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폰탄 수술 후 환자의 심실 기능과 방실판막 역류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황지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폰탄 수술은 기능적 단심실 환자가 갖고 있는 다양한 복합 심기형의 최종적인 치료법이다. 수술의 발전으로 폰탄 수술 후 환자의 생존율이 증가하고 있다. 심실 기능 장애와 방실판막 역류 이상은 폰탄 수술 후 환자의 장기적 결과에 영향을 준다. 폰탄 수술 후 환자의 심실 기능과 방실 판막 역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보고 위험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서울 시내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1985년부터 2020년까지 시행된 폰탄 수술 후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전체 174명 중 23명에서 심실 기능 부전이 발생했고, 32명에서 중등도 이상의 방실판막 역류가 발생했다. 폰탄 전환술(Fontan conversion)을 시행한 환자로 인해 분석한 폰탄 수술은 총 198건이었다. 174명의 폰탄 수술 후 환자와 198건의 폰탄 수술의 임상적 특성을 확인하고, 콕스 비례위험 모형을 이용하여 독립변수들을 통제한 후 심실 기능 부전과 중등도 이상 방실판막 역류 발생 위험비를 산출했고, 폰탄 수술을 2회 시행 받은 환자들이 존재하여 개인 내 상관성을 고려하기 위해 프레일티(Frailty)를 추가한 모형을 사용했다. 심실 기능 부전과 중등도 방실판막 역류 발생에 심실 형태에 따른 자유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해 카플란 마이어의 방법을 이용하고, 로그순위 검정(Log-rank test)로 검증하고 분석했다. 심실 기능 부전 자유 생존율을 확인했을 때 20년 자유 생존율은 좌심실(Left ventricle)이 99%, 우심실(Right ventricle)이 71.2%, 공통심실(Common ventricle)이 69.8%였다. 좌심실 대비 우심실에서 심실 기능 부전 발생의 위험이 7.09배 높았고, 좌심실 대비 공통심실에서는 발생의 위험이 8.63배 높았다. 중등도 이상 방실판막 역류 20년 자유 생존율은 좌심실, 우심실, 공통심실이 97.1%, 73.4%, 47.5%이었다. 좌심실 대비 우심실에서 중등도 이상 방실판막 역류 발생 위험이 8.57배 높았고, 공통심실은 29.02배 높았다. 폰탄 수술 후 환자 중에서도 주심실(Dominant ventricle)이 우심실, 공통심실인 환자들의 경우에는 좌심실인 환자보다 심실 기능 부전과 방실판막 역류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조기부터 집중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The Fontan procedure is the ultimate treatment for the various complex heart types that patients with functional single ventricle have. With the development of surgery,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 after the Fontan procedure is increasing, and the long-term survival rate is also increasing. Since functional single ventricle patients will have various cardiac morphologies,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are factors that affect ventricular function and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which ar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prognosis of Fontan procedure patients. We analyzed patients who underwent Fontan procedure from 1985 to 2020 at a general hospital in Seoul. From the day the Fontan procedure was performed, 23 out of 174 patients developed ventricular dysfunction, and 32 experienced moderate or severe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A total of 198 Fontan procedures were analyzed due to patients who underwent Fontan conversion. After confirming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174 patients after the Fontan procedure and 198 Fontan procedures and adjust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hazard ratio between ventricular dysfunction and moderate or severe ventricular regurgitation was determined. We calculated that there were patients who underwent the Fontan procedure twice, and we used a model with the addition of frailty to account for intra-individual correlation. The free survival rate for 20 years was 99% for the left ventricle, 71.2% for the right ventricle, and 69.8% for the common ventricle. The hazard ratio of ventricular dysfunction of the right ventricle to the left ventricle was 7.09, and the hazard ratio of the common ventricle to the left ventricle was 8.63. The 20-year free survival rates for moderate to severe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were 97.1%, 73.4%, and 47.5% for left ventricle, right ventricle, and common ventricle. The hazard ratio of moderate to severe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of the right ventricle to the left ventricle was 8.57, and the hazard ratio of the common ventricle to the left ventricle was 29.02. The risk of ventricular dysfunction and moderate to severe atrioventricular valve regurgitation was higher in the right ventricle and common ventricle compared to the left ventricle in all Fontan surgery patients. Even after Fontan procedure, patients with dominant ventricle of right ventricle and common ventricle have a higher risk of ventricular dysfunction and ventricular regurgitation than patients with left ventricle, so intensive follow-up from an early stage will be needed.

