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지의족 착용 장애인을 위한 자석락 시스템 개발

        홍범기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하지의족 착용 장애인을 위한 자석락 시스템 개발 기계공학과 : 홍범기 하지절단 장애인들이 일상생활 복귀를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다리의지(의족)을 착용해야 한다. 절단부와 의지를 연결해주는 연결시스템(소켓, 라이너, 락장치)은 절단부와 의지부분을 연결시켜주는 현수장치(Suspension)로서 보행뿐 아니라 일상생활 중에 가장 민감하게 느끼는 부분이다. 하지만 기존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켓의 연결 말단부에 금속제 핀을 고정하여 소켓과 의지를 연결하는 락 장치인 핀락(pin lock) 방식은 기립자세에서 체중심을 잡기가 어렵고 장시간 보행에 핀 단면적 부위의 통증과 피로감이 발생으로 의지 착용자의 23%는 여전히 통증과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장시간 보행해도 통증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으며, 편리성을 갖춘 자석 타입 락 장치를 개발하여 핀 타입 락장치의 단점을 보안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석락 자계해석을 통해 자석을 이용한 락장치의 자속, 자속밀도, 자속강도를 확인하여 자석을 이용한 현수장치 개발의 타당성을 확인하고1), 영구자석과 생크의 안정적인 결합력을 파악하는 시뮬레이션 해석2), 극성변환을 이용한 원활한 탈착과, 절단위치에 따른 결합력 및 자석의 선정3), 자석락용 실리콘 소켓 라이너 개발을 진행하였다4). 자석락 시스템 대한 주관적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신뢰성과 타당도가 검증된 의지 평가 설문(PEQ, Prosthesis Evaluation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5) 핀락과 자석락의 궤적을 측정하기 위해 3차원 동작분석을 진행하였다.7)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실험과 평가를 통해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자석락 자계해석을 통해 자석을 이용한 락장치의 자속, 자속밀도, 자속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1). 시뮬레이션 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석락 시스템의 최소 결합력을 도출할 수 있었다2). 실험을 통해 극성변환을 이용한 원활한 탈착범위를 도출할 수 있었다3). 3차원 동작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핀락과 자석락의 궤적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 神學의 終末論化와 人類의 未來 : Jürgen Moltmann의 神學에 關한 硏究

        홍범기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77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the age of Enlightenment and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rapid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sounded an optimistic note for the future. This note holds out the promise that in the near future this world will be changed into a paradise, the threat of death due to hunger will be eliminated by the improvement of food production, an apocalyptic threat from a population explosion will be eliminated by family planning, and mechanization will free mankind from dehumanized labor. Paralleling the optimistic note for the future sounded by science and technology, a similar note has been sounded for the future of theology by the impact of E. Bloch's philosophy of hope and the rediscovery of eschatology by J. Weiss and A. Schweitzer. The influence of the theology of R. Bultmann and K. Barth began to decline from its heights of the 40's and 50's and was followed by the emergence of the secular theology and the death of God theology led by young Anglo-American theologians who studied in Germany and seemed to be the best representatives of Protestant theologians. Having declared the death of God and having nothing else to say, the new theology seemed to silently call out for a savior. Since the mid 60's the vacuum caused by the still-birth of the death of God theology has been filled by such future oriented theologies as the theology of hope, the future, of promise, the theology of revolution, and political theology. All of which have eschatology as a starting point of their theology reflecting contemporary man's consciousness of the future. Since the publication of 'Theology of Hope? in 1964 by the Protestant theologian, J. Moltmann, there is no book in English or even in German which occupies such a place of importance in the field of theology.of hope, In the words of M.D. Meeks "It is difficult to imagine any theology in the near future , which could function without being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nfluenced by Jürgen Moltmann's 'theology of hope'." Thus J. Moltmann in the field of modern theology can not be denied. Reflecting on the flow of modern society and the direction of theology and after examining an eschatologization of eschatology, theology, christology, anthropology, ecclesiclogy centering on J. Moltmann's theology, we have reinforced the process of eschatclogization by adding the part concerning the practice of hope. And we took close care of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theological difficult problems can be solved through the eschatologization of theology?; On what horizon can theology and the church establish interrelations regarding the consciousness of building the future and the secularized eschatology of modern times?; Also how can theology and the church preserve their uniqueness and identity when such interrelations are established? In order to build up these theories and secure the horizon of comprehension we investigated in the introduction the context and text of J. Moltmann's theology, and introduced the newness of his theology. On the other hand, we must question whether thy: theology of J. Moltmann might reduce God to a patron of science and mechanical technology or contain the danger or identifying the Kingdom of God with the attainment of universal material wealth. Furthermore, J. Moltmann who regards natural theology as a mother's womb of atheism would have been led to more profound theological reflection through dialogues with Catholic theologians. And his one-sided opinion asserting the harmfulness of Hellenism must be seriously examined as well. The theme which J. Moltmann asserts-namely transforming the world and society against the individualism of the past theologians is correct, but his view of looking at social reality as embracing the whole of all reality is too narrow. In conclusion then we think that J. Moltmann limits the dimensions of the christian Gospel message--a universal truth.

