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황지은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금융위기 이후 기축통화로서의 달러화 지위 약화에 대한 우려가 대두된 가운데 국제금융시스템에 대한 재편 논의가 거세지고 있다. 이를 기회로 경제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이 위안화 국제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국정부는 위안화 국제화를 실현시키고자 주변국가들과 위안화 무역 결제를 체결하고, 통화스왑 협정을 맺고 있다. 또한 위안화 표시 채권 발행을 확대하고, 상하이 국제금융센터를 건설 하는 등의 각종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통화국제화의 요건인 경제 및 교역 규모, 금융시장의 개방도 및 성숙도, 통화가치에 대한 신뢰성, 네트워크 외부성으로 나눠 위안화 국제화 수준을 살펴보면, 빠른 경제 성장에도 불구하고 환율 불안정과 자본시장 미발달·미개방으로 아직까지 낮은 상태이다. 위안화는 중국의 강한 경제력을 가지고 있으나 현 중국은행체제가 불안정하고 금융시장이 미숙한 점은 개선하여야 할 사항이다. 이를 극복하고 주변 국가들 뿐 아니라 세계 국가들과 교류함으로서 위안화의 영향력 범위는 점차 확대시켜 나갈 수 있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가치가 하락하고 있는 미국달러를 다량 보유하고 있고 위안화 신뢰도의 부족과 엔화, 유로, 달러와 같은 세계 주요 국가들의 통화들이 견제하는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위안화가 통화국제화의 요구기준에 부합하고자 노력한다면 달러와 같은 기축통화가 되어 전 세계적으로 위안화의 영향력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예상치 못한 중국의 대내외적인 요소로 인하여 국제화되는 시기가 늦춰지거나 제한적일 수 있다. 또는 중국경제의 후퇴로 국제화가 실패할 수도 있다. 중국은 점진적으로 상황을 변화시키며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해나갈 것이다. 이미 동아시아지역 내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확대시키며 아시아통화통합 논의 등을 주도적으로 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일 것이다. 중국과 긴밀한 협조관계인 한국은 국제적 분위기를 주시하며 위안화 국제화에 대해 대응해야할 것이다. The reorganization on the international finance system has been stressed in the midst of worries for the weakness of US dollar as a key currency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China which has been emerging as an emerging economic powerhouse has shown the movement of international of Yuan. Chinese government has been entered the agreement for trading payment in Yuan and protocol of currency swap with neighboring countries to realiz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Yuan. Moreover, China has expanded the issue of treasuries in Yuan and performed the various remedi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Internal Financial Center. Howeve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currency has been in low state due to the currency rate instability and underdevelopment and closeness in capital market in spite of rapid economic growth when it is reflected on the level of internationalization of Yuan in classification of economic and trade scale, openness and maturity of financial market, reliability on the currency value and network externality. The internationalization of Yuan can be driven with strong competitiveness and international status of China, but the instability of Chinese bank system and immaturity of financial market are the points to be improved. The influential range of Yuan can be expanded gradually by exchanging with neighboring countries and countries in the world after overcoming such matters. However, the fact that China keeps huge amount of US dollar which has been degrading its value, the less reliability of Yuan and the curbing by the currencies of global major countries such as Yen, Euro and Dollar can not be overlooked. When Yuan tries to meet the requirements of currency internationalization, it can expand the influential power globally as a key currency like Dollar. However, the internationalization can be delayed or restricted in the timing of internationalization due to the unexpecte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China or it can be failed by the economic recession of China. China shall drive the internalization of Yuan with gradual change of situation. The expansion of China influence inside the East Asia and the initiative discussion on the Asian currency unification can be reasons for such facts. Korea which is in a close cooperative relation with China shall respo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Yuan in observation of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s.