      • 어린이 박물관의 실내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황지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주5일제 근무와 소득향상으로 문화생활을 통하여 삶의 질을 높이려는 욕구가 증가하고 교육을 받은 부모가 확대됨에 따라 보조교육 기관의 역할을 기대하는 가족단위 이용자들이 어린이박물관을 방문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어린이박물관이 단지 어린이의 문화·교육의 기능뿐만 아니라 온 가족이 배우고 즐길 수 있는 여가선용 장소로서의 역할이 중요하게 요구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어린이박물관의 다양한 역할과 공간의 구성이 어떻게 연계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각 공간의 실내현황을 파악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고려한 공간계획 방향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의 어린이박물관의 공간구성을 조사·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박물관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위해 공간이 서로 어떻게 연계되며 배치되는 것이 좋은지 파악하고, 각 공간의 실내공간특성에 대한 현황과 사용자 의 행태와 요구를 조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계획 방향을 찾아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어린이박물관의 건축, 리모델링 계획시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실내공간계획의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박물관에 나타나는 실내공간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이후 개관하거나 개편하여 재개관한 서울·경기 소재의 국·공립 어린이박물관 10곳을 선정하여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설문조사와 관찰조사를 병행하였다. 사례조사를 통하여 공간배치와 디자인특성을 파악하고 관찰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개인 및 집단의 사용자 행태특성과 만족도 및 요구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박물관을 방문하는 사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공간인 전시공간과 교육공간을 중심으로 공간배치를 살펴본 결과 어린이박물관의 공간배치 특성은 인접형, 분리형, 단독형으로 나타났다. 인접형은 전시공간과 교육공간이 인접하여 배치되어있는 유형으로 교육공간 내에 전시공간의 소음으로 인한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분리형은 전시공간과 교육공간이 건물이나 층으로 분리되거나 구획되지 않은 개방된 공간을 사이에 두고 분리되어 배치되어있는 유형으로 교육공간 내에 전시공간의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단독형은 교육공간 없이 전시공간만 배치되어있는 유형이다. 어린이박물관 사용자의 이용행태를 소집단(가족)과 대집단(유치원,어린이집)으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소집단은 어린이가 흥미를 보이는 전시물에 관하여 부모가 설명하고 도와주었으며 대집단은 선생님이 선택한 전시물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서 관람하거나 공간 내에서 통재 없이 자유롭게 관람하게 하였다. 또한 대집단은 관람 시간은 짧고 인원은 많아서 줄을 서서 차례를 기다리다가 전시물을 체험하지 못하거나 통로가 좁아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전시물 계획시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단별 적정한 인원수가 이용 가능한 전시물을 균형있게 배치하고 동선을 계획해야 할 것이다. 어린이박물관의 이용행태를 역할에 따라 살펴본 결과, 어린이는 유아와 아동, 보호자는 선생님과 부모로 분류할 수 있었다. 유아는 보호자의 도움을 필요로 하고 잘 넘어지며 키가 닿지 않아 조작이 힘든 전시물이 있었으며 아동은 보호자의 보호아래 능동적·독립적이고 보호자의 도움 없이 전시물을 스스로 조작하였다. 따라서 전시물마다 사용가능한 키높이와 연령을 명시하여 전시물에 사용함에 있어 혼란을 줄이고 발받침대를 사용하거나 전시물의 높낮이를 다양하게 하여 성장발달에 맞춘 전시물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어린이박물관의 공간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로비공간의 만족도는 다른 공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난 반면 휴식공간은 낮게 나타났다. 휴식공간은 위치, 면적에 대한 불만족도가 높았으며 실제 현황을 살펴본 결과 어린이박물관 휴식공간의 면적은 어린이박물관을 방문하는 인원에 대비하여 협소하였고 전시공간 내에서 관람 중에 앉아서 휴식을 취하려했으나 필요한 곳에 위치하지 않아 불편한 사례가 많았다. 어린이박물관의 공간별 요구도를 살펴보면 휴식공간의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로비공간의 요구도가 가장 낮았다. 요구도의 구체적 의견을 살펴보면 어린이를 위한 휴식공간, 부모가 쉴 수 있는 장소, 가족이 쉴만한 장소 등 다양한 목적으로 휴식공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전시공간과 분리된 장소에 소음을 최소화하는 실 형태의 휴식공간을 배치하고 연령의 특성에 맞게 휴식의자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박물관의 실내공간특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없으므로 전반적인 어린이박물관 실내공간의 현황을 조사하고 사용자의 만족도와 요구도를 살펴보았으나 주이용자인 어린이가 아닌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의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다각적인 방향으로 어린이의 의견을 조사하여 그에 따른 세부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 1인가구의 스마트홈 공간 인터랙션 가이드라인 연구

        황지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 a surge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increased interest in housing management using smart home services have led to the need for clear guidelines for single-person household-oriented smart homes. In particular, single-person households requires more spatial analysis among smart home interaction methods because of their complex lifestyle living in a narrow residential spa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analyze the smart home application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n terms of spatial interaction and study about the standardization method for the smart homes application to single-person households'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mart home space interactions were embodied after analyzing the living environment and smart home research statu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rough prior research consideration. Next, a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as part of the qualita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housing behavio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ir perception of smart home services. Th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one-person households in Seoul,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behavior of using residential spaces and analyze the application of smart homes for one-person households. Finally, we propose 'Smart Home Guidebook', a one-person household smart home guideline service, by applying the spatial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s derived from the study. The "Smart Home Guidebook" service presents a guideline service that allows users to actively participate by applying the interaction method of mobile app services. This is meaningful in that w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guidelines in the form of reports and propose a design direc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functional utilization of the guidelines and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updates. Through the Smart Home Space Interaction Guidelin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s we looked at in this study, we expect them to be used in planning smart living space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future. 