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Comparative Study of College English Education between China Korea : Huangshan University and Hanseo University = 중한 지방 대학교 영어 교육 비교 연구 : 황산대학과 한서대학을 중심으로

        홍연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국이 세계 무역 기구에 가입 함으로서 경제, 문화의 국제화, 그리고 국제간의 거래가 갈수록 빈번해져 가고 있다. 이에 발 맞추어 전문적인 지식도 갖추고 있으며, 유창한 영어구사능력을 갖춘 대학생들이 사회의 인기를 갈수록 많이 받고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전 세계에 금융위기가 발발하여 대학생들은 거대한 취업 압력에 직면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또한 거대한 도전을 받고 있으며, 대학교 영어교육 역시 이와 같은 상황에 놓여있다. 이런 현실적인 시점에서 우리는 선진국들의 훌륭한 교육과정을 토대로 우리의 교육실정에 맞는 교육과정을 좀 더 세심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우리의 이웃 나라로써 문화배경은 우리나라와 아주 큰 연원이 있어 우선먼저 참고로 할 대상이다. 그러므로 양국 대학교 영어 교육의 발전 과정으로부터 출발하여 중•한 양국 두 나라 대학교 영어교육 현황을 비교, 연구하였다. 두 대학의 연구를 통하여 우수한 점과 우수하지 않은 점을 알게 되었으며, 또한 우리나라 대학 영어교육에 필요한 연구를 제언하며, 효율적인 영어지도방법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4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본 연구의 서론 부분으로써 본 연구의 배경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효과적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한국과 중국의 두 대학을 선정하였다. 둘째, 이론부분으로써 주요하게 중•한 대학교 영어 교육 현황을 설명하였고 아울러 영어전공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태도를 고찰하였다. 셋째, 본 논문의 중점 부분으로써 비교를 통해 중•한 지방 대학교의 영어 교육에 치중하여 분석하였고 학점, 방법, 내용, 교실교수품질 등 4가지 방면으로부터 분석, 설명하였으며 아울러 필자의 견해와 제안을 두었다. 또한 비교, 분석한 것에서 유익한 점들은 우리나라 대학 영어교육의 연구에 기여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을 정리하였다. With the entry to WTO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in economy and literature, the increasing international communication makes the students with bo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good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more and more popular. Meanwhile, owing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university students bear heavy pressure of employment, and our higher education, as well as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is facing huge challenge. Under such condition, we should learn from the advanced experience from the countries with developed education. Korea, our neighboring country with various connects in cultural background, is our first choice to learn from. Therefore, it’s of high significance to push our country’s research and guide our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under the way of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ency of Sino-Korea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to seek out the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from the point of the development of Sino-Korea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The study of this paper includes mainly four parts. The introduction, as the first part, mainly analyzes this paper’s research background, purpose, research range and methods. The second is theory part, mainly describing the currency of Sino-Korea university English education and investigating the students’ attitude to English learning. The third, key part of this paper, analyzes the English education in Sino-Korea local universities by comparison of credits, methods, contents and class teaching quality, and proposes the writer’s views and suggestion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e can get some helpful inspirations and find out the points worth learning. The last is the brief conclusion.

