다각적으로 토론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이다.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10여 년 전부터 디자인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비즈니스 사고에 대해 IDEO의 CEO Tim Brown과 Apple의 CEO Steve Jobs를 필두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 기업에서도 디자인경영을 바탕으로 기업을 디자인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제품이나 이미지를 디자인하여 아이덴티티를 확장해 나아가는 일차적 의미의 디자인에 비해 정작 기업 내에서 디자인을 기업의 중요한 경영자원으로 활용하고 기업의 전략을 디자인 사고를 통해 계획하는 의미에 있어서의 기업 디자인 경영에서는 가시적인 성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그 방법이나 실효성의 검증 또한 미미한 실정이다. 이 시점에서 본 연구는 경영의 최전선인 마케팅과 상품기획에 있어서 디자인적 사고가 어떻게 활용되고 그에 대한 성과가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심도 있게 연구해보고, 디자인 경영이 기업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조사해 최종적으로는 경영의 도구로서 만들어진 디자인적 사고를 통한 상품기획 프로세스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논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진행되는데 첫째, 비즈니스 사고와 직관적 사고, 그리고 디자인적 사고에 대한 고찰과 그를 적용해서 성공을 거두고 있는 기업의 상품 사례, 그리고 상품기획의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상품기획 프로세스 내 디자인적 사고의 필요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둘째, 통합적 사고인 디자인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상품기획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하고 그 범위와 영역, 효과와 적용을 통해 명확한 상품기획 프로세스 모델을 제시한다. 셋째, 실제 상품기획 사례에 제시한 프로세스를 적용해 봄으로써 상품기획 프로세스와 디자인 전략의 상관관계에 대해 고찰해본다. 상품기획 프로세스는 브랜드 개발 의사결정, 아이디어 발상, 브랜드 컨셉, 상품 개발, 마케팅 전략의 순서로 진행되며, 각 단계별로 더 많이 활용되어야 할 사고별로 분류를 해 디자인적 사고를 갖춘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하지만, 디자인적 사고라는 것은 프로세스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추가할 수 있는 일차원적인 문제가 아니라 전체적인 사고에서 활용되어야 하는 것이기에 전체 프로세스 수행 중 지속적으로 디자이너들의 문제 해결 방법인 인간중심적인 사고방식,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문제의 맥락적인 이해, 시각적인 비유를 사용해 디자인적 사고를 적용하고, 직관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의 적절한 균형인 디자인적 사고의 적용을 통해 확산적 사고, 참신한 아이디어, 감성과 직관, 영감과 분석적 사고의 균형, 지식과 서비스 창출로 이동하는 경제활동의 중심축에서의 혁신을 도모한다. 본 연구는 비즈니스에서 이용되는 전반적인 사고체계를 통해 기업의 경영 전략적 차원에서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상품기획 과정에서 디자인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해 내어, 기업에서 상품기획 시 그 목적에 따른 상품 디자인의 전략적 활용에 대한 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국내 항공사와 객실승무원의 브랜드 컬러 이미지에 관한 연구