최근 1인가구의 급증 및 스마트홈 서비스를 활용한 주거 관리에 대한 관심 증가로 1인가구 중심의 스마트홈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해졌다. 특히 1인가구의 경우 협소한 주거공간 내에서 복합적 생활방식을 가지기 때문에 스마트홈의 인터랙션 방법 중 공간적 측면에서의 분석이 더욱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인가구의 스마트홈 적용 방안을 공간 인터랙션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1인가구의 주거 환경에 스마트홈을 적용하기 위한 표준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1인가구의 거주환경과 스마트홈 연구 현황에 대해 분석한 뒤 스마트홈 공간 인터랙션의 정의와 특성을 구체화하였다. 다음으로 질적연구의 한 부분으로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1인가구의 주거 행태 및 스마트홈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년층 1인가구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심층 인터뷰를 통해 주거 공간 사용 행태를 파악하여 1인가구를 위한 스마트홈 적용 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통해 도출한 1인가구의 공간 인터랙션 특성을 적용하여 1인가구 스마트홈 가이드라인 서비스인 ‘스마트홈 가이드북’을 제안하였다. ‘스마트홈 가이드북’ 서비스는 모바일 앱 서비스의 인터랙션 방식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능동적 참여가 가능한 가이드라인 서비스를 제시한다. 이는 보고서 형식의 가이드라인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가이드라인의 기능적 활용도와 정보 업데이트의 효율성을 고려한 디자인적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1인가구를 위한 스마트홈 공간 인터랙션 가이드라인을 통해, 향후 1인가구의 스마트 거주 공간 기획 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한·미 FTA의 간접수용과 손실보상법 체계

        황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간접수용은 수용과 동등한 효과를 초래하는 정부의 규제행위로 인하여 투자자가 손실을 입은 경우 이를 보상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이는 오늘날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대부분의 투자협정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으로, 2012년 3월 발효된 한·미 FTA에도 포함되어 국내적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우리 법에 규정된 바 없었던 간접수용이 한·미 FTA를 통하여 도입됨에 따라 우리 정부의 규제정책에 중대한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간접수용의 개념은 학설과 중재판정의 축적을 통하여 계속 정립되어 가는 과정에 있으며 판단기준 역시 사안별 접근법에 따라 명확한 원칙을 가지고 있지는 못하지만 일반적으로 정부 행위의 경제적 영향, 정부 행위가 투자에 근거한 분명하고 합리적인 기대를 침해하는 정도, 정부 행위의 성격을 판단기준으로 삼고 있다. 이는 미국 연방대법원이 판례를 통하여 발전시켜 온 규제적 수용의 상대적 심사기준의 하나인 세 가지 요소 기준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따라서 미국 연방대법원의 규제적 수용에 관한 이론은 중재판정에서 간접수용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고려 요소가 되어 왔다. 규제적 수용은 1922년 Pennsylvania Coal Co. v. Mahon 판결에서 “일정 한도에서 재산권에 대한 규제가 가능하지만, 규제가 지나친 경우 이는 수용으로 인정된다.”고 한 것으로부터 출발한 개념이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이에 대하여 크게 규제의 경제적 영향에 주목한 기준과 규제의 목적 및 경제적 영향을 동시에 주목한 기준으로 나누어 여러 가지 판단기준을 제시해오다가, 2005년 Lingle v. Chevron U.S.A. Inc. 판결을 통하여 규제의 목적-수단 심사는 적법절차의 심사기준이므로 규제적 수용의 판단에 앞서 적용되는 것이라고 하여 규제의 경제적 영향에 주목한 기준을 중심으로 규제적 수용을 판단하게 되었다. 간접수용과 규제적 수용, 우리 헌법의 공용침해 개념은 모두 정부의 규제행위가 보상을 요하지 않는 규제권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인지 아니면 보상을 요하는 것인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한·미 FTA에서도 간접수용의 판단기준으로 규제적 수용의 세 가지 판단기준을 차용하면서, 정부 행위의 성격과 관련하여 우리 헌법의 재산권의 사회구속성과 공용침해를 구별하는 기준인 ‘특별한 희생’을 추가하고 있어, 규제적 수용과 공용침해의 판단기준을 동시에 활용하고 있다. 또한 헌법재판소의 결정에서 제한으로 인하여 현저한 재산적 손실이 발생한 경우 원칙적으로 사회적 제약의 범위를 넘는 수용적 효과를 인정하여 이에 대한 보상을 하여야 한다고 함으로써, 간접수용은 우리 법체계에서 명시적으로 인정되지는 않아도 헌법 제23조의 공용침해에 포섭될 수 있는 개념이라고 생각된다. 간접수용에 대한 보상은 투자자-국가분쟁해결제도(ISD)를 통해서도 가능하지만 우리 법원에서 국내법에 따라 보상청구를 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우리 사법부는 국내법이 갖춰지지 않은 간접수용의 보상문제라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 법원이 해결하여야 할 문제로는 간접수용을 판단하기 위한 특별한 희생에 대한 판단기준의 정립과 더불어 보상에 관한 한·미 FTA의 규정과 우리 법규정을 조화롭게 해석하여야 하는 문제 등이 있다. 먼저 보상의 근거와 관련해서는 보상규정이 미비되어 있더라도 관련규정이 존재하며 손실이 예측가능하고 특정가능하다면 관련규정을 유추적용할 수 있을 것이고, 관련규정이 없다면 헌법 제23조의 직접효력설에 따라 보상의 기준과 방법을 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보상의 기준과 관련해서는 한·미 FTA 규정상의 ‘수용일’의 개념을 명확하게 하여야 하며, 한·미 FTA의 공정한 시장가치와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의 공시지가보상의 조화를 위하여 현행 공시지가제도를 국제적인 기준에 부합하며 현실적 가격을 반영하는 방향으로 개선하고 제도의 합리성을 외국에 알리려는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며, 유형의 재산권 외에 한·미 FTA가 보호하는 투자에 대한 보상의 기준을 입법적으로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 법제도에서는 ISD와는 달리 불복절차를 규정하고 있어 투자자는 보다 두터운 보호를 받을 수 있는데, 간접수용에 관해서도 토지수용위원회와 같은 보상위원회를 설치하여 재결을 거쳐 법원으로 가는 단계를 구축하여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불복을 가능하게 하는 행정심판제도의 정비와 그에 대한 소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입법도 필요할 것이다. 