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황연경 순천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살펴보고, 이들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연구하여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회복탄력성을 높여 조직몰입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조사대상자는 전라남도 동부지역인 순천시에 소재한 노인장기요양시설 및 노인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50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회복 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에 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관심 문항에 대해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변수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 등의 분석을 위해서는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인 요양보호사들의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간 관계에서 선택된 하위변수 관련 평균 수준을 살펴보면, 회복탄력성에서는 자기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강인성, 낙관성 순으로 조사되었다. 전반적으로 회복탄력성 수준은 평균을 상회하였는데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평균 이하로 나타난 점과 대조적이다. 조직몰입도 평균을 상회하고 있으나 회복탄력성 수준보다는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둘째, 회복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회귀분석에서는 담당환자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환자수가 증가할수록 직무스트레스 수준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복탄력성 가운데 낙관성은 영향을 주지 않으나 강인성과 자기효능감은 부(-)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자를 비교할 경우 상대적으로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회귀분석에서는 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복탄력성 가운데 낙관성 만이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강인성 및 자기효능감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회복탄력성과 직무스트레스간의 관계 결과는 유의수준 .05에서 직무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담당환자수의 변인으로 회귀계수는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담당환자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간의 영향관계 분석에서 직무스트레스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연령과 건강상태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직무스트레스는 정서적 몰입에 별다 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규범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해 보면 정서적 몰입과 마찬가지로 건강상태가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조직몰입수준이 제고됨을 의미한다

      • 직장인의 개인이미지, 오센틱 리더십 및 조직소통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자본의 매개효과

