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나노 구조로 패턴된 InGaN 계열 발광다이오드의 광추출 효율 증가

        홍준희 조선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we studied the enhancement of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in InGaN-based light-emitting diodes (LEDs) patterned with nano structures. The nano structures in LED were fabricated by following process. A n-type GaN layer were grown on a c-plane sapphire substrate. A SiO2 layer was deposi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n-type GaN layer and then indium tin oxide (ITO) layer was deposited onto the SiO2 layer. The sample was dipped into a HCl solution, which gives rise to oxide self-assembled cluster. The SiO2 layer was then etched. After the patterning of the SiO2 layer, the etching mask of the oxide cluster was removed. After the nano structures of SiO2 we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n-type GaN layer, n-type GaN layer was regrown. Then the active layer which consisted of five periods of a 2-nm thick InGaN well and an 18-nm-thick GaN barrier was grown. A p-type Al0.2Ga0.8N layer electron blocking layer and a p-type GaN layer were grown onto the active layer, successively. To fabricate LED chips, the surface of the top layer was etched to form a mesa structure and Cr and Au were deposited for n- and p-type electrodes, respectively. For a packaging, the LED chip was die-bonded to the bottom of a plastic leaded chip carrier (PLCC) and then it was encapsulated with a transparent epoxy. To measure the LED properties, we used an integrating sphere coupled with a spectrometer. The output power of nano patterned LED shows a 1.33 time increase compared with that of a normal LED without nano structure when the total output power emitted in all directions from the packaged LED. It was measured under a current injection of 20 mA. The increase of output power from the nano patterned LED depends on the size of the nano structures on the n-type GaN substrate. We performed numerical simulation for nano patterned LED. Numerical simulation on light extraction in LED with nano patterned n-type GaN substrate is presented by using three-dimentinoal finite-difference time-domain (FDTD) method. Reasonable conditions for numerical calculation are investigated, including excitation source conditions, simulation size conditions, and boundary conditions. Effects of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nano patterns on light extraction are investigated and the optimized structures for high extraction efficiency are found. We observed that the light outputs are increased in the nano patterned LEDs, regardless of the height of the nano structures. These simulation results are consistent with our experimental results. We found the optimized nano patterned LED structure through our FDTD simulations.

      • NATM터널의 안정성 해석과 계측을 통한 변위에 관한 연구

        홍준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지 최근 도시 교통량의 증가에 따른 대안으로 친환경 교통수단인 도시철도의 건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도심지 곳곳에서 터널공사가 시공 중에 있으며, 터널 설계시 수치해석적 방법을 이용하여 예측한 터널의 거동은 지하 지반의 토질 상태와 굴착 이후 응력이완 등으로 실제 시공 중의 거동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NATM터널 굴착시의 현장 계측치를 유한차분법에 의한 안정성 해석 자료와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4개소의 천단침하와 수평측선 내공변위를 측정, 분석하였으며, 수치해석기법을 적용한 최대 변위량 해석치와 편차를 대비한 결과, 최대 변위량은 천단침하와 내공변위 모두 3mm로, 해석치 대비 천단침하는 평균 1.66mm 크게 내공변위는 1.02mm 크게 분석 되었으며, 이는 굴착시의 발파진동과 이완된 지반의 응력전이 현상에 일부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현장에서의 관리기준치 대비 안전 수준으로 관측된 것으로, 이는 지보패턴 등 보강설계가 적정하고, 유사 암종 분포구조에 기인한다고 사료된다. 현재 사용되는 계측관리 방식은 측량기를 이용한 2차원 방식으로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많으나, 최근 활용되고 있는 단면측정기(Profilometer)의 일종인 Laser Scanner는 입체적 분석이 가능하고 수치자료를 전산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시공 중 또는 유지관리 중에 다양한 형태의 분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의 해석치는 초기 지반조사에 의한 예측치로, 실제 터널을 시공하면서 암반 및 보강재의 물성치를 구하고 이를 다시 입력자료로 하여 수치해석을 함으로써 시공 중의 변위량을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역학적 안정성을 검토하는 방법과 3차원 해석이 가능한 새로운 계측관리 기법은 좀 더 다양한 연구와 발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주요어 : NATM, 계측, 유한차분법, 안정성 해석, 변위 ABSTRACT A Study on the Displacement of NATM Tunnel by Stability Analysis and Measurement. Hong, Joon-Hee Master of Science in Civi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Advisor : Associate Professor Park, Du-Hee Alternative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traffic, the city actively being made in the construction of eco-friendly urban rail transportation, the displacement predicted by using numerical methods in the design of the tunnel, is generally does not match the displacement of the actual construction stage due to the soil condition of the underground and stress relaxation after excavation. In this paper, stability analysis by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data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on-site measurements of the tunnel excavation. In order to perform this paper, the measurement of the tunnel section of the four places in the crown settle mesurement and convergence measurement, the initial value after approximately 4 months of data were analyzed, compared maximum displacement deviation analized value, applied numerical methods to all 3mm, 1.66mm larger than an average of crown settle measurement, 1.02mm larger than convergence measurement the analyzed, the blasting vibration and stress relaxation transfer phenomena should be attributed. In addition, on-site management of the standard to be observed as compared th the level of safety, which is a reasonable steel-rib reinforcement design patterns, and similar rock types is thought to be due to the distribution. Management methods that are currently used measurement using a two-dimensional manner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recently been used in the cross-section measuring (Profilometer), a kind of three-dimensional Laser Scanner and numerical data can be analyzed by a computerized management during construction or during maintenance of various types of analysis. The numerical value of this study is values predicted by the initial site investigation, the actual tunnel construction and reinforcement properties of rock while it seeks to re-enter the data by the numerical analysis to predict the displacement of construction based on this review of mechanical stability and a new three dimensional analysis simultaneously measuring a variety of management techniques more research and development should be needed. Key words : NATM, Measurement, Finite difference method, Stability analysis, Displacement.

