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군함의 효율적인 동력 시스템 구성에 관한 연구

        홍용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England, Italy and US Navy has operated and applied the electric propulsion system with an electric motor for the latest warship.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Korean Navy also actively seeks to apply the electric propulsion system ships to the warship. This paper compares what the system more efficient between mechanical propulsion system, hybrid propulsion system(which uses mechanical propulsion system and electric propulsion system) and integrated power system, considering the maximum speed, electric power load, displacement. As a result, efficiency of the electric propulsion system is decreased because warship needs undue propulsion power when warship need high maximum speed. The efficiency of the integrated power system increases when warship needs more electric power load increased. The efficiency of the electric propulsion system increases when warship has smaller displacement. Considering only fuel consumption, CODLOG will be the most efficient propulsion system to LPH, DDH, LST, CODLAG will be the most efficient propulsion system to FF. And IPS will be the most efficient propulsion system to AOE. The research will be needed to apply integrated power system on AOE and LPH which have relatively lower maximum speed compared with DDH and FF.

      • STATE SECURITY AND REGIME SECURITY : THE SECURITY POLICY OF SOUTH KOREA UNDER THE SYNGMAN RHEE GOVERNMENT, 1953-1960

        홍용표 University of Oxford 1995 해외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이승만 대통령의 '북진통일론'을 국가안보와 정권안보와의 상호연계성이라는 이론적 틀에 의거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국가안보의 개념은 군사적인 차원에서부터 정치·경제·사회·환경 등의 비군사적 차원으로 점차 넓어지고 있으며, 특히 제3세계에서와 같이 사회적 응집성이 약한 '연약국가(weak state)'에 대한 안보연구들은 안보문제에 있어서 국내정치적 요인을 중요시하고 있다. 즉, 정치적 정통성이 약한 '연약국가'의 통치자들은 국가안보 보다는 정권안보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으며, 권력유지를 위하여 취한 일련의 정책들은 그 부작용으로 인하여 정권안보의 약화는 물론 국가안보의 불안정성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이승만 대통령은 한국전쟁이 종식된 이후에도 계속 '북진통일'정책을 고수하였으며, 이는 주로 다음의 3가지 요인에 기인한 것이었다: (1) 한국의 안보와 평화를 위해서는 공산주의자들을 제거해야 한다는 이승만의 개인적 신념; (2) 한반도에서 더 이상의 전쟁을 원치 않는 미국으로부터 보다 많은 안보공약을 확보하려는 협상전략상의 의도: (3) 국민들의 반공의식을 고취시킴으로써 정권을 유지하려는 국내정치적 고려 등이 그것이다. 첫째와 둘째 요인은 국가안보와 관련이 있으며, 셋째 요인은 정권안보와 관계되는 바, 이승만의 북진통일론이 단지 통일정책이었을 뿐만 아니라, 국가안보와 정권안보를 유지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연약국가'의 정권에서와 마찬가지로 이승만 정권의 경우에서도 정치적 정통성이 약화됨에 따라 정책적 주안점이 국가안보의 유지에서 정권안보의 유지라는 차원으로 옮겨졌으며, 북진 통일론은 이러한 정치적 목적을 위해 보다 많이 사용되었다. 또한 자유당 정권은 그 권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과도한 군사화, 내부 적의 외부화를 통한 억압정책의 정당화 등 '연약국가'의 안보문제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전략들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결국 정권의 붕괴를 초래하였음은 물론, 북한의 심리적 공세에도 적절히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국가안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승만 정권의 경우 주로 한국전쟁의 영향으로 국가안보와 정권안보와의 관계가 다른 제3세계 국가의 경우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양상들을 지니고 전개되었다. 첫째, 공산주의자들에 의해 발발 된 전쟁의 경험과 그 후 계속 실존하고 있는 공산주의자들로부터의 위협은 남한의 지도자들과 국민 모두에게 안보 문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위협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었다. 특히, 이승만 대통령의 경우 정권안보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공산주의를 제거해야만 한다는 그의 신념 차원에서의 국가안보에 대한 관심은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 이승만의 이러한 강력한 반공주의는 전쟁 직후에는 미국과의 안보 협상에서 미국의 양보를 얻어내는데 일조를 하였고, 따라서 결과적으로 국가안보를 강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승만의 반공 신념은 정권 후반기에는 정권 유지를 위한 반공정책 강화의 필요성과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켜 안보정책의 경직성을 심화시킴으로써 점차 국가안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 선박안전운항을 위한 안개 농도에 따른 동력제어 시스템 설계 및 제작

        홍용표 목포해양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In this paper, the ship safety operating device was designed and built to reduce the accident of a ship according to the fog sensor device and the ship power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safe operation of ship. The fog sensor device was based on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of the infrared sensor. The ship power automatic control system was designed and built to detect the fog concentration by the fog sensor device and through additional the ATmega128 RPM detection circuitry to control motor RPM. The experimental standard of the manufactured device is set randomly to the fog concentration from 0 to 100 %. When the fog concentration was artificially increased and above the reference value, a warning voice signal was output by the speaker of the fog concentration measuring system. And the ship power automatic control system was confirmed that the RPM decreased from 560 to 0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fog concentration and the speed of the motor driver decreased. The fog sensor device and The ship power automatic control system will help the ship operator increasing the risk recognition rate and responding to safety accidents.

