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계 중심의 고전시가 교육 연구

        황예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관계 중심의 고전시가 교육 연구 이 연구는 학습자가 고전시가 교육에서 다양한 주체와의 관계를 통해 타자와 소통하며 타자 이해와 자기 이해를 도모하여 학습자의 성장을 이 끄는 문학 경험을 할 수 있는 교육을 제안한다. 학습자와 고전시가 텍스트 사이의 관계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학습자가 고전시가 텍스트와 학습자 자신, 또래 학습자와의 관계를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관계 중심의 고전시가 교육의 구조와 원리를 제시한다. 관계의 축자적 의미 분석과 가치 관계론에 의거하여 문학교육에서의 관 계 개념을 정립하고, 학습자와 고전시가 텍스트, 학습자 자신, 또래 학습 자 간의 관계 구조를 정립한다. 관계 중심의 문학교육의 구조를 '관심 요 소의 발견', '관심 주체에 대한 반응과 판단', '판단 주체와 관심 주체 간 대화'로 나누어 제시하며, 학습자 양상 분석을 통해 각각의 범주를 탐구한 다. 마지막으로, 관계 중심의 고전시가 교육 설계의 이론적 근거와 수행 원리를 제시하며, 관계 진입을 위한 태도 형성과 관계 실천의 원리를 세 부적으로 논의하여 학습자들이 관계를 맺는 데 어려움을 겪는 지점을 보 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관계 중심의 고전시가 교육이 학습자의 성장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이해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한다. This study proposes an education where learners can have literary experiences that lead to the growth of learners by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relationships with various subjects in classical poetry education and promoting understanding of others and self-understanding. It examines the various aspects deriv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nd classical poetry, and through this, presents the structure and principles of relationship-centered classical poetry education that enable learners to practice relationships with classical poetry, themselves, and peer learners. Through analysis of the literal meaning of relationships and value relationship theory, the concept of relationships in literature education is established, and a new structure is presented by emphasizing the dialogue between learners, classical poetry texts, learners themselves, and peer learners. The structure of relationship-centered literary education is presented in detail by dividing it into 'discovery of elements of interest', 'reaction and judgment to the subject of interest', and 'dialogue between the subject of judgment and subject of interest', and each category is defined through analysis of learner patterns. explore Lastly, relationship-centered classical poetry presents the theoretical basis and implementation principles of educational design, and discusses in detail the principles of attitude formation and relationship practice for entering relationships to complement the points where learners have difficulty forming relationships. Through this, relationship-centered classical poetry provides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the positive impact of education on the growth of learners.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성어 교육방안 :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황예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에서 한국어의 한자성어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의 표현에는 많은 한자성어가 존재하며 한국의 역사와 문화, 전통을 배우는 데에도 한자성어 학습이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자성어가 만들어진 유래나 역사적 사건을 이해하지 못하면 그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다. 특히, 한자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의 경우 의미를 모르는 한자성어를 이해할 때 한자 그대로의 뜻으로 해석하려고 시도할 수 있으므로 그 의미를 더욱 정확하게 이해시킬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의 논의는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한자성어 교육을 위한 기본 논의 정리하고 한자성어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한자성어 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한자성어 교육 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계명대학교에서 출판한 <살아있는 한국어>, 이화여자대학교의 <말이 트이는 한국어>와 서강대학교의 <서강한국어 읽기・말하기>, 경희대학교의 <한국어>, 서울대학교의 <한국어>, 성균관대학교의 <배우기 쉬운 한국어>, 연세대학교의 <한국어> 등 7개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 나타난 한자성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자성어 교육순서를 제시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4장에서는 ‘한자성어 교재 개발의 구성 방향 및 단원 제시’ (김선정, 강진숙, 2007)에서 사용한 50개의 한자성어를 차용하고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어려움을 크게 느끼는 순서대로 나열하고자 하였다. 이 때 난이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전혀 모르는 한자성어, 의미는 알고 있으나 활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 그 의미도 잘 알고 활용도 가능한 것의 세 가지 기준을 설정하였다. 