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개발

        황경자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들어 중고등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날로 심각해져가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조기예방의 한 방안으로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어떠한 내용으로 구안되어야 하는가?’ 둘째,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우선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구안하기 위하여 사회적 지지, 중고등학생과 교사의 사회적 지지,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구안 방향을 설정하고 요구조사 문항을 선정한 후 중등교사들과 중고등학생들에게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요구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목표와 하위목표를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목표와 하위목표 달성에 적합한 활동 내용으로 예비프로그램을 구안한 후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최종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최종 프로그램은 중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교사의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 이해, 정서적 지지 기술 향상, 평가적 지지 기술 향상, 정보적 지지 기술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에 적합한 활동 내용으로 구성된 8회기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시에 근무하는 중등교사 중 자발적으로 참가를 신청한 10명의 중등교사를 실험집단으로, 이들 실험집단의 연령과 교육경력을 고려한 동수의 중등교사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참가자들의 욕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예비모임을 가진 후, D시에 있는 B중학교에서 8회기의 프로그램을 4주에 걸쳐 주 2회기씩 연구자자 직접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자료를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과 기술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양적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참가자 경험보고서, 진행자 관찰 내용,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중등교사의 사회적 지지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중등교사와 중고등학생의 관계 향상과 중등교사의 생활지도에 대한 자신감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다. 이 연구는 첫째, 중고등학생들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해 보호요인 강화라는 예방적, 환경적 접근 방법을 취하였다는 점, 둘째, 학교 장면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 기술을 훈련 내용으로 하였다는 점, 셋째, 중등교사의 경험을 십분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concern for the mental health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has become increasingly serious. Because of this, a study was created to design training programs for social support skills with regards to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s well as to test their effectiveness as a way to prevent mental health problems in students, before these problems get too serious. The goal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how to create training programs for the social support skills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second, to determine how effective the training programs would be for these teachers. In order to design social support programs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revious studies on this subject were examined. The directions of the program were then set up and questions for the needs of the study were selected. Questions for the need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were then investigated. Based on the analyses of these needs, goals and sub-goals were created. Pre-programs were designed with activities suitable for achieving these goals and sub-goals. Finally, the final program was created through the experts’ adequacy test process. The final program is divided into 8 time programs aiming to achieve such things as: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regards to the stress they go through, the improvement of emotional support skills and the improvement of appraisal support skills and informational support skill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social support, 10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orking in D city volunteered for the ‘experiment group’, while 10 teachers volunteered for the ‘control group’. Both groups were formed with the same number of teachers based on age and experience. To understand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a pre-meeting was held. In the B middle school in D city, 8 program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for 4 weeks for the program’s effectiveness test. With measures for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teachers, pre and post test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mixed ANOVA and technical statistics.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n credibility of the quantitative results, participants’ experience reports, observation reports and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were summarized upon completion, noting that the training programs for social support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social support skills. Also, the training program for social support of the teachers was effective in improving confidence in guiding students and impro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s in that it took a preventative and environmental approach in the mental health concern regard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also contains social support skills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education field in schools. Finally, the study utilized the experience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o the fullest.