입법부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하는 손실보상에 관한 일반법의 제정이나 한·미 FTA의 이행에 관한 특별법 내지 행정입법의 제정을 통하여 간접수용을 우리 법제도에 포함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indirect expropriation is a system that makes the government to give compensation to an investor who suffers a loss from an act of a governmental regulation. It is included in almost every inter-governmental investment agreement in order to protect foreign investors. The Korea- 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FTA) that went into effect in March 2012 has a clause of the indirect expropriation, which sparked a public dispute in the Korean society. As a system of the indirect expropriation had not yet been prescribed in the Korean law, many people raised concerns that the clause would affect the government’s regulatory policy. The concept of the indirect expropriation is still in a process of being established by theories and arbitrational cases and it still has not the definite principle in criteria for judging based on a case-by-case approach. In general, however, the economic impact of the government action, the extent to which the government action interferes with distinct, reasonable investment-backed expectations and the character of the government action are considered as criteria. This stems from the Three-Factor Test, which is part of ad hoc inquiries, which have been used to determine regulatory taking cases by the Supreme Court of the United States. Therefore, the U.S. Supreme Court’s theories on regulatory taking have given significance to a court of arbitration when it comes to the indirect expropriation. The concept of regulatory taking started after the U.S. Supreme Court said, “…while property may be regulated to a certain extent, if regulation goes too far it will be recognized as a taking,” in the 1922 case of Pennsylvania Coal Co. v. Mahon. The U.S. Supreme court had employed various criteria for judging regulatory takings, including a standard that concentrates on the economic impact of the government action, and one that focuses both on the purpose of the action and its economic impact. In the 2005 case of Lingle v. Chevron U.S.A. Inc., howver, the court overruled the previous decisions and determined regulatory takings based on the economic impact of the government action, citing that the means-end test for the government regulation had the top priority in regulatory taking as the test was the criteria for due process of law. Indirect expropriation, regulatory taking, and infringement by public, or taking by public in a broad sense in the Korean Constitution are similar in concept that they are about whether or not an act of government regulation is within the scope of police power that needs no compensation. The Korea-U.S. FTA adopts criteria of regulatory taking and infringement by public as it borrows the three-factor test from regulatory taking, with the standard of special sacrifice which draws the line between social obligation of the property right and infringement by public.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decid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compensate a person for a remarkable property loss from restriction that exceeds the range of social obligation in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expropri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e concept of indirect expropriation can be involved in infringement by public of Article 23 in the Korean Constitution, although it is not stated clearly. Compensation for indirect expropriations can be handled by the Investor-State Dispute(ISD) system. However, the Korean judiciary is facing a fresh challenge of compensation for indirect expropriation without a suitable law as an investor is entitled to file a compensation suit before a Korean court based on the municipal law. The Korean court is required to establish criteria for special sacrifice in order to determine indirect expropriations and to interpret compensation clauses of Korea-U.S. FTA and Korean laws in a harmonious way. For a legal basis for compensation, the court can make an analogy from the related rules, if there are relevant laws and the loss is predictable and can be specified. In order to set up the standard of compensation, the legislators should clarify the concept of the date of expropriation in the Korea-U.S. FTA, improve the current system to meet the global standard in order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fair market value’ from the FTA and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s compensation’ from the Act on Acquisition of Compensation for Land, etc. for Public Works and inform other countries about the rationality of Korean system. Adding to the compensation criteria for corporeal property, lawmakers are required to legislate separate standards for foreign investments protected by the Korea-U.S. FTA. Under the Korean legal system, investors are given stronger protection as they can carry appeals unlike the ISD. In cases of indirect expropriations, the government should set up the Compensation Tribunal, an equivalent to the Land Tribunal, to pave the way for the investor to stand before the legal court. The legislative authorities should improve process of admnistrative appeals against the adjudications, and enact laws that enable people to file a lawsuit against them. The legislature can solve out the legal loopholes of indirect expropriations by enacting the Framework Act on Compensation or special act, administrative legisl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Korea-U.S. FTA or whatever that includes all the factors mentioned earlier.