        황하나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879

        Brand images deliver the unique images of the company by means of a variety of media, and the majority of consumers generally accept the brand identity(BI) as companies intend to present. Among the BI elements encountered by consumers,‘visual’images would stay for the longest time in the mind of customer, of which‘color', a sub elements of visual images has a symbolic meaning, which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and variously by viewers. In particular, since color is projected with the emotion of an individual, so it is considered to be a crucial factor that influences the customers brand prefer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rand image of domestic airlines and cabin crew. It is ultimately intended to contribute to construct the image of the company, which the customer is reminded consistently with images that companies wish to be recognized. Also, it aims to build up more influential brand images of airlines and cabin crew uniforms. This empirical study i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 where subjects are presented with the visual elements (symbol and logo, airplane, uniform) of the 8 domestic airlines and asked respond their subjective opinion and preference on color and its combination, color image of airline and cabin crew, and brand color imag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full service carriers(FSC) of airline industry,‘Korean Air and Asiana Airlines’adapted Korean traditional 5 colors, rooted cosmic dual forces‘yin and yang and five elements ideology’, for their brand colors. Also, Taeguek and colorful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image are embodied in their brand images. In addition, since these brands have been position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customers have reminded the brand color image consistently with the companies. Results also found that the low cost carrier(LCC),‘Tway Airlines, Air Busan, and Jin Air’have adapted intense or unique colors and its combination, so respondents are not limited to the‘Cheerful’category that three airlines commonly focused on, but have selected a variety of dynamic adjectives within a similar range. Whereas,‘Jeju Air, Easta Jets, and Air Seoul' adapted brand unique color at less significantly in the uniforms of the crew members. As a result, consumers’images on these carriers are inconsistent with the company’s intend to deliver. Furthermore, in the questions about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n the color of crew uniform, it showed the high rate of negative perception toward‘Jin Air, Easta Jets’and‘Air Seoul' also show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non-preference toward the color of crew uniform. In contrast,‘Korean Air' was identified with the highest level of preference in this aspect. With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derived for brand color images. First,‘Korean Air and Asiana Airlines' have relatively well established of their brand images, but because of the brand exposure to customers for a long period time already, it may give the sense of mannerism. Thus,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existing strengths of the sense of stability, but to invest to deliver special and fresh brand image through advertisement. Second,‘Tway Air, Air Busan, and Jin Air' may have to adjust the color and its ratio in the brand image, so that the image scale that is currently dispersed could be focused to deliver the images clearly to customers. Third,‘Jeju Air, Easta Jets, and Air Seoul' have highly inconsistent image in the customer from the companies wish to be perceiv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olor arrangement and design of the crew uniform. Fourth,‘Jean Air, Esta Jets and Air Seoul’since they have a relatively high negative responds to the uniform color of the crew, may have to have a new perspective on the colors in their uniforms. Finally, this stody has drawn out positive or negative feedback from customers regarding the brand image of domestic airlines and cabin crew.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existing and new airline carriers when the existing domestic airlines construct a color image, as an important element of brand identity,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as well as when a new airline build up the color image of brand. 브랜드는 다양한 매체를 통해 고유의 이미지를 전파하고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기업이 의도한 BI(brand identity)를 보편적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BI 요소 중 가장 오랫동안 뇌리에 머무르는 것은‘시각’이며, 시각의 세부 요소인‘컬러’에 대한 상징적 의미는 보는 이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된다. 특히 컬러는 개인의 감성이 투영되므로 고객의 브랜드 이미지 선호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국내 항공사와 객실승무원의 브랜드 컬러 이미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기업과 고객이 연상하는 이미지의 일치를 위해 기여하며, 영향력 있는 항공사 브랜드와 승무원 유니폼 이미지를 확립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설문 대상자에게 국내 8개 항공사의 시각적 이미지인 심벌 및 로고·항공기·유니폼을 제시한 후 컬러와 배색 선호도, 항공사와 객실승무원의 컬러 이미지, 브랜드 컬러 이미지에 관한 소비자의 주관적 견해에 관하여 실증연구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형 항공사인‘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은 동양 음양오행 사상에 기반을 둔 한국의 전통적 색상인 오방색을 브랜드 컬러로 활용하였다. 