      • 聖書翻訳における語彙の対照硏究 : 中日韓マタイの福音書(1854, 1880, 1887) を中心に

        황경자 同德女子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thesis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ble of Chinese, Japanese and Korean by disclosing impact relation between the Bible of Korean and that of Japanese translated in the 19th century and examine the origi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of vocabularies in those and compare to the Bible of Chinese. Furthermore, I examined how name and attitudinal expression in the Bible of Korean and that of Japanese have been translated. In the first chapter, I described the aim of the study, how to analyze and precedence research in detail. In the second chapter, I examined history of the Bible translation in China, Korea and Japan. In the third chapter, I compared translation vocabulary of nouns and verbs in the Bible of Chinese “代表訳本聖書(1854)“ to the first Bible of Korean “예수셩교젼셔(1887)“ by John Ross and the Bible in Japanese “明治元訳聖書(1880)“ and examined them and in addition, I considered and analyzed how name and attitudinal expression have changed. Consequence of the contrastiv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trastive study of the Chinese Bible, it became clear that almost of vocabulary of nouns and verbs in the Bible in Japanese and Korean coincided with that of Chinese. Especially in Korean Bible, words had been brought from the Chinese vocabulary and read phonetically. For example, nouns translated using Chinese word like ‘主ー쥬’、‘天国ー천국’, ‘福音ー복음‘ and ‘하나님-上帝’、‘제자 -門徒’. But vocabulary of verbs freely translated like ’復活-다시닐다’、‘盗ー도적일하다’.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Japanese Bible, words had been translated freely like nouns ‘聘ー聘定いいなづけ’,‘離ー離縁りえん’ for instance. Also, they forcibly translated the word ‘漁者’ to ‘漁者(すなとりびと)’ by having Kana pronouncing. In this way, there were many cases to contain Kana pronouncing unnaturally as there was not appropriate church terminology in Japanese the then of the Bible translation in the flowering time. However, giving free translation to Chinese word like 「世-」「裔-」has an intention to express beauty of Yamato kotoba (classical Japanese) and that is a characteristic of Meiji era Original Translation. In the matter of name, a clear distinction has been found between The Bible of Korean and that of Japanese. Jesus is called with a suffix 「님(様)」in the Bible of Korean. For example, Chinese translated word 「師」translated with a suffix 「님(様)」, like 「션생님」. However, in the Bible of Japanese, Jesus iscalled 「イエス」without honorific title. There is a characteristic in the beginning of the Bible translation in Japanese that attitudinal expression is not used for religious word to express linguistic reflection of hierarchy of the ancient society. Nevertheless, in the Bible of Korean, attitudinal expressions have been used for Jesus when translating the conversation between people talking about him while it is not used when Jesus preaches to people or he has conversation with someone who offers opposition and that makes both Korean version and that of Japanese different greatly. In the forth chapter, impact relation between the Bible of Korean and that of Japanese which translated in the 19th Century has been clarified and as a of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in there, influence of the Bible of Chinese on both were considerable. Especially, translation vocabulary of nouns and verbs in both of the Bible of Korean and Japanese almost matched to that of Chinese. However, the Japanese Bible made word