5장에서는 한자성어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하여 총체적인 교육 기준 제시와 수업 구성을 위하여 ‘틀’을 제시하였으며, 각 단계별 수업 구성의 예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한자성어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므로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인과의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한자성어의 교육이 절실하다고 생각한다.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자성어 제시 우선순위를 교육으로 연결한 논의는 없었다. 이에 본 논문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성어 교육방안을 마련하였다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to Chinese students. Many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exist in Korean expressions, and the study of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plays an important role to learn Korean history, culture and tradi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ose idioms' meaning without understanding words origin and historical events. Especially, Chinese students are likely to guess the meaning literally by Chinese words, so it is necessary to let them know the exact meaning in Korean language. The outline of this thesis is conducted as follows: Chapter 2 sorts out some basic arguments about teaching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and states the concept and feature of those phrases as well as the necessity of teaching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To understand the education situation of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in Korean textbooks, Chapter 3 analyzes idiomatic phrases idiomatic phrases derived from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seven textbooks which are in us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nowadays, such as <Alive Korean> (Keimyung University), <Pathfinder in Korean> (Ewha Womans University), <Sogang Korean Book Reading & Speaking> (Sogang University), <Korean Book> (Kyung Hee University), <Korean Book> (Seoul National University), <Easy Korean Book>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n Book> (Yonsei University). The findings greatly aid the priority exposition of teaching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Chapter 4 brings 50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derived from 'A Proposal for Creating Directions for Korean Textbooks with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and a Model Lesson' (Kim, Seon-Jung, Kang Chin-Suk, 2007,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carries out a survey targeting Chinese students and lists the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in order of the understanding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 difficulties, three levels of the educational priority are established: 1)Totally-unknown phrases; 2)Hard-to-use phrases; 3)Easy-to-use phrases. Chapter 5, to teach idioms effectively, presents an overall educational standard and introduces a 'framework' for curriculum as well as lesson samples for each level. Last but not least, this research shows that learning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is considered imperative for Chinese students to communicate fluently with Korean people, since it is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Moreover, the research with topics of priority teaching method for Chinese students is not mentioned yet. Therefor, in a sens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n education program of Chinese-Korean idiomatic phrases for Chinese students.

      • A STUDY OF COGNITIVE PERSPECTIVES ON ANIMAL METAPHORS : 동물 은유에 대한 인지 의미론적 연구