      • 임대형민자사업(BTL)학교 운영실태 분석 및 운영관리 개선방안 : 충청남도지역 학교를 중심으로

        홍용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 BTL사업이 2005년도부터 도입된 이래 충청남도에서는 2008년부터 BTL학교의 운영을 시작하였다. BTL사업의 정착과 성공의 여부는 얼마나 운영의 내실화를 기하여 기존의 비효율적 요인을 제거하고 효율적인 성과를 거두느냐가 관건이다. 아쉽게도 아직 많은 부분에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점진적인 개선을 통하여 운영의 효율을 높이고 교육수요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기초적 자료를 조사 분석한 후 현장방문조사, 20개의 BTL 운영학교와 6개의 재정학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관련자들에 대한 면담 조사 등을 종합하여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새로 설립되는 BTL학교의 인수인계 기간을 늘리고 사업시행자 구성원과 학교, 주무관청이 공동으로 BTL학교시설 인수인계 조직을 구성하여 인수인계를 원활하게 하여야 한다. 시간에 쫓기어 형식적이고 허술한 인수인계는 상호 책임한계의 분쟁과 발생된 부실시설물을 장기간 방치함으로써 결국은 그 피해를 고스란히 사용자인 학생과 교직원이 본다는 사실이다. 둘째, BTL방식으로 학교를 설립한 학교에 대하여 학생수용계획의 변경으로 인한 추가 증축 등의 운영요인을 적극 반영하여야 한다. BTL방식으로 설립한 신설학교의 경우는 재정적인 여건으로 인하여 당초 계획보다 1~2년 정도 먼저 설립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전에 충분한 학생수용계획의 판단이 미흡한 경우가 발생하여 학생수용여건의 변동으로 추가로 증축해야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규정상으로는 추가로 증축된 부분에 대하여 기존 운영사가 통합하여 운영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각 학교별로 별도의 계약을 통하여 운영하거나 자체 운영을 하여야 하는 실정이다. 이는 한 학교안에서 시설물을 따로 운영을 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면이 있기 때문에 관련규정을 개정하여 시급히 개선할 사항이다. 셋째, 운영사의 전문성과 자격기준을 강화하고 전문 운영사를 육성하여야 한다. 현재 BTL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운영사는 숫적으로도 적고, 도입기간이 짧은 탓에 아직은 전문성이 취약한 실정이다. 운영사의 재무구조가 취약하고 전문성이 뒤떨어지면 결국은 취약한 운영이 뒤따르기 마련이다. 충청남도내 BTL학교의 운영을 하고 있는 운영사 대부분이 전문 담당직원이 부족하여 여러지역을 책임지고 있어 유사시 발생하는 사태에 대하여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운영사의 역량에 따라 학교의 운영 및 유지관리의 수준차이가 발생하므로 지속적인 전문성 함양 교육과 적절한 처우개선이 필요하다. 넷째, 시설물 유지보수비 공탁제도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하자가 발생할 때 경미한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운영사의 전문인력을 활용하거나 외주위탁을 수행하여 조치를 하고 있다. 그러나, 하자가 중대하거나 투입되는 비용이 많을 경우에는 운영사와 시공사의 책임 떠넘기기로 하자처리의 지연이 반복되고 있고, 하자보증금으로의 처리 또한 비율이 낮아 하자보증금만으로는 처리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운영사에게 지급하는 운영비는 매년 균등분할 지급되므로 향후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경우에는 대응조치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일정금액을 대규모 유지보수비에 충당할 수 있도록 공탁제도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BTL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운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적으로 그리고 매년 반복되는 문제는 운영사의 역량부족과 운영미숙으로 반복되는 하자발생에 대하여 제대로 대처하지 못한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사용자와 운영사의 갈등 요인으로 작용하고 의회와 외부로부터도 곱지않은 시선을 받게 되는 주된 요인이다. 앞에서 언급한 부분도 물론 시급하게 개선하여야 할 문제이지만 무엇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운영과 시공업체가 각각 분리되어 하자처리의 일관성과 책임성을 결여한 탓이다. 학교 BTL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건설의 주체가 운영까지 책임지도록 하는 제도적 개선이야말로 최선의 처방이 될 것이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school BTL project in 2005, Chungnam province began to operate BTL schools from 2008. Successful and stable implementation of the BTL project depends on how much we remove existing ineffective factors and gain effectiveness by strengthening its operation. Since many problems still appear in many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increase students' satisfaction by providing measures for gradual improvement of the project based on the an analysis of the project. This study analyzes the reality and problems of BTL management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field investigations, survey of students and teachers in 20 BTL schools and 6 publicly funded schools and interviews after analyzing basic data, and presents measures to solve those problems. First, we should increase transition period for the newly established BTL schools and compose the transition team for BTL school facilities in cooperation with the