coined by translating Chinese word freely and that makes it original. As the first common point of Korea and Japan, missionary of Protestantism and cooperators have translated the Bible in their language based on the Chinese version of the Bible because they were intellectual who had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Secondary, when the Bible of Korean and that of Japanese had been translated, it had not been to the educated class but to common people and thus it has written in simple a literary style with colloquial language. In conclusion, I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ble in Chinese,Japanese and Korean with an original research method by studying the origin and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vocabulary in the Bible of Korean and Japanese translated in the 19th Century and compare and analyzed it to the Bible in Chinese. 本稿は19世紀に翻訳された韓日聖書翻訳を対象に各訳本の間の影響関係を明らかにし、そこに現れた翻訳語の語彙の源流と特徴を考察し、中国語訳聖書との比較考察を通して、中日韓聖書の関連性を明らかにすることが目的である。さらに、韓日聖書においての呼称及び待遇表現が、どのように訳されたのかを考察した。 第1章においては研究の目的と分析方法及び先行研究について詳細に記述した。 第2章においては中国・韓国・日本の聖書翻訳史について考察した。 第3章においては最初の韓国語訳聖書であるロス訳「예수셩교젼셔(1887)」と日本語訳聖書「明治元訳聖書(1880)」に現れる翻訳語の名詞・動詞の語彙を中国語訳聖書「代表訳聖書(1854)」と比較考察し、さらに、呼称表現及び待遇表現がどのような変化を遂げてきたのかを考察・分析した。 その対象分析の結果は次のとおりである。まず、中国語訳聖書の比較考察した結果、共通点としては韓日両言語聖書翻訳においては名詞・動詞の語彙が中国語訳聖書と殆んど一致している事が明らかになった。特に韓国語訳聖書の場合、中国語の語彙を借用し漢語を音読し翻訳していた。例えば、‘主ー쥬’、‘天国ー천국’,‘福音ー복음‘などの名詞と、‘하나님-上帝’、‘제자 -門徒’、のように漢語を韓国語に翻訳していた。しかし、動詞語彙の場合は’復活-다시닐다’、‘盗ー도적일하다’のように中国語の語彙の漢語に意訳的な読みをほどこし翻訳していた。 一方、日本語訳聖書の場合、中国語の漢語に意訳的な読みをほどこし翻訳していた。例えば‘聘ー聘定いいなづけ’、‘離ー離縁りえん’などの名詞語彙である。 さらに、中国語訳の訳語「漁者」の漢語に無理に振り仮名をふり「漁者」と訳していた。開化期の日本語訳聖書翻訳を行う際は、当時ふさわしい日本語の教会用語がなかったため、中国語訳聖書にひきずられ、漢語に無理な振り仮名をふる例が多々あった。しかし「世-世継」「裔-裔」といった漢語に意訳的な読みをほどこし、大和言葉の美しさを感じさせるためにこのように漢語に振り仮名をふり翻訳されている事が明治元訳聖書の特徴である 呼称表現において韓日聖書翻訳は相違点が明確になった。韓国語訳聖書ではイエスの呼称は接尾辞「님(様)」の敬称を用いて翻訳している。 例えば、中国語の訳語「師」という名詞を、韓国語では「션생님」と接尾辞「님(様)」の尊称を用いて翻訳している。しかし日本語訳聖書においてはイエスの呼称には敬語称を用いず「イエス」と翻訳している。 初期の日本語訳聖書翻訳においては、古代社会の階級制の言語的な反映をあらわす上で、宗教的な用語の場合は待遇表現を用いず翻訳されていない点が特徴である。一方、韓国語訳聖書では待遇表現においても人がイエスについて語っている場面では待遇表現を用いて翻訳し、イエスが人々に説教をしている場面や敵対関係にある人物との会話文においては待遇表現を用いず翻訳している点が、日本語訳聖書と大きく異なる点である。 第4章では19世紀に翻訳された韓日聖書翻訳を対象に各訳本の間の影響関係が明らかになり、そこに現れた翻訳語の語彙の特徴を考察した結果、韓日両国供に中国語訳聖書の影響は厖大なものであった。特に韓国語訳聖書の場合は中国語訳聖書の名詞・動詞語彙と殆んど一致していた。さらに、日本語訳聖書翻訳も韓国語訳聖書と同様に中国語訳聖書の名詞・動詞語彙と殆んど一致していた。しかし、日本語訳聖書翻訳の場合は中国語の漢語に意訳的な読みをほどこし、新たな名詞・動詞の造語をつくりだし独特な日本語訳聖書翻訳となっている。 韓日聖書翻訳において共通点としては、まず、韓日両国聖書を翻訳する際、プロテスタント教の宣教師と自国の協力者とともに自国語で翻訳を行ったが、両国協力者達は当時すでに漢字の教養を持っていた知識人であったので、中国語訳聖書を底本として自国語に翻訳した事実が明らかになった。 韓日両国聖書を自国語に翻訳するに当たって、対象を当時の知識階級の人達ではなく、一般婦女子のために口語・俗語を採入れた平易な文語体で翻訳をおこなった。 以上19世紀に翻訳された韓日聖書翻訳を対象にそこに現れた翻訳語の語彙の源流と特徴を考察し、中国語訳聖書との比較考察を通して、中日韓聖書の関連性を独自の研究方法で明らかにした。 본고는 19세기에 번역된 한일성서번역을 대상으로 각 역본간의 영향관계를 밝히고 성서 번역에 나타나는 번역어의 어휘(한자어)의 원류 (源流)와 특성을 고찰하고 중국어 성서와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한일성서의 관련성을 밝히고 또한 한일성서번역에 나타나는 호칭표현과 대우표현이 어떤 변화를 보여 왔는지를 신약성서의 「마태복음서」를 고찰 대상으로 하여 대조 연구 하였다. 제1장에서 본고의 주제로 19세기의 한일성서번역에 나타나는 번역어와 호칭표현과 대우표현을 비교대상으로 채택한 것은 서로 다른 언어문화권의 언어가 번역될 때 이문화(異文化)의 어휘와 대우표현이 어떤 방법으로 수용되어 정착하는지를 살피기 위해서이다. 본 연구를 위해 채택한 연구방법은 신약성서「마태복음서」전28장을 대상으로 중·일·한 3개국의 성서 번역에 나타나는 어휘를 중심으로 아래에 제시한 성서에서 명사⦁동사 어휘와 호칭표현과 대우표현을 나타내는 구절을 추출해 대조하는 방법을 취했다. 본 연구에서 채택된 성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어 성서는 「예수셩교젼셔(1887)」이고 일본어성서는「明治元訳聖書(1880)」이고 중국어 성서는「代表訳本聖書(1854)」이다. 제2장에서는 중·일·한 3국의 성서번역사에 나타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왜냐 하면 중·일·한 3국은 소위 ‘한자문화권’이라는 이름 아래 하나의 틀로 묶어 왔다. 그래서 지정학적 관점에서 볼 때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지 않을 수 없었다. 