        황예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systematicity of the animal metaphors in English. Based on the cognitive semantic frameworks to explain the metaphors, we try to show what characteristics animal metaphors share, how they are explained in cognitive metaphor theories, whether the explanations are successful and in what respects they should be expanded or modified. Conceptual metaphor and grammatical metaphor theories of Lakoff and Johnson (1980, 1999) can be employed in the explanation of animal metaphors, where the animal can be mapped onto the human being himself and onto other social domains in a systematic way. Conceptual metaphor and grammatical theories can be applied to the metaphor HUMAN IS ANIMAL, and grammatical metaphor theory to the metaphor INANIMATE THING IS ANIMAL. Most animal metaphors have derogatory connotations, which can be neatly understood based on the concept of GREAT CHAIN OF BEING (Lakoff and Turner, 1989). The cognitive linguistic explanation of animal metaphors can be highly appreciated for its systematicity and its width. However, it should be modified to extend to the connotations of animal metaphors as grammatical metaphors, which are conspicuous even if complimentary connotations are used less frequently than derogatory connotations. Further, it also should be fine-grained enough to explain why some animal terms such as lion are restricted to complimentary connotations. 이 논문은 영어에 나타난 동물 은유현상의 체계성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동물 은유의 특징을 기술하고, 이에 대한 인지 의미론적 설명 방식을 응용하여 동물 은유의 체계성을 보인다. 더 나아가 찬사를 위해 동물 은유를 경우와 비하를 위해 동물 은유를 사용하는 경우를 비교, 제시하고 인지 의미론적 설명의 한계와 발전 방향을 살핀다. Lakoff와 Johnson (1980, 1999)의 개념적 은유(conceptual metaphor)와 문법적 은유(grammatical metaphor) 이론이 동물이 인간에, 그리고 동물이 다른 사회 영역에 체계적으로 사상되는 동물 은유 설명에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 인간은 동물이다”(HUMAN IS ANIMAL)라는 내용의 개념적 은유와 “ 무생 물은 동물이다”(INANIMATE THING IS ANIMAL)라는 내용의 문법적 은유가 관련된다. 대부분의 동물 은유는 또한 경멸 혹은 비하적 의미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거대 존재망(GREAT CHAIN OF BEING, Lakoff와 Turner 1989)이라는 개념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인지의미론의 동물 은유에 대한 설명은 그 체계성과 설명의 폭에서 평가 받을 만 하다. 그러나 동물 은유가 비하적 의미로 주로 사용되기는 하지만, 찬사적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할 수 없다. 특히 인지의미론적 설명은 lion과 같은 경우는 찬사적 의미로만 사용되는 데 이를 설명할 수 있을 만큼 섬세한 방향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 SMCU 스토리텔링에서 세계관 활용 및 중국 소비자 연구

        황예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SM엔터테인먼트가 소위 ‘세계관 유니버스’라는 스토리텔링을 마케팅에 활용하는 데 있어 이 마케팅이 팬덤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떤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향후 세계관 마케팅을 하는 데 있어 개선할 방향과 예측 효과를 제시하는 데 연구 목적이 있다. SM 엔터테인먼트는 2020년 10월에 SM Culture Universe(이하 SMCU) 프로젝트를 통해 ‘세계관 유니버스’를 발표했는데, 이는 기존의 팬덤 활동 확장에 영향을 미쳤다. 이미 프로슈머(Prosumer)로 발전되어 있던 팬덤이지만, 세계관 유니버스를 도입한 마케팅에 접하면서 프로슈머로서의 인식과 활동영역이 크게 확대되었다. 이에 SM 엔터테인먼트의 SMCU프로젝트에 포함되는 네 그룹 ‘EXO’, ‘Red Velvet’, ‘NCT’, ‘aespa’의 세계관을 분석하고 팬덤의 이해 및 진화를 살펴보는 과정에서 내용분석법과 사례연구를 연구방법으로 채택했다. SM엔터테인먼트는 콘텐츠를 제공할 때 세계관의 여백을 두고 그 공백을 채우는 것을 팬의 몫으로 남겨 팬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있다. 팬들은 이런 마케팅의 영향을 받아 1차적 소비뿐 아니라 자체적으로 고유의 문화도 형성하고 나아가 팬덤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한다. 팬들이 세계관 스토리를 적극적으로 수용할수록 팬들이 펼치는 활동의 영역도 넓어진다. 즉 프로슈머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용하며 기존 팬덤을 확대하고 발전시킨다. 본 논문은 K-Pop팬덤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팬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문화적, 다민족적 등 특정을 가지고 있는 중국 팬들이 K-Pop을 소비하면서 K-Pop 그룹이 제시하는 세계관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확장하는지 알아보았다. 중국팬들은 세계관 스토리에 대한 수용도가 높을수록 수동적인 소비자를 넘어 능동적인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팬들의 생산행위는 세계관 스토리에 대한 이해에 따라 활용도가 달라지고, 그에 따른 생산물도 다양하며 차별화된 다양한 팬덤 문화를 형성한다. 또한 팬들은 세계관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유•무형의 생산을 통해 세계관 스토리의 주변구조를 풍부하게 만들고, 세계관의 여백을 메우면서 세계관 스토리의 전개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래서 세계관 스토리텔링의 일부 부가가치도 소비자가 개발한다. 팬덤은 아이돌 브랜드의 효과적인 확산을 가져왔고, 그것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사람에게 파급하는 효과를 일으켰다. 이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중 어떤 형태의 콘텐츠로 접근을 하더라도 잠재적 소비자를 확보하고 팬덤의 선순환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하지만 이런 전략에도 문제점이 있다. 