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 유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

        홍영란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39

        각종 해킹 기술의 발전뿐만 아니라 조직 내 내부자에 의한 정보 유출 위험 요소들이 많아지고 있는 환경에서 정보 유출 위험관리는 정보보호 프로세스의 핵심적인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보 유출 위험 관리는 신규 연구 분야이기 때문에 위험 평가와 보호 대책과 관련된 기술적 대응이 유출 사고가 일어난 부분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존의 침입 분야에서 사용되는 정보보호 방법, 관련 용어 그리고 기술적 조치들이 그대로 적용되어 유출 분야의 특수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경향은 침입 방지와 같은 수동적 대응이 아닌 유출 위험의 노출에 대한 적극적 대응이라는 정보 유출 위험 관리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 유출 방지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정보 유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의 설계를 제안한다. 정보 유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는 기존의 유출방지 기술 평가 모델을 기초로 정보 유출 위험 영역을 추가하여 위험관리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따라서 정보자산의 분류는 이미 선행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정보 유출 위험관리 프레임워크는 위험 평가와 이에 대한 대책 수립 및 이행 후 효과 측정으로 구성된다. 위험 평가 영역은 기존의 유출방지 기술 평가 모델에서 언급하고 있는 탐지가능성, 정보 중요성, 접근용이성, 복제용이성이라는 네 가지의 평가 속성에 신규 속성으로서 감사 위해성, 데이터 휘발성, 데이터 노출성, 사용 특이성이라는 네 가지 속성을 더 포함시킨다. 여덟 개의 속성 중 정보 중요성은 DRM에서 언급하고 있는 문서의 중요도 등급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술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DRM 기술 이외에 DRM의 문서 등급화는 관리적 측면으로 고려하여 이를 데이터 노출성과 치환시킨 후, 데이터 노출성 속성에 정보 중요성을 포함시킨다. 사용 특이성은 탐지 가능성 속성을 포함시키기 때문에 본 연구의 프레임워크에서는 탐지 가능성을 사용 특수성에 포함시킨다. 따라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는 속성은 총 여섯 개로서 사용 특이성, 데이터 노출성, 감사 위해성, 데이터 휘발성, 접근용이성, 복제용이성으로 정리된다. 이 여섯 개의 속성을 심각성과 발생가능성이라는 두 가지 영역으로 정리하여 정보 유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첫 번째 영역인 심각성에는 기존 모델의 속성인 정보 중요성을 데이터 노출성에 포함시키고 이외에 감사 위해성과 데이터 휘발성을 추가한다. 두 번째 영역인 발생가능성에는 기존 속성인 접근용이성과 복제용이성 이외에 기존 속성인 탐지 가능성을 사용 특이성에 포함시켜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평가 후, 각 영역 별 속성에 대한 평가 항목과 평가 지수를 제시하여 위험도를 계산한 후 위험 감소대책을 수립한다. 기존의 정보유출방지 기술평가 모델의 대책을 수용하면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신규 평가 속성에 대한 대책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구현 결과를 소개한다. 개인정보 등 중요 정보에 대한 유출 위험 관리는 주기적으로 실시하게 되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프레임워크에 따라 조직 내 정보 자산에 대한 위험 관리를 변화 관리의 형태로 실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정보 유출 위험관리 프레임워크는 침입에 대한 위험 관리 위주로 설계된 기존의 기술 평가 모델에 새로운 평가 속성과 이에 대한 대책을 제시함으로써 개인정보 등 중요 정보 유출의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정보 유출 위험 관리에 대한 프로세스를 정립하여 정보 유출 위험에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면 본 연구의 모델은 정보보호 거버넌스 체계에서 정보유출 방지 분야가 독립성을 구축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risk management of data loss is a main requisite in the information security process recently. We confront the environment that hacking techniques have been enhanced as well as that the data loss risks are having been grown by insiders. Nevertheless, because the risk management of data loss is relatively new part, risk assessment, countermeasures and related technical response are borrowed from the intrusion part. Terms and security methods used in the existing security part are adapted in the data loss part. It means that we meet the limits that it cannot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data loss. This trend makes response to the data loss insufficient. I suggested that the framework for the risk management of data loss be designed from the data loss prevention view, and implemented it as a research result. The risk management framework of data loss is designed by adding the risk domain of data loss based on the existing assessment model of the data loss techniques. So, the premise is that the information asset is already sorted. The suggested framework is made up of risk assessment, countermeasure construction and effect measurement. There are 6 attributes in 2 risk assessment domains. Two risk assessment domains are seriousness and probability. Seriousness is made up of 3 attributes-data exposure, audit risk and data volatility. Probability is made up of another 3 attributes - copyability, accessibility and specificity. Each attribute has its own assessment item. We calculate the degree of risk according to the items. The countermeasures are provided as a assessment risk. Information asset is inclined to be changed as the time flows. It means the assessment items and countermeasures can be added in the proposed framework. It is the change management. I have a purpose that there can be the effectiveness to manage the risk of data loss systematically with the use of proposed framework.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model contributes to make the data loss part independent in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by process management.