      • 노화 변화 알아차림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황지은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은 노화(aging)로 인해 자신의 행동, 수행 수준, 일상 경험이 변화했음을 즉각적으로 포착하는 알아차림을 의미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 Brothers, 2016)의 긍정, 부정 양상은 개인의 심신의 건강은 물론 노후 준비와 수명과도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인의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은 현재의 삶이 어떠한가를 나타내주며, 미래의 삶이 어떠할 것인가를 예측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노년기를 맞이할 이들이 자신의 삶을 적극적으로 준비하며 더욱 건강하고 활기찬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령 변화로 인해 생활 전반에서 나타난 개인의 행동과 태도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한국인이 노화 변화 알아차림의 내용과 적응 방식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들을 구비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지각하는 노화 변화 알아차림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구성요인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척도의 구성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과 관련된 연구 문헌, 노화 경험과 관련된 척도들에서 항목들을 추출하고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의 내용을 수집하여 예비 검사 문항을 작성하였고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최종 64문항의 척도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설문을 통해 한국인이 지각한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의 내용을 살펴본 결과, 해외에서 개발된 척도와는 달리 우리나라 사회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하위요인과 항목들이 나타났다. 예를 들면 배우자와의 관계 변화, 자녀와의 관계변화에서는 자녀로부터는 독립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부부관계에서는 더욱 친밀하고 중요한 관계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 전통 노인 세대와 다른 개인주의적 서구화된 가치관의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세대 조화 및 협응 변화, 사회적 기여, 타인과 조화로운 관계 추구, 사회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성숙한 인간의 특성이 발달함을 나타내는 항목이 검출되었다. 둘째, 요인분석 및 요인에 대한 전문가 평가과정을 거쳐, 최종 64문항의 노화 알아차림 척도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화 알아차림 척도의 신뢰도와 반분신뢰도는 모두 유의수준(>.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중・장년층 남녀를 대상으로 노화 변화 알아차림 척도를 설문하고, 이를 요인분석 한 결과 여섯 개의 요인 신체 및 건강 기능, 인지기능, 대인관계, 사회인지-사회정서, 생활양식, 영성이 추출되었고 18개의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다. 넷째, 한국인이 지각한 노화 변화 알아차림은 삶의 만족, 우울, 노화태도, 내적 적응유연성, 외적 적응유연성, 주관적 연령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결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노화 과정을 형성하는 심리적 요소 중 하나인 노화 변화 알아차림(AARC)이 한국인들의 삶의 영역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자료를 마련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노화로 인한 변화에 대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물은 상담 현장에서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촉진할 수 있는 상담․교육의 체계적인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나아가 건강 증진, 활발한 사회 참여와 같은 생애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Awareness of age-related change(AARC) is an awareness that immediately captures changes in one's own behavior, performance level, and daily experiences as a result of aging.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AARC) are related to the health and mental health of individuals as well as the preparation and longevity of old age. Therefore, the individual's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AARC) indicates what life is like and predicts what life will be like in the future. In order to actively prepare for their lives and maintain a healthier and more active lif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behaviors and attitudes of individuals throughout their lives due to age change. It is necessary to hav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and the adaptation metho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st tool for measuring the aging perception perceived by Korean people and to examine its components. The problems set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constitutes the AARC? Second, is the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AARC) reliable and valid? In order to identify the above problems, this study extracts items from research literature related to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AARC) and aging experience scales and prepares preliminary examination questions by collecting the contents of aging awareness among the general public. It was. The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developed the scale of the last 64 ques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Korean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AARC) perceived by interviews and surveys, sub-factors and items reflecting Korean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appeared differently from the measures developed overseas. For example, changing relationships with spouses and changing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re found to maintain independent relationships from children and become more intimate and important relationships in marital relationships. Indicated. In addition, items indicating changes in generation harmonization and coordination, social contributions, seeking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he development of mature human responsibilities for society were detected. Second, through the factor analysis and expert evaluation process, the aging awareness scale of the final 64 items was developed. Both the reliability and half-confidence of the aging awareness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above the significance level (> .70). Third, the questionnaire of aging awareness was surveyed among Korean middle-aged and middle-aged men and wom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six factors, physical and health function, cognitive func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ocial cognition-social emotion, lifestyle, and spirituality Eighteen subfactors were extracted. Fourth, the perception of aging perceived by Korean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aging attitude, internal adaptive flexibility, external adaptive flexibility, and subjective age. In this study, we prepared data on how awareness of age related change(AARC), one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shape an individual's aging process, appears in the area of ​​Korean life. It is significant that a test tool has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level. It is expected that these findings will be systematic data of counseling and education that can promot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t the counseling site, and can be used to develop programs to promote life development such as health promotion and active social participation. It is expected.