      • 施削에 있어서 經驗式과 實驗式에 의한 最適 切削 條件

        홍준희 충남대학교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suit of metal cutting economics needs to presint adequate metal cutting responses (tool life, cutting force, surface roughness) for all combinations of workpiece and tool materials, but have many difficult problems in obtaining the responses and applying to the job shop or general production purpose. Therefore, in this work, two alternative aproaches in obtaining the economic cutting condition are used. First ; the approach using the extende Ebiwara's empirical expression for carbide tool, Second ; the approach using the metal cutting response obtained through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To this end, the mathematical programming technique, Gradient Projection Method, is applied to find the cutting parameters which will achieve the object under a specified constraint set for turning operation.

      • 러시아어 수사구 주어에 대한 통사-의미적 연구

        홍준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method to explain the numeral subject-verb agreement in Russian numeral sentence structures by using a syntax-semantic approa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agreement phenomenon of Russian numeral sentence structure can be explained by definiteness restriction, predicate restriction, and mapping hypothesis. Chapter 2 presents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numerals that make the numeral phrase different from other phrases and bounds reviewed in many previous studies. The analysis then turns to the numeral phrase that forms the subject of Russian numeral sentence structures.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numerals is necessary because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numerals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syntactic properties of numeral phrase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Russian numerals are affected by old Russian in many ways. So an historical approach helps u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In addition, I tried to decipher the problems of many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ly on syntactic or semantic approaches. Chapter 3 illustrates the difficulty in explaining numeral subject-verb agreement, even though we can divide syntactic categories for numeral phrases as QP, NP. For this reason, a syntactic approach with semantics is necessary as shown in Chapter 4. It is not easy to categorize numeral phras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head of the numeral phrase, which is made up of numerals + nouns (noun phrase). Chapter 4 suggests that the numeral subject-verb agreement in Russian can be explained by syntax-semantic theories, such as definiteness restriction, predicate restriction and mapping hypothesis. Numerals based on definiteness restriction belong to a weak definitive having both a weak and strong interpretation. The division of interpretation disposition is explained by the predicate restriction. The predicate can be divided into state-descriptive and property approximate predicate, which has only a weak interpretation whereas a state-descriptive predicate has both weak and strong interpretations. Mapping a hypothesis based on definiteness restriction and predicate restriction proposes that two types of subjects are shown in the logical form (LF) and this supports having a quantification interpretation and location of subject because it has different type of INFL according to the type of predicate. Therefore, the numeral sentence structure can be divided into predicate of state-descriptive and property relatively when dividing the meaning of Russian numeral sentence structure based on this theory. And the reason why the agreement phenomenon of each numeral sentence structure can be explained is because the location of the subject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kind of predicate.