      • 한·중 아파트 평면 공간특성에 대한 비교 분석

        홍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가 발전하면서 사람들은 도시로 모이기 시작했다. 인구가 도시에 집중되면서 대두하는 문제가 바로 주거이다. 한정된 범위 내에 포화된 인구를 받아들이려면 아파트는 도시의 불가피한 요소가 된다. 이제 아파트는 우리에게 익숙한 주거형식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서울과 중국의 북경의 아파트 평면 공간특성에 대해서 비교 및 분석했다. 서울과 북경은 같은 아시아권에 속해 있으면서 문화와 생활에서 많은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경제적인 면에서도 각 나라의 대표적인 도시로 인구가 집중되어 있고 나라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책임지고 있다. 서울은 한국 인구의 1/4정도가 거주하고 있고, 북경 또한 날마다 늘어나고 있는 유동인구로 인해 여러 가지 문제들을 겪고 있다. 일제시대에 최초로 세워진 아파트를 시작으로 한국은 이미 '아파트 공화국 '이 되었다. 서울은 그 선두주자로 가장 많은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다. 북경 또한 마찬가지이다. 중국의 정책상 개인은 땅을 소유할 수 없다. 국민들이 가장 많이 소유하고자 하는 부동산은 바로 아파트이다. 비록 아파트에 대한 50~70년의 사용권이지만 사람들의 최대 관심사는 다름아닌 자기집 마련이다. 여기서 자기집은 자연스레 아파트를 가리키고, 북경으로 몰려드는 인구가 늘어나면서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더욱 많아지고 있다. 20세기 90년대 북경의 2환 이내에 국한되어 있던 아파트는 이미 6환을 넘어 북경 교외까지 뻗어나갔다. 아파트는 서울과 북경의 주된 주거 형식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북경의 아파트유형 특성 분석을 기초로 양국 아파트평면을 비교 및 분석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유사성과 동시에 보이는 차이점을 제시했다. 결과적으로 양국의 아파트는 각각 일본 및 구 소련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 발전의 역사 속에서 자신만의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양국 아파트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장단점을 분석하여 서로의 미숙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이후의 아파트 건설 및 발전에도 분명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리라고 생각한다. 특히 국제화된 현재 사회에서 이웃 나라의 아파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국제 무대를 향한 진출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문화차이에 따른 한국과 중국의 광고표현 비교연구

        홍연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2년, 한국과 중국은 정식으로 대사급의 외교관계를 창립하고, 이렇게 한중 양국의 경제의 문화를 증진하게 된다. 10년간의 공동 노력의 결과, 한중 양국은 매우 가까운 우호국가가 되었고, 문화도 신속한 발전과 깊은 교류를 하게 된다. 한국과 중국은 모두 아시아에 속한 나라로, 문화와 전통은 닮았지만, 사회 심리와 역사, 풍습 등 또 다른 여러 특징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화 언어학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한중 양국의 광고 언어를 연구하고, 이 연구를 통해서, 두 나라의 문화를 더욱 이해하고자 한다. 광고는 사회 문화 문명의 산물로서, 현대 사회 특징 중 하나인 종합예술을 반영한다. 광고 안에서 각종 사회 현상을 가장 크고 빠르게 나타낼 수 있고, 동시에 다른 문화의 산물, 예를 들면 음악, 회화 등을 비교할 수도 있으며, 사회 성원의 심리를 더욱 빠르게 표현해 낼 수도 있다. 광고 언어는 광고의 핵심 내용으로, 그것은 사회문화를 포함하며 반영하고 있다. 그러므로, 광고 언어를 통해서 우리들은 하나의 민족 언어를 연구할 수 있고, 하나의 국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연구자는 한국과 중국 두 나라의 잡지에서 동일한 국제광고를 선택하여, 실제 사례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전체 5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은 연구의 주제 및 목적. 제2장은 선행연구 검토(광고의 문화적 속성, 광고언어와 국가문화 심리, 한국의 한중 광고 연구 개요, 중국의 한중 광고 연구 개요). 제3장은 연구의 방법(연구대상- 광고표현 언어의 범위, 분석 방법). 제4장은 연구결과: 한중 광고표현의 분석(제품 이름의 명기 순서, 의성·의태어의 사용, 외래어의 사용, 색상의 사용). 제5장은 연구의 의의와 한계 등으로 구성되었다. 키워드: 문화, 광고 용어, 외래어, 의성 의태어.