학문사적으로도 한국과 일본은 중국으로부터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영향을 받아왔으며, 이러한 사정은 각국이 본격적으로 근대화를 시작하는 19세기 후반까지 변함없이 계속되었기 때문이다. 제3장에서는 19세기에 번역된 최초의 한국어 성서 로스역「예수셩교젼셔(1887)」와 일본어 성서「明治元訳聖書(1880)」와 중국어 성서「文理訳本聖書(1854)」를 비교 고찰한 결과 초기 한일성서번역은 히브리어 성서(구약),그리스어 성서(신약), 중국어 성서, 영어 성서 저본(底本)으로 성서번역이 이루어졌으나 그중 중국어 성서의 영향를 크게 받아 명사⦁동사어휘의 한자어가 많다는 공통점이 확인 되었다. 특히 19세기의 한국어 성서의 경우 한국어 성서의 명사 어휘들은 ‘主-쥬’, 天國-천국’, 福音-복음’과 같은 중국어 성서의 어휘를 그대로 借用한 것과, ’門徒-제자’,’ 預言者-션지자’ 와 같이 한국어로 번역하여 借用한 것으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또한 동사 어휘의 경우는 ‘ 復生-다시닐다’, ‘付-붓치다’ 등의 예는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어휘들이어서 알기 쉬운 한국어로 풀어서 번역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어 성서에서는 한국어 성서와 마찬가지로 중국어 성서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나 이번 고찰을 통해서 중국어 성서 원문( 原文)에는 ‘謙る-へりくだる’, ‘意ふ-おもふ’란 동사는 없는데도 불구하고 메이지원역(明治元訳)의 본문에 해당 표현이 등장하는 예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자로 표기한 어휘에 대해서는 ’世-世繼(후계자)’, ‘罪-躓く(죄를 짓게 하다)’와 같이 고유어의 독법(讀法)을 붙인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호칭표현은 한국어 성서에서만 접미사「님(様)」을 붙여서 경칭(敬称)을 나타내고 번역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일본어 성서번역에서는 호칭표현과 대우표현에서는 동사「~給(たまわる)」란 동사는 경어를 사용하고 번역하고 있었다. 일본어 성서의 경우 고대사회의 계급의식을 나타내는 장면에서는「~給(たまわる)」와 같은 경어로 번역하였다. 일본어에서는 장면(場面)과 화자(話者), 청자(聴者)가 누구인가에 따라 대우표현의 정도가 달라지는 반면 한국어의 경우 예수의 호칭표현과 대우표현에 있어서는 일관되게 경어표현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19세기 중국어 성서와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한일성서의 관련성을 밝히고, 또한 한일성서번역에 나타나는 호칭표현과 대우표현이 어떤 차이를 보였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국어 성서와 한일성서는 어휘와 독법 면에서 일치율이 대단히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국어 성서는 중국어 성서의 어휘를 그대로 차용한 것과, 동사‘ 復生’과 같은 어휘는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어휘들이어서 알기 쉬운 한국어로 풀어서 번역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일본어 성서의 경우는 중국어 성서 원본에 없는 어휘인데도 불구하고 메이지원역의 본문에 해당 표현이 등장하는 예가 많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미술관 운영에서 나타나는 상업화 현상 연구

        황경자 同德女子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8639

        오늘날 현대 미술관 운영에서 중요한 것은 단지 작품이나 전시만은 아니다. 관람객을 중심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 분야의 확장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 오늘날 많은 미술관들은 대중과의 소통을 더욱 확장시키기 위해 기업의 경영 및 마케팅, 홍보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의는 때로 미술관의 궁극적인 존재론인 공공성과 충돌할 수밖에 없다. 미술관의 발전적 전략이 공공적 목적의 사회교육이라는 거시적인 전망을 모호하게 만들 잠재적인 위협을 갖게 되는 것이다. 사회교육 기관으로서의 궁극적 의미가 손상되고, 오히려 대중의 현재적 취향에만 부응하려는 태도는 이와 같은 경향이 낳은 역효과 중 하나일 것이다. 최근 미술관 운영체계에서 적극적으로 드러나는 상업화 특성은, 특히 유럽과는 달리 민간자본가들에 의해 설립과 발전이 주도되어 온 미국의 미술관 상황과 문화와 무관하지 않다. 이제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미술관 본연의 비영리성과 등지면서 기업적인 영리추구의 개념과 원리를 적극 수용하는 미술관들은 하등 새로울 것이 없는 일반적인 추세로 간주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은 전시를 비롯한 미술관 프로그램들에 있어 전례 없는 자본집적이라는 새로운 조건을 미술관의 존재기반으로 삼게 하고 있으며, 대중적인 볼거리 위주의 대규모 이벤트 형태로 빠르게 재편시켜나가고 있다. 오늘날 미술관들이 공통적으로 선호하는 운영 전략은 강한 인상과 효과를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불특정 다수인 대중에게 호소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부응하는 그것의 실질적 방법들 중 하나가 미술관 건축의 대형화와 스펙터클화이다. 