      • 치과근관치료 의사결정지원체계에 있어서의 치의학 온톨로지의 사용

        홍준희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1. 목 적 치수염과 근관치료의 연관성을 밝히고 환자의 임상적반응과 조건에 따라 치료계획을 제시하는 의사결정지원체계의 틀을 마련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므로 치의학 온톨로지를 치과근관치료의 의사결정지원체계에 적용시켜보고 앞으로의 온톨로지 연구의 나아갈 길을 모색해 볼 것이다. 2. 방 법 온톨로지를 발전시키는데 있어서 적절한 공식성을 지닌 온톨로지를 채택하는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KIF, Ontolingua, Semantic Net, Frames 등의 다양한 온톨로지가 개발되었다. 한편 웹영역에서는 the Web-based Ontology Language (OWL)가 대표적인 온톨로지로 부각되었다. 또한 OWL은 의학적인 영역에서 Diseases, Objectives, Anatomy, Treatments 등을 잡아내고, 보여주는 데에 이용되어 왔다. OWL은 Descriptive Logic, 묘사적인 논리를 갖고 있다. 이것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온톨로지 중 가장 선호되는 논리이다. 묘사논리는 현재까지 가장 많이 행해져 왔고, Protégé 와 같은 좋은 편집도구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검사하고 추론하는데 있어서 자체 완결성을 갖고 있어서 개념을 투사하는데 모자람이 없다. 그리하여 기존의 연구에서는 OWL2가 공식성을 갖고 사용되었다. OWL 2-based Manchester DL syntax4 가 수복치료학의 온톨로지중 우식치료를 위해 사용되었다. 여기에서도 OWL2 Manchester syntax 에 기반하여서 진단과정을 언급할 것이다. [1] 한편, 본 논문에서는 치수에 생긴 병적 변화를 언급하는데 있어서 Smulson and Sieraski (Weine textbook)혹은 Walton and Torabinejad등의 분류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의 분류를 따를 것이다. 3. 결 과 1)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의 치수병변 분류 * 염증성 변화 (Inflammation) 1. 치수충혈 (Pulp hyperemia) 2. 치수염 (Pulpitis) a) 급성치수염 (Acute Pulpitis) b) 만성궤양성치수염 (Chronic ulcerative pulpitis) c) 만성증식성치수염 (Chronic hyperplastic pulpitis) 3. 치수괴사 (Pulp necrosis) * 퇴행성 변화 (Degeneration) 1. 치수의 변성 (Pulp Degeneration) a) 석회화 변성 (Calcific Degeneration) b) 섬유화 변성 (Fibrous Degeneration) c) 변성위축 (Atrophic Degeneration) d) 내(부) 흡수 (Internal Resorption) 이와같은 학술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은 온톨로지로 표현한다. Class: Inflammation SubclassOf: Disease Class: Pulp_Hyperemia SubclassOf: Inflammation Class: Pulpitis SubclassOf: Inflammation Class: Acute_Pulpitis SubclassOf: Pulpitis Class: Chronic_Ulcerative_Pulpitis SubclassOf: Pulpitis Class: Chronic_Hyperplastic_Pulpitis SubclassOf: Pulpitis Class: Pulp_Necrosis SubclassOf: Inflammation Class: Degeneration SubclassOf: Disease Class: Calcific_Degeneration SubclassOf: Degeneration Class: Fibrous_Degeneration SubclassOf: Degeneration Class: Atropic_Degeneration SubclassOf: Degeneration Class: Internal_Resorption SubclassOf: Degeneration 각각의 질환에 대한 판단 논리와 그에 해당하는 온톨로지가 본 논문에 존재한다.

