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카지노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CSR)이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정은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오늘날 기업들은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면서 사회나 국가 등 전체의 경제 구조를 바꾸고 규모를 조정할 수 있을 만큼 파급력이 커졌으며, 특히 글로벌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더 이상 국가 차원이 아닌, 세계적 차원으로도 영향력이 확대되었고, 기업들의 활동은 갈수록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경제, 사회, 정치까지 전 방위적으로 역할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신지영, 2017). 이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기업의 영리성과 사회적 공공성의 갈등 속에서 논의되어 왔으며, 현대사회는 기업에게 책임 있고 투명한 경영을 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신동윤, 2014). 급속한 세계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비정부기구(NGO), 시민단체 등의 영향력 증대와 소비자의 행동 변화 및 기업 간의 경쟁심화가 맞물리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부쩍 커지고 있다(이형준·서영진, 2004) 최근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던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우리사회에 경종을 울리고 있으며, 가습기의 분무 액에 포함된 가습기 살균제로 인하여 임산부나 유아를 비롯한 수많은 사람들이 사망 또는 심각한 폐질환에 걸린 사건은 우리사회가 안고 있는 기업윤리의 부재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사건으로(윤혜진, 2017) 기업이 가져야할 윤리경영에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수많은 기업들은 단순한 이윤추구를 넘어서 지속적으로 사회적, 환경적 및 윤리적 측면에 대한 일정수준 이상의 성과달성을 기업의 공식적 성과지표로 설정하고 있는데(Collier & Esteban, 2007), 이에 반해 Porter & Kramer(2006)나 Bhattacharya, et al.(2009)의 연구는 이해관계자의 다양한 입장을 반영해가며 기업을 운영해야한다고 하였다. 이해관계자 관점에 따른 경영이 오늘날에는 기업에 경쟁우위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볼 때 기업성과에도 기여한다는 주장이 무게를 얻고 있다(이수정, 2010). 오늘날 기업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통해 차별화된 기업이미지를 형성하고, 기업 가치를 향상시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할 수 있다(Luo & Bhattacharya, 2006; 이혜미·이충기·송학준, 2013) 본 연구의 목적은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현황을 파악하여, 직업존중감과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후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와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직무만족 사이에서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와 기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에 소재한 카지노 종사원을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충분히 설명한 후 본 연구의 설문지를 4개(인천파라다이스 1곳, GKL 카지노 2곳, 강원랜드 카지노 1곳)의 카지노 종사원에게 300부를 배포하여 275부를 회수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69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자료의 요약과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에 사용된 척도의 신뢰도 검사를 위해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α)의 신뢰도 분석방법을 이용하였다. 둘째, 각 변수들의 상관관계와 기술 통계학적 특성이 어느 정도 통계적 관련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가 매개변수에,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그리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매개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직업존중감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직업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관한 요인분석 결과 18개의 변수가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및 ‘자선적 책임’의 4개 요인으로 추출되었으며, 직업존중감은 ‘가치 및 평판’, ‘긍정적 대우’ 및 ‘상대적 효익’의 3개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구성요인 중 자선적 책임 및 경제적 책임 요인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윤리적 책임과 법적 책임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부분채택 되었다. 이는 Carroll(1979)의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피라미드 이론에 따른 사회적 책임활동은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및 자선적 책임 순으로 구성되며, 가장 밑바탕이 되는 요소이자 가장 중요한 요소가 경제적 책임이라고 주장한 선행연구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겠다. 셋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구성요인 중 자선적 책임 및 경제적 책임 요인이 가치 및 평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윤리적 책임과 법적 책임은 가치 및 평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1은 부분채택 되었다. 넷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구성요인 중 경제적 책임 요인만이 긍정적 대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법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 및 자선적 책임은 긍정적 대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2는 부분채택 되었다. 다섯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구성요인 중 경제적 책임 요인만이 상대적 효익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법적 책임과 윤리적 책임 및 자선적 책임은 상대적 효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2-3은 부분채택 되었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언론 홍보나 기업광고를 통해 일방적이고 긍정적인 정보를 접하게 되는 외부 고객과는 달리 종사원의 경우 기업의 내부정보를 잘 알고 있기에 기업이 바람직한 책임활동을 한다면 내부이미지를 더욱 긍정적으로 지각하게 되고 소속감과 자부심, 신뢰감 향상으로 직업존중감 역시 높아질 것이라는 박소라(2018)의 연구를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여섯째, 직업존중감의 구성요인 중 가치 및 평판과 상대적 효익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긍정적 대우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부분채택 되었다. 이는 이정윤·이인희(2016)의 연구를 지지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은 직업존중감을 높이고 그들의 미래를 위해 뚜렷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힘쓸 것을 주장하였는데, 이는 자아성취욕구가 높은 사람은 그 성취욕구를 충족시켜줄 직업이 미래가치가 높은 경우, 직무만족도가 높아지게 되며, 자신의 가치를 높이 평가함은 물론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곱째, 직업존중감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4는 채택되었다. 