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적개방성과 성실성의 2x2요인과 창의성간의 관계

        홍민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성격의 5요인과 창의성이 어떠한 상관을 갖는지 살펴본 후, 성격의 5요인 중 창의성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요인이 무엇인지, 또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갖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성격 5요인의 하위요인 중 창의성과 가장 관련된다고 알려진 지적개방성과 성실성에 대하여, 그 두 요인의 상하 조합에 따른 4집단의 창의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탐구한 연구문제는 첫째, 성격의 5요인과 성격 5요인의 하위요인은 창의성과 어떠한 상관을 보이는가, 둘째, 성격의 5요인 중 창의성에 대하여 가장 높은 설명력을 가지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지적개방성과 성실성의 상하 조합에 따른 4집단 중 어떤 집단의 창의성이 가장 높은가 이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 지역의 2개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 244명이었다. 이들에 대해 직업인성 검사와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전진),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의 5요인 중 외향성, 지적개방성, 성실성이 창의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외향성 요인 중 리더쉽, 활동성, 자극추구, 명랑이, 지적개방성 요인 중 상상, 심미, 감수성, 신기, 지성이 창의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친화성 요인 중에는 이타와 동정이, 성실성 요인 중에는 자기유능감, 성취지향, 자율, 신중이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성격의 5요인 중 창의성에 대한 유의한 설명력을 지니는 요인은 지적개방성과 성실성이었으며, 지적개방성이 창의성을 8.1% 설명하는 데 더하여 성실성 요인을 결합시키자 3.6%가 증가하여 총 11.7%의 설명력을 갖게 되었다. 셋째, 지적개방성과 성실성 모두 높은 집단이 두 요인이 모두 낮은 집단보다 창의성이 더 높았으며, 지적개방성이 낮은 두 집단 중 성실성 요인이 높은 집단이 성실성 요인이 낮은 집단보다 창의성 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res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2x2 factor of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and creativity. It also explores relations of personality Big Five and creativity. We were interested in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does personality Big Five show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reativity? Second, which factors of Big Five account for creativity most? Third, which group out of 4 devided by 2x2 factor of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scores higher on creativity? The research sample consisted of 244 adolescents(129 males and 115 females, mean age 15.7). They were 1st-yea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y completed the Big Five personality test based on NEO-PI-R, and the creativity test produced by Korean Institute for Research in the Behavioral Scienc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forward) and ANOVA.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xtraversion(leadership, activity, excitement-seeking, positive emotions), openness(fantasy, aesthetics, feelings, actions, ideas) and conscientiousness(competence, achievement striving, self-disciplin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reativity. Second, only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creativity; the former accounted for 8.1% of the variance in creativity and the latter accounted for an additional 3.6%. Third, the group rated both of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higher, and the group rated their openness lower and their conscientiousness higher scored higher on creativity than the group rated both lower.