또한 전통적 이미지인 태극문양과 색동무늬를 각기 형상화하여 브랜드 이미지로 나타냈다. 또한 오랜 기간 이루어진 브랜드 포지셔닝(brand positioning)으로 기업과 소비자가 연상하는 브랜드 컬러 이미지가 일치한다. 저비용 항공사인‘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진에어’는 강렬하거나 독특한 배색을 활용하였다. 이로 인해 응답자들은 3개의 항공사가 공통적으로 추구하는‘경쾌한’의 범주에 한정되지 않고, 유사 범위 내의 동적 형용사를 다양하게 선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제주항공, 이스타항공, 에어서울’은 브랜드 고유 컬러를 승무원의 유니폼에 적은 비중으로 활용하였다. 이로 인해 기업과 소비자가 인식하는 이미지가 상반되게 나타났다. 또한 승무원 유니폼 컬러에 관한 긍정 대비 부정 비율은‘진에어, 이스타항공’이 매우 높았으며,‘에어서울’또한 비교적 높은 수준의 상대적 비 호감을 야기한다고 나타났다. 반면‘대한항공’은 가장 높은 수준의 호감을 유인하는 유니폼 컬러로 확인되었다. 브랜드 컬러 이미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은 브랜드 컬러 이미지가 비교적 잘 구축되어 있으나 오랜 기간 동안의 노출로 인해 고객에게 매너리즘을 유발 할 수 있다. 기존의 안정적인 강점은 유지하되 광고 등을 통해 특별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둘째,‘티웨이항공, 에어부산, 진에어’는 현재의 분산된 이미지스케일을 명확히 구축하기 위해 브랜드의 배색과 색조 비율을 적절히 조절해야 한다. 셋째,‘제주항공, 이스타항공, 에어서울’은 고객의 인식과 기업이 추구하는 이미지가 매우 상반되므로 승무원 유니폼의 컬러 배치와 디자인을 재점검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승무원의 유니폼 컬러에 관해 긍정적 반응보다 부정적 반응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진에어, 이스타항공, 에어서울’은 유니폼의 색상 활용에 대해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논문은 국내 8개 항공사와 객실승무원의 브랜드 컬러 이미지에 대해 항공사 이용 고객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의견을 도출해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국내 항공사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브랜드 컬러 이미지를 새롭게 변화하거나, 신규 항공사의 이미지 구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과 브랜드 충성도, 온라인 경험가치의 관계 :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황하나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879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loyalty and online experience value, focusing on a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 of social media, interac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Instagram, the most actively used social media platform in Korea,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llowing coffee shop/café accounts on Instagram. This study examined how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affects the two sub-factors of brand loyalty, attitudinal brand loyalty and behavioral brand loyalty, and whether attitudinal brand loyal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and behavioral brand loyalty. This study also explored whether two sub-factors of online experient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and aesthetic value, have any relationship with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and brand loyalt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ach of the two sub-factors of brand loyalty. This means, the higher the corporate-consumer interaction, the higher both the attitudinal brand loyalty and behavioral brand loyal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inal brand loyalty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and behavioral brand loyalty. Also,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nline experiential value on Instagram and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was studie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orporate-consumer interaction, the higher both the entertainment online experiential value and aesthetic online experiential value. Lastly, we examined whether either one of the sub-factors of online experiential value, entertainment value and aesthetic valu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consumer interactivity and behavioral brand loyalty, but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as found.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의 대표적 특성인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하여 브랜드 충성도 및 온라인 경험가치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셜미디어 플랫폼 중에서도 최근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인스타그램을 기준으로, 커피전문점 계정을 팔로우 하는 20, 30대 여성 소비자 22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이 브랜드 충성도의 두 가지 하위요인인 태도적 브랜드 충성도와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과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를 태도적 브랜드 충성도가 매개하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온라인 경험가치의 하위요인 중 유희성 온라인 경험가치와 심미성 온라인 경험가치는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 및 브랜드 충성도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은 브랜드 충성도의 두 가지 하위요인 각각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즉,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이 높을 수록 태도적 브랜드 충성도와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는 모두 높았다. 둘째,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과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를 태도적 브랜드 충성도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스타그램에서 일어나는 온라인 경험가치가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과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알아보았을 때,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이 높을 수록 유희성 온라인 경험가치와 심미성 온라인 경험가치 모두 높았다. 마지막으로, 유희성 온라인 경험가치와 심미성 온라인 경험가치가 기업-소비자 상호작용성과 행동적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는데, 유의미한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 관상동맥경화증 환자에게 체중감소 및 남성호르몬 투여에 따른 체지방 분포, 혈청 지질 농도 개선에 미치는 효과 비교