      • 유방의 침윤성 관암종에서 EGFR, C-erbB-2 유전자 증폭과 COX-2 단백 발현의 연관성

        홍범기 중앙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유방의 침윤성 관암종에서 EGFR과 c-erbB-2의 유전자 증폭과 COX-2 단백 발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47예의 파라핀 포매조직을 대상으로 색소원제자리부합화에 의한 EGFR과 c-erbB-2 유전자의 증폭을 검사하고, COX-2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EGFR 유전자 증폭은 종양의 크기가 크고 림프절 전이가 있으며 병기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으며, c-erbB-2 유전자 증폭은 종양의 크기가 크고 병기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COX-2 단백 발현은 종양의 크기가 크고 병기가 진행될수록 증가하였다. EGFR과 c-erbB-2의 유전자 증폭과 COX-2 단백 발현은 상호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EGFR과 c-erbB-2의 유전자 증폭과 COX-2 단백 발현은 예후인자로서의 가치가 있으며, 임상적으로 유방의 침윤성 관암종에서 항암 효과를 위해 EGFR과 c-erbB-2 및 COX-2 억제제의 복합적인 사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rophylactic effects of Lonicera japonica extract on dextran sulphate sodium induced colitis in a mouse model by inhibition of the Th1/Th17 response

        홍범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 배경 및 목적 한국을 포함 전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염증성 장질환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은 만성적으로 장이 염증성 상태에 있는 것으로 비록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NSAID: non-steroid anti-inflammatory drug)과 스테로이드를 포함한 현재 치료법은 증상을 완화시키기는 하나, 과민반응, 부신억제, 림프종 등 다양한 부작용 나타내고 있다. 이에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로 천연물질이나 식이 보조제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금은화 (Lonicera japonica Thunb; LJ)는 오랫동안 한의학에서 각종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사용 되어져 왔다. 또한 금은화는 한국에서 임상적으로 염증성 장질환 치료 약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trinitrobenzene sulfonic acid (TNBS)로 유발된 쥐 실험모델에서 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판명된 보장건비탕의 주된 본초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금은화에 대한 염증성 장질환의 효과에 대해 보고되어 있지 않아 이번 연구에서dextran sulphate sodium (DSS)으로 유발된 대장염 동물실험 모델에서 금은화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5% DSS로 BALB/c 마우스에게 대장염을 유발시키고 금은화를 가열 환류시켜 얻은 추출물(수율=6.83%)로 각각의 실험군에 20, 100, 500mg/kg 용량으로 1주일간 매일 두 번씩 경구 투여하였다. 대장염에 대한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체중, 대장길이를 측정하였고, 조직학적 소견을 관찰하였으며, Histological damage scoring을 시행하였다. Cytokines profiling을 통해 helper T (Th) 세포와 연관된 면역학적 반응을 측정하였다. 또한 regulatory T (Treg) 세포들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생체 내(in vivo), 생체 외(in vitro) 실험을 시행하여 CD4+D25+Foxp3+T 세포들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투여된 금은화의 용량이 증가할수록 대장 길이의 단축, 체중 감소, 조직학적 손상 정도를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금은화 투여는 IL-1β, TNF-α, interferon-γ, IL-6, IL-12, 및 IL-17을 하향 조절하였다. 그러나 IL-10, IL-23,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및 Treg cell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결론 금은화는 DSS로 유발된 대장염에 대해 Th1/Th17 경로를 통해 억제 효과를 보였지만 Treg 세포와 관련된 경로를 통한 억제 효과는 없었다. 이를 통해 염증성 장질환과 같은 대장염에 대하여 예방적인 차원에서 금은화를 투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향후 본 연구를 바탕으로 대장의 만성 염증 상태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 심도있는 조사와 기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결장직장암에서 p27kip1 단백 발현과 예후와의 상관관계