난해한 세계관 스토리를 이해하기 어려워 재생산된 콘텐츠가 기획사의 의도와 다르다는 점, 각 그룹간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유사성, 콘텐츠의 과도한 상업화를 들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여 팬덤의 역할과 문화를 바탕이 된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팬덤의 가치 및 팬이 생산한 콘텐츠를 제대로 활용하고, 흥미로운 스토리가 유기적으로 잘 연결된 세계관 유니버스를 활용하여 팬 충성도 및 유입을 높인다면 정확하고 효과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의인화된 브랜드 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 사치 정도 및 자주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황예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influence of personalized media grows, many companies are trying to introduce personalized brands and products. Although the importance of anthropomorphic brand is increasing, academic research on the effects of anthropomorphic brand image is not enou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nceptual framework of the anthropomorphic brand image and test the model by conducting an empirical. The study was conducted by utilizing an experimental approach and regression metho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nthropomorphism images affect consumers' intention to buy. Second, anthropomorphism images can affect brand perception. Third, brand perception mediates the effect of anthropomorphism image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Finally, the degree of luxury and independence moderate the mediating process of the brand images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brand recognition. Specifically, in case of high luxury levels consumers prefer aggressive facial expressions. And, consumers prefer friendly facial expressions with low level of luxury. The fact that independence plays a mediating role can be seen as a motivation that the anthropomorphism image affects how consumers connect with others.

      • 한반도 지역의 위성기반 XCO2와 CO2 배출량 자료의 차이 : 식생 및 기상인자의 관계성 기반 분석

        황예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5

        In recent years, Korea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2 emissions in global warming, declared carbon emission reduction targets, and strives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As a result, accurate assessments of regional emissions and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this study, we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issions, vegetation, and meteorological factors as sources and sinks of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s by region. We identified regional differences in CO2 emissions and satellite-based CO2 concentr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We explained these differences regarding solar-induced fluorescence (SIF) related to carbon dioxide uptake by vegetation. We also identified regional variability and seasonal differences by utilizing vegetation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that affect the variability of atmospheric CO2. From 2014 to 2018, the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and Research Center (GIR) and Emissions Database for Global Atmospheric Research (EDGAR) emissions continued to increase, but satellite-based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s decreased in 2015 and 2018, respectively. The GIR and EDGAR emissions increased in Gyeonggi-do and Chungcheongbuk-do in 2018, but satellite-based CO2 concentrations decreased in those years, confirming regional differences in emissions-atmospheric CO2. In addition, SIF, NDVI, LAI, ET, LST, and precipitation, which affect atmospheric CO2 concentr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2. Monthly peak values of vegetation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differed by region, SIF, NDVI, LAI, and ET showed high peak values in Gangwon-do and Chungcheongbuk-do, and dXCO2, LST, and precipitation showed high peak values in Gyeonggi-do and Seoul. In particular, Seou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XCO2 and NDVI, LAI, and ET from April to August, likely due to its high anthropogenic emissions but small forest cover and most minor seasonal variation. These results suggest regional differences in vegetation index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and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carbon dioxide emissions, vegetation,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are all factors involved in carbon circulation.