competent authorities so that the transition progresses smoothly. Slack transition with formality causes conflicts over mutual responsibility and leaves poor facilities for a long period of time, which, in the end, leads to victimizing students and staff, who are users of the school facilities. Second, BTL schools should actively consider factors of operation such as extension of buildings because of change of the number of students accommodated. In BTL schools, the buildings are often completed one or two years earlier than expected because of financial condition. As a result, due to misjudgement of the proper number of students that the schools can accept in advance, they often have to build extra buildings because of change in the number of students the schools accept. However, under the current regulations, it is difficult for the existing management company to integrate new additional buildings under their management so each school has to operate the extra buildings through separate contract or by themselves. Since this is ineffective in terms of operating facilities separately in one school, we need to improve this problem by revising the related regulations. Third, we should strengthen speciality and the standards of requirement for the management companies and foster professional management companies. Currently, there are small number of management companies that operate BTL projects and because the short period after its introduction, its speciality is still poor. If the management companies' financial condition and speciality is poor, the operation will naturally be poor. Most management companies operating BTL schools in Chungnam Province experience lack of professional staffs in charge of operations and they are in charge of operating many areas and are not able to provide timely services in case of emergency. According to capacity of management companies, there are differences in operating and managing schools and we require consistency of education for improving speciality and improvement of proper treatment. Fourth, we need to implement deposit system for facility maintenance fees. When there is a problem in most schools, especially, if the problem is small, the operating companies use their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or commission the work by outsourcing. However, when the problem is significant or there are a large amount of money invested, operating companies and construction companies try to avoid their responsibility so the treatment for the problems is delayed and because the rate of deposit that can be used for the problem is low, it is often difficult to deal with the problem only with the deposit. Operating budget that is paid to the management companies are paid by dividing evenly every year so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the accidents that cost significantly and we need to implement deposit system to be able to cover the large amount of maintenance fee. The most important part in BTL project is management. Despite that, problems occur every year nationwide. This is because they do not respond properly to problems repeatedly occurred due to incapability of management companies and poor management. Such problems serve as factors of conflict with the users in the end and of receiving critics from the education councils in provincial legislature and outsiders. Those problems that was mentioned previously have to be solved urgently but more than anything else, the essential problem is that the separation between management and construction cause lack of consistency and accountability. In order to succeed school BTL Project, systemic improvement for the construction company to take responsibility of management as well will be the best way to solve the problems.