      • 고등학교 학생의 전압 개념 정립을 위한 튜토리얼 개발

        홍준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전압에 대한 개념 정립을 위하여 튜토리얼을 개발하고, 개발된 튜토리얼이 학생들의 전압 개념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개발된 튜토리얼은 사전검사, 워크시트, 사후검사로 구성되었으며, 4개의 소단원으로 이루어지고, 총 8차시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교수학습 자료 초안에 대해 2차례의 예비 검사를 실시 하였다. 첫 번째 검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5명정도의 학생들이 참여하였고 두 번째 검사에서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3명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활동과정은 첫 번째 검사에서는 학생들이 답안지 작성한 것을 분석하였고 두 번째 검사에서는 학생들의 활동과정을 녹음하여 분석하였다. 예비검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념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부분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고, 이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2차례의 본 검사에서 사전검사 결과 선행연구를 통해 알려진 전압에 대한 오개념이 드러났고, 워크시트 활동 후 사후 검사에서 남, 녀 성에 따라 부분적으로 다르기는 하지만 비교적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워크시트 활동 중 남, 녀 차이는 있지만 학생들에게 적절히 제공되는 힌트나 질문 또는 그림 자료가 학생들의 추리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남학생들은 실험을 통해 전류, 전압, 저항의 관계를 이해하는 부분이 가장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고, 여학생들은 그림을 그리면서 저항의 직렬, 병렬 연결에서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과 전체 전압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부분이 가장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이 인지갈등이 일어나는 부분에서 가장 학습이 잘 이루어졌다. 전압 개념 정립을 위한 튜토리얼은 학생들에게 사전검사에서 인지갈등을 일으키고, 실험과 추리 활동을 통해 갈등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utorial for concept learning about potential difference and to find out its influence on the students' concept learning.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previous studies about the misconceptions about potential difference and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tutorial. Tutorial consisted of three subunits. Each unit included a pretest, a worksheet, and a posttest. We designed it to be taught for eight class hours. The preliminary test of the draft of tutorial was performed two times. First, fifteen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nd second, three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preliminary test, we modified the tutorial and developed the final version. And the final tutorial was verified about the validity. In the main study, we investigated the tutorial's influence on the concept learning about potential difference. Three women ten-year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main study.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pretest was very low. Judging from the result of the posttest, the worksheet was comparatively effective in concept learning. The students said that the experiment and reasoning were very helpful in learning and that the reasoning was not difficult, particularly the one using the pictures was very helpful. Also they said that they could resolve the curiosity produced in the pretest through the tutorial activity and could understand what was wrong in their prior thought through the posttest. But in case of the lessons in which students had to reason about the behavior of the microscopic world only using the concepts that they had learned, some students felt difficulty in concept learning. In conclusion, a teaching-learning paper for concept learning about potential difference is effective when the cognitive conflict is caused from students. Therefore in this tutorial for concept learning about potential difference, the cognitive conflict is derived through the pretest and students can resolve it through experiments and reasoning activities.

      • 요부 안정화 운동이 요통을 가진 승마 엘리트 선수의 요부 근활성도, 통증과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홍준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요통을 호소하고 있는 승마 선수의 속보와 구보 시 근활성도와 통증의 정도를 알아보고 요부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이 근활성도와 요통의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승마 엘리트 선수 15명을 대상으로 요통을 호소하고 있는 승마 엘리트 선수 8명과 요통을 호소하고 있지 않은 승마 엘리트 7명으로 구분한 후, 요통을 호소하고 있는 승마 엘리트 선수에게 요부 안정화 운동을 총 8주동안 주 3회 적용하였다. 신체구성, 통증, 근활성도의 변화를 요부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 전․후에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요부 안정화 운동을 실시한 집단의 신체구성 요소 중 체중, BMI, 체지방률, 근육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BMI는 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근육량은 시간과 집단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p<.05). 둘째, 요부 안정화 운동 후 통증의 변화를 비교분석 한 결과, 시간(p<.001), 집단(p<.01) 및 시간과 집단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p<.001). 셋째, 요부 안정화 운동 후 승마 속보 시 평균 근화성도의 변화를 본 결과, 배곧은근은 시간과 집단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p<.05), 척추세움근은 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바깥쪽장딴지근은 시간과 집단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p<.05). 넷째, 요부 안정화 운동 후 승마 속보 시 척추세움근과 바깥쪽장딴지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다섯째, 요부 안정화 운동 후 승마 구보 시 평균 근활성도의 변화를 본 결과, 큰가슴근은 시간과 집단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배곧은근은 집단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p<.05). 척추세움근은 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바깥쪽장딴지근은 시간과 집단에 따른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p<.05). 여섯째, 요부 안정화 운동 후 승마 구보 시 척추세움근과 큰가슴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요부 안정화 운동을 적용시킨 후 승마 시 요부의 근활성도가 증가되고, 하체의 활성도도 증가되어 자세를 안정화시키면서 통증이 감소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실시한 8주간의 요부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은 요통이 있는 승마 엘리트 선수들에게 통증을 개선시키고 요부의 근활성도 증가를 통해 체간의 안정화 기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제시할 수 있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muscle activity and pain levels of elite horse-riding athletes during trot and canter and the effects of a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on muscle activity and low back pain. Fifteen subjects were divided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low back pain: 8 athletes had back pain, whereas 7 athletes did not. A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was executed for 8 weeks total, 3 times a week, by the elite horse-riding athletes with low back pain. Changes in body composition, pain, and muscle activity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Body composition, namely body weight, body mass index(BMI), body fat percentage and muscle mass was monitored after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BMI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ver time(p<.05). Muscle mass showed interaction effects over time and by group(p<.05). Any changes in pain levels after completing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were shown by time(p<.001), group(p<.01), and time and group interaction effects(p<.001). Peak muscle activity when trotting after completing the exercise programs howed that the rectus abdominis had an interaction effect with time and group(p<.05). The erector spinae showed a significantly difference peak muscle activity over time(p<.05). The lateral gastrocnemius showed an interaction effect with time and group(p<.05). Notab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rector spinae and lateral gastrocnemius while trotting after completion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p<.05). The resulting peak muscle activity for the pectoralis major while cantering after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y time and group(p<.05). The rectus abdominis exhibited an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h group(p<.05). The erector spina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ver time(p<.05). The lateral gastrocnemius exhibited an interaction effect with time and group(p<.05).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rector spinae and pectoralis major muscle activity when cantering after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as also found(p<.05). In conclusion, after completion of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lumbar muscle activity and lower body muscle activity increased during horse-riding and pain was reduced under a stabilization posture. Therefore,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an 8-week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program is beneficial for elite horse-riding athletes with low back pain by improving trunk stabilization, reducing pain, and increasing muscle activity.