        황하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879

        복부비만인은 단순비만인보다 관상동맥경화증 유병률과 사망률이 더 높으며, 당질대사는 물론 지질대사 이상증을 보인다. 따라서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 낮은 혈청 HDL 콜레스테롤 및 높은 LDL 콜레스테롤 그리고 고중성지방혈증, 고인슐린혈증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복부 내장지방이 과잉 축적된 남성은 하체비만인과 비교하여 비정상적인 내분비 양상을 보이는데, 성호르몬의 투여는 내장지방을 감소시키고 혈청 지질 농도 및 지단백 농도를 개선시킨다. 저열량 식사요법을 사용한 경미한 체중감소는 복부지방을 감소시키고 혈청지질 농도를 개선시켜 관상동맥경화증의 유병률 및 사망률을 줄일 수 있음이 알려져 있는데, 10% 체중감소는 혈중 포도당, 중성지방, 혈중 콜레스테롤을 개선시켜 관상동맥질환의 발병률을 약 20%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이처럼 복부비만 환자에게 관상동맥경화증의 위험요소를 낮추거나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호르몬 요법, 식사요법이 있는데, 아직까지 저열량 식사요법을 사용한 체중감소와 Testosterone intervention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는 없었으므로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관상동맥조영술상 적어도 한 혈관이상에서 내경이 50%이상 협착이 확인된 관상동맥경화증의 남성환자로 나이, 체중, BMI를 matching하여 무작위적으로 Control군, 저열량 식사요법군과 Testosterone 투여군으로 나누어 12주간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시작시와 12주에 모든 대상자의 평상시 식사 섭취량과 활동량을 조사하여 1일 섭취열량 및 소모열량을 구했으며, 연구 기간 12주 동안은 각자 매주 3일 식사 섭취와 활동량을 기록하게 하였다. 저열량 식사요법군은 1일 소모열량 보다 300kcal 적게 섭취하도록 식단을 작성하였으며, Testosterone 투여군은 현재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평상시 식사와 비슷하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연구 기간동안 testosterone undecanoate 제재를 사용했으며 처음 4주 동안은 1일 4정(160㎎/d)씩, 이후 8주 동안 1일 2정(80㎎/d)씩 복용하도록 하였다. 인체계측을 통하여 신체 각 부위의 지방분포를 조사하였고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복부피하 및 내장지방 면적, 대퇴부 및 종아리 근육과 피하지방 면적을 측정하였다. 또한 경구 당부하 검사(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를 시행하여 혈당, 혈청 유리지방산,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다. 그외 혈청 지질, 성호르몬, 혈청 단백질, apo A1, apo B농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체중감소군에서 열량 제한을 통한 초기 체중의 약 2.6%의 경미한 감소는 체지방률, 허리엉덩이 둘레비, 혈청 지질 및 지단백질 농도를 유의적으로 개선시키고 대퇴부 근육량의 감소 없이 복부지방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에 반하여 testosterone 투여군에서는 혈청 지질 농도 및 복부지방 면적을 개선시키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내분비 양상 및 혈청지질 농도에 대한 저열량 식사를 사용한 경미한 체중감소를 통한 체형변화의 효과가 실질적인 testosterone 투여 효과와 비교하여 관상동맥경화증의 치료에 훨씬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Object Abodominal obesity is a risk factor in coronary heart disease. Upper body fat distribution has been an important predictor of health risks, including hypertension, dyslipidemia, insulin resistance and glucose intolerance. Specially the risks of abdominal body obesity occur when adipose tissue accumulates in visceral compartment. According to many studies, testosterone treatment results a significant decrease in visceral fat accumulation in middle-aged men. Also, weight loss improves many of th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ith abdominal obe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olic restriction diet and testosterone intervention on body fat distribution, serum lipids and glucose metabolism in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s and Results Forty five middle aged men subjec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were studied that they were participated in caloric restriction diet(-300㎉/day) and testosterone intake(testosterone undecanoate tablets) for 12weeks. Adipose tissue and muscle areas were calculated from computerized tomography scans at 3 body levels, L1, L4 and mid portion of thigh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ntheropometries, serum levels of lipids, hormone, apo lipoproteins and glucose, insulin and free fatty acid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OGTT) were determined. After weight reduction, subjects reduced weight, body mass index, waist to hip ratio, body fat percent 2.6%, 2.7%, 2%, 1.8%, respectively. Total cholesterol 10% and triglyceride 23%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well as 6% reduction in subcutaneous fat(L1) and 12% reduction in visceral fat(L4) but not reduced in thigh and calf muscle. However, in oral testosterone interventio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fat percent, weight, serum lipids level, and abdominal fat distribution. Conclusion Weight reduction by carolic restriction diet is beneficial effect on body fat distribution and serum lipid level compared with testosterone interven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modest weight reduction is possible to help decrease CAD risk factors.

      • 생체분자의 광학영상을 위한 비닐 설폰계 시아닌 염료

        황하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879

        생체 분자영상은 살아있는 상태에서 세포수준의 현상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따라서 진단시약의 개발, 새로운 약제 개발, 유전자 치료법 및 줄기세포 연구 등 다양한 임상의학 분야에서도 현재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형광영상은 세포, 조직, 또는 antibody, lipid, DNA, 단백질 등을 표적으로 하여 그 작용군, 즉, amine, thiol, alcohol, aldehyde, ketone, carboxylic acid 등에 결합이 가능한 형광 물질을 영상화 하는 것이다. binding protocol과 형광 물질의 지속적인 연구는 현재 분자영상이 필수가 된 신약개발 분야의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시아닌계 색원체는 500 - 700 nm에서 형광을 방출하여, 빛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능력에 매우 높다. 또한 pH와 열에 안정적이며, 빛에 의해 분해되는 광표백 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단백질과 결합하는 반응기를 비닐설폰계로 바꾸어준다면 첨가반응을 통해 부산물이 발생하지 않아 생체 내에서 사용하는데 유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조건을 충족 시킬 것이라 예상 되는 시아닌계 색원체를 합성한 후, 알부민 (bovine serum albumin)을 이용하여 단백질에 가장 잘 결합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찾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우수한 결과의 화합물을 선별하고 실제 in vitro, in vivo 등에 응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실험결과, 치환체의 길이가 길수록, 반응 농도와 온도가 높을수록, 또한 약 알칼리 조건에서 반응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n vivo 조건인 pH 7.5, 36 ℃에서는 13f화합물이 우수한 결합능력을 나타내었으며, in vitro 조건인 pH9.5에서는 13c, 13f가 빠른 시간 내에 매우 우수한 결합능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비닐설폰을 반응기로 하는 신규의 시아닌계 형광염료를 창출하였다. 이를 기초로 하여 보다 다양한 치환체를 포함하는 비닐설폰기 형광염료의 개발 및 응용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리라 사료된다.