      • (The) implementation and effect of the graphic health warning labels on tobacco products in South Korea

        황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 배경 전 세계적으로 담배 제품 광고 및 홍보 규제가 강화되면서 담배 회사는 제품 판매 촉진을 위해 담뱃갑 포장을 주요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해 왔다. 이 때문에 담배규제기본협약은 흡연의 위험을 알리는 경고 문구를 담배 제품 포장에 의무적으로 부착할 것을 당사국에 요구하고 있으며 이때, 그림(사진)까지 함께 표기하도록 하고 있다. 담뱃갑 경고 그림은 흡연의 폐해를 직접적으로 알려주기 때문에 흡연의 위험성을 경고 문구보다 더 정확하고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경고 그림은 흡연자들의 금연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비흡연자, 특히 어린이, 청소년들의 흡연 시작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효과 때문에 2001년 캐나다를 시작으로 전 세계 100개 이상의 국가에서 담뱃갑 경고 그림을 도입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16년 12월 23일부터 도입하였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경고 그림 도입하려는 시도는 2002년부터 시작되었으나 2016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정책이 시행되었다. 담뱃갑 경고 그림 도입을 비롯하여 담배 가격 인상, 금연 구역 확대 등 담배 규제 정책 추진 과정은 서로 유사하고 전 세계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정책 과정에 대한 분석은 추후 담배 규제 정책 추진에 도움이 된다. 또한, 정책에 대한 체계적 분석은 물론 담배 규제 정책을 방해하는 담배업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근거 마련이 필수적이다.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담뱃갑 경고 그림 도입 과정과 도입 후 효과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담뱃갑 경고 그림과 담배 규제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우선, 한국의 담뱃갑 경고 그림 도입 입법 과정에서 정책 입안자들 사이에서 대두된 쟁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해 담배 규제 정책 저해 활동에 대처하는 글로벌 담뱃갑 정책 및 담배 규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경고 그림 도입 과정에서 대두된 쟁점 가운데, 경고 그림 위치에 따른 효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경고 그림 도입 후 경고 그림이 청소년들의 흡연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향후 청소년 흡연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담뱃갑 경고 그림 및 담배 규제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우리나라의 담뱃갑 경고 그림 도입 입법 과정을 통해 정책 대안 선택 과정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국회 의안 정보 시스템에서 경고 그림 도입을 요구하는 국민건강증진법 개정 의안 원문, 관련 보고서, 국회 회의록을 수집하였다. 국회 회의록 가운데 경고 그림 도입과 관련된 내용을 논의하는 부분을 발췌해 정리하였다. 또한, 150건의 온라인 신문 기사를 유형(뉴스, 컬럼)에 따라 담배 규제 정책에 대한 관점(긍정, 부정, 혼합 or 중립)을 분류하고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담뱃갑 경고 그림 위치에 따른 시선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아이 트랙킹(eye-tracking)을 활용하여 경고 그림을 보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2종(피부 노화, 독성 물질)의 경고 그림을 위치(상, 중, 하)에 따라 배치하고 성인 54명(남성 30명, 여성 24)은 총 6종의 경고 그림을 각 3,000miliscond(ms) 응시하도록 하고, 각 영역별 응시 시간을 측정하였다. 경고 그림 도입 후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최근 1달간 해당 경고 그림에 노출된 적이 있었는지와 노출된 경고 그림이 당시에 청소년들의 흡연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2017년 청소년 건강 행태 온라인 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담뱃갑 경고 그림 도입과 세부 사항이 결정되기까지 총 14년이 소요되었다. 경고 그림이 담배 산업에게 피해를 끼치며,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키고, 흡연자의 기본권과 인격권을 침해하기 때문에 지나친 혐오감을 주어서는 안 된다는 주장이 입법 과정에서 제기되면서 시행이 지연되었다. 이 후 경고 그림 세부 사항을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담배업계가 입법 과정에 개입하면서 경고 그림의 상단 배치의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으므로 경고 그림을 하단에 배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면서 또다시 지연되었다. 하지만 담배업계의 주장은 과학적 근거 기반의 연구 결과와 언론의 지지를 바탕으로 해결되었다. 담뱃갑의 경고 그림에 따라 시선의 점유율은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하단에 위치할 때보다 중간 또는 상단에 위치할 경우 약 30% 시선 점유 시간이 증가하였다. 반면, 상단과 중간의 시선 점유 시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경고 그림 도입 6개월 후 남학생의 66.6%, 여학생의 72.4%는 최근 한 달간 경고 그림을 본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고 그림을 본 후 흡연이 건강에 해롭다고 생각할 가능성과 흡연하지 않아야겠다는 생각을 할 가능성은 고학년보다는 저학년, 최근 1년 내에 흡연 예방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거나 금연 캠페인을 본 적이 있는 경우에 높았다. 반면, 현재 흡연자, 전자 담배 사용자, 간접흡연 노출 경험이 있는 경우 그 가능성은 낮았다. 결론 담뱃갑 경고 그림 도입 과정을 통해 담배 규제 정책 추진에 있어 정부의 노력과 입법 추진 기관(국회 등)의 투명성 및 합의가 요구되며 무엇보다 담배업계의 저해 활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근거의 지속적인 마련과 여론의 지지가 필요하다. 