      • 일상의 chaos와 fractal pattern에 의한 tessellation의 구현

        홍영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Art of the 21^(st) century takes on a new aspect due to the changeover of existing paradigm. The innovation of new technology, which is represented as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has an overall effect on our life and knowledge, thus we have to think about science and art, and human being and social science at the same time. New aspects have been found from natural science thanks to chaos and fractal theory appeared late in the 20^(th) century. The chaos and fractal theory is represented as natural and geometrical aesthetic. In this study, the chaos and fractal theory was researched in the aspect of natural science, and formative arts theory was represented as the formative aspect of photo, which was shown as the form of tessellation. Based on the formative theory of chaos and fractal pattern, theory was applied to work. In addition, tessellation of various forms was represented by using digital media for photographing in its first stages. To apply chaos and fractal pattern in daily life to the representing method of art is the area of imagination so that science can be together with art, and this application has never been found from earlier works. In particular, the application is a new trial in the field of photo, so it has an endless potentiali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join of science and art and its applied possibility for trial.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representing area of photo by accepting the trend of science and art and by applying the chaos and fractal theory, paradigm of natural science, to the area of photo that can be fertile through exchange between other sciences. For the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follow procedure. The 1^(st) chapter dealt with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From the 2^(nd) chapter, the meaning and feature of chaos theory were explained in aesthetic value and the chaos of uncertainty was treated. From the 3^(rd) chapter, the structure of fractal formative theory was analyzed and the structural feature of design was drawn, which they were shaped as fractal pattern. From the 4^(th) chapter, the theory and works of tessellation were introduced to show its visual and perceptual aspect. From the 5^(th) chapter, as the concrete application of chaos and fractal pattern in daily life, it was represented by tessellation. From the 6^(th) chapter, to generalize the course of research and analysis progressed earlier, the possibility of chaos and fractal pattern was suggested together with problem what and how it should be developed in the future. Through the above study, I came to conclusion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he join of science and art, the approaching method and trial of photographing applying chaos and fractal in this study showed a way so that could be applied to design photo. Secondly, it was found that representing method of tessellation was suitable as means to represent chaos and fractal. Thirdly, digital design using PC brought the essential feature of technology into the area of art, so it showed a new possibility for artist’s representation. From this viewpoint, such functional feature as the creation, deformation, and copy of image could be represented in the visual aspect by computer graphic. Furthermore, the computer graphic was effective on the creation of tessellation by chaos and fractal. Fourthly, metal print typed output could be a sufficient way to show work’s particularity and individuality. At present, artists of various genres have a great interest in denormalization, unstandardization, and individualization, so the chaos and fractal theory will be applied in various and positive under the philosophy of the join of science and art. In this study, it’s suggested that chaos and fractal pattern in daily life should be constantly represented because it will be applied more actively in the future. Therefore, I hope that more developed works can be created with various ideas in many areas through the future studies. 