      • 식물이미지 표현을 위한 공간연구

        홍민아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식물 이미지 표현을 위한 공간연구’는 식물과 숲에 대한 이미지를 중심으로 이미지를 단순화시켜 조형적으로 재구성하고, 여백에 관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시각적인 조형성을 표현한 것에 대한 연구이다. 자연은 지구상에 있는 모든 생명체의 어머니 같은 존재일 것이다. 또한 우리의 곁에서 편안한 쉼과 휴식처를 제공해준다. 그 중 식물은 우리에게 편안한 시각적 여유를 주고, 숲을 느끼며 심리적인 안정을 되찾게 해준다. 식물은 우리 주변에서 언제나 쉽게 찾아 볼 수 있고, 그 종류 또한 매우 다양하며, 계절에 따라서 변화하고, 다시 재생 하는 순환 구조 속 생물로 우리 곁에 머물고 있다. 말을 한다거나 활동이 광범위하지 않지만 나름의 생성과 움직임으로 우리에게는 미미한 차이로 느껴지겠지만 긴 시간을 두고 보면 식물들은 말없이 거대한 숲이라는 자연을 이루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발전하고 변화하는 현대사회 속에서 우리는 완벽한 자연을 접하는 일이 점차 어려워졌다. 그 결과 자연과 소통 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들을 찾게 되었고, 완벽한 자연은 아니더라도 우리는 다양화 되고 새로워진 개념의 식물과 나무들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연구자의 작품은 모더니즘과 미니멀리즘의 미술사조에서부터 출발하는 한국의 1970년대의 모노크롬 회화의 회화 양식에 영향을 받았으며, 자연의 소재 중에서도 식물과 숲의 이미지에 중점을 두고 있는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이런 식물이미지는 연구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들을 바탕으로 한 실크스크린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공간 조형에 있어서는 다양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색채 부분에서는 모노톤을 위주로 작업하며 채도가 낮은 계열의 색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연구자는 작품 제작에 있어서 자연을 접하며 느끼는 감정들을 연구자의 작품에 대치시켜 자연의 일부분, 식물의 작은 부분부터 점차적으로 표현 해 나가며 작품을 통해 인간에게 제공하는 쉼과 휴식처의 느낌을 대신하고자 한다. This thesis titled 'A Study on Space for Expressing the Image of Plants' studied having simplified and plastically reconstructed mainly the images for plants and a forest, and having expressed their visual plasticity through various methods about space. Nature is an existence like the mother of all the living things on the earth. Also, it provides us with a comfortable rest and a resting place by us. The plants in it give us comfortable visual calmness, and allow us to feel a forest and recover psychological stability. Plants can always easily be found around us, and their kinds are also very diverse. They are staying beside us as the living things in the cyclic structure where they change according to the seasons and return to life. Even though they do not speak or are extensively active, they are silently forming the nature of a gigantic forest by their own generation and movement throughout a long time, which may be felt to be slight differences by us. However, in the modern society which develops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flow of age, it has become gradually difficult for us to meet with perfect nature. As a result, we come to seek a new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nature and can meet with plants and trees of diversified and renewed concepts even if they do not constitute perfect nature. The researcher's works were influenced by the painting style by the Korean monochrome painting of the 1970s starting from the art trends of modernism and minimalism. Most of the works attached importance to the images of plants and a forest among natural materials. She made such plant images by using the silk-screen printing technique based on the photographs taken directly by her. She presented various methods in space modeling, and worked mainly with monotone and also expressed them with low-chroma colors in the part of colors. When she produced works, she replaced with her works the feelings she had meeting with nature, began to express part of nature, small parts of plants and gave gradual expression to them, and had her works felt to be the rest and resting place they provide to man.

      • 체육계열 여대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민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체육계열 여대생의 진로 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 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4년제 대학의 체육계열 학과에 재학 중인 여대생(총 396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WINDOW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결과, 체육계열 여대생의 진로 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 준비 행동은 학년, 운동선수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속계열(사범계열, 비사범계열)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모든 학년의 체육계열 여대생은 진로에 관심을 갖고, 자신의 진로 결정을 위해 흥미와 적성을 탐색하고 그에 따른 준비 행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운동선수 경험은 진로 장벽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그리고 진로 준비 행동에 있어 관련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체육계열의 비사범계 여대생은 사범계열 여대생보다 비교적 높은 진로 장벽을 지각하고 있으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진로준비가 비교적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 체육계열 여대생의 진로 장벽은 진로 준비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진로 준비 행동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은 진로 장벽의 영향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Korean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emale college students(total 396 person)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oul, Gyeonggi-do, Incheo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Depending on the grade, affiliation and athletic experience, a survey i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areer barri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readiness behavior are differen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rogram SPSS/WINDOWS 21.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readiness behavior for athletics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not dependent on grade. Female college students in all grades are interested in careers, and explore interests and aptitudes and make preparations for their career decisions. Also, athlete experience is not relevant on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readiness behavior. In addition, female college students in outside College of Education perceived a relatively high career barrier and had low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career preparation was not made relatively smoothly. Finally, career barriers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erea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In particular,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relatively greater than that of career barrier.