또한, 경고 그림을 비롯하여 담배 규제 정책 추진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홍보가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사회적으로 담배의 비규범화(De-normalization)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향후 경고 그림의 면적 확대를 비롯하여 표준화 담뱃갑(Plain packaging, Standardized packaging) 도입이 빠른 시일 내에 도입되어야 한다. Background As tobacco advertising, promotion, and sponsorship regulations have strengthened globally, tobacco packaging is an important marketing tool for tobacco companies. Packaging of products is a major source of expanding sales by communicating product information and meeting the changing needs of consumers. Cigarette packag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selecting and changing tobacco products. The use of graphic health warning labels (GHWLs) is an effective policy for informing and persuading smokers and non-smokers about the negativ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tobacco products and smoking. GHWLs not only induce smoking cessation among smokers, but also are effective in preventing smoking initiation among non-smokers, especially young people. For this reason, Article 11 (Packaging and Labeling of Tobacco Products)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Framework Convention on Tobacco Control (FCTC) and its guidelines emphasize that well-designed health warnings on tobacco product packaging are a cost-effective way to strengthen public awareness of the risks of using tobacco products. In particular, Article 11 of the FCTC states that tobacco packaging and labeling should include warning text and pictures or pictograms, and that parties are obliged to comply within 3 years after ratification of the convention. Starting from Canada, which implemented GHWLs in 2001, 105 nations around the world adopted the policy by 2016. In South Korea, GHWLs were introduced on December 23, 2016. Objective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of GHWLs on tobacco products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is thesis assess to how effective the warnings among Korean, and seek to how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Based on these results, I will suggest a strategy for implementing tobacco control policies including GHWLs. Methods First,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Assembly records, meeting documents from the 15th (1995–2000) to the 19th (2012–2016) Assemblies, and online newspapers from April 22, 2016 to May 13, 2016. Second, a cross-over design with health warning position (top, middle, and bottom) and image concept (skin aging and toxic constituents) as within-subject factors, and smoking status (smoker and non-smoker) as between-subject factor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fixation duration of eye movements towards both pictorial warnings and branding on cigarette packs using eye-tracking equipment. Participants (30 daily smokers and 24 non-smokers) were shown six cigarette packs in random order with different position combinations (top, middle, and bottom) and image concepts (skin aging and toxic constituents). Third, the cross-se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ponses of 62,276 students—31,624 boys and 30,652 girls—from data collected for the 2017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was appli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GHWLs and perceived effectiveness among students who seen GHWLs on tobacco products in the past 30 days. Results In South Korea, it took 14 years to implement GHWLs and determine the associated details. The implementation of GHWLs was delay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because of the argument that the warnings should not be overly disgusting, as this would infringe on the basic rights of smokers.