      • 녹내장 환자의 24시간 안압 측정을 위한 콘택트렌즈의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체계적 문헌고찰

        홍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안압은 시력 손상을 일으키는 녹내장 발생의 주요 위험 인자이기 때문에 안압을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 24시간 동안 안압을 모니터링하는 콘택트렌즈가 개발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안압 측정을 위한 콘택트렌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콘택트렌즈를 사용하여 녹내장 환자의 안압 측정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7년 4월 두 번째 주까지의 문헌을 MEDLINE, EMBASE, Cochrane Library에서 체계적으로 검색하였다. 총 96개의 문헌이 검색되었고 최종적으로 17개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14편의 문헌에서 부작용에 대하여 보고하였으며, 주로 결막염, 충혈 등이 보고되었지만 대부분 아무 치료 없이 수 시간 이내로 회복되었다. 착용감을 보고한 3편의 연구는 좋은 착용감을 보여주었다. 7편의 연구에서는 각막의 두께를 측정하였는데 2편의 연구에서는 각막의 두께가 감소한 반면, 5편의 연구에서는 증가하였지만, 임상적으로 각막 부종의 유무에 관하여 무시할 만할 수준이었다. CLS(Contact Lens Sensor)는 자세에 따른 안압변동과 Nocturnal Acrophase에 대하여 측정이 가능함으로 CLS 사용에 대한 신뢰성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안압측정계와는 적당하며 좋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기에,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이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CLS의 사용에 대한 신뢰성이 쌓이면 안압을 낮추는 약물의 사용과 수술의 효과성을 알아보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24시간 안압 측정을 위한 콘택트렌즈의 안전성과 유효성평가에서 안전성은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보이나 유효성에 대하여는 더 많고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녹내장 환자의 안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신뢰성을 축적해야만 한다. Intraocular pressure (IOP) is considered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glaucoma, which in turn causes visual impairment. IOP measurement is therefore crucial for eye health. Recently, new contact lenses that can monitor IOP for 24 hours have been developed.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such contact lenses in IOP measurement.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contact lenses in the measurement of IOP in patients with glaucoma, a systematic review search was performed until the second week of April 2017 using MEDLINE, EMBASE, and Cochrane Library. A total of 96 articles were searched, and 17 of them were selected. Fourteen studies reported complications, mainly conjunctivitis and hyperemia, which improved after several hours without treatment. Regarding good tolerability, three studies were available. Corneal thickness was measured in seven studies. Two of them revealed decreased corneal thickness, and the remaining five demonstrated increased corneal thickness with negligible clinical risk of corneal edema. CLS (Contact Lens Sensor) can monitoring the IOP fluctuation of body posture and nocturnal acrophase and will be able to establish reliability for using CLS. Also, the correlation with other tonometer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So, further exploration is required for more decisive results. It will also be useful for the use of drugs that lower the IOP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rgery if it accumulates the reliability for the use of CLS. This study found that the safety of contact lenses was acceptable to measure IOP for 24 hours. However, a variety of studies are necessary in the future to provide more evidence regarding the effectiveness of contact lenses for the monitoring of IOP in glaucoma.

      • 처음 위암 진단을 받은 환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홍연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15

        암의 치료와 관리가 세분화되고 전문화되면서 암환자와 가족은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받길 기대하고 있다. 특히, 암을 처음 진단받은 환자는 진단부터 치료에 이르기까지 회복탄력성저하, 불확실성, 불안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개인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정보제공과 심리적 지지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위암을 처음 진단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대상자의 회복탄력성, 불확실성, 불안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행한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 설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처음 위암을 진단받고 일 상급 종합병원 암통합진료센터를 방문한 자 중 연구참여에 서면 동의한 자로, 123명을 무작위 배정하였으며 최종 분석 대상자는 실험군 50명, 대조군 53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10월 7일부터 2015년 1월 8일까지였으며, 중재 전 회복탄력성과 불확실성, 불안을 측정하였고, 암 치료를 위한 입원 시점에서 사후측정을 하였다. 연구도구 회복탄력성은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불확실성은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 불안은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진단부터 치료 전 대기 기간에 정보제공과 심리적 지지로 구성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1회당 30분씩, 3회 제공하였으며, 대조군은 일반적으로 제공해왔던 간호를 그대로 제공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또는 Independent t-test를,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정은 Independent t-test를, 가설검정은 Repeated Measures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처음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암환자의 회복탄력성 점수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305). 2) 처음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암환자의 불확실성 점수는 낮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370). 3) 처음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를 위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암환자의 불안은 유의하게 낮았다(p=.017).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내비게이션 프로그램은 처음 위암을 진단받은 환자에게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로 확인되었으며, 회복탄력성을 증가시키고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추가 연구를 제언한다. 주요어: 위암, 내비게이션 프로그램, 회복탄력성, 불확실성, 불안