이는 카지노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업존중감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경영자들은 기업의 주된 이해관계자인 조직구성원들로부터 우호적인 태도나 행동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기업의 인적자원전략차원에서 사회적 책임활동을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이는 카지노기업과 종사원들은 사회적 책임활동에 있어서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해야하며, 사회의 일원으로서 각기 이해관계자들의 가치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에서 상호보완적 관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호보완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에 옮김으로서 기업과 종사원들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This study made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job esteem and job satisfaction in casino. Additionally, it trie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steem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es. It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casino employees who had used 4 casino located in Korea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October 31 in 2018. Totally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among returned 275, 269 were used for an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negligent 6. The collected data was applied by a frequency analysis by using SPSS(24.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with us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o on.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findings were elicited. Results of testing research hypothe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u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in order to analyz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variables, the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were confirmed as ethical responsibilities, legal responsibilities, charitable responsibilities, economic responsibilities, value & reputation, positive treatment, relative profit, and job satisfaction to recommend were .867, .866, .843, .792, .945, .792, .606, and .788 respectively, which were relatively high. Second, it was analyzed upon the results from the influence relation of the job satisfaction that the ethical responsibilities, legal responsibilities, charitable responsibilities, and economic responsibilities influence partial adopted, so it was verifie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charitable responsibilities, and economic responsibilities goes up. Third, it was analyzed upon the results from the influence relation of value & reputation, positive treatment, and relative profit that the ethical responsibilities, legal responsibilities, charitable responsibilities, and economic responsibilities influences partial adopted, so it was verified that the value & reputation of charitable responsibilities, and economic responsibilities goes up. And so it was verified that the positive treatment of economic responsibilities goes up. Additionally, so it was verified that the relative profit of economic responsibilities goes up. Forth, it was analyzed upon the results from the influence relation of the job satisfaction that the value & reputation, positive treatment, and relative profit influences partial adopted, so it was verifie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value & reputation, and relative profit goes up. Fifth, it studied whether the job esteem(value & reputation, positive treatment, and relative profit) does the roll of mediation in the influence 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ethical responsibilities, legal responsibilities, charitable responsibilities, and economic responsibilities) and job satisfaction. It was analyzed upon the results that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ethical responsibilities, legal responsibilities, charitable responsibilities, and economic responsibilities), and the relational job esteem(value & reputation, positive treatment, and relative profit) do the roll of mediation. It can be said that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in the point of trying to study that it stres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the job esteem(value & reputation, positive treatment, and relative profit).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in the point of trying to study about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job esteem and job satisfaction. And it showed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an be used as the internal marketing to get employee's attitude and behavior changed. It'll be the basis for the future study on the job esteem. Finally, the study has a limit to generalize due to using only the specimen of job satisfaction for casino companies, it is judged that the range of specimen targets should be extended in the following-up study here after.