      • 하수처리 방류수를 이용한 수차일체형 소수력발전기에 관한 연구

        홍용표 금오공과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내 에너지산업은 석탄, 원자력, LNG 등 화력 발전 위주의 중앙 집중형 공급방식이다. 지난 2014년을 기준으로 국내 발전비중은 석탄 39.3%, 원자력 30.0%, LNG 20.4%, 석유 1.4%, 기타 8.9% 이다. 소수력은 석탄이나 석유, 원자력 등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이산화탄소 배출을 거의 하지 않는다. 그야말로 재생 가능한 환경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분산전원을 통해 지역의 에너지 자립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소수력은 다른 에너지원에 비해 에너지 변환효율과 밀도가 높아 안정된 발전이 가능하다. 특히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폐수처리장의 순환수 등 기존 시설물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많다. 하지만 기술부족 등의 이유로 인해 국내 소수력의 발전효율이 낮아 경제성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 난지물재생센터(하수처리장) UV살균기 직후 방류지점에 수차 일체형 소수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서울 난지물재생센터는 지난 2013년 기준, 유입 하수량은 1일 644천 톤, 처리량은 626천 톤으로 나타났다. 월별 최대 처리량은 7월과 8월에 80만 톤 이상으로 가장 많았으며, 1월과 2월 그리고 12월에는 60만 톤에 다소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입 하수(원수)량은 일간, 계절별 다소 차이는 있으나, 연간 1일 평균 60만 톤의 하수를 처리하여 최종 방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난지물재생센터 UV살균기 직후 방류지점에서의 수차 일체형 소수력 발전기의 효율은 70%로 기존 소수력 발전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평균 유량(방류량; 60만 톤/일), 정격유효낙차(UV살균기 직후 방류지점; 1m), 합성효율(수차와 발전기; 70%), 시설 가동률(하수처리장 운전; 357일/년(98%))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정격출력은 47KWh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수차 일체형 소수력 발전기의 특징은 첫째, 기존 소수력 발전기의 경우 수차의 하우징과 발전기를 연결하는 씰링에서 약 20% 정도의 운동에너지가 손실되는데 수차 일체형 소수력 발전기는 수차와 발전기를 일체화하여 운동에너지의 손실을 5% 이내로 낮췄다. 둘째, 발전기를 최소화하여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고려했다. 셋째, 발전기 설치에 따른 공사기간과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수차 크기의 한계로 인해 설치 장소가 제한적이라는 단점도 있다. 국내 소수력 발전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발전기의 용량에 따른 가중치를 차등 지급하는 것을 고려해야한다. 중·대수력 발전은 대규모 환경훼손과 하천의 생태계 파괴에 악영향을 미친다. 반면, 소수력 발전은 환경훼손과 하천의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는다는 큰 장점이 있다. 둘째, 소수력 발전관련 시험·성능·평가를 위한 전문기관을 설립하는 것을 고려해야한다. 소수력은 설치지점에 따라 발전방식이나 방법이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의 개발, 설치에 가장 적합한 기술과 최적의 설치방법 등에 대한 시험·성능·평가 전문기관을 설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소수력 발전기는 용량에 따른 표준화를 통해 기술 및 가격 경쟁력을 높여야한다. 또한 전기에너지의 변환과 수송에 필요한 설비의 표준화도 필요하다. 넷째, 저낙차·저유량 등 기존 시설물의 설치여건에 적합한 소수력 발전기술과 설치에 따른 전체 발전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소수력 발전은 국내에 국한하지 않는다. 저개발국 빈곤 퇴치,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안보 등의 이유로 세계시장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차 일체형 소수력 발전기는 서울 난지물재생센터 UV살균기 직후 방류지점에 설치할 것을 가정하였다. 따라서 실제 현장설치를 통해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과 보완 연구가 뒤따라야 하며, 이를 통해 신뢰성 있는 평가방안의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domestic energy industry is a central supply system of thermal power such as coal, nuclear power, and LNG. As of 2014, the ratio of domestic electricity generation was, 39.3% for coal, 30.0% for nuclear power, 20.4% for LNG, 1.4% for oil, and 8.9% for other sources. Small hydropower releases almost no carbon dioxide unlike other energy sources such as coal, oil, and nuclear power. It can produce a renewable environmental energy continuously and can contribute to local energy independence through distributed power. In addition, small hydropower is capable of stable power generation due to higher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and power density than those of other sources. Especially, there are many advantages such as using the existing facilities when using effluent of sewage treatment plants and circulating water of treatment plants. However, for reasons including insufficient technology, the efficiency of domestic small hydropower is low so it is considered economically infeasible. In this paper, it was hypothesized that a small hydropower generator integrated with