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technical details, another form of interference from the tobacco industry emerged, namely, the argument that the warnings should be placed at the bottom of cigarette packs, because the effectiveness of placing them at the top had not been sufficiently proved. However, this was overcome through scientific evidence and media support. Participants fixated longer on the health warning area than on the tobacco branding area (p < 0.05). Mean fixation duration on the health warning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he top or middle positions compared to bottom, by 28% (mean difference = 340 ms, p = 0.006) and by 30% (mean difference = 368 ms, p = 0.002), respectively. By contrast, mean fixation duration on the branding area showed higher with the warning at the bottom compared to top or middle positions by 25% and 36%, with mean differences of 156 ms (p = 0.100) and 212 ms (p = 0.026),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ixation time was observed between the top and middle positions (p > 0.05). Six months after GHWLs were implemented, 66.6% of boys and 72.4% of girls had been exposed to the warnings in the previous 30 days. Using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I found that younger adolescent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decide not to start smoking and to think smoking is dangerous to their health after seeing GHWLs. In addition, the positive effect of warnings was greater for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or who had been exposed to anti-tobacco advertisements. However, those who smoked, used e-cigarettes, or experienced second-hand smoking were significantly less likely to decide not to smoke or see smoking as dangerous. Conclusions The implementation of the GHWL is a meaningful component of tobacco control policy by itself. Despite the delays and weakening strategies of the tobacco industry, it was possible to place pictorial warning at the top of the packaging, but it seem to the effect of the policy was not sufficient.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more enhanced packaging policy of the tobacco products. Therefore, I suggest to consider as soon as possible the implementation of the plain packaging on tobacco products. The plain, standardized packaging of tobacco products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tobacco endgame strategy when expanded on by GHWLs. Plain packaging is effective in inducing smoking cessation among smokers and preventing smoking in non-smokers, particularly youth. Furthermore, plain packages reduce the appeal of tobacco products and tobacco use and limit false perceptions about tobacco. These package alterations have the desired effect on attitudes, beliefs, behaviors, and intentions about smoking, and could play a role in reducing the acceptance of smoking throughout society. To achieve this policy, it would be necessary to prohibit the tobacco industry from directly or indirectly contacting members of committees involved 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regulating tobacco control. Research to establish the scientific basis of such legislation should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nd public-friendly policies are required that can attract media attention and support. Moreover, to maintain the negative perception of smoking from childhood through adolescence, nation should implement comprehensive tobacco control including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in schools and encourage a smoke-free environment at home. In the end, we should strive for a tobacco endgame, a strategy to de-normalize of tobacco use and permanently remove tobacco products from society from certain time that will go beyond tobacco control.

      •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동적가족화(KFD) 반응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황지은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을 대상으로 동적가족화를 실시하여 연구대상의 유형별 빈도분석과 두 집단 간에 나타난 가족에 대한 심리적인 특성을 비교한다. 그리하여 비행을 조기에 예방하고 가정과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는데 도움을 주는 심리적 기초자료 진단도구로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의 P시에 소재하는 보호관찰소 중,고등학생 110명과 일반청소년 중,고등학생 113명으로 실시하였으며 Myers(1978)의 동적가족화 채점기준으로 채점할 수 없는 23부를 제외한 200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동적가족화의 정확한 분석을 위해 Myers(1978)의 채점기준으로 해서 각 항목별로 채점을 실시하였다. 채점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연구자와 미술치료대학원 석사 4학차 이상인자 2명이 동적가족화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 통계는 SPSS 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동적가족화의 반응특성은 각 항목에서 x² 검증을 하였으며, 하위요인별 반응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t-tes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서의 빈도분석의 결과 운동상호작용변인과 상징변인이 남자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정적변인과 양식변인에서는 같은 빈도로 나타났다. 