      • 청소년 도박에 관한 연구 동향분석 : 대상, 하위요인, 예방 및 대안 중심으로

        홍정은 중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스코핑 고찰 5단계에따라 2003년부터 2020년 2월까지 국내에서 연구된 학위논문 43편, 학술지논문 74편의 논문을 바탕으로 청소년 도박 관련 연구의 일반적 현황, 청소년 도박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변인, 연구자들이 제안한 청소년 도박 예방 및 대안 세부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 도박에 관한 연구 동향 일반적 현황은 2000년 초반에는 청소년 도박 관련 연구가 저조하였으나, 2011년부터는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8년에는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가장 많이 연구된 대상은 대학생이었고, 학교 밖 청소년이 재학생에 비해 도박 노출 위험성이 더 많음에도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을 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2017년부터는 예방관련 연구가 시작되었다. 청소년 도박중독의 영향요인 하위변인은 비합리적 도박신념, 스트레스, 우울, 도박행동, 또래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적 요인은 위험요인보다 보호요인이 37가지 중 절반 이상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선행연구에서는 가족의 보호요인은 청소년이 도박을 경험하게 되더라도 문제도박으로 발전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시사하였다. 연구자들이 제안한 예방 및 대안 분석 결과 인지수정, 스트레스 관리교육에 대한 제안이 많았으며 청소년 도박의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만큼 도박문제 인식개선 교육 및 홍보에 대한 제안도 높았다. 또한, 청소년 대부분이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은 것으로 학교 시스템 활용에 대한 제안이 가장 높았으며, 불법 사이버도박 접속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으로 불법도박 규제 및 처벌 강화에 대한 제안도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도박 예방에 대한 제도적 접근방안 제안과 본연구의 의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tudies on youth gambling, a sub-variable that affects youth gambling, and details of youth gambling prevention and alternatives proposed by the researchers.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43 theses and 74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3 to Feb 2020 in Korea. A scoping studies was conducted following five stages. As a result of analysis, general status of research trends on youth gambling is as follows. Studies related to youth gambling were inactive in early 2000. However, studies began to increase since 2011, and the most studies were done in 2018. The most studied suobject is college students. Although out-of-school youth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gambling than enrolled students, research with out-of-school youths is lacking. Quantitative research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earch methods, and prevention-related research began in 2017. The most influential sub-variables on youth gambling addiction were irrational gambling belief, stress, depression, gambling behaviors, and peer factors. When it comes to family factors, there are more than half of 37 types of the protection factors than risk factors. Precedent studies imply that youths are not likely to go through gambling problem even if they experience gambling, due to family protection factors. As a result of analysis on prevention and alternatives proposed by the researchers, most of the suggestions were for cognitive modification, and stress management training.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risk of youth gambling, there were many suggestions for gambling problems education for better awareness and public relations. Also, most of the suggestions were made on utilizing the school system, because most teenagers spend a lot of time at school. Proposals for regulating illegal gambling and strengthening punishment are high, because illegal cyber gambling access rates are increasing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on institutional approaches to youth gambling prevention and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follow-up research of this study were proposed.

      • 아스퍼거 장애 아동을 위한 사회 인지 향상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홍정은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아스퍼거 장애 아동들에게 사회 인지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사회 인지, 또래관계,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1 - 13세의 아스퍼거 장애로 진단을 받은 3명의 아동이다. 이 아동들은 언어성 지능과 동작성 지능의 차이가 유의미했으며, 기본적인 사회 인지를 측정하는 Sally-Anne 과제를 통과한 아동들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사회 인지 프로그램을 아스퍼거 장애 아동 집단에게 적용하고 사회 인지 향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 도구로써 Ozonoff와 동료(1995)들이 사용한 ToM과제(Theory of Mind Tasks)를 사용하였고, 또래관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Harter(1983)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검사 도구, Asher(1988)의 소외감 질문지, Hudson(1982)의 또래관계지표, McConnell(1991)등의 척도에 사회 인지부분을 추가한 사회적 상호작용 관찰 빈도를 사용하였다. 문제 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Achenbach가 제작하고 오경자, 이혜련, 홍강의, 하은혜가 우리 나라에서 표준화한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CBCL)와 부모 평가 형식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추후간의 척도들의 점수 차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지 향상 프로그램은 아스퍼거 장애 아동들의 사회 인지에 향상을 가져왔다. 특히, '이중속임수'와 같은 높은 차원의 틀린 믿음을 측정하는 과제에서 의미 있게 상승되었다. 둘째, 사회 인지 향상 프로그램은 아스퍼거 장애 아동들의 또래관계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아동들로 하여금 자신을 평가할 때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고 비교하게 되었다. 