hydraulic turbine was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int after UV sterilizer, in Seoul Nanji Water Recycling Center(sewage treatment plant). As of 2013, Seoul Nanji Water Recycling Center recorded 644,000 tons of sewage inflow and 626,000 tons of throughput per day. The monthly maximum throughput was over 800,000 tons in July and August and less than 600,000 tons in January, February and December. In addition, the amount of sewage inflow(sea water) had daily and seasonal differences, but it was found that the discharge of treated sewage was 600,000 tons per day on average. The efficiency of a small hydropower generator integrated with hydraulic turbine at the discharge point after UV sterilizer, in Seoul Nanji Water Recycling Center was 70%, which was higher compared to existing small hydropower generators. The rated power was 47KWh in the analysis that applied the average discharge(discharge; 60 tons/day), rated effective head(at discharge point after UV sterilizer; 1m), overall efficiency(hydraulic turbine and generator; 70%), facility operation rate(sewage treatment plant operation; 357 days/year (98%)).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hydropower generator integrated with hydraulic turbine, first, while the existing small hydropower generators cause about 20% loss of kinetic energy at the sealing that connects the housing of hydraulic turbine and the generator, the small hydropower generator integrated with hydraulic turbine lowered the loss of kinetic energy to under 5% by integrating the hydraulic turbine and the generator. Second, it minimized the size of generator for the convenience of maintenance. Third, it can reduc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spent for the installation of the generator. It has the disadvantage, however, that due to the limitation in the size of hydraulic turbine, the places it can be installed are limited. In order to promote small hydropower in Korea, first, it should be considered to give different weighted value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generators. Medium- or large-scale power generation cause a big scale of environmental damage and have adverse effects on riparian ecosystem. In comparison, small hydropower has the big advantage of not affecting the environmental and riparian ecosystem. Second, it should be considered to build a professional organization that can test and evaluate the efficiency of small hydropower generation. Small hydropower uses different method of power generation depending on the location it is installed. So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about establishing a professional institute that can test and assess the optimal method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 and installation of the power generator. Third, small hydropower generators should have higher price competitiveness through standardization depending on capacity. There should also be standardization of facilities that are needed for electric energy conversion and transmission. Fourth, there should be development of small hydropower generation technology appropriate for small waterfall and small flow rate and development of the overall power generation system. Small hydropower will not be used limitedly in Korea. It will continuously expand across the world for the fight against poverty in underdeveloped countries, reduction of greenhouse gasses, and energy security. The small hydropower generator integrated with hydraulic turbine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as hypothesized to be installed at the discharge point after UV sterilizer, in Seoul Nanji Water Recycling Center. So there should be verification and follow-up studies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actual installation, through which the practical use of reliable assessment will be available.