        홍범기 중앙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결장 및 직장암의 발생 빈도는 서구의 경우 폐암 다음으로 높은 발생 빈도를 나타내며 소화기계 암 중엔 발생 빈도가 가장 높다(Lyerly 1997). 악성 종양 중 현재 우리 나라에서는 남자는 위암, 간암, 폐암, 여자는 위암, 유방암,자궁암, 순으로, 남녀 공히 4번째 순위인 결장 및 직장암은 빈도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있다(한국암등록본부-보건복지부.한국중앙암등록사업연례보고서 1999,1-1999,12. 2001). 현재까지 결장직장암의 수술 후 치료방침을 정하거나 예후를 예측하는데는 병리조직학적 소견과 임상적 병기에 만 의존하여 왔으나, 같은 병기의 암이라도 재발율 및 생존율에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아서 기존의 방법을 보완하거나 새로운 예측인자의 발견이 필요한 실정이며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발암과정을 분자생물학적 측면에서 밝히고 이를 임상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과거 수 년 동안 세포주기 조절 인자에 대한 연구로 정상 세포주기의 장애가 암 발생의 주요한 과정이라는 사실이 밝혀졌고 이 세포주기에 관여하는 여러 구성성분의 이상이 여러 형태의 인체종양에서 보고되었다(MacLachlan, 1995; Sherr, 1995). 세포주기 중 G1 단계에서 S 단계로의 이행이 세포의 증식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바, 여러 조절인자들이 있으며 특히,cyclin-dependent kinase(이하 CDK)와 cyclin은 세포주기 진행 중 중요한 조절촉진인자로 알려져 있다. CDK와 cyclin의 복합체는 CDK inhibitor(이하 CKI)라는 물질들에 의해서 불활성화된다. 따라서 이들 CKI들은 세포주기 진행에서 억제인자로써 작용을 하며, 잠정적인 종양 억제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Sherr 1995; Sherr, Roberts, 1995). 세포주기 조절인자의 일종인 p27Kip1(p27)은 CKI로서, 이 유전자는 염색체 12p12.3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CDK와 cyclin의 복합체와 결합하여 G1에서 S기로 주로 세포주기 진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rin et al., 1995).p27은 인체 종양의 다른 발암억제 유전자와는 달리 유전자상의 돌연변이나 유전자 소실이 거의 없고 mRNA로의 발현에도 거의 변화가 없다(Marin et al., 1995). p27 단백 발현은 후전사단계에서 ubiquitin-proteasome에 의하여 매개되는 단백 분해 기전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omoda et al., 1999). 이러한 p27 단백 발현의 소실은 유방암, 위암, 전립선암, 폐암, 결장암, 식도암 등에서 종양의 진행 뿐 아니라 재발, 전이와 더불어 나쁜 예후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Carzavels et al.,1997; Loda et al., 1997).그러나, 소세포 폐암종과 유방암종 일부에서는 종양의 진행에도 불구하고 계속높은 p27의 발현이 보고되어 p27발현에 불 균일성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Federsdorf et al., 1997).국내에서는 이향림등(2000)이 결장 선암종 40예에서 P27 단백의 발현과 림프절 전이와의 역상관관계외에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예후적 인자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나 뚜렷한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면역조직학적 염색을 통해 결장직장암에서p27 단백의 발현과 기존의 예후인자로 알려진 종양의 분화도(differenciation), 림프절 전이(N-stage), 암의 침습 정도(T-stage), 병기, 생존율간의 상관 관계를 통해 결장직장암의 새로운 예후인자로서의 가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Purpose: The p27Kip1 gene has been recognized as a negative regulator of the cell cycle and a potential tumor suppressor gene. Reduced expression of the p27Kip1 protein has been reported in several human tumors and has been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in breast, lung, colon, prostate, bladder, esophageal and gastric cancers.In the present study, the author assessed p27Kip expression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rcinoma in relation to their clinicohistological features and prognosis. Methods: The author investigated p27Kip1 expression for 80 with colorectal carcinoma using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regarding the survival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Results: Among 80 cases of clolorectal carcinomas, p27Kip1 expression was detected in the nuclei of tumor cells in 48 cases(60%). With the exception of differentiation(p<0.01),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27Kip1 and TMN stage, lymph node metastasis, depth of tumor invasion or overall survival.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reduced expression of p27Kip1 protein plays a role in the differentiation of colorectal carcinoma and may be potential prognostic factor. But, more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p27Kip1 protein expression is a clinically valuable prognostic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