아동 A의 경우는 또래 수용 면에서 치료 전보다 높은 수용도를 보이며, 아동 B는 또래관계 맺음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아동 C의 경우 문제 해결 방법을 회피적 에서 공격적으로 변화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셋째, 사회 인지 향상 프로그램은 아스퍼거 장애 아동들의 실제적인 문제 행동상의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내면화 문제 증후군 척도에서 더 많은 변화를 보였다. 아동 A는 내면화 척도인 위축, 우울·불안 척도에서 감소를 보였고, 아동 B 또한 내면화 척도인 우울·불안 척도에서 감소를 보였다. 이는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으려고 하는 것으로 보인다. 아동 C는 내면화 문제를 측정하는 신체증상척도에서 감소를 보였고, 외면화 문제를 측정하는 공격성 척도에서 상승을 보였다. 이는 아동의 문제 해결 방법의 변화를 보여 주는 것으로 보다 적극적인 문제해결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기본적 사회 기술 훈련, 감정 인식, 개별적 사례를 다룬 사회 인지로 구성된 사회 인지 향상 프로그램이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사회 인지능력, 또래 관계인지, 문제 행동 정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낳았다. This research aims at finding out the effects on social cognition, peer relationship and problematic behavior on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after applying the social cognition program.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three children among 11 to 13 of age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Asperger Disorder. The differences in linguistic and behavior abilities between three child was meaningful, and the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those children who passed the Sally-Anne task, which is used to measure up basic social cognition A social cognition program developed by this research has been applied to the group of the handicapped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and ToM task (Theory of Mind Task), which was used by colleagues of Ozonoff, were used as a means to examine the social cognition improvement. In addition, in order to observe changes in peer relationship, social interaction observance frequency such as Self -Perception Profile for Children(SPPC), Children's Loneliness Questionnaire(CLQ), Index of Peer Relations(IPR1, McConnell's parameters with additional social cognition parts were used. In order to find out the changes in problematic behavior degree,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 behavior check list (K-CBCL), plus the parents evaluation format were used. Aimed at finding out the research results, the score differences between before, after and some time later,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 Cognition improvement program brought about social cognition improvement on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Second, the Social - Cognition improvement program brought about improvement in terms of peer relationship ability on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Third, the Social - Cognition improvement program brought about changes in real problematic behavior of the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In particular, many changes were observed in internalization problem syndrome parameter. Therefore, the Social - Cognition improvement program composed of social cognition that deals with basic social skill training, emotion cognition, individual cases has mad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social cognition ability, peer relationship cognition, problematic behavior on children with Asperger Disorder.

      • 패혈증 비브리오균 ATP synthase Ι 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구명

        홍정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Vibrio vulnificus is a halophilic estuarine bacterium that causes fatal septicemia and necrotizing wound infections. In previous studies, we suggested that V. vulnificus undergoes a robust reprogramming in vivo in the metabolism after infection.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dynamics in the metabolic reprogramming, we performed virtual flux analyses by applying in vivo transcriptome and proteome data to the genome-scale metabolic network VvuMBEL943 that we previously reported. We noticed discrepancies between transcriptome/proteome data and flux values. ATP synthase I cluster w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To prove the pathogenic role of the operon, we tried to construct insertional mutants for major subunits as well as an operon deletion mutant. The constructed insertional mutants were apt to revert to wild type and we failed to get in-frame deletion mutants. Insertional mutants of major ATP synthase Ι subunits showed significant growth retardation under various in vitro culture conditions, especially under microaerobic or anaerobic environments. And the growth retardation was more exaggerated under in vivo (intraperitoneal) growth situation. The cytotoxicity of mutant strains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Moreover, intracellular ATP levels in mutant strains were also significantly reduced under aerobic, microaerobic, and anaerobic culture condi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ytoplasmic membrane associated ATP synthase I complex plays important role in generating ATP molecules under microaerobic and anaerobic conditions that V. vulnficus confronts in vivo.