21세기 예술은 기존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정보와 통신으로 대표되는 새로운 기술의 혁신이 우리의 삶과 지식의 전반에 영향을 끼치게 됨에 따라 과학과 예술, 그리고 인간과 사회 과학을 함께 생각해야 하는 일이 필요하게 되었다.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카오스와 프랙탈 이론에 의해 자연과학은 새로운 모습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들은 자연스러우며, 기하학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집합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과학적 입장에서 카오스와 프랙탈 이론을 연구하고, 이론에서 볼 수 있는 조형원리를 사진의 조형적 모습으로 나타내며 이는 테셀레이션의 모습으로 나타낸다. 이론을 작업에 적용시키는 방법은 카오스와 프랙탈의 조형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그리고 초기 촬영작업에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테셀레이션의 모습을 시도한다. 일상의 카오스와, 프랙탈 패턴을 예술의 표현방법으로 응용하는 것은 과학과 예술이 만나는 상상의 영역이다. 이는 기존의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는 분야이다. 특히 사진에서의 접근은 새로운 시도라고 보았을 때에 무한한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과학과 예술의 접목과 시도의 응용 가능성에 있다. 그리고 과학과 예술 사조를 수용하고, 타 학문과의 교류를 통해 풍부해질 수 있는 사진의 분야에 자연과학적 패러다임인 카오스와 프랙탈 이론을 적용해 사진의 표현영역을 넓히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 1장에서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제 2장에서는 미학적 가치로서의 카오스이론을 그 의미와 특징, 그리고 불확정성의 카오스로 나타낸다. 제 3장에서는 프랙탈 조형원리의 구조를 분석하고, 디자인의 구성적 특성을 도출해 내며, 이를 프랙탈 패턴으로 형상화한다. 제 4장에서는 테셀레이션의 시·지각적 측면을 나타내기 위해 그 원리와 표현작품들을 나타낸다. 제 5장에서는 구체적인 응용으로 일상의 카오스와 프랙탈 패턴을 테셀레이션에 의해 구현시킨다. 제 6장에서는 앞서 전개된 연구, 분석 등의 과정들을 종합하여 정의하는 단계로, 그 가능성과 앞으로 모색하고 발전시켜야 할 영역과 방법을 제시하며 본 연구를 마무리한다. 본 연구자는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과학과 예술의 접목이라는 면에서, 카오스와 프랙탈을 적용한 본 연구의 작업 방식의 접근 방법과 시도는 디자인적인 사진에 대한 적용 가능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테셀레이션으로의 구현 방식은 카오스와 프랙탈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PC를 이용한 디지털 디자인은 기술이 지니는 본질적인 특징을 예술의 영역에 도입한다는 면에서, 작가의 표현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컴퓨터 그래픽은 이미지 창조와 변형, 복사 등의 기능적 특징을 시각적으로 표현 할 수 있으며, 카오스와 프랙탈에 의한 테셀레이션 창출에도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메탈프린트 방식의 출력은 작품의 특수성과 개성을 표현하는 데에 충분한 대안 가운데 하나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러 예술 장르에서 비규격화, 비표준화, 그리고 개인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과학과 예술의 접목이라는 이념 하에 카오스와 프랙탈 이론은 다양하고 활발하게 진행되어 갈 것이다. 본 연구는 앞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일상의 카오스와 프랙탈 패턴 표현의 계속적인 필요성에 대한 노력이며, 본 논문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의 무한한 아이디어의 보고로 다른 발전된 작업의 계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 급성 충수돌기염 환자에서 고빌리루빈혈증의 진단적 의의

        홍영란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Background : 이 연구는 임상적으로 가장 빈번한 외과적 응급 복부수술을 요하는 질환인 급성 충수돌기염을 진단하고 중증도를 판단하는 데 있어 보다 효율적인 임상적 또는 혈액학적 검사 등의 유무에 대해 연구하였다. Study design : 후향적 연구 Patients : 2009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 CHA 의과대학교 분당 차병원에서 임상적으로 급성 충수돌기염 진단 하에 수술 받은 환자 총 1271명중 Exclusive criteria 항목을 만족하는 환자를 제외시킨 후, 총 119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Methods : 최종 조직검사 결과 및 수술 내용에 기초하여 환자를 네 그룹으로 세분화 한 후 임상적 특징, 수술방법, 수술 전 혈액학적 검사소견, SIRS score 등에 대한 연관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다시 단순 급성 충수돌기염 및 천공성 충수돌기염 두 군으로 재분류하여 각각의 변수에 따른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여 통계학적으로 평가하였다. Results : 총 1196명의 환자들 중 남자는615명(51.42%), 여자는 581명(48.58%)이었고, 수술방법으로는 개복수술이 510명(42.64%), 복강경적 수술이 686명(57.36)이었다. 수술 전 시행한 혈액학적 검사소견을 단변량 분석한 결과로는 혈청 백혈구 수치(P <0.0001), 백혈구의 호중구 백분율(P=0.0035), 혈청 총 빌리루빈 수치(P <0.0001)가 각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SIRS score >2점 을 만족하는 환자 96명( 8.0%)을 카이제곱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해 본 결과 95% 신뢰수준에서 유의확률 <0.0001 의 값을 가지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단순 급성 충수돌기염군(A)과 천공성 충수돌기염군(B)에서의 다변량 분석한 결과는 A군에 비하여 B군에서 Total bilirubin과 SIRS score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Conclusion : 급성 충수돌기염의 중증도에 대해 판단하고 천공여부를 감별진단 하는데 있어 고빌리루빈혈증 소견은 독립적 변수로써 가장 의미 있는 진단적 지표이다. 