      • 맥락적 해석을 통한 낭만주의 미술사조 이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홍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낭만주의 미술사조를 맥락적 해석을 통해 이해하고 미술문화 이 해능력을 함양시키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맥락적 해석’은 역사, 문화, 정치, 사회, 종교, 경제 등 미술작품과 연관된 배경에서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을 추출할 수 있는 감상 방법이다. 맥락적 해 석은 학생들이 감상활동을 통해 작품의 배경을 알아보면서 사회와 예술의 연 관성 및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그 변화와 흐름을 인지하며 미술문화 이해능력 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낭만주의 미술사조는 근대 이후 변모한 미술에 영향을 미쳤으며 역사와 사 회·예술 영역에서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 낭만주의에 대한 이해는 낭만주의 이후를 비롯한 동시대의 미술까지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맥락적 해석에 대한 이해와 방법 및 미술감상에서의 교육적 의의를 알아보고, 맥락적 해석을 통한 낭만주의 미술사조 이해 프로그 램의 필요성 및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낭만주의 미술사조는 근대미술의 근 간이 되는 미술사조로서 서양미술의 변천을 알고 이해하는데 중요한 사조이 다. 또한 낭만주의는 예술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로 뻗어나간 큰 규모의 정신 운동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과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낭 만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 예술작품이 생산된 배경과 다른 분야와의 관계 및 상호작용을 파악하여 작품을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감상방법인 맥락적 해석 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미술교과서 8종을 분 석한 결과 모든 교과서에서 낭만주의 미술사조 관련 내용이 수록되어 있었지 만 심도 있게 다루지 않고 있었다.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서도 맥락적 해석을 통한 감상수업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만 체계적 인 수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3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맥락적 해석을 통한 낭만주의 미술사조 이해’ 미 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은 ‘미술사·역사 맥락적 해석을 통한 낭만주의 미술배경 이해 미술교 육’, ‘사회 맥락적 해석을 통한 낭만주의 미술주제 이해 미술교육’, ‘미술문화 맥락적 해석을 통한 낭만주의 미적 이해 미술교육’으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이 기존에 알고 있거나 본 적이 있는 익숙한 작품과 낯선 작품을 함께 소개하여 심층적인 감상과 다양한 해석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학생들은 제시된 프로그 램을 통하여 낭만주의에 대해 이해하고 맥락적 해석 방법을 습득했다. 이를 활용하여 미술작품을 감상하고 작품에 대한 이해도가 증진되었다. 제4장에서는 학생들에게 ‘맥락적 해석을 통한 낭만주의 미술사조 이해’ 미술 교육 프로그램 전후에 실시한 학생대상 사전, 사후 설문지 결과를 분석하고, 학생들의 사고 능력과 흥미의 변화, 태도 등을 파악하여 교육적 효과와 활성 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이고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프로 그램에 대한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 사회의 상호관계와 근대 서양미술사의 이해가 이루어졌다. 둘 째, 작품의 배경과 의미에 준거한 설득력 있는 작품 해석력이 증진하였다. 셋 째, 다양한 관점의 작품해석 태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넷째, 서양미술사에 대 한 친밀감과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에 따라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 다. 첫째, 동시대 미술문화를 주제로 한 미술작품 해석 관련 수업이 개발되어 연계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역사 교과와 융합 수업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미술관·박물관 견학을 통한 체험활동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흥 미로운 감상수업 매체가 개발되어야 한다. 위와 같이 교육적 효과와 활성화 방안을 통하여 ‘맥락적 해석을 통한 낭만 주의 미술사조 이해’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다양하고 복합적인 미술문화 속에서 미술작품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연구 활동과 학생들이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지속적인 교육의 발전이 필요할 것이다. The present paper aimed at understanding art trend of Romanticism through contextual interpretation and foster the understanding skills for art culture. The ‘contextual interpretation’ is an appreciation method to draw out interpretations with various perspectives with the backgrounds of history, culture, politics, society, religion, economy, etc. related to the work of art. It provides students with the chances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work of art,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ety and art and co-relations, recognize the change and flow, and foster the understanding skills for art culture by their appreciation activities. The art trend of Romanticism has influenced fine arts which has got changed since modern times, and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e areas of history, society, and art. The understanding on Romanticism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even the contemporary art as well as the arts since Romanticism. For this, in Chapter 2, the understanding on contextual interpretation and its method, the educational meaning in art appreciation, the need for programs to understand the art