      • 수학과 수준별 수업에서 수준별 평가를 위한 다양한 시도 및 평가 방법

        홍정은 아주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학생들마다 적성과 능력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현 교육과정에서는 하나의 공통교육과정으로 학생들을 평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준별 교육과정을 도입하였지만, 평가부분에 있어서는 여전히 공통평가를 시행하고 있고, 수준별 평가는 수행평가나 또는 시험에서 일부 문항만 세트문항 형식으로만 시행하고 있다. 이런 시행과정에서 수준별 평가에 대한 취지는 점점 멀어지고, 교사의 업무량이 많다는 핑계로, 또 학생들과 학부모의 부정적인 시각으로 인하여 수준별 평가는 시행되다가도 다시 공통평가로 시행하는 일부학교를 보면서 학생들이 좀 더 자신이 배운 내용을 토대로 평가를 시행해야 한다는 생각에 수학과 수준별 수업에서 수준별 평가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는 학교나 외국의 사례를 통해서 현 교육과정에서 실현가능한 수준별 평가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하였다. 연구 과제를 질문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준별 수업에서 수준별 평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교사의 입장에서는 수준별 수업에서 수준별 평가는 시행되어야 하지만, 현 교육과정이 바뀌지 않는 한 수준별 평가에 대한 논의는 계속 될 것이라고 하였고, 학생의 입장에서는 하반과 상반의 입장에서 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반은 수준별 평가에 대해서 부정적인 반면, 하반은 수준별 평가에 대해서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둘째, 수준별 평가가 보편화 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이며, 성취도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수준별 평가가 보편화 되지 않는 이유를 세 가지 측면에서 알아본 바, 첫 번째는 평가가 갖고 있는 교육적 순기능에 부합하지 못하는 측면이고, 두 번째는 성적산출 기록과 표기 방법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이 없기 때문이며, 세 번째는 사교육 시장에 대한 우려와 부정적인 시각으로 인하여 수준별 평가가 보편화 되지 못함을 야기 하였고, 성취도 면에서는 수준별 평가방법의 하나인 수준별 선택 세트 문항과 공통 평가를 비교 했을 때 수준별 평가로 시험을 본 것이 성취도 면에서 우수함을 나타내었다. 셋째, 일부학교에서는 다양한 수준별 교육과정과 평가를 어떻게 시행하고 있고, 연구자가 생각하는 수준별 평가 방안을 제시하였는가? 자율형 고등학교와 일반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양한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수준별 평가를 조사하였지만, 일부 제약이 있어서 더 깊이 조사할 수는 없었다. 그리고 현 교육과정에서 실현가능한 수준별 평가 방안으로는 수준별 선택 세트문항을 접목시킨 ‘수준별 선택 세트문항 + 동일문항 평가’라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수준별 평가 방안에 대한 ‘수준별 선택 세트 문항 + 동일문항 평가’에 대해서 성취도에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직접적인 실행으로 연구를 할 수는 없었지만, 수준별 선택 세트 문항을 동일하게 1차와 2차로 나누어 본다면, 분명 성적향상이 이루어질 것이라 여겨진다. 이처럼 끊임없이 수준별 교육과정에서 현 교육과정과 부합하는 수준별 평가방안이 연구된다면 학생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평가를 받음으로서 수학 공부에 대한 흥미를 느끼게 될 것이라고 본다.

      •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 연구 : 전라북도 시범선도 학교를 대상으로

        홍정은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the Teacher Evalu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 Focused on Demonstration-led Schools in Jeollabuk-do Province Jeong-eun Hong Major in Elementary Educational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Yun-kyoung Chung, Ed.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school teachers' awareness of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Through this, the aim is to implement theoretical foundation so that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can be settled rightl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about elementary-school teachers' awareness of the objective and contents in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Second, what about elementary-school teachers' awareness of a method in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Third, what about elementary-school teachers' awareness of utilizing the results in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550 teachers for demonstration-led schools in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where are located in Jeollabuk-do Province. 270 teachers' effective materials were analyzed. Statistical processing in data was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by variable through using program of SPSS 13.0. To examine awareness of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according to variables, the cross tabula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χ2 value. The conclusions, which were obtained on the basis of results clarif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d recognition as saying that public education was weakened competitiveness compared to private education because the existing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failed to be specially helpful for enhancing teachers' professionalism. They were recognizing negatively on what the public education was weakened compared to private education because the existing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failed to be reflected the evaluation of parents and students, who are educational consumers. Accordingly, it could be known to be necessary for improvement in the existing Performance Appraisal System. Active discussion is judged to be necessarily made so that side effect cannot take place, about which teachers have concern when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is reflected the evaluation of parents and students. Second, as for the objective in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teachers had recognition as saying of 'the aim of allowing unqualified teacher to leave,' as well as the recognition as saying of 'the aim of enhancing quality of education by increasing teachers' professionalism.' This is what is different from the objective of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us, there will be necessity for preventing distrust and misunderstanding from occurring about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by allowing teachers to possibly understand correctly about the objective of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Third, as for the main aim of questionnaire