가족유형에서의 빈도분석의 결과 정적변인에서는 기타가족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상징변인에서는 양부모가족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운동상호작용변인과 양식변인이 같은 빈도로 나타났다. 학교유형에서의 빈도분석의 결과 운동상호작용변인에서는 중학생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양식변인에서는 고등학생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정적변인과 상징변인에서는 같은 빈도로 나타났다. 둘째, 정적변인에서 비행청소년의 경우 일반청소년에 비하여 정적요인 점수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것은 비행청소년이 일반청소년에 비해 지움, 길게 뻗은 팔, 기본적인 신체, 회전, 들을 보인 인물상, 회피, 가족 수, 인물상들의 키순서, 자기상의 위치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난 결과이다. 운동상호작용변인에서 비행청소년의 경우 일반청소년에 비하여 물리적 근접성, 장애물, 자신상의 활동수준, 가족 간 상호작용, 자기와 다른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동적가족화를 통하여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심리적 가족관계를 비교하였고 비행을 조기에 예방하고 가정과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는데 도움을 주는 심리적 기초자료로 충분한 신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현대 그래픽 디자인에 나타나는 해체주의적 성향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이후 영국의 그래픽디자인을 중심으로

        황지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그래픽 디자인의 표현 스타일에 있어서 오늘날의 그래픽 디자인은 엄청난 변화와 표현의 다양성을 요구 받고 있다. 현대 그래픽 디자인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디자인 스타일을 요구하는 것은 전통적 그리드 표현에 따른 디자인에 너무나도 빨리 익숙해지기 때문이다. 이미 트랜드화 되어 진 디자인들은 빠른 시간 내에 효력을 상실하게 되고 우리는 다시 새로운 표현을 갈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급속도로 진행되는 최근 그래픽 디자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테크놀로지가 급속도로 변화하던 시기의 움직임에 대한 것들이며 그것을 발생시킨 진원지에 대한 부분들은 경시되고 있다. 따라서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능력에 견주어 볼 때 스스로의 사고를 확장시키고 발전시키는 부분에서 많은 부족함이 보여 지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력한 표현으로 새로움을 갈망하는 현대 그래픽 디자이너에게 어필되고 있는 해체주의적 성향의 진원지를 찾아 연구하고 표현의 구체적 성향을 분석함으로써 그래픽 디자인의 미래적 역할에 대한 재구성의 발판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해체주의는 프랑스 작가 쟈크 데리다의 문학이론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에게 고정된 사고나 사회적 인식에 반하는 견해에 대해 동등한 중요성을 갖고 대하는 태도를 갖게 함으로써 미학에 대한 재 정의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그래픽 디자인에 나타나는 해체주의적 성향을 연구하기 전에 데리다의 이론을 고찰했으며 해체주의와 깊게 연루되어있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탈구조주의, 구조주의의 철학적 배경을 연구하였다. 탈 근대적 시대가 도래한 1960년대 이후의 그래픽 디자인과 연루된 해체주의적 성향은 본질적으로 일반적인 아름다움과 대중적 공식에 맞추려는 디자인에 대한 도전이었다. 이러한 해체주의의 혼란스러운 방식은 대중에게 인식되고, 비평의 주제가 되고 비로소 생명을 얻게 되어 더 많은 관심과 수용을 부추겼다. 이러한 해체주의적 그래픽 디자인은 1960년대 이후 영국의 펑크, 록 음악의 표지디자인과 포스터가 시초가 되었다. 이 시기 영국을 휩쓴 젊은이들의 문화는 그래픽 디자인에 큰 영향을 끼치며 많은 디자인 잡지를 출간하게 했다. 영국의 해체주의적 성향의 그래픽 디자인은 미국과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주류디자인의 경계 바깥에서 발생되었으며 당시 그래픽 디자인은 하위문화의 양상이자 젊은이들이 소통할 수 있는 창조적 도구가 되었으며 따라서 강력한 젊은이의 문화로 세력을 형성하였다. 이 시기에 활동하던 그래픽 디자이너들은 현재 영국의 중추적 디자이너들로 성장하였으며 그들의 해체주의 그래픽 작품들은 현대 그래픽 디자인에 모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왔던 영국의 해체주의 그래픽 디자이너와 그들의 작품을 해체주의적 성향으로(탈구성적 성향, 콜라주 성향, 가독성과 판독성 경시 성향, 탈경계적 성향) 분류하여 분석했다. 이러한 고찰과 분석들을 통해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기술적인 것에 대한 움직임에 집중한 현대의 그래픽 디자인에 중심에 서서 당연하게만 여겨왔던 디자인적 표현의 전제와 그 대외적 소통방식이 지니는 설득력을 보다 자기-의식적으로 해체하고 분석해 볼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

      • 고층 건축물의 구조축 변화에 따른 풍응답 및 풍하중 특성 분석

        황지은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층 건축물의 풍응답과 풍하중을 산정하기 위한 스펙트럼모드해석시 구조설계에 적용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구조축(X축, Y축, Z축) 결정이 필요하다. 또한 1차모드가 지배적인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각 구조축에 따른 1차모드의 동적특성이 필요하다. 최근 비정형 형태를 가진 건축물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강성중심, 질량중심과 기하중심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건물의 구조축이 설정되고 있다. 각 중심들의 불일치로 인하여 질량참여율이 낮거나 모드형상 확인 과정에서 모드분리가 잘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 보인다. 이로 인한 연성 진동이 일어날 수 있으나, 연성진동을 무시하고 풍응답과 풍하중을 산정하는 추세이다. 