      •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여부가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예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여부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자는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전체 대상자 중에서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자 673명과 참여하지 않은 자 9,561명으로 전체 10,235명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노인 우울을 종속변수로 선정하고 경제적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건강 관련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변수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거주형태가 자가가 아닌 경우, 사회적 관계망이 적을수록, 사회활동이 적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은 경우, 죽음준비를 하는 경우, 차별경험이 있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만성질환 수가 많을수록, ADL수준이 높은 경우 우울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에 따른 제언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욕구를 고려한 다양한 분야의 노인일자리사업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일자리 선발요건을 사업특성에 따라 제정해야 한다. 둘째, 노인의 일자리사업 외에 다양한 사회참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활동성을 높이고 사회적 관계 형성을 통해 심리·정서적 지지체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셋째, 노인의 우울 완화를 위해 신체적 건강 외에도 정신적 건강까지 포괄적 개입을 제공하여야 하며 지역사회 내에 신체적·심리적 건강관리가 통합적 관리 체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앞으로 노인일자리사업 정책 개선을 통한 참여증진과 체계적인 우울 관리를 통해 노인에게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을 보장하여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factor of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elderly public work(NEPW) on depression in the elderly.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2017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in the NEPW, a total of 10,235 people were extracted and analyzed, with 673 participants and 9,561 non-participa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higher depression when not participating in the NEPW, higher age, living with someone, lower social support, less social activity, lower life satisfaction, lower subjective health, and higher ADL level.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development of the NEPW for the elderly in various fields considering the demand for the elderly should be promoted, and job selection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PW should be reorganiz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activ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in addition to the NEPW and to form a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system through the form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Third, in order to alleviate depression of the elderly, comprehensive intervention should be provided not only in physical health but also in mental health.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management should be formed within the communit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nsure a healthy and active retirement life for the elderly through participation promotion and systematic depression management through improvement of the NEPW policy.

      •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황예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3곳에 재학 중인 청소년 1, 2학년 284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척도’,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 ‘대인관계 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 이용하여 각 변인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Hayes (2013)의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부애착과 모애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의 모애착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유능성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소년의 부애착은 대인관계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의 부애착과 모애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청소년의 모애착의 경우 자기개념 명확성을 매개로 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을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나, 청소년의 부애착의 경우는 대인관계 유능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영향을 통합적으로 탐색하고, 청소년의 모애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를 자기개념 명확성이 매개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olesc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4 first and second year high schools student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tudents responded to the survey on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IPA), Self-Concept Clarity Scale(SCC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ICQ). To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lso, the analysis of mediation model was carried out using PROCESS macro by Hayes(2013), and bootstrapping method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higher mother attachment associated with higher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olescents. However, father attachm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olescents. Second, as a result of using PROCESS macro by Hayes(2013) and bootstrapping method, self-concept clarit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self-concept clarity did not mediate between father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olesc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comprehensively explored the effects of parent attachment and self-concept clarity on adolesc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verified the self-concept clarity mediates between mother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olescents.