research on parents' satisfaction with education, there were many teachers who recognize it to be likely to be used as the aim of making unqualified teacher leave. This is what is different from the objectiv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us, there will be necessity for being performed training and publicity positively, which help in understanding about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so that teachers can rightly understand and accept the objective of questionnaire research on parents' satisfaction with education. Fourth, teachers were recognizing ‘quality and attitude,’ ‘learning-guidance ability,’ and ‘nature as educator,’ as elements that will need to be evaluated most intensively in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Accordingl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ill need to reflect this recognition of teachers in the index of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Fifth, as for a method of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the teachers were recognizing that the absolute evaluation is proper. They recognized that ‘evaluation in principalvice-principal+fellow teacher’ is proper as the subject of relative evaluation that can be utilized as personnel data. As for evaluation of parents and students, they had negative recognition. This is what teachers are concerned about the appearance of side effect caused by the lack of understanding in parents and students about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Thus, there will be necessity for positively carrying out training and publicity on the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toward parents and students. Sixthly, as for utilization of the results in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the teachers were recognizing that there is possibility for being applied to withdrawal of unqualified teacher, and were indicated to be strong in negative recognition on this. Therefore, there is necessity for clarifying the utilization of the results in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There will be necessity for possibly enhancing quality of education by improving teachers' professionalism through utilizing the results in Evaluation of the School Teacher Development Ability.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 연구 : 전라북도 시범선도 학교를 대상으로 홍정은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행정 전공 (지도교수 정윤경)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능력개발평가에 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을 알아보려는 데 있으며, 이를 통해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올바르게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방법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결과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시범선도 학교 교원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70명의 유효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별로 빈도수와 백분율을 계산하였고, 변인에 따른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χ2 값을 이용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들은 기존의 근무성적평정제도가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별 도움이 되지 못해서 공교육이 사교육에 비해 경쟁력이 약화되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기존의 근무성적평정제도에 교육소비자인 학부모와 학생의 평가가 반영되지 않아 이로 인해 공교육이 사교육에 비해 경쟁력이 약화되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근무성적평정제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고,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학부모와 학생의 평가 반영 시 교원들이 우려하고 있는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목적에 대해 ‘교사의 전문성을 높여 교육의 질을 높이려는 목적’이라는 인식뿐 만 아니라 ‘부적격 교사 퇴출의 목적’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교육과학기술부의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목적과는 다른 것이므로 교원들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목적에 대해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불신과 오해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학부모의 교육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의 주된 목적으로 부적격 교사 퇴출의 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라고 인식하는 교원들이 많이 있었다. 이는 교육과학기술부의 목적과는 다른 것이므로 교원들이 학부모의 교육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의 목적을 바르게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도록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이해를 돕는 연수와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교원들은 교원능력개발평가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할 요소로 ‘자질 및 태도’, ‘학습지도 능력’, ‘교육자로서의 품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 지표에 이러한 교원들의 인식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방법에 대해 교원들은 절대평가가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인사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상대평가의 주체로 ‘교장교감+동료교사의 평가’가 적절하다고 인식하였고, 학부모와 학생의 평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교원들이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학부모와 학생의 이해 부족으로 인해 부작용이 나타날 것을 우려하는 것이므로 학부모와 학생들에게도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연수와 홍보를 적극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해 교원들은 부적격 교사의 퇴출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해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교원능력개발평가 결과의 활용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켜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모바일 게임을 통한 중년 남성들의 심리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40대 남성을 중심으로