      • 학교협동조합 참여 학생 조합원의 공동체의식과 경제의식 연구 : 전라북도 소재 중·고등학교 중심으로

        황지은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overall improvement in livelihoods have caused immense fluctuations in values and basic consciousness citizens should be equipped with. In turn, one of the policie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the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chool cooperatives within secondary schools that enables the direct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the cooperatives, starting from 2017. Therefore, being conducted on schools with active cooperatives,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mmunity and economic awareness between general students and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cooperatives, this research has set participation in school cooperatives as the background variable. This research challenges the question of,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with active cooperatives. Second, what is the degree of difference in community awareness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 and how do the subordinate elements differ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cooperatives? Third, what is the degree of difference in economic awareness based on the background variable, and how do the subordinate elements differ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cooperatives? Fourth, what is the degree of difference in the community and economic awareness of student cooperative member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 This research has conducted surveys on 4 schools with active school cooperatives which include student members through their supervising teachers. 98 Jeollabuk-do school cooperative student members and general students were selected in the same ratio. 83 cooperative member students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84% response rate and 70 general students corresponding to approximately 71% response rate were selected to conduct quantitative research. The survey consisted of 14 questions on community awareness, and 15 questions on economic awareness, which was then examined by t-test and ANOVA setting the background variables as classes, years, gender, participation in cooperatives, and period of activity. The result indicated that community awareness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based on classes, years, gender, and period of activity. However, the results have shown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cooperatives possessed a higher degree of community awareness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subordinate elements of community awareness: a sense of belonging, mutual awareness, emotional connection, the pursuit of public interest, and social participation awareness, students have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participation awareness, depending on their participation in cooperatives. The difference in economic awareness also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ccording to classes, years, gender, and period of activity. Subordinate elements of economic elements have also shown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suggesting that the non-profit nature of school cooperatives may have led to various factors of a home environment with other social environments having a more significant impact, hence statistical insignificance. Comparing the degree of difference in community and economic awareness of student cooperative member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has not show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generally high schools than middle schools, seniors than freshmen, males than females, and six-month activity periods than one month have shown higher awareness on average. This study argues that in order to improve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who are budding as democratic citizens through the participation in school cooperatives, the cooperatives’ activity should be reinforced as an educational experience, encouraging the responsibility and sense of duty supervising teachers. This article aims to add depth to the discussion on the solution that enables student activities to establish educational impact.

      • 현대 그래픽 디자인에 나타나는 해체주의적 성향에 관한 연구 : 1960년대 이후 영국의 그래픽디자인을 중심으로