      • 2009 개정 중학교 과학① 교과서에 포함된 STEAM 활동 형태와 내용 분석

        홍민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As mankind in the 21st century is living in complex social issues related on science technology, it is essential to educate STEAM that can develop the integrative ability which is not only knowledge of science technology but also creative problem solving, force a decision, humanistic and artistic knowledge to solve these problems.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ontaining STEAM is applied to the science textbooks of the middle school and these have been used from 2013, in order from 7th gra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how STEAM is reflected in textbooks from 2013. In this study,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how many STEAM activities are contained in textbooks and reflect any activity types and contents. Subjects of analysis are selected from the five sorts of textbooks that are used mostly among the nine sorts of them, and textbooks including two or more STEAM components of STEAM activities stated on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are selected to conduct type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for each activities of STEAM. For type analysis, STEAM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10 types by using an "analysis framework of STEAM activity types". For content analysis, each STEAM activity is analyzed in the components of STEAM using the framework of classification of Yakman and in integration level using integration pattern on the basis of Fogarty’s five patter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ult of number of STEAM activities in textbooks shows that Visang textbook is most at 146, Kumsung textbook was small most 12 in all STEAM activities and that Visang textbook is most at 70, Kumsung textbook was small most 9 in STEAM activities included two or more components of STEAM. From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STEAM activities described in textbooks were not appropriate. Second, STEAM type of activities included textbooks and each section depends on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ctivity. The analysis of STEAM activity types in each textbooks shows that Read(R) type is most frequency in Mirae-n, Chunjae, Kumsung textbook, Express(E) in Visang and Creative design(C) in Doosan. However, Discussion(D), Media making(M), Visit & Experiential activity(VE), Hands-on-activity(H) type is hardly observed. In comparison to the textbook by section, type of STEAM activities contains the least from any textbook in Ⅰ Section, and the most from the most of the textbooks in Ⅲ, Ⅳ section. Third,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STEAM shows that STEAM activities associated with two are most frequent and combination of Arts(A), Science(S) is the most. However, STEAM activities associated with four or five is hardly observed. Looking a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omponents of STEAM, there are a lot of activities with the materials associated with the real-life most. In particular, STEAM activities highlighted technology was contained that reflects the trends in science and the latest science and technology state-of-the-art technology. Further, STEAM activity highlighted engineering is contained Creative design(C) type. Fourth, the analysis based on Fogarty’s integration types of STEAM activities shows that threaded type is most frequent, followed by sequenced, webbed, shared, integrated type. The 'integrated model'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is least. Therefo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students' interest, cultivate problem-solving skills and interdisciplinary thinking, it must consist of STEAM activities suitable. In particular, if Discussion(D), Media making(M), Visit & Experiential activity(VE), Hands-on-activity(H) type not included in the textbook were offered with the Read(R) type that presented relatively many in the textbook, the structure of the various activities that students can participate is possible. Further, by using the materials of the various real-lives, STEAM activity enhances the students’ interest. Furthermore, by using the activity associated with other areas of science, it increases the convergence thinking of the student. Finally, When constructing the webbed type of STEAM activity that is easier to construct the class than the integrated type, it is possible to compose STEAM activity contained high integrate level and the various components of STEAM. 