이것은 수술 전에 시행하는 기본적이고 간단한 혈액 검사가 진단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는 점에서 환자, 의료진 모두에게 큰 이득이라 할 수 있다. Background :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more effective clinical or laboratory marker for 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and decision of severity. Study design : Retrospective study. Setting : Department of surgery at Bundang CHA hospital. Patients : From January 1, 2009 through December 31, 2010, the data of 1196 patients to the exclusion of hyperbilirubinemia history among the 1271 patients who underwent open or laparoscopic appendectomy for appendicitis were recorded. Methods : Patients were grouped into four groups by final pathologic result and/or operation findings after appendectomy, the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peration methods, several preoperative laboratory datas, and SIRS score were analyzed by performing univariate analysis. And then were analyzed by performing multivariate analysis after four groups were regrouped into two groups(simple vs perforated). Results : Among 1196 patients, male were 615(51.42%) patients and female were 581(48.58%) patients, open appendectomy were 510(42.64%) cases, laparoscopic appendectomy were 686(57.36%) cases.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is were WBC(P<0.0001), Seg. count(P=0.0035), Total bilirubin(P<0.0001), and SIRS score(P<0.0001). And The results of mulivariate analysis were identified as Total bilirubin and SIRS score is diagnostic value of perforated appendicitis. Conclusion : Hyperbilirubinemia is significant diagnostic marker for the diagnosis of acute appendicitis and differential diagnosis as to whether perforation. Keywords : Simple acute appendicitis, Perforated appendicitis, Appendectomy, Hyperbilirubinemia, Diagnostic value

      •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생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홍영란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이 중학생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기존중감의 하위 영역을 살펴보면 일반적 자기존중감, 사회적 자기존중감, 가정적 자기존중감, 학문적 자기존중감 등이 있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자기존중감, 자기표현의 개념,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토대로‘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존중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과‘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표현 점수가 높을 것이다’라는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상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남 공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K중학교 2학년 남학생 271명 중 희망자 24명을 선정한 후 그 중 12명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무선으로 배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변창진과 김성회(1980)가 번안하여 사용한 20문항의 자기표현 검사와 황찬구(1988)가 번안하여 재구성한 자기존중감 검사로 일반적 자기존중감, 사회적 자기존중감, 가정적 자기존중감, 학문적 자기존중감 등을 50개 문항을 통해 측정하였다. 실험처치로는 양완석(1996)이 제작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주 2회씩 5주에 걸쳐 총 10회 실험집단에만 적용하였다. 가설의 검증은 SPSS / WIN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표현 사후 검사와 자기존중감 사후 검사 점수로 일원변량분석 (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가설검증의 매체로는 F값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기존중감 점수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Ⅰ>은 부정되었다(p > .05).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사회적 자기존중감과 학문적 자기존중감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점수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 Ⅰ-2와 가설 Ⅰ-4는 긍정되었고(p< .05), 일반적 자기존중감과 가정적 자기존중감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여 가설 Ⅰ-1과 가설 Ⅰ-3은 부정되었다(p>.05). 