trend of Romanticism via contextual interpretation, and the current educational state were examined. The art trend of Romanticism can be said to be a foundation of modern art, which is an important trend in order to know and understand the changes in Western art. Also, Romanticism is thought to be a large-scale spiritual movement which was spread in many fields as well as art, and has a transitional trait. Therefore, it is judged that contextual interpretation is proper, so that the students could understand Romanticism, because it enables them to understand the work of art in a broad way after grasping the background of the work, the relations with the other areas, and the interac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eight types of Fine Arts textbooks within 2015 Revised Fine Arts Curriculum, even though the content about the art trend of Romanticism was contained in every textbook, it was not dealt with in depth.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nducted with the subjects of fine arts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revealed that even though they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class via contextual interpretation, the systematic class was not carried out. In Chapter 3, based on this, a program to understand art trend of Romanticism via contextual interpretation was developed. It was applied to the students and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fine arts education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fine arts of Romanticism via contextual interpretation on art history and history’, ‘fine arts education to understand the subject of fine arts of Romanticism via contextual interpretation on society’, and ‘fine arts education for the aesthetic understanding of fine arts of Romanticism via contextual interpretation on art culture’. It provided the students with the chances for deep appreciation and various interpretation by introducing familiar works of art and unfamiliar ones to them. The students obtained how to do a contextual interpretation by the program with the understanding of Romanticism. It was shown that their understanding got improved after appreciating the works of art by using this program. In Chapter 4, the writer analyzed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with the subj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conducting the fine arts edu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art trend of Romanticism via contextual interpretation,’ and suggested the educational effect and revitalization plans by grasping the students’ thinking ability, the change of interests, attitudes, etc. As a result of analysis, positive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shown. The educational effect on the program was as follows. First, the understanding of the co-relations between fine arts and society and the history of modern western art was accomplished. Secondly, persuasive interpretation skills based on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work got increased. Thirdly, they could obtain an attitude to interpret the work of art with various perspectives. Fourthly, their sense of intimacy and interest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got increased. According to the positive educational effect, the revitalization plans were sought as follows. First, it is thought that they should develop and link the related classe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of art with the subject of the contemporary art culture. Secondly, they should develop integrated class programs with the subjects of Social Studies and History. Thirdly, The experience activities by visiting galleries and museums for study should be strengthened. Fourthly, interesting media of appreciation classes should be developed. As mentioned above, the positive results for the fine arts education program for ‘understanding art trend of Romanticism via contextual interpretation,’ could be drawn out through the educational effect and revitalization plans. It is thought that there should be researches which would help proper understanding of the work of art in the middle of various and complex art culture, and continuous advance of education so that the students could live positive and subjective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