      • 다성적 텍스트로서의 소설 교육 연구 :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을 중심으로

        홍용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대적 교육체제 속에서 짧지 않은 기간 동안 소설 교육을 수행해 오면서 전반적인 시각과 세부적인 방법 등에서 소설 교육은 많은 부분 진전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소설 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와 다양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나타났음에도 불구하고 소설 교육의 현장은 이론적 편향과 지식 전달 중심의 관성화에서 크게 벗어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태의 극복을 위해서 본고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소설의 장르적 특성을 소설의 다성성 인식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소설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새로운 접근 방법을 모색하였다. 소설 교육이 정상화되지 못하는 원인을 소설에 대한 근본적인 장르적 인식에서부터 찾으려 했으며,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발전하고 변화해 온 소설의 장르적 본질을 부분적인 시각이 아닌 전체적 시각에서 인식하려 했다. 또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소설 장르의 열린 가능성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바흐친의 다성적 소설 이론을 이론적 도구로 삼아 조세희의 『난쏘공』을 소설 교육의 한 대상 작품으로 분석하였다. II장에서는 소설의 내적 독립성과 본질적 사회성을 담보할 수 있는 소설 교육의 목적을 검토해 보았다. 또한 주체와 타자의 의식이 지속적으로 교호하는 대화적 원리를 바탕으로 한 다성적 텍스트로서의 소설과 그것의 사회적 소통과정을 검토해 봄으로써 소설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III장에서는 II장에서 논의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그것을 조세희의 『난쏘공』이라는 작품에 적용하였다. 여기서는 구체적으로 작품에서 발현되는 다성성을, 관념-주인공으로서의 작중 인물, 액자 형식을 가진 중층적 서사구조, 빈번한 시점의 교체, 다양한 시공간의 중첩 등을 분석하면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것들이 작품을 총체적으로 해석하는 데 있어 어떻게 열려진 시각을 확보할 수 있게 해주는가 하는 것도 살폈다. IV장에서는 소설 작품을 학생들이 내면화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를 교육학적 연구 성과와 소설 이해의 대화적 원리를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학생들이 소설을 읽고 감상하는 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내면화의 의미는 무엇이고, 『난쏘공』에서 그것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도 간략하게 논의했다. 소설 교육은 지적 영역에 국한되어 수행될 수 없다. 소설은 인간의 관념이 구체화되어 있는, 살아있는 언어를 바탕으로 하여 인간 삶의 다양한 국면을 다루고 있다. 또한 소설은 사회적 발화로서 발화자의 세계 인식과 자의식, 그리고 수신자의 다양한 응답 가능성을 전제로 소통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다른 예술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소설은 독자적인 심미적 체계를 가지기는 하나 인간 삶의 변화와 함께 그 내용과 형식이 끊임없이 변화 발전하는 특성을 가진다. 소설은 소설 교육의 도구, 내용, 목적이 된다. 따라서 소설 교육은 다성성을 비롯한 소설의 장르적 특성을 학생들에게 인식시키는 데서 출발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태 속에서 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발달은 물론이고, 세계에 대한 그들의 가치와 태도를 변화시키고, 그들의 삶의 영역을 끊임없이 확장해 주며, 타자(他者) 즉, 그들이 처한 세계와 지속적으로 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가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런 생각을 바탕으로 대화적 원리를 전제로 하는 소설의 다성성 인식이 소설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Novel education advanced in over-all sense of vision and the method of minutiae in modern education format. In spite of exposing many experiments and various concerns about novel education, the scene of novel education doesn't get out surely from theoretical prejudice and custom of focusing conveyance knowledge. To overall these problems, this study attempts to accomplish to the real purpose of novel through examining continuous and changing special qualities of novel's genre. To trace warping of novel education from the original genre recognition, this study tries to cognize the originality of novel through find out development of novel from past to present. Also, this study develops the discussion which is based on opening possibility of continuing changes genre of novel education. T his study analyzes Se Hee Cho's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as objective product of novel education by using Bakhtin's polyphonic novel theory. On Chapter II, this study examines the purpose of novel education with covering inner independence and intrinsic social nature of novel. It also research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novel education by examining the novel as a polyphonic text and its process of social under standing which are based on dialogical fundamental with continuing reciprocality between subject and other's senses. On Chapter III, this study applies the content s of Chapter II to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by Se Hee Cho. On this chapter, this study also examines definitely the analysis of manifested polyphony of the literary product, characters of work as ideological hero, the middle storied description of narrative structure, frequent exchanging point of view, and reiteration of various xronotop. Also, it examines how this analysis confirms opened sense of sight to interpretate the literary production generally. On Chapter IV,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how students internalize the novel by tempering pedagogical research result and dialogical fundamental of under standing novel. This study examines shortly to find out internal meaning that students' experience when they read and appreciate literature, and how the author of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applies that meaning in the book. Novel education must not accomplish with localizing intellectual field. Novel includes a materialized conception of man which are various aspects of affair based on alive language as the subject matter. Also, novel has a meaning from a point which has mutual under standing of author's world recognition and self-consciousness, and assumes recipient's possibility of various replies. Likewise other work of art, novel has the original aesthetical system, but it has its own special qualities which are constantly changing and developing of its contents and formality as change of man's life. Novel is the implement, detail, and purpose of novel education. Therefore, novel education must begin with recognition of novel's special qualities to the students. In this situation, novel education must lead students' recognizable and definitive development, transform value and attitude, expand their province of lives endlessly, and open student's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 the world of their own. Based on this idea, this study considers the applicable possibility of polyphonic recognition with conversational fundamental to novel education.