      • GIS 기반 공간통계를 이용한 확률론적 산사태 취약성 분석

        황하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863

        This thesis aims at the application of a GIS-based spatial data integration model to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The prediction model applied in this study is a likelihood ratio model based on Bayesian conditional probability. The likelihood ratio model can represent correlation what is susceptible and not susceptible. A case study from Boeun where a lot of landslides occurred in August, 1998, was carried out to illu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likelihood ratio model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The likelihood ratio was computed by overlaying various continuous and categorical data including elevation, slope, aspect, geology, forest type, and soil drainage with past landslide locations. The joint likelihood ratio values were computed by applying the GIS-based overlay analysis. Through the case study, GIS-based spatial data integration could identify the areas in which will be susceptible to future landslides. In addition, the prediction capability with respect to future landslides were inferred from prediction rate curves based on cross validation. In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the GIS-based spatial integration model and validation methods would be effective tools for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이 논문에서는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을 대상으로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위한 GIS 기반의 공간통합(Spatial Integration) 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한다. 분석에 이용한 예측모델은 베이지안 확률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는 우도비(Likelihood Ratio)기법이다. 우도비는 산사태 발생에 대한 양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취약하다’와 ‘취약하지 않다’를 비교할 수 있다. 1998년 8월 산사태가 발생한 보은 지역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통해 우도비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산사태 발생에 원인으로 작용하는 고도, 사면 경사, 사면 방위, 지질, 임상 및 토양배수의 연속형 및 범주형 자료를 산사태 발생지점과 중첩하여 파악한 후 우도비를 계산하였다. 지리정보체계(GIS)에 의한 레이어 중첩을 통해 분석된 우도비는 각 주제도에 속성으로 추가하였고, 산사태 취약성도를 제작하기 위해 공간통합을 하였다.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위해 이용된 GIS는 산사태 발생과 관련된 복잡한 원인들을 분석하는데 과학적인 수단으로서 산사태 취약성도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교차 검증을 통해 예측비율곡선(Prediction Rate Curve)을 작성함으로써, 미래 발생 산사태에 대한 예측능력의 해석 정보를 추가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GIS 기반 공간통합 및 검증 방법론은 산사태 취약성 분석에 유효한 방법론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Investigating solutions about the drawback of High-loading cathode in lithium oxygen batteries

        황하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863

        이산화탄소 감축 및 자원 고갈 문제로 인해 기존의 화석연료 기반의 운송수단을 대체할 전기자동차가 대두되면서, 이를 구동할 고에너지밀도의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리튬-공기전지는 양극 반응물안 산소가 외부로부터 무한정 공급되는 시스템으로서 리튬이온전지에 비해서 많게는 약 10배 이상의 이론에너지밀도를 지닌다. 그러나 전지 내 분극 문제로 인해 이론 용량에 도달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리튬-공기전지에서 고에너지밀도 및 고용량을 얻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양극인 공기극을 이루는 물질을 과적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과적 공기극을 제조할 경우 양극이 일정 질량을 초과할 시 단위질량 당 용량은 오히려 감소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과적 공기극에서의 용량 증대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본 문제의 원인 및 해결책을 강구하고자 선행연구조사 및 다양한 실험적 해결법을 평가하였다. 탄소나노튜브로 제조한 과적 공기극을 기반으로 한 공기전지를 방전시킨 후에 공기극의 층별로 방전생성물을 분석해본 결과 본 문제는 산소 유입구와 멀리 떨어진 공기극의 층이 활물질 층으로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기 때문임을 발견하였다. 이와 관련한 해결책을 찾기 위한 방안으로 전해질의 양 감축, 방전 전 전해질 내에 고압의 산소를 용해, 낮은 방전전류 주사, 그리고 전해질 내 수분 함량 증대를 평가하였다. 기존의 일반 공기전지 구조에서 얻는 용량에 비해, 전해질 내에 고압의 산소를 용해하는 실험에서는 1.5배, 방전전류를 4분의 1로 낮추는 실험에서는 약 2배의 단위질량당 용량증대가 있었으며 공기 유입구와 멀리 떨어진 양극의 부분도 잘 활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일련의 실험과정을 통하여 과적 공기극의 용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해질 내의 부분별 산소 용해도를 통제하고 전지 내의 물질전달 및 반응속도를 같이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