건축물의 구조축을 변화시켜 질량참여율을 높임으로써 각 축의 1차모드가 지배적이고 모드분리가 잘 일어나도록 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로 인한 풍하중에 미치는 영향과 정확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층 건축물의 구조축에 따른 질량참여율, 모드분리여부 그리고 구조축 설정방향에 따라 풍응답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비교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내풍설계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사각형과 L자형 평면을 가진 건축물을 대상으로 구조축 변화에 따른 건축물의 질량참여율과 모드형상을 비교하여 각 건축물의 구조축 0deg와 30deg를 변수로 두었다. 풍력실험을 진행하여 대상 건축물의 구조축 변화에 따른 풍응답과 풍하중의 변화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초기 구조축 설정과 동적특성 선정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When calculating the wind response and wind load of a high-rise building by performing spectral mod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structural axes (X axis, Y axis, Z axis) for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building. In addition, since the primary mode is assumed to be dominant,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mode along each structural axis are required. Recently, as the demand for buildings with atypical shapes increases, the structural axis of a building is set in a state where the center of rigidity, center of mass and geometric center do not coincide. Due to the inconsistency of each center, ther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modal participation rate is low, or the mode separation does not occur well in the mode shape confirmation process. Since this may cause couple vibration, there is a tendency to calculate wind response and wind load by ignoring couple vibration. There is also a method to increase the modal participation rate by changing the structural axis of the building, consequently, the primary mode of each axis is dominant, and the mode separation occurs well. However, research on the effect and accuracy of wind load has not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paper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move on to a more reasonable wind-resistant design by comparing the modal participation and the mod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al axis of a high-rise building, and the response effec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al axis setting. In this paper, structural axis 0deg and 30deg of each building were used as variables by comparing the modal participation rate and mode shap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tructural axis for buildings with square and L-shaped planes. By carrying out the wind experiment to identify and analyze changes in wind response and wind load due to changes in the structural axis of the target building, it is intended to present as basic data necessary for setting the initial structural axis and selecting dynamic characteristics.

      • 중환자 대상 음악사용 연구 문헌 분석 : 치료적 관점에서

        황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12 works of literature where music was used as a part of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in Korean intensive care unit (ICU) from music therapy perspectives, and then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music therapy studies, and to set a direction for the future Korean music therap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2 works of literature on the use of music in ICU were reviewed among studies carried out from 1996, the year when music therapy curriculum was established in Korea, to April 2015. It was decided that items to be analyzed included status according to the year, subject, dependent variable and measurement instrument, the use of music, and evidence for therapy by the use of music. The findings are as follows. Music therapy is clinical approach that is evidence-based. Thus, rationale for the use of music is very important which differs from passive music listening. Therefore, systematic treatment process carried out by trained therapis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passive music listening within the clinical environment. Besides, critical patients and premature infants are subjects that actively require music. However, it is practically difficult for medical personnel to use music in the Korean medical environment. Therefore, it seems that trained music therapist needs to be introduced inside ICU in Korea. Finally, in regard to music therapy in Korea, it is necessary to get