      • 새창조의 시간성 이해 : 몰트만 신학을 중심으로

        홍준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몰트만의 신학을 중심으로 새창조의 시간성을 탐구한다. 몰트만은 새창조의 시간성을 이해하기 위해 시간의 ‘성취’(fulfillment)라는 개념을 가지고 그의 독특한 사고를 전개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창조의 종말론적 완성인 새창조가 시간성을 갖는다면, 그 시간의 특징들은 창조 세계의 시간과 비교할 때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니는지 본 연구는 고찰한다. 또한 본 연구는 몰트만 신학과 함께 현대 과학에서 제시하는 시간의 특성들을 살펴봄으로써 창조와 새창조의 시간성에 대해 논의한다. 시간의 ‘성취’ 개념 안에는 새창조를 무시간적으로 혹은 단지 끝이 없는 시간의 연장으로 간주하지 않으려는 몰트만의 사고가 돋보인다. 비록 현대 빅뱅우주론은 시간의 암울한 종말을 예상하지만, 실제로 본 연구에서 드러난 몰트만의 주장이 의미하는 새창조의 시간은 가역적이고, 순환적이며, 생동적인 동시에 역동적인 특징을 포함한다. 또한 시간의 현재성과 동시성의 특성도 함께 지니고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현대 과학에서 주장하는 시간의 논의와 함께 몰트만이 제시하는 새창조의 시간의 특징들을 다양하게 구체적으로 밝힌다. 계속해서 본 연구는 판넨베르크와 볼프와 같은 현대 신학자들과 몰트만과의 비판적 대화를 통해 새창조의 시간성을 더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한다. 또한 세 명의 과학신학자 폴킹혼, 윌킨슨, 그리고 러셀을 통해 몰트만이 제시하는 새창조의 시간성이 어떻게 현대 과학과 함께 대화하고 이해될 수 있는지 연구한다. 예를 들어, 폴킹혼은 일반상대성 이론과 같은 현대 과학으로 밝혀진 창조 세계의 특성이 새창조에도 이어질 것으로 주장하며 새창조의 시간성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몰트만과 현대 (과학)신학자들과의 건설적 대화를 통해 몰트만의 제안이 새창조의 시간성 이해에 타당할 뿐만 아니라 과학과의 대화에도 유용함을 밝힌다. 또한 본 연구는 오늘날 현대 과학 시대의 신학적 담론에 필요한 일임을 제안한다.