      •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황예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for this purpose, 315 university students (124 men and 191 women) completed measures of CNS, CERQ, and SAOQ,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research problem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covert narcissism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ird, What is the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what is the gender differenc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stepwis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covert narcissism.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university life adjustmen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and it showed an nega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Second,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target instability and hypersensitivity/vulnerability among sub-factors of covert narcissism influenced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ird, the more they use adap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the more they adapt to university life, and the more they use maladap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the less they adapt to university life. Among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mal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plan reconsideration, acceptance, catastrophe, self-criticism, and rumination. And the female students were influenced by the plan reconsideration, positive reevaluation, and catastroph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djustment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control strategie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confirmed the adjustment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al control strategies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life adjustment,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nd covert narcissism. and adaptive cognitive control strategies that are adaptable to university life are important facto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suggest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성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 315명(남 124명, 여 191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CERQ), 대학생활적응 척도(SACQ)를 실시하고 SPSS 22.0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대인관계능력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성별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내현적 자기애와 대학생활적응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요인인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은 대학생활적응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요인 중 목표불안정과 과민/취약성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높아지며 부적응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할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낮아졌다. 남학생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중 계획 다시 생각하기, 수용, 파국화, 자기비난, 반추 순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학생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재평가, 파국화 순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 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에 적응적인 인지조절전략이 중요한 요소이며 내현적 자기애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공연예술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황예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Online Performing Arts in the Post-Corona Era Hwang, Ye-Ji Dept.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technology Sangmyung University This thesis aimed to research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measures of online performances based on the perspective following the experiences of producing it. The ‘Post-Corona’ era has arrived. The ‘Post-Corona’ means the era when the daily life and economy are newly and socially changed after the COVID-19(hereafter, Corona 19) has passed. For this reason, in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world, many private performance halls, national theaters, or large agencies are creating the ‘untact’ performance methods meaning contact-free and non-face-to-face, in the form of producing online performances and relevant image contents. Also,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the 2021 budget bill strengthening the untact contents, and also carried out the Corona 19 arts forum. The production of online performances tends to be continuously increasing while the necessity of untact contents has been nationally cognized. Thus, this thesis researched the experiences of producing an online performance focusing on online performance in the Post-Corona era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and also studied its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Through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 there were largely three problems of online performances. The concret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due to the absence of audiences, the breathes and feelings were not delivered. During the performance, the performers felt the decline of realism, immersion, and energy, and there were no methods to cope with happenings they could face in the middle of performance. It was also impossible to produce the scenes participated by audiences. Second, as a problem of platform utilization, there were problems with the function of platform itself. And the online performances with star quality were only consumed. They also said that the platform was not fully generalized yet. Third, due to the increase of low-budget online performances by the change of image media, it is highly possible to be standardized downward, and the image could become a subject instead of performance. As it became possible to reshoot the performance, the performers’ tension and vitality got lowered. There were also problems caused b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each area between performance producer and person related to image media, and problems with the design of existing performance halls that were not suitable for online performances. Based on such problems, this study researched total three improvement measures for online performances. First, there should be the researches on audience-centered online performance and the researches on performer-centered online performance at the same time. In the performing arts, the percentage of performers is very high, and the performers’ work satisfaction plays a great role in the creation of great performance. Thus, there should be the researches on the performer-centered methods such as the performers could see the audiences’ responses. Second, a platform suitable for online performances should be developed.