      • 정보관리 인력의 역량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연구 : 대학도서관 인력을 중심으로

        홍용표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보관리 전문직인 대학도서관 인력의 역량과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학도서관 인력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대학도서관 인력의 직무만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성과에 기여함을 검증하고자 했다. 최근 대학 주변의 교육환경이 급격하게 변화되면서 대부분의 대학이 경쟁력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지식과 인적자원의 질을 강조하며 유능한 인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력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직무의 특성상 지식과 기술의 의존도가 높고 새로운 지식정보 생성과 신기술의 등장에 신속하게 대처해야 하는 대학도서관 인력에게는 지식축적과 전문적인 직무수행 역량이 더욱 필요하며, 이들이 조직에 대해 느끼는 호의적인 태도는 조직의 유효성을 높이고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역량이란 조직환경 속에서 탁월하고 효과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조직구성원의 행동특성으로 조직의 성과와 연결된 개인의 성과를 창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교수와 학생의 연구 및 학습을 지원하고 각종 정보의 수집·가공·유통에 관한 전문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대학도서관 인력이 갖추고 있는 지식, 기술, 능력, 태도 등의 무형의 자산과 이들의 직무만족은 깊이 있게 평가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정보관리 전문직의 역량은 미국 전문도서관협회(SLA)에서 규정한 정보전문직의 직무역량과 인성의 개념을 활용하고 직무만족도는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통해 선정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서 수도권 소재 4년제 사립대학 도서관 정규인력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였으며, 최종 검증된 128부의 설문자료에 대해서는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 그리고 가설검증을 위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인력의 역량과 직무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직무역량의 정보조직 및 정보자원 관리역량과 정보서비스 관리역량, 인성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보도구 및 정보기술 활용역량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의 조직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첫째, 직무교육과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역량 수준을 강화해야 하며 둘째, 직무개발을 통한 자기변신과 자기개발을 도모해서 직무만족도와 직무안정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그리고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에 따라 직무를 재설계하고 역량의 극대화를 위한 조직구조 개편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verify a hypothesis that reinforcing competency of human resources of university libraries can contribute to the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ultimately the organizational outcome by examining closely the relation between competency of human resources of university libraries as information management experts and their job satisfaction. In recent years, educational environment of universities is undergoing rapid changes. Most of universities are emphasizing the quality of human resources and focusing on HRM(Human Resource Management). Especially,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tasks, Human resources of university libraries have high dependence on knowledge and technologies, and need to deal with new information and new technologies as soon as possible. therefore, accumulation of knowledge and competency for professional job performance are required for them. Favorable attitudes to their organizations not only increase availability of organizations, but also contribute to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s. Human resources of university libraries support education and researches of the faculty and student, and perform a professional role in information management(collecting, processing, and distributing). So, it is worth that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immaterial assets like knowledge, skills, capability, attitude and their job satisfaction. For achieving this study's goal, literature review and also statistic analysis are adopted for the methods of the study. This study uses the notion of job competency and humanity of information management experts from SLA(Special Libraries Association) to evaluate competency of information management experts and job satisfaction is chosen by operational definitions of variables. The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staff-members of the libraries of private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 and gathered 128 questionnaires. The conclusion is derived from analyzing 128 questionnaires using reliability, factor, an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hypothes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ibraries' human resources and their job satisfaction, but capability of using information tool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among competency levels does not influ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the conclusion like this. For organizational outcome in university libraries, there are some things needs to be done. 1. Reinforcement of competency level by providing various job education and reeducation programs. 2. Establishment of job satisfaction and job stability by designing job development (e.g. self-renewal and self-development). 3. Job re-designing by effect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re-organization for maximizing organizational competency.