        황연경 한서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는 개인이미지, 오센틱 리더십, 조직소통, 조직유효성 및 심리자본 간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사의 시간과 편리성을 고려하여 대전광역시의 관공서, 공기업, 기업체에서 근무하는 직장인을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하였으며, 분석에 활용된 전체 대상자 수는 총 520명이다. 자료는 SPSS PC+ Win.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적용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상관분석, 평균비교분석(t-test, ANOVA), 구조방정식모형이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직장인의 특성에 따른 개인이미지, 오센틱 리더십, 조직소통, 조직유효성 및 심리자본의 차이 (1) 직장인의 개인이미지 첫째, 자아존중감은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대학원을 졸업한 집단이 전문대학과 고등학교 졸업한 집단보다 더 높았다. 근속년수에 따라서는 16년 이상 근무한 집단이 1년 미만과 1년~3년 미만 근무한 집단보다 높았고, 지위에 따라서는 과장급(팀장), 차장급 이상 집단이 사원급보다 높았다. 둘째, 얼굴이미지는 근무하는 직종에 따라서 영업(서비스)직 집단이 기능기술직 집단보다 더 높았다. 셋째, 외모관리행동은 성별에 따라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고,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졸업한 집단이 대학원을 졸업한 집단보다 더 높았다. 직종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영업(서비스)직 집단이 모든 집단 중 가장 높았고, 사무직 집단이 기능기술직 집단 보다 높았다. 넷째, 외모만족은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고, 근속년수에 따라서는 10년~15년 미만 근무한 집단이 5년~10년 미만 근무한 집단 보다 더 높았다. 지위에 따라서는 대리급이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낮았다. 다섯째, 이미지관리행동은 성별에 따라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고, 직종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영업(서비스)직 집단이 기능기술직, 관리직 집단에 보다 더 높았다. (2) 오센틱 리더십 첫째, 리더의 자아인식은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직종에 따라서는 영업(서비스)직과 사무직 집단이 기능기술직 집단보다 더 높았다. 둘째, 리더의 관계적 투명성은 남자가 여자보다 더 높았다. 셋째, 리더의 내재화된 도덕관점은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근속년수에 따라 5년~10년 미만인 집단이 5년 미만인 집단들에 비해 더 높았다. 직종에 따라서는 사무직 집단이 기능기술직 집단 보다 높았고, 직위에 따라서는 대리급 집단이 가장 높았다. 넷째, 리더의 균형적 정보처리는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직종에 따라 사무직과 관리직 집단이 기능기술직 집단 보다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조직소통 첫째, 업무적 소통은 성별에 따라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지위에 따라서는 사원급 집단이 대리급과 과장급 집단에 비해 낮았고, 대리급 집단은 과장급 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창의적 소통은 근속년수에 따라 16년 이상 집단이 5년~10년 미만 집단보다 높았고, 직종에 따라서는 영업(서비스)직이 기능기술직에 비해 높았으며, 지위에 따라 과장급(팀장)이 모든 집단 중 가장 높았고, 차장급 이상 집단은 대리급 집단 보다 높았다. 셋째, 정서적 소통은 성별에 따라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직종에 따라서는 사무직과 영업(서비스)직 집단이 기능기술직 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4) 심리자본 첫째, 희망은 성별에 따라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대학교와 대학원을 졸업한 집단이 고등학교와 전문대학을 졸업한 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대학원을 졸업한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높았다. 근속년수에 따라 5년~10년 미만 집단이 1년 미만 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고, 직종에 따라서는 영업(서비스)직이 다른 직종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지위에 따라 과장급(팀장) 집단은 대리급 집단 보다 낮고 사원급 집단 보다는 높았다. 둘째, 낙관성은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대학원을 졸업한 집단이 전문대학과 대학교를 졸업한 집단 보다 높았고, 근속년수에 따라 16년 이상 근무한 집단이 1년 미만, 1년~3년 미만 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지위에 따라 과장급(팀장)과 차장급 이상 집단이 사원급, 대리급 집단에 보다 높았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성별에 따라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대학원 졸업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근속년수에 따라서 16년 이상 근무한 집단이 1년~3년 미만 근무한 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회복탄력성은 성별에 따라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대학원 졸업 집단이 고등학교, 전문대학 졸업 집단에 비해 높았고, 지위에 따라서는 사원급 집단이 다른 지위의 집단 보다 낮았다. (5) 조직유효성 첫째, 직무만족은 성별에 따라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 근속년수에 따라 16년 이상 집단이 5년 미만의 집단들에 비해 더 높았고, 지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사원급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높았다. 둘째, 조직몰입은 성별에 따라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 This study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s of personal image,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n the organization’s effectiveness of adult workers and the mediated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s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s effectivenes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520 adult workers who worked for public office, public enterprise, and private company in Daejo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analysed by using SPSS PC+ Win. 21.0 and Amos 21.0.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an comparis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applied.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Differences in personal image,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psychological capital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dult workers (1) Personal image of adult workers Firstly, self-esteem of adult workers was higher in male group, in graduate school graduation, in above 16 years serving, and in section chief group. Secondly, facial image was higher in service section than in technical one. Third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higher in the female, in college and high school graduation, in service section, and in clerical group, compared to any other group. Fourthly,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was higher in female, in 10-15 years serving group, but was the lowest in deputy section chief. Fifthly, image management behavior was higher in female, in service section group. (2) Authentic leadership Firstly, self-awareness of leader was higher in female, in service and clerical section group. Secondly, related transparency of leader was higher in male group. Thirdly, internalized moral view of leader was higher in male, in 5-10 years serving group, in clerical group, and in deputy section chief. Fourthly, balanced information processing of leader was higher in male, in clerical, and in managerial group. (3)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Firstly, business communication was higher in male, and in deputy section chief, but was lower in employee group. Secondly, creative communication was higher in above 16 years serving group, in the service section, and in section chief group. Thirdly, emotional communication was higher in male, in clerical section and in service section group. (4) Psychological capital Firstly, hope was higher in male, in university graduation, in graduate school graduation, in 5-10 years serving group, but hope in section chief was higher than in deputy section chief, and lower than in clerical group. Secondly, pessimism was higher in graduate school graduation, in above 16 years serving group, in section chief and in vice director group. Thirdly, self-efficacy was higher in male, in graduate school graduation, and in above 16 years serving group. Fourthly, resilience was higher in male, in graduate school graduation, and in clerical group. (5)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rstly, job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in above 16 years serving group, and in clerical group. Secondly,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higher in male, in 10-15 serving group, in clerical section, and in managerial section. 2) Structural relationship of personal image,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psychological capital Firstly, personal image, authentic leadership,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psychological capital had positive correlation. In detail, self-esteem and facial image, sub groups of personal image, had relatively higher correlation with subgroups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n authentic leadership had high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ly, the study result indicated that personal image positively affecte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adult workers. Thirdly,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positively affected th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adult workers. Fourthly, authentic leadership of boss positively affecte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adult workers. Fifthly, psychological capital also affecte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he adult workers. Sixthly,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verified, which was testified by Sobel’s test.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in the followings. Firstly, future researches on verifying the pathways going through personal image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ll be needed. Secondly, it is urgent to develop the scale to measure personal image. Thirdly, it is expected that further research on enha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uld be followed. Fourthly, further research based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enterprises will be needed. Lastly, the utilization of educational program to be appropriate for position and role in an organization might be required.

      • 동물권에 대한 윤리교육적 고찰 : 동물권 보호의 실질적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황연경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ims to consider the way to admit animal rights and to protect them. As we can see from the slogan ‘Animals are our universal family,’ mankind has relations with animals closely. Nonetheless, many animals have been violated their rights by the cruel human. And animals are still suffering from those who have destroyed their habitats, taken their lives for money or pleasure, or used them for the subjects of some tests. And the law is still inadequate for animal protection. But even with emphasizing bioethics and environmental ethics, someone like an animal activist starts to argue that people have to not only recognize animal rights, but also consider their welfare. In my view, animals are not sacrificial victims of human desire but symbiotic partners with human race in this planet. So, people should recognize animal rights and try to reduce animal ab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