둘째,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자기표현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실험집단이 자기표현 점수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 Ⅱ>는 긍정되었다 (p< .05). 이상을 종합해 보면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의 적용은 중학교 학생들의 자기표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자기존중감 향상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사회적 자기존중감, 학문적 자기존중감 등 학교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학교에서 날마다 자극 받을 수 있는 자기존중감에 먼저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되었고, 일반적 자기존중감과 가정적 자기존중감 등은 평균점수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자신을 표현하는 능력이 더욱 향상되고 프로그램을 장기적으로 투입하면 학교와 관련되며 빠른 시간에 변화가 가능한 자기존중감 뿐만 아니라 자신의 깊은 내면과 관계 깊은 일반적 자기존중감 및 가정적 자기존중감에도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find out the effect for the self-esteem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assertive training program on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are several areas in the self-esteem such as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home-part self-esteem and school academic self-estee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 assumed two hypotheses as follows: <Hypothesis Ⅰ> The score of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Assertive Training Program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Hypothesis Ⅱ> The score of self ex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Assertive Training Program will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To test the above hypotheses, I selected 24 students as random samples among the 271 second grade boy students at 'K' Middle school located in Kong-ju Chung nam, and then I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y were randomly replaced in each group by 12 students. The tool of the test used in this study were Self Expression Test which was translated and used by Byun, Chang-jin & Kim, Seong-hee(1980), and another tool was the Self-Esteem Test used by Hwang, Chan-goo(1988). I carried out the experiment 10 times over 5 weeks, twice a week. It was applied to the empirical group only. The hypotheses were tested by using the tool of SPSS/WIN program, and those were testified by F-Test about the deviation of means in two groups between post tests. To confirm the meaningful differences of the two hypotheses, I used the One Way ANOV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ik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self-esteem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Assertive Training Program were not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As a result, <Hypothesis Ⅰ> was negatively testified(p> .05). If I present the lower domains of each test, in aspects of the social self-esteem, school academic self-esteem, there appeared to be meaningful differences, so it was positively testified(p< .05). However in the area of general self-esteem, home-part self-esteem, there did not appeare to be any meaningful differences. So it was negatively testified(p>.05). Secondly, the score of self ex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the Assertive Training Progra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which did not participate. Therefore, <Hypothesis Ⅱ> was positively testified(p< .05). In summarly, we can find out that it's partly effective to apply the assertive training program to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ir self-esteem. We also found that its effects were appeared from daily life being able to easily access to like as the area of the social self-esteem, school academic self-esteem. Furthermore, if we continue to train the students, I am sure that its effects should be also appeared in general self-esteem, home-part self-esteem as a result of it. If the self expression ability is increased, then it's expected that he or she can adjust well not only in school society, but also in whatever society he or she belongs to.