        황지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그래픽 디자인의 표현 스타일에 있어서 오늘날의 그래픽 디자인은 엄청난 변화와 표현의 다양성을 요구 받고 있다. 현대 그래픽 디자인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디자인 스타일을 요구하는 것은 전통적 그리드 표현에 따른 디자인에 너무나도 빨리 익숙해지기 때문이다. 이미 트랜드화 되어 진 디자인들은 빠른 시간 내에 효력을 상실하게 되고 우리는 다시 새로운 표현을 갈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급속도로 진행되는 최근 그래픽 디자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테크놀로지가 급속도로 변화하던 시기의 움직임에 대한 것들이며 그것을 발생시킨 진원지에 대한 부분들은 경시되고 있다. 따라서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능력에 견주어 볼 때 스스로의 사고를 확장시키고 발전시키는 부분에서 많은 부족함이 보여 지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력한 표현으로 새로움을 갈망하는 현대 그래픽 디자이너에게 어필되고 있는 해체주의적 성향의 진원지를 찾아 연구하고 표현의 구체적 성향을 분석함으로써 그래픽 디자인의 미래적 역할에 대한 재구성의 발판을 마련해 보고자 한다. 해체주의는 프랑스 작가 쟈크 데리다의 문학이론을 근거로 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에게 고정된 사고나 사회적 인식에 반하는 견해에 대해 동등한 중요성을 갖고 대하는 태도를 갖게 함으로써 미학에 대한 재 정의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그래픽 디자인에 나타나는 해체주의적 성향을 연구하기 전에 데리다의 이론을 고찰했으며 해체주의와 깊게 연루되어있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탈구조주의, 구조주의의 철학적 배경을 연구하였다. 탈 근대적 시대가 도래한 1960년대 이후의 그래픽 디자인과 연루된 해체주의적 성향은 본질적으로 일반적인 아름다움과 대중적 공식에 맞추려는 디자인에 대한 도전이었다. 이러한 해체주의의 혼란스러운 방식은 대중에게 인식되고, 비평의 주제가 되고 비로소 생명을 얻게 되어 더 많은 관심과 수용을 부추겼다. 이러한 해체주의적 그래픽 디자인은 1960년대 이후 영국의 펑크, 록 음악의 표지디자인과 포스터가 시초가 되었다. 이 시기 영국을 휩쓴 젊은이들의 문화는 그래픽 디자인에 큰 영향을 끼치며 많은 디자인 잡지를 출간하게 했다. 영국의 해체주의적 성향의 그래픽 디자인은 미국과는 사뭇 다른 모습으로 주류디자인의 경계 바깥에서 발생되었으며 당시 그래픽 디자인은 하위문화의 양상이자 젊은이들이 소통할 수 있는 창조적 도구가 되었으며 따라서 강력한 젊은이의 문화로 세력을 형성하였다. 이 시기에 활동하던 그래픽 디자이너들은 현재 영국의 중추적 디자이너들로 성장하였으며 그들의 해체주의 그래픽 작품들은 현대 그래픽 디자인에 모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왔던 영국의 해체주의 그래픽 디자이너와 그들의 작품을 해체주의적 성향으로(탈구성적 성향, 콜라주 성향, 가독성과 판독성 경시 성향, 탈경계적 성향) 분류하여 분석했다. 이러한 고찰과 분석들을 통해 본 연구는 결론적으로 기술적인 것에 대한 움직임에 집중한 현대의 그래픽 디자인에 중심에 서서 당연하게만 여겨왔던 디자인적 표현의 전제와 그 대외적 소통방식이 지니는 설득력을 보다 자기-의식적으로 해체하고 분석해 볼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

      • 고층 건축물의 구조축 변화에 따른 풍응답 및 풍하중 특성 분석

        황지은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층 건축물의 풍응답과 풍하중을 산정하기 위한 스펙트럼모드해석시 구조설계에 적용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구조축(X축, Y축, Z축) 결정이 필요하다. 또한 1차모드가 지배적인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각 구조축에 따른 1차모드의 동적특성이 필요하다. 최근 비정형 형태를 가진 건축물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강성중심, 질량중심과 기하중심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건물의 구조축이 설정되고 있다. 각 중심들의 불일치로 인하여 질량참여율이 낮거나 모드형상 확인 과정에서 모드분리가 잘 일어나지 않는 현상이 보인다. 이로 인한 연성 진동이 일어날 수 있으나, 연성진동을 무시하고 풍응답과 풍하중을 산정하는 추세이다. 건축물의 구조축을 변화시켜 질량참여율을 높임으로써 각 축의 1차모드가 지배적이고 모드분리가 잘 일어나도록 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로 인한 풍하중에 미치는 영향과 정확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층 건축물의 구조축에 따른 질량참여율, 모드분리여부 그리고 구조축 설정방향에 따라 풍응답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비교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내풍설계로 나아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사각형과 L자형 평면을 가진 건축물을 대상으로 구조축 변화에 따른 건축물의 질량참여율과 모드형상을 비교하여 각 건축물의 구조축 0deg와 30deg를 변수로 두었다. 풍력실험을 진행하여 대상 건축물의 구조축 변화에 따른 풍응답과 풍하중의 변화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초기 구조축 설정과 동적특성 선정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When calculating the wind response and wind load of a high-rise building by performing spectral mod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structural axes (X axis, Y axis, Z axis) for the structural design of the building. In addition, since the primary mode is assumed to be dominant,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mode along each structural axis are required. Recently, as the demand for buildings with atypical shapes increases, the structural axis of a building is set in a state where the center of rigidity, center of mass and geometric center do not coincide. Due to the inconsistency of each center, there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modal participation rate is low, or the mode separation does not occur well in the mode shape confirmation process. Since this may cause couple vibration, there is a tendency to calculate wind response and wind load by ignoring couple vibration. There is also a method to increase the modal participation rate by changing the structural axis of the building, consequently, the primary mode of each axis is dominant, and the mode separation occurs well. However, research on the effect and accuracy of wind load has not been conducted. Therefore, this paper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move on to a more reasonable wind-resistant design by comparing the modal participation and the mode separa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al axis of a high-rise building, and the response effect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structural axis setting. In this paper, structural axis 0deg and 30deg of each building were used as variables by comparing the modal participation rate and mode shape of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tructural axis for buildings with square and L-shaped planes. By carrying out the wind experiment to identify and analyze changes in wind response and wind load due to changes in the structural axis of the target building, it is intended to present as basic data necessary for setting the initial structural axis and selecting dynamic characteristics.