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platform equipped with functions suitable for the provision of online performance or easy-to-view classification & service for users. Third, there should be performance halls suitable for online performances. It would be necessary not only to design the performance halls for the production of various online performances, but also to modernize and develop the existing performance halls. Due to the Corona 19, the face-to-face performances could not be performed, so the online performances were conducted as its alternative. Even though the online performances were universally carried out as a newly-rising method to enjoy performing arts, there are some problems because of the absence of on-the-spotness which is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performing arts. Thus, i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even though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ntain the on-the-spotness of face-to-face performance in online performances for now, the performing arts world was trying hard to continuously complement the problems of online performances and also to develop the new forms through interviews and researches. Thus, the budget support, operation methods, and technology shall be dissemin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performance format. also, there should be continuous researches on online performances of performing arts as an area different from face-to-face performances. However, this study also has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this thesis conducted interviews focusing on online performance producers. Thus, this study could not collect the realistic and direct information and statistics based on the responses of actual audiences and performers, so it was not possible to discuss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it. Second, as a thesis focusing on a specific onlin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not represent the whole online performances. Third, even though this thesis researche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online performances, the interviews for its verification were not performed. Thus,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are some tasks that should be continuously researched in the fu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online performance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producing an online performance, and also to establish better online performance environment. Thus, this study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providing realistic helps in relation to seeking for the measures for vitalizing online performances and also increasing the work satisfaction of both audiences and performing artists in the Post-Corona era. Keywords: Post-Corona, Online Performance, Performing Arts, Problem, Improvement Measures, Corona 19 국 문 요 약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공연예술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본 논문은 온라인 공연을 제작한 경험에 따른 시각으로 접근해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도래 하였다. ‘포스트 코로나’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가 지나가고 새롭게 변화 된 일상과 경제가 사회적으로 변화하는 시대를 말한다. 이에 맞춰 국내 공연예술계도 다수의 민간 공연장이나 국립극장, 대형 기획사가 온라인 공연, 관련 영상 콘텐츠 등을 제작하는 형태로 비접촉, 비대면을 뜻하는 ‘언택트(untact)'공연 방식을 만들어가고 있다. 또한 문화체육관광부가 비대면 콘텐츠를 강화하는 2021년 예산안을 발표하고 코로나19 예술포럼을 진행하면서 온라인 공연 제작은 꾸준히 증가 할 추세를 보이고 있는 동시에, 비대면 콘텐츠의 필요성을 국가적으로 인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온라인 공연을 중심으로 온라인 공연 제작 경험을 심층 인터뷰로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심층 인터뷰 결과를 통한 온라인 공연의 문제점은 크게 3가지가 있었다.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관객 부재로 인해 호흡과 느낌이 전달되지 않으면서 생기는 문제였다. 실연자가 공연을 진행하면서 현장감, 몰입도, 에너지 저하를 느낀다고 하였으며, 공연을 진행하면서 생길 수 있는 문제와 같은 해프닝들의 대처 방법이 없다고 하였다. 또한 관객 참여 장면 제작이 불가 한 점이 있었다. 둘째는 플랫폼 활용의 문제로 플랫폼 기능 자체의 문제와 스타성 온라인 공연만 소비되는 현상이 있었으며, 플랫폼 보편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였다. 셋째는 영상 매체 전환에 따른 저예산 온라인 공연 증가로 인한 하향평준화와 공연이 아닌, 영상이 주체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다. 또한 재촬영이 가능해 지면서 실연자의 긴장감과 생동감이 저하되었으며, 공연 제작자와 영상 매체 관련자의 각 분야의 이해도 차이로 인한 문제와 온라인 공연에 알맞지 않는 기존 공연장 설계의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통해 온라인 공연의 개선 방안으로 3가지를 연구하였다. 첫째는 관객 중심의 온라인 공연 연구와 실연자 중심의 온라인 공연 연구가 함께 진행 되어야 한다. 공연예술에서 실연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며, 실연자의 작품 만족도가 좋은 공연을 만들어 내는 것에 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실연자가 관객의 반응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등과 같은 실연자 중심의 방법도 함께 연구되어야 한다. 둘째는 온라인 공연에 알맞은 플랫폼 개발이 진행되어야 한다. 온라인 공연 제공에 맞춘 기능이나 이용자가 보기 편리한 분류 및 서비스 등이 있는 플랫폼이 구축되어야 한다. 셋째는 온라인 공연에 알맞은 공연장이 준비되어야 한다. 다양한 온라인 공연을 제작할 수 있는 공연장을 설계하는 것 뿐 만아니라 기존 공연장을 먼저 첨단화하고 발전 시켜야 한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면공연이 불가능해짐에 따라 대안 책으로 온라인 공연이 진행되었다. 온라인 공연은 보편적으로 진행되기 시작했고 공연예술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떠올랐지만, 공연예술의 고유한 특성인 현장성이 결여되면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으로 이러한 대면 공연의 현장성을 온라인 공연에 담는 것은 현재 불가능에 가까우나, 인터뷰와 조사를 통해 공연예술계는 온라인 공연의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보완과 새로운 형식을 개발 하면서 노력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른 공연형식 변화에 맞춘 예산지원과 운영방식 및 기술을 보급화 시켜야 한다. 또한 온라인 공연이 대면 공연과는 다른 분야로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이 논문은 온라인 공연 제작자를 중심으로 인터뷰되어있다. 따라서 실제 관객과 실연자의 반응을 토대로 현실적이고 직접적인 정보 및 통계를 수집하지 못하였으며, 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하지 못하였다. 둘째, 특정 온라인 공연을 중심으로 연구되어진 논문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다수의 온라인 공연을 대표하는 의견이 될 수 없다. 셋째, 온라인 공연의 개선방안을 연구하였지만, 그에 따른 검증을 위한 인터뷰는 진행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향후 지속적인 다양한 시각의 연구와 구체적인 모델 연구가 남아있음을 밝혀둔다. 본 연구는 온라인 공연 제작 경험을 기반으로 온라인 공연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연구하였으며, 더 나은 온라인 공연 환경을 설정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이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온라인 공연 활성화와 관객과 공연예술인 모두가 작품 만족도를 증가 시킬 수 있는 방안을 구하고 그와 관련하여 현실적인 도움을 얻을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길 바란다. 주제어: 포스트코로나, 온라인 공연, 공연예술, 문제점, 개선방안, 코로나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