      • DVD를 이용한 수술 전 폐암환자교육이 수술 후 자가간호지식과 수행율에 미치는 효과

        홍영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통계청(2005)에 따르면 2005년 암은 사망원인 1위를 차지했으며 그 중 폐암은 2000년에는 위암(24.3%)보다도 높은 사망률(24.4%)을 보임으로써 국내암 사망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폐암의 증상은 암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지만, 대부분의 경우 기침, 객혈, 폐렴이나, 가슴통증, 객담, 호흡곤란 등이 나타난다. 폐암의 치료방법으로는 수술, 항암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이 있다. 수술방법으로는 전폐절제술, 폐엽절제술, 쐐기절제술이 있으며, 폐엽을 잘라내면서 같이 임파절도 잘라내며 폐암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수술방법은 달라진다(강민종 외, 1996). 수술 후 부동은 혈류를 느리게 하고, 혈전증을 유발하므로 수술 후 가능한 빠른 조기이상과 체위변경을 하도록 권장해야 한다. 조기이상에 대하여 수술 전에 미리 여유를 두고 가르쳐주어 연습하도록 하는 것이 궁극적으로 빠른 회복과 재발방지 및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전시자 외, 1996). 폐암수술환자가 증가하는 것에 비해 체계적 교육프로그램은 개발되어 있지 않고 그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폐암수술을 한 환자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을 통한 환자들의 자가 간호 지식을 증가시킴으로써 그 수행율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환자들의 빠른 회복과 합병증 예방에 실질적 도움을 주기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2007년 3월1일부터 3월31일까지 경기도 N병원에 입원해서 폐암수술을 받은 22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백분율, 실수, 평균평점,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로 자가 간호지식 측정도구는 이혜영(2000)의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16문항을, 자가 간호수행 측정도구는 이현숙(1994)의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15문항을 사용하였고, 신뢰도는 자가 간호지식 측정도구는 Chronbach' a = 0.663이고, 자가 간호 수행 측정 도구는 Chronbach' a = 0.864이다. 1. DVD 교육프로그램 시행 전 자가 간호지식의 평균은 21.36±3.82 점이었 고, DVD 교육 프로그램 시행 후의 자가 간호 지식의 평균은 29.18±2.17 점이며, 수술 전 DVD 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후의 자가 간호 지식의 점수 차이는 7.81±3.54 점으로 수술 전 DVD를 이용한 교육은 자가 간호 지식을 증가시킨다는 가설은 유의하다(p=0.00(p<0.05)). 2. 수술 전 DVD를 이용한 교육 후 자가 간호 지식의 증가는 자가 간호수행 율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은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r=0.445, p=0.038). DVD 교육 프로그램 시행 전 후의 자가 간호 지식의 증가는 자가 간호 수행율에 영향을 준다. 궁극적으로는 합병증예방, 건강증 진, 빠른 회복 등 환자의 수술 후 회복에 영향을 준다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DVD를 통한 수술 전 교육은 환자에게 자가 간호 지식을 증가시켜주며, 지식의 증가는 환자의 수술 후 자가 간호 수행율의 증가와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DVD를 폐암수술환자교육에 적용함으로서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 다른 수술환자를 대상으로 한 효과검증에 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유용한 간호중재가 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Cancer is highest mortality in 2005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Lung cancer's symptom is cough, hemoptysis, chest pain, sputum, dyspnea etc. Management of cancer is Radiation therapy, Chemotherapy, surgery(Lobectomy, wedge resection, pneumonectomy) We must encouraged ambulation because of immobility is made embolism. Education about ambulation is helped recovery and complication prevention. But, education program is deficiency. This study is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that use DVD and effect of program apply to lung cancer patient. And relationship between self care knowledge and performanc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 to March 31, 2007. And among the 25 in-patients who has lung cancer in general hospital which has is located in K city. This study was used the self care knowledge instrument modified by Lee Hye Young(2000), self care performance instrument modified by Lee Hyun Sook(1994). This tool were remodified and complemented to fit to this study. Data analysis was used SPSS 12.0 program for percentage, mean, average scor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re self care knowledge was average score 21.36±3.82 , post self care knowledge was average score 29.18±2.17. Pre and post average difference score is 7.81±3.54. DVD progra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lf care knowledge(p=0.00(p<0.05)). 2. Self care performa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lf care knowledge increasing(r=0.445, p=0.038). Ultimately DVD program have an effect on recovery, complication prevention. Consequently, self care knowledge is increased, and self care performance according to self care increasing self care knowledge is increased when DVD program use lung cancer patient. There is a need of repeated research with more patients and development of program on education of lung cancer patient and comparison research among them are also required.