        홍정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mobile gaming among middle-aged men. This study assumes that mobile gaming can be regarded as a form of play equipment and that people’s psychological experiences can be confirmed through such games. This research targeted six men in their 40s who were born in the 1970s and play Ingress mobile games.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s for the study’s theoretical framework, it i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psychoanalytic theory regarding play. It was analyzed based on Colaizzi’s and Giorgi’s analytical framework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kind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do men in their 40s obtain through games, and how do they perceive them? Second, how do they handl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flicts arising from the game? The research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they experienced social relationships, self-realization, and unconscious desires through the game. Second, when they were exposed to negative emotions, they employed an emotion avoidance strategy; however, their capabilities to gain connectedness and recognition in their social relationships improved. In addition, they actively made efforts to properly mediate between work-family conflicts and their play. Based on the results, Browning’s five levels of practical moral reasoning was used as an interpretive framework to understand and provide insights on middle-aged male game users. First, a metaphor for accountability acts as a worldview from the metaphorical and visual perspective. Second, maturity is a necessary virtue at the obligational level. Third, the desire for friendship, achievement, and enjoyment is expressed at the tendency-need level. Fourth, they have diverse social viewpoints and different approaches at the contextual-predictive level. Fifth, the four referenced levels provide a foundation for communication from the rule-role perspective. This research regarded the game as a means of playing without any prejudice, and exploring one’s psychological experienc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game experiences were conducted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argeting adolescents or people in their early 20s. This research is meaningful as it is a qualitative research targeting middle-aged men. However, the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to all middle-aged men owing to the small sample size.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game users var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games played. 본 연구는 40대 중년기 남성들이 게임을 통해서 경험하는 심리적 경험에 관 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게임을 놀이 도구 중의 하나로 바라보고 게임 을 통해서 중년기 남성들의 심리적 경험을 확인할 수 있다고 전제한다. 본 연구는 1970년대에 출생한 인그레스 모바일 게임을 사용하는 40대 남성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법으로는 인터뷰를 이용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했 다. 이론적으로는 자기 결정이론과 놀이에 관한 정신분석적 이론을 토대로 하 였으며, 분석 방법은 Colaizzi와 Giorgi의 분석의 틀을 이용했다.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40대 남성이 게임을 통해서 얻는 심리적 경험은 무엇이고 그들은 어 떻게 인식하는가. 둘째, 40대 남성들은 게임 경험에서 얻는 심리적 및 사회적 갈등을 어떻게 다루는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0대 남성들은 게임의 경험을 통하여 사회 적 관계의 경험, 자아실현의 경험, 무의식적 욕구의 표출을 경험했다. 둘째, 40대 남성들은 부정적 감정을 제공받을 때는 정서적으로 회피전략을 사용하 지만, 사회적 관계 속에서 소속과 인정을 위해서 자신의 역량을 증진시켰다. 가정 및 직업적 갈등과 자신들의 놀이를 적절하게 조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다. 이를 기반으로 Browning의 다섯 가지 실천적 도덕적 차원은 중년기 남성 게임이용자들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위한 해석적 틀로 사용할 수 있다. 첫째, 은유적 차원에서 책임성의 은유가 세계관으로 작용한다. 둘째, 의무론적 차원 에서 성숙성은 필요한 덕목이다. 셋째, 성향-욕구 차원에서 우정과 성취, 즐 거움에 대한 욕구가 표현된다. 넷째, 상황적 차원에서 이들은 다양한 사회적 시계를 가지고 있으며 각자 다른 대처방식을 사용한다. 다섯째, 규율-역할 차 원에서 앞선 네 가지 차원은 의사소통의 토대를 마련한다. 본 연구는 게임을 놀이 중 하나로 바라보아 선입견 없이 바라보아 진솔한 심리적 경험을 담고자 했다. 기존에 이루어진 게임 경험에 관한 연구들은 청 소년과 초기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양적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본 연구 는 중년기 남성를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중년기의 남성들이 같은 범주의 경험을 한다고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본 연구의 대상이 한정적이며, 게임의 종류 에 따라서 게임 사용자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 과제 중심 한국어 교재의 과제 분석

        홍정은 고려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 과제사용현황을 알아보기 위해서 과제 중심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과제 유형과 난이도의 측면에서 과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은 최근 출간된 과제 중심 한국어 교재들 중에서 중급 교재로 선정하였다. 분석 기준을 정하기 위하여 먼저 과제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위하여 과제의 정의, 구성요소, 배열, 등급화 기준에 대한 이론들을 살펴보고 과제의 유형적 측면과 난이도 측면의 분석을 위한 기준을 정하였다. 분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졌다. 먼저 과제를 수집하고 수집된 과제에 개별 코드를 부여하였는데, 코드에는 과제가 제시된 교재, 단원, 순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그 다음 과제의 제시방법을 살펴보고 유형분석을 한 후에, 그 결과를 점수로 환산하여 과제 자체의 난이도를 나타내는 복잡성 점수를 부여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출간된 과제중심 교재에서 사용되고 있는 과제는 유형의 다양성은 부족하였지만 과제들의 전체적인 난이도 조절은 비교적 잘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급1과 중급2에서 과제의 난이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과제 중심 교재들에서 사용되고 있는 과제의 개념을 정리하여 과제 재분류를 제안하고 각각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교재에 나타난 과제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교실 내에서 활용되는 방법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 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고의 결과를 한국어 교육에서의 일반적인 과제 활용 현황으로 확대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앞으로 다양한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과제 배열과 등급화를 결정하기 위한 체계적인 기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