이것은 우선 미술관 내부와의 만남 이전에 그 규모와 기술력과 위엄으로 관람객들에게 보다 ‘현대적’이라는 인상과 ‘성공과 자부심’, 그리고 보다 ‘앞선 문화경험’ 등의 매력적인 인상을 전달하는 데 있어 매우 효과적인 전략임이 Today, a key factor in the management of art museums is expansion of scope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with special attention given not only to the artworks but also to the public as the audiences. Art museums increasingly endeavor to transform themselves in ways that foster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the wider public, and even engage large capital invest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to achieve this goal. Such initiatives have occasionally led art museums to forget their ultimate role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In fact, there have been cases where such enterprising art museums have skewed the public in their appreciation of art in order to sustain economic viability. The commercialism embedded in modern art museum management stemmed from the history and culture of American art museums. Unlike in Europe, art museums in the U.S. were mostly founded and fostered by private capital. These institutions are increasingly becoming entrepreneurial and commercial in their management. Most countries now follow this trend in running non-profit art museums, adopting the concept and principles of for-profit management. This creates a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programs and exhibitions become capital intensive, and as a result, many are designed as large-scale attractions for the wider public. A management strategy often found in art museums is to develop an exhibition or a program that has great public appeal and thus to make a big impression on a large population. Under such strategy museums are competitively enlarging the size of their buildings and renovating them to embrace more spectacular architectural designs. This is an effort to leave a deep imprint on the minds of visitors at their initial interface with the museum. Large and sophisticated constructions designed by famous architects are effective in stimulating and satisfying the public's interest and curiosity. To raise the number of visitors, an important performance indicator, a large number of institutions are investing large sums of money in expanding the size of the building. These renovations are not so much aimed at securing greater display space as at pursuing promotional impact and raising profit. Among various programs launched by art institutions, blockbuster exhibitions are the most prominent examples of commercial strategy and structure. Blockbuster exhibitions not only foster various profit-making activities including ticket sales, but also effectively engender the attention and support of major corporate sponsors. Art museums plan such blockbuster exhibitions as a way of attracting visitors, and often these events are designed to satisfy the tastes of the average visitor with universal appeal and standardized format. Such programs may result in economic success for the organizer but they often fail to provide meaningful opportunity for the public's appreciation of art. As many of the programs offered by art museums become large, spectacular and capital-intensive projects, corporate sponsorship assumes even greater role in the management of these institutions. It is now hard to find an art museum that is sustainable without the support of a business corporation. Attracting corporate sponsors has become a major agenda for art museums, which are now pursuing various strategies to secure greater support from the private sector. The business enterprise has, indeed, become a reliable supporter and source of financing for art museums which are non-profit in nature. On the other hand, they influence the art museums into becoming more entrepreneurial and commercial, leading these institutions to oversee their important educational role. Understanding the commercialism in art museum management can help devise an alternative strategy to cultivating art museums and their practices towards better appreciation and promotion of art.