      • LED 용도별 광 생물학적 안전성 평가 등급에 관한 연구

        홍용표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LED의 개발속도가 가속화되고 정부의 LED 보급정책과 맞물려 응용제품이 급속도로 늘어남에 따라 고출력, 고휘도 LED와 UV에서부터 IR영역까지 다양한 파장의 LED제품들이 시장에 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LED에서 나오는 청색광 및 섬광과 같은 노출에 의한 인체 안구와 피부의 위해에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LED는 초기에 Laser 규격에 포함되어 IEC 60825 표준 규격에 의해 위해성 평가가 시작되었는데, LED는 Laser와의 본질적인 차이로 인해 평가 결과에 대해 많은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새로운 표준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IEC는 IEC 62471이라는 새로운 안전성 평가 표준을 도입하였으며, 특히 유럽연합은 유럽에 수출되는 LED조명 제품은 IEC 62471에 따라 광 생물학적 안전성 시험을 반드시 실시하고 위험등급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규제하였다. IEC 62471 광 생물학적 안전성 표준 규격에는 광학적 복사가 인체의 피부와 눈에 미치는 유해성을 광 생물학적 위험(photobiological hazard)이라 하는데, 여기에는 자외선(200~400nm)에 의한 피부(홍반, 탄력섬유증, 피부암 등)와 눈(광각막염, 결막염, 백내장 등)에 대한 유해, 청색광(300~700nm)에 의한 광화학적 망막손상(광망막염), 열(380~1,400nm)에 의한 망막화상, 적외선(780~3,000nm)에 의한 각막화상 등이 모두 포함된다. IEC 62471 표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광학적 복사 측정 파장 대역은 200~3000nm이다. LED조명기기 및 LED응용제품이 광 생물학적으로 어느 정도 수준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제품인지 정량적인 측정결과를 통해 제외군, 위험군 1(저위험군), 위험군 2(중위험군), 위험군 3(고위험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 생물학적 안전성 측정을 위해 시스템을 구성하고 IEC 62471 측정방법기준으로 선정된 시료로 LED 실내조명기기는 매입형LED등기구, 고정형LED등기구로 세분화하고, LED 실외조명기기는 LED가로등기구, LED투광등기구로 세분화하여 광 생물학적 안전성 시험 및 측정을 하였다. 측정한 결과는 매입형LED등기구 총 6종의 광 생물학적 안전성시험 결과 4종은 제외군 이었으며, 2종은 위험군 1로서, 측정제품의 평균으로 보면, 약 66.67%의 제품은 제외군 으로 안전하다고 할 수 있으며, 33.33%의 제품은 소비자의 인체에 위해를 줄 수도 있는 것으로 평가가 되었다. 또한, 고정형LED등기구 총 6종의 광 생물학적 안전성시험 결과 1종은 제외군 이었으며, 5종은 위험군 1로서, 측정 제품의 평균으로 보면, 약 16.67%의 제품은 제외군 으로 안전하다고 할 수 있으며, 83.33%의 제품은 소비자의 인체에 위해를 줄 수도 있는 것으로 평가가 되었다. LED 실외조명기기 중, LED 가로등기구 총 6종의 광 생물학적 안전성 시험 결과 5종은 제외군 이었으며, 1종은 위험군 1로서, 측정 제품의 평균으로 보면, 약 83.33%의 제품은 제외군 으로 안전하다고 할 수 있으며, 16.67%의 제품은 소비자의 인체에 위해를 줄 수도 있는 것으로 평가가 되었다. 또한, LED 투광등기구 총 6종의 광 생물학적 안전성 시험 결과 4종은 제외군 이었으며, 2종은 위험군 1로서, 측정 제품의 평균으로 보면, 약 66.67%의 제품은 제외군 으로 안전하다고 할 수 있으며, 33.33%의 제품은 소비자의 인체에 위해를 줄 수도 있는 것으로 평가가 되었다. 결론적으로 다양한 LED 조명 제품이 광 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제품이라고 장담할 수 없다. 또한, 향후 어떤 제품이 출시될지는 알 수 없지만 광 생물학적 안전성 시험을 통해 청색광의 위험성이 낮거나 혹은 위험성이 높다는 판단의 근거는 필요할 것으로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우리나라는 임의인증인 KS(한국산업표준) 표준 중 KS C 7656 이동형LED등기구 에서만 광 생물학적 안전성 시험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강제인증인 전기용품안전법(KC인증) 및 임의인증(KS인증, 고효율에너지기자재인증 등)에는 여전히 빠져 있다.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 공공의 안전, 위생 및 환경보호 등 자국민 보호 차원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