      • 중환자 대상 음악사용 연구 문헌 분석 : 치료적 관점에서

        황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iew 12 works of literature where music was used as a part of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in Korean intensive care unit (ICU) from music therapy perspectives, and then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music therapy studies, and to set a direction for the future Korean music therapy.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2 works of literature on the use of music in ICU were reviewed among studies carried out from 1996, the year when music therapy curriculum was established in Korea, to April 2015. It was decided that items to be analyzed included status according to the year, subject, dependent variable and measurement instrument, the use of music, and evidence for therapy by the use of music. The findings are as follows. Music therapy is clinical approach that is evidence-based. Thus, rationale for the use of music is very important which differs from passive music listening. Therefore, systematic treatment process carried out by trained therapis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passive music listening within the clinical environment. Besides, critical patients and premature infants are subjects that actively require music. However, it is practically difficult for medical personnel to use music in the Korean medical environment. Therefore, it seems that trained music therapist needs to be introduced inside ICU in Korea. Finally, in regard to music therapy in Korea, it is necessary to get interested in and well informed of music therapy for the critical patients. In Korea, a study on the use of music for the critical patients and premature infants is at experimental stage. Therefore,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y, music therapy should be provided for the critical patients, and then the therapeutic effect of music should be proved, and further, measures to develop together with overseas research should be sought.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a total of 12 works of local research literature were reviewed, and their number was small, and a comparison was made with overseas studies on music therapy.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an analysis was made from music therapy perspectives, and information about areas requiring the music therapy was provided, and a direction for the Korean music therapy was set. 본 연구는 국내 중환자실 내에서 비약물적 치료의 일환으로 음악이 사용된 연구 12편을 음악 치료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음악치료 연구와의 차이점을 확인하고, 국내 음악치료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국내 음악치료 교과과정이 설립된 1996년부터 2015년 4월까지의 연구 중 중환자실 내 음악사용에 대한 총 12편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분석항목은 연도별 현황, 연구 대상, 종속변인 및 측정도구, 음악사용, 그리고 음악사용의 치료적 근거로 설정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음악치료는 근거 중심의 임상으로 음악의 치료적 사용에 대한 근거가 매우 중요하고 단순 음악 감상과 구별된다. 따라서 훈련된 치료사에 의한 체계적인 치료과정과 단순 음악 감상은 의료 환경 내에서 구분되어야 한다. 또한 국내 중환자실 내 음악치료 전문가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중환자 및 미숙아는 음악이 적극적으로 필요한 대상이나 국내 의료 환경에서 의료진에 의한 음악사용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중환자의 안위를 위해 훈련된 음악 치료사의 전문적인 음악중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국내 음악치료는 중환자실 내 음악치료에 대해 관심을 갖고 숙지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는 미숙아와 중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을 사용한 연구가 실험적 단계에 있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중환자에게 음악치료를 제공하여 음악의 치료적 효과를 입증하고, 나아가 국외의 연구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분석을 위해 사용된 국내 연구가 총 12편으로 매우 적은 수이고, 국외 음악치료 연구와 비교하였다는 한계가 있으나, 이를 음악치료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음악치료가 필요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으며, 국내 음악치료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라파엘 모네오의 공간에 나타난 장소의 해석과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황지은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건축은 그 목적이 달성되면 곧 소비되듯 처분되면서 지역 환경이 파괴, 오염, 자원의 낭비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적인 건축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건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라파엘 모네오는 건축을 시간을 초월하여 영원히 존재하고 싶다는 욕망이 잠재되어 있는 존재로 표현하고 있다. 그의 건축물은 자립적으로 생명을 누리며, 완성된 건축물은 주위 환경에 자극을 주어 새로운 건설에 대한 길을 열고 연쇄반응을 일으켜 독자성과 영원성을 획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장소의 의미와 해석을 통하여 건축의 자주성과 영원성을 획득한 라파엘 모네오의 공간에 대한 장소적 표현특성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 중 장소의 특징이 반영되어 있는 건축물을 대상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서적을 통한 연구와 함께 유럽 지역의 작품들을 실제 답사하였다. 답사 후 건축물과 주변 환경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장소에서 건축가가 반영하고자 한 의미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그가 건축물에서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것이 주변 환경과 대지의 잠재성에 대한 실현으로, 대지가 가진 도시적, 문화적, 역사적 맥락을 독자적으로 건축물에 반영하고 있다. 라파엘 모네오의 장소의 해석방법은 물리적 환경과 역사의 연속성 위에 존재하고, 과거의 건축공간은 과거성이 아닌 현대성에 관한 지각을 포함하여 재해석하여 반영한다. 이렇듯 재해석한 장소성에 순응, 대항, 생성의 방법으로 표현됨으로써 장소성을 이식하고 지역성을 재생시킴으로써 건축의 자주성과 영원성을 동시에 획득하게 된다. 또한 장소의 주관적 선 해석을 통한 후 건축물의 태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표현 특징은 공간구성, 형태, 스케일, 재료, 시선적 특징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개개의 장소가 아닌 잠재성에 따라 다양하고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공통적로 현대성을 드러내고 복합적인 요소들을 통합하는 방법으로 모더니즘에 입각한 기하학적 형태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동시에 도시 맥락적으로 기존의 도시환경과 반응하며 현대적 지역성을 획득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대 건축의 장소성이 역사, 문화적 관점이나 물리적인 관점의 획일화된 장소로 해석되어지는 것에서 벗어나 사회적 관점으로의 해석과 나아가 장소와 환경이 가진 복합적인 잠재성이 고려되기를 원한다. 나아가 주변 환경과 맥락적으로 소통하되 독존성을 가진 건축물들을 통하여 소비적 건축 환경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방법론적 해결이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