interested in and well informed of music therapy for the critical patients. In Korea, a study on the use of music for the critical patients and premature infants is at experimental stage. Therefore,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y, music therapy should be provided for the critical patients, and then the therapeutic effect of music should be proved, and further, measures to develop together with overseas research should be sough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a total of 12 works of local research literature were reviewed, and their number was small, and a comparison was made with overseas studies on music therapy.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an analysis was made from music therapy perspectives, and information about areas requiring the music therapy was provided, and a direction for the Korean music therapy was set. 본 연구는 국내 중환자실 내에서 비약물적 치료의 일환으로 음악이 사용된 연구 12편을 음악 치료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와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국내 음악치료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국내 음악치료 교과과정이 설립된 1996년부터 2015년 4월까지의 연구 중 중환자실 내 음악사용에 대한 총 12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은 연도별 현황, 연구 대상, 종속변인 및 측정도구, 음악사용, 그리고 음악사용의 치료적 근거로 설정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음악치료는 근거 중심의 임상으로 음악의 치료적 사용에 대한 근거가 매우 중요하고 단순 음악 감상과 구별된다. 따라서 훈련된 치료사에 의한 체계적인 치료과정과 단순 음악 감상은 의료 환경 내에서 구분되어야 한다. 또한 국내 중환자실 내 음악치료 전문가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중환자 및 미숙아는 음악이 적극적으로 필요한 대상이나 국내 의료 환경에서 의료진에 의한 음악사용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중환자의 안위를 위해 훈련된 음악 치료사의 전문적인 음악중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국내 음악치료는 중환자실 내 음악치료에 대해 관심을 갖고 숙지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는 미숙아와 중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을 사용한 연구가 실험적 단계에 있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중환자에게 음악치료를 제공하여 음악의 치료적 효과를 입증하고, 나아가 국외의 연구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사용된 국내 연구가 총 12편으로 매우 적은 수이고, 국외 음악치료 연구와 비교하였다는 한계가 있으나, 이를 음악치료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음악치료가 필요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국내 음악치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라파엘 모네오의 공간에 나타난 장소의 해석과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황지은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건축은 그 목적이 달성되면 곧 소비되듯 처분되면서 지역 환경이 파괴, 오염, 자원의 낭비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적인 건축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건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라파엘 모네오는 건축을 시간을 초월하여 영원히 존재하고 싶다는 욕망이 잠재되어 있는 존재로 표현하고 있다. 그의 건축물은 자립적으로 생명을 누리며, 완성된 건축물은 주위 환경에 자극을 주어 새로운 건설에 대한 길을 열고 연쇄반응을 일으켜 독자성과 영원성을 획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장소의 의미와 해석을 통하여 건축의 자주성과 영원성을 획득한 라파엘 모네오의 공간에 대한 장소적 표현특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 중 장소의 특징이 반영되어 있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서적을 통한 연구와 함께 유럽 지역의 작품들을 실제 답사하였다. 답사 후 건축물과 주변 환경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장소에서 건축가가 반영하고자 한 의미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그가 건축물에서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주변 환경과 대지의 잠재성에 대한 실현으로, 대지가 가진 도시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독자적으로 건축물에 반영하고 있다. 라파엘 모네오의 장소의 해석방법은 물리적 환경과 역사의 연속성 위에 존재하고, 과거의 건축공간은 과거성이 아닌 현대성에 관한 지각을 포함하여 재해석하여 반영한다. 이렇듯 재해석한 장소성에 순응, 대항, 생성의 방법으로 표현됨으로써 장소성을 이식하고 지역성을 재생시킴으로써 건축의 자주성과 영원성을 동시에 획득하게 된다. 또한 장소의 주관적 선 해석을 통한 후 건축물의 태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표현 특징은 공간구성, 형태, 스케일, 재료, 시선적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개개의 장소가 아닌 잠재성에 따라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공통적로 현대성을 드러내고 복합적인 요소들을 통합하는 방법으로 모더니즘에 입각한 기하학적 형태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동시에 도시 맥락적으로 기존의 도시환경과 반응하며 현대적 지역성을 획득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 건축의 장소성이 역사, 문화적 관점이나 물리적인 관점의 획일화된 장소로 해석되어지는 것에서 벗어나 사회적 관점으로의 해석과 나아가 장소와 환경이 가진 복합적인 잠재성이 고려되기를 원한다. 나아가 주변 환경과 맥락적으로 소통하되 독존성을 가진 건축물들을 통하여 소비적 건축 환경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방법론적 해결이 되기를 바란다.