      • 蒲公英 물추출물의 항염효능에 관한 연구

        황경자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연구목적 : 蒲公英 (Taraxaci Herba) 물추출물의 항염효능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포공영 물추출물이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s의 세포생존율과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로 유발된 RAW 264.7 cells의 nitric oxide,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PDGF)-BB 등의 염증촉발인자(proinflammatory mediator)와 세포내 calcium의 생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결과 : 1. 포공영 물추출물을 RAW 264.7과 24 시간 동안 함께 배양한 후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세포의 생존율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2. 포공영 물추출물은 LPS에 의해서 유발된 대식세포의 NO 생성 증가를 25, 50, 100 ㎍/mL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3. 포공영 물추출물은 LPS에 의해서 유발된 대식세포의 VEGF 생성 증가를 25, 50, 100 ㎍/mL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4. 포공영 물추출물은 LPS에 의해서 유발된 대식세포의 PDGF-BB 생성 증가를 25, 50, 100 ㎍/mL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5. 포공영 물추출물은 LPS에 의해서 유발된 대식세포의 세포내 calcium의 생성 증가를 25, 50, 100 ㎍/mL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억제시켰다. 결론 : 이상의 결과, 포공영 물추출물은 대식세포에 독성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LPS로 유발된 대식세포의 NO, VEGF, PDGF-BB, 세포내 calcium의 생성 증가를 25 ㎍/mL 이상의 농도에서 유의하게 억제하는 등 항염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중복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황경자 한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학령기에 있는 중복 장애아동을 양육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어머니의 개인적 자원과 사회적 지원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크게 장애아동 어머니의 개인적 자원과 사회적 지원으로 대분 하여 설정하였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개인적 자원은 장애아동의 개인적 특성, 장애아동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 장애아동 가족의 특성으로 구성하고, 사회적지원은 공식적지원과 비공식적지원으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 및 문제에 따라 사용된 통계방법은 기술통계, 차이분석(X2, ANOVA),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이다. 구체적으로 독립변수에 따라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차이분석을 실시하였고, 특히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아동의 개인적 자원과 사회적 지원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및 유형별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복 장애아동의 특성에 따라서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특성에서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의 대처행동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특성에서 어머니들의 남편의 역할수행과 부모의 효능감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원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차이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중복 장애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공식적?비공식적 사회적 지원정도에 따라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의 공식적 지원과 비공식적 지원 두 변수간에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개인적 특성으로 통계적 유의한 변수는 어머니의 자아존종감으로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 가족의 특성에서 통계적 유의한 변수는 남편의 역할 수행과 부모효능감으로 ‘남편의 역할수행이 높을수록’ 그리고 ‘부모의 효능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원에서 통계적 유의한 변수는 비공식적 지원으로 ‘비공식적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어머니는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개인적 자원 및 사회적 지원으로 장애아동 어머니의 유형별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경제적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 유의한 변수는 가족의 월평균 수입, 남편의 역할수행,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의 월 평균 수입이 적을수록’ ‘남편의 역할수행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경제적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부모효능감으로 나타났다. 곧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며,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심리적 양육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 유의한 변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다. 곧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사회적 양육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신체적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 유의한 변수는 장애등급과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다. 곧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그리고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신체적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교육적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 유의한 변수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학력, 자아존중감, 공식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곧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공식적지원 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자아존중감 이 낮을수록’ 교육적 양육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볼 때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애아동의 개인적 특성이나 어머니의 개인적인 배경보다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부모효능감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아동의 특성이 부모에게 영향을 주기는 하지만,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자녀의 장애로 인하여 대부분이 현실에 잘 적응한다고 하기보다는 장애아동 어머니들은 만성적인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면서 자아존중감이 더욱 낮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중심으로 중복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에 관해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원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는 비공식적 사회적 지원이, 교육적 양육 스트레스에는 공식적 지원이 영향을 미친다. 장애아동 어머니들은 만성적인 스트레스를 경험하면서 특히 사회적 지원이 고갈됨으로써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이다. 따라서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사회적 지원을 추구하는 동기나 요구마저도 포기하게 해서는 안 될 것이다. 