      • 신라 적석목곽분 출토 서역계 유리용기 제작기법과 부장 의미

        홍영란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From 4th to 6th centuries, the Western Asia Glassware of the name of Roman Glass appears in the tombs in Silla and Gaya. The glassware is largely concentrated in the Wooden Chamber Tombs and made based on the Blowing technique. However, its study is not entirely satisfactory. In this thesis, it was intended to analyze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excavated glassware in detail and to study how techniques have been changed by dividing into period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decorating techniques for the mouth and the lower part of glassware were changed, and its representation techniques of pattern and design were changed also. And, in regards to the glassware intensively excavated for limited period, its aspect of excavation, social position symbolism, period and rank were considered in their context. In conclusion, differentiation in burial according to the rank of ancient tomb is not acknowledged except the circumstances that glassware burial is concentrated in supersized ancient tomb. Also it is considered that the number of glassware buried is standardized into about two in the 3rd stage. The glassware is buried along with the ritual goods in its burial location.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excavation, it is assumed that the glassware has a high value in the society at the time. Also, it was intended in this thesis to study one side of Silla Maripgan period society by analyzing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burial aspect of Western Asia Glassware excavated from Silla Wooden Chamber Tombs. Since it can be assumed that the glassware has the historical and social value and importance in Silla society at the time from the fact that all of the tombs buried with the glassware are the ones of top rank positions of the society. 4~6세기 신라와 가야 무덤에는 이전 시기에 전혀 보이지 않던 유리용기가 등장한다. 흔히 로마유리(Roman Glass)라고 부르는 서역계 유리용기가 그것이다. 이러한 유리용기는 신라 특유의 묘제인 적석목곽분에 집중 부장되었다. 이 유리용기들은 대롱불기 법(Blowing)을 기초로 하여 만들어진 것인데, 이에 대한 고고학적인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유리용기의 제작기법을 자세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리용기의 기종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서역계 유리용기의 일반적인 제작기법을 살핀 후, 분류한 기종별로 제작기법을 관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출토된 유리용기들을 시기별로 나눠 어떤 변화과정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고에서 설정한 편년에 따라 구연부 장식기법은 말아 붙이는 기법에서 절단하여 마무리하는 기법으로 변화한 것을 확인하였다. 저부는 굽을 만든 것‧평저‧대각을 부착한 것 중,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굽을 만든 것에서 평저, 대각을 붙이는 방법으로 변화하며 대각은 Ⅱ기에 집중적으로 확인된다. 무늬 표현 기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Trailing 기법, Cutting 기법, Marble 기법, 색 유리 장식 기법 등 여러 장식 기법이 더해지는 모습으로 변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경주 지역 적석목곽분에서 출토된 유리용기의 출토 양상을 다시 검토하였다. 유리용기 종류와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출토 위치 등의 정황도 확인하였다. 또 한정된 시기에 집중적으로 출토되는 유리용기들이 시기적, 위계별로 어떤 맥락을 가지는지, 적석목곽분에 부장된 유리용기의 상징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경주시내 중심고분군의 각 고분 규모, 위계와 유리용기 출토 수량을 대비한 결과, 초대형 고분에서 유리용기가 집중 부장되는 현상을 제외하면 고분 위계에 따른 유리용기 부장의 차별성은 인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Ⅰ~Ⅲ기로 설정한 편년에 따른 부장 양상을 살펴보면, Ⅲ기에 해당하는 무덤에서 유리용기가 2점씩 부장된 것으로 보아 Ⅲ기의 어느 시점이 되면 부장되는 개체수는 2점 정도로 정형화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유리용기는 위세품적 성격이 강한 용기류들과 함께 출토되는 등 여러 가지 출토 정황으로 보아 당시 사회에서 유리용기는 매우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고는 신라 적석목곽분에서 출토된 서역계 유리용기의 제작기법, 부장 양상 분석을 통해 신라 마립간 기 사회의 단면을 살피고자 하였다. 유리용기가 부장된 무덤은 모두 최상위 계층의 무덤으로 당시 신라 사회에서 유리용기가 가지는 역사적 가치와 중요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