      • 폰탄 수술 후 환자의 심실 기능과 방실판막 역류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황지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폰탄 수술은 기능적 단심실 환자가 갖고 있는 다양한 복합 심기형의 최종적인 치료법이다. 수술의 발전으로 폰탄 수술 후 환자의 생존율이 증가하고 있다. 심실 기능 장애와 방실판막 역류 이상은 폰탄 수술 후 환자의 장기적 결과에 영향을 준다. 폰탄 수술 후 환자의 심실 기능과 방실 판막 역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고 위험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서울 시내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1985년부터 2020년까지 시행된 폰탄 수술 후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전체 174명 중 23명에서 심실 기능 부전이 발생했고, 32명에서 중등도 이상의 방실판막 역류가 발생했다. 폰탄 전환술(Fontan conversion)을 시행한 환자로 인해 분석한 폰탄 수술은 총 198건이었다. 174명의 폰탄 수술 후 환자와 198건의 폰탄 수술의 임상적 특성을 확인하고, 콕스 비례위험 모형을 이용하여 독립변수들을 통제한 후 심실 기능 부전과 중등도 이상 방실판막 역류 발생 위험비를 산출했고, 폰탄 수술을 2회 시행 받은 환자들이 존재하여 개인 내 상관성을 고려하기 위해 프레일티(Frailty)를 추가한 모형을 사용했다. 심실 기능 부전과 중등도 방실판막 역류 발생에 심실 형태에 따른 자유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해 카플란 마이어의 방법을 이용하고, 로그순위 검정(Log-rank test)로 검증하고 분석했다. 심실 기능 부전 자유 생존율을 확인했을 때 20년 자유 생존율은 좌심실(Left ventricle)이 99%, 우심실(Right ventricle)이 71.2%, 공통심실(Common ventricle)이 69.8%였다. 좌심실 대비 우심실에서 심실 기능 부전 발생의 위험이 7.09배 높았고, 좌심실 대비 공통심실에서는 발생의 위험이 8.63배 높았다. 중등도 이상 방실판막 역류 20년 자유 생존율은 좌심실, 우심실, 공통심실이 97.1%, 73.4%, 47.5%이었다. 좌심실 대비 우심실에서 중등도 이상 방실판막 역류 발생 위험이 8.57배 높았고, 공통심실은 29.02배 높았다. 폰탄 수술 후 환자 중에서도 주심실(Dominant ventricle)이 우심실, 공통심실인 환자들의 경우에는 좌심실인 환자보다 심실 기능 부전과 방실판막 역류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조기부터 집중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The Fontan procedure is the ultimate treatment for the various complex heart types that patients with functional single ventricle have. With the development of surgery,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after the Fontan procedure is increasing, and the long-term survival rate is also increasing. Since functional single ventricle patients will have various cardiac morphologies,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factors that affect ventricular function and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which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prognosis of Fontan procedure patients. We analyzed patients who underwent Fontan procedure from 1985 to 2020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the day the Fontan procedure was performed, 23 out of 174 patients developed ventricular dysfunction, and 32 experienced moderate or severe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A total of 198 Fontan procedures were analyzed due to patients who underwent Fontan conversion. After confirming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174 patients after the Fontan procedure and 198 Fontan procedures and adjust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hazard ratio between ventricular dysfunction and moderate or severe ventricular regurgitation was determined. We calculated that there were patients who underwent the Fontan procedure twice, and we used a model with the addition of frailty to account for intra-individual correlation. The free survival rate for 20 years was 99% for the left ventricle, 71.2% for the right ventricle, and 69.8% for the common ventricle. The hazard ratio of ventricular dysfunction of the right ventricle to the left ventricle was 7.09, and the hazard ratio of the common ventricle to the left ventricle was 8.63. The 20-year free survival rates for moderate to severe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were 97.1%, 73.4%, and 47.5% for left ventricle, right ventricle, and common ventricle. The hazard ratio of moderate to severe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of the right ventricle to the left ventricle was 8.57, and the hazard ratio of the common ventricle to the left ventricle was 29.02. The risk of ventricular dysfunction and moderate to severe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was higher in the right ventricle and common ventricle compared to the left ventricle in all Fontan surgery patients. Even after Fontan procedure, patients with dominant ventricle of right ventricle and common ventricle have a higher risk of ventricular dysfunction and ventricular regurgitation than patients with left ventricle, so intensive follow-up from an early stage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