국가와 사회는 장애아동과 그 가족에 대한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하며, 이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사회복지 실천이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최근 들어 정상화 이론과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관한 이론이 대두되면서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통합교육과 무상교육은 주로 어머니에게 일임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장애아동 어머니를 위한 사회의 공식적?비공식적 지원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며, 이는 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유형에 따라서 차별화 되어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하여 양육스트레스 유형별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된다. 넷째, 국가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차별화된 지원 프로그램들을 개발하는데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재고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이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정신지체 특수학교에서 치료와 교육을 받고 있는 중복장애아동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전국적 모집단으로 하는 지역적 확대 연구가 필요하고, 치료와 교육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재택 순회교육을 받고 있거나 가정에서 방치되어 있는 중복장애 어머니들과 비교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rsonal resources and social support on mothers with school-aged multiple- handicapped children, in an effort to determine which factors give impact on their stres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tress of mothers with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 were largely divided into personal resources and social support. The personal resources were comprised of child personal traits, maternal characteristics and family features, and social support consisted of formal and informal ones. The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ANOVA, correlational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procedure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multiple-handicapped child traits didn't make any difference to the stress of mothers investigated. But it varied significantly with their own self-esteem and coping behavior. Among family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husband role performance and parents efficacy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tress. Second,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to maternal stress, they felt different stre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formal and informal social support. Third, when correla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maternal stress and social support, the two facto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each other. Fourth, as a result of mak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ee which variable affected maternal stress, their self-esteem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among maternal features, as those who had a poor self-esteem were more stressed out. Out of family characteristics, husband role performance and parents efficacy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since those whose husbands performed better role, or whose and husbands' efficacy were higher, were more strained. As for social support, informal support was a significant variable. The mothers who found informal support more satisfactory were under a greater stress.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find out which variable influenced each type of maternal stress. As a result, monthly mean family income, husband role performance and self-esteem g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economic stress. Their psychological stre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lf-esteem and parents efficacy, and self-esteem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cial stress. The physical stre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extent of child disability and self-esteem, and educational stress was under a significant influence of their own educational background, self-esteem and formal backup. As described above, child traits had some bearings on their parents, and the mothers who had physically different children suffered from chronic stress, which consequently undermined their self-esteem, rather than well adapted themselves to reality. The following conclusion is extracted from the above-mentioned findings: First, social support appeared to exert influence on the stress of the mothers with physically challenged children. The maternal stress was affected by informal social backup, and formal social support gave an impact on educational stress. They were exposed to chronic stress, and poor social backup contributed to making them more strained. The nation should spare no efforts to offer formal or informal support, and more specific, realistic social welfare services should be prepared. Second, it's imperative for our society to back up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formally and informally in a differentiated manner according to the type of stress they face. Third, parenting programs are urgently required for each type of maternal stress to elevate their self-esteem that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ir stress. Fourth,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greate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backup programs suitable for each type of maternal stress. Fifth, nationwide research efforts are called for in the future, and it's needed to attempt a comparative approach to a variety of subjects in different situations, involving mothers who have multiple-handicapped children who are just under travelling guidance or let alone at home without receiving proper medical or educational benef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