      •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준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t's important for individuals to have an ability to acquire new knowledge on their own to ensure their own survival in fast-changing knowledge-based society. Self-directed learning is viewed as the best way to do that, and adult learners are drawing growing attention as those who can take the initiative in their own learning based on their own autonomous view of learning. Lately, adults who get interested in a new field or want to take their occupational competency to another level increasingly receive higher education, and a lot of adult learners a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which is an open higher education system.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grants a degree by approving of learning experiences both in and outside school,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mandatory for the successful learning and degree acquisition of adults learners who intend to utilize this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outcomes of adult learners in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outcome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 in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2. What is the self-perceived learning outcomes of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 in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3. What influence does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adult learners exert in their learning outcomes in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n inventory was developed to asses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cognitive, affective and environmental domains, and Choi Woon-sil, et. al.(2005)'s Lifelong Learning Outcomes Inventory was employed to evaluate their learning outcom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selected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and were at the western age of 25 and over.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Firs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consisted of basic learning capability, meta-cognition, learning motivation, positive self-concept and supportive climate. They got a mean of 3.69 to 4.03 (SD=.05-.75) in each domain when a five-point Likert scale was used. Secon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learning outcomes of the adult learners in three domains that were personal, occupational and social outcomes, they got a mean of 3.62 to 3.73(SD=.73-.77) in each domai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adult learners on their personal learning outcomes, supportive climate was found to make the largest relative contribution to tha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adult learners on their occupational learning outcomes, just supportive climate was found to affect it.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adult learners on their social learning outcomes, supportive climate was found to make the greatest relative contribution to that.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some implications: First, it's required to accelerate the spread of self-directed learning as one of possible strategies to improve one's life in rapid-changing society, and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 in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should try to foster their ow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make it happen,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should carefully consider how to offer assistance for adult learners. For instance, the institute should guarantee the autonomy of learners. Second, the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viewed their own personal, occupational and social learning outcomes favorably, which implies that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makes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dult learners. Therefore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offer courses in association with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should prepare a wide variety of programs to help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 in this system grow into sustained lifelong learners. Third,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were under the relatively great influence of learning climate in terms of learning outcomes. So adult educators should try to step up dynamic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and between learner and learner. The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prolonged training for adult educators of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to have a more perfect understanding of adult learners, teaching and counseling to serve as full-fledged self-directed learning supporters in learning situations. 급변하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생존을 위해 새로운 지식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가장 좋은 학습방법은 자기주도학습으로 집약되고 있다. 학습의 주체자로서 자율적 학습관을 형성하는 성인학습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에 성인들은 새로운 분야에의 관심과 직업능력개발 등의 요구로 고등교육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방형 고등교육체제인 학점은행제에도 다양한 성인학습자들이 참여하고 있다. 학교에서 뿐 아니라 학교 밖에서의 학습 경험을 인정하여 학위를 수여하는 학점은행제에서는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학습 성공, 나아가 학위취득에 불가결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습성과를 측정하고,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습성과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음 3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 인식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인지적, 정의적, 환경적 영역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고, 학습성과는 최운실 등(2005)의 평생학습 참여성과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점은행제에 참여하는 만 25세 이상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기본학습능력, 메타인지, 학습동기, 긍정적 자아개념, 지원풍토로 구성되며, Likert 5점 척도에서 영역별로 평균 3.69~4.03(표준편차 .50~.75)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를 개인적, 직업적, 사회적 성과의 3개 영역으로 측정한 결과 각 영역별로 평균 3.62~3.73(표준편차 .73~.77) 수준으로 인식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셋째,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학습의 개인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원풍토의 상대적 기여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학습의 직업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원 풍토만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학습의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원 풍토의 상대적 기여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급변하는 사회에서의 삶의 전략으로서 자기주도학습이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학점은행제 참여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함양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학점은행제를 운영하고 있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은 학습자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등 구체적인 학습자 지원 방안을 수립하여야 한다. 둘째, 학점은행제 참여 성인학습자는 개인적, 직업적, 사회적 학습성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로써 학점은행제 참여가 성인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학점은행제 과정을 운영하는 교육훈련기관들은 학점은행제 참여 성인학습자들이 지속적인 평생학습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제반 프로그램을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학점은행제 학습자들의 학습성과는 학습을 장려하는 분위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받고 있으므로, 교사-학습자, 학습자-학습자 간 활발한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성인교육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교육훈련기관은 학점은행제 성인교육자들에게 지속적인 연수를 제공하여, 그들이 성인학습자를 잘 이해하고, 학습 상황에서 자기주도학습 지원자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교수, 상담, 성인학습자 이해 역량을 강화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