21세기 인류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복합적인 사회 문제 속에서 살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학 기술 분야의 지식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문제 해결력, 의사결정 능력, 인문예술학적 소양 등이 통합된 능력을 기르는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 Mathematics) 교육이 필수적이다. STEAM을 포함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중학교 과학 교과서는 2013년을 시점으로 하여 중학교 1학년부터 순차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2013년부터 적용된 중학교 교과서에 STEAM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과서에 STEAM 활동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으며, 어떠한 형태와 내용으로 반영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과학①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9종 중에 많이 사용되는 5종을 선정하였으며,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STEAM 활동 중 STEAM 구성요소 2개 이상 포함된 것을 분석대상으로 선별하여 형태 분석과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형태 분석은 STEAM 활동을 STEAM 활동 형태 분석틀을 이용하여 10가지 형태로 분류하였다. 내용 분석은 Yakman의 분류틀을 이용하여 STEAM 활동에 포함된 STEAM 구성요소를 분석하였고, Fogarty의 교과 간 통합유형 5가지를 이용하여 STEAM 구성요소들 간의 통합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내 포함된 STEAM 활동 개수를 파악해본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전체 STEAM 활동은 비상 교과서가 146개로 가장 많았고, 금성 교과서가 12개로 가장 적었다. 그리고 STEAM 구성요소가 2개 이상 포함된 STEAM 활동은 비상 교과서가 70개로 가장 많고, 금성 교과서가 9개로 가장 적었다. 이를 통해 교과서에 제시된 STEAM 활동이 모두 적합한 STEAM 활동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과서 별, 교과서 단원 별로 포함된 STEAM 활동 형태는 STEAM 활동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교과서 별로 미래엔, 천재, 금성 교과서는 읽어보기(R) 형태가, 비상 교과서는 표현하기(E), 두산 교과서는 창의적 설계하기(C)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러나 토의/토론하기(D), 영상매체제작하기(M), 탐방 및 체험하기(VE), 변인 조작하기(H) 형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교과서 단원 별로 비교해 보면, 미래엔 교과서를 제외하면Ⅰ단원은 STEAM 활동 형태가 가장 적게 포함되어 있었고, 대부분 Ⅲ, Ⅳ단원에서 많은 STEAM 활동 형태를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 STEAM 구성요소는 모든 교과서에서 STEAM 구성요소 2개가 연계된 것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과학(S)과 예술(A)의 조합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STEAM 구성요소가 4개나 5개로 연계된 활동은 많이 나타나지는 않았다. STEAM 구성요소에 포함된 내용을 보면, 대부분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를 이용한 활동이 많이 있었다. 특히, 기술이 강조된 STEAM 활동은 첨단 과학 기술이나 최신 과학 동향을 반영한 내용들이었다. 또한 공학이 강조된 STEAM 활동은 창의적 설계하기 활동을 포함하고 있었다. 넷째, STEAM 활동의 Fogarty 통합유형은 연계형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은 병렬형, 거미줄형, 공유형, 통합형 순으로 나타났다. 통합 정도가 가장 높은 통합형은 가장 적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중학교 과학① 교과서의 STEAM 활동은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고 융합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적절한 STEAM 활동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교과서에 포함되지 않은 STEAM 활동 형태로 토의/토론하기(D), 영상매체제작하기(M), 탐방 및 체험하기(VE), 변인 조작하기(H) 형태는 교과서에서 비교적 많이 이용하고 있는 읽어보기(R) 형태와 함께 제시하면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의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실생활 소재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높임과 동시에 과학과 다른 영역과의 연계가 이루어진 활동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융합적 사고를 높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통합형보다는 비교적 수업을 구성하기 쉬운 거미줄형으로 STEAM 활동을 구성한다면, 통합 정도도 높고 다양한 STEAM 구성요소도 포함한 활동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사멸세포의 대식작용에서 Stabilin-2와 인테그린 αvβ5와의 상호결합에 관한 연구

        홍민아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Exposed phosphatidylserine(PS) is well known “eat-me” signal of apoptotic cells. Recognition of PS occurs by directly via PS receptors or indirectly via integrin through opsonizing proteins such as Milk fat globule-EGF factor 8(MEGF8). Although various PS recognizing proteins are concomitant to engulf apoptotic cells, there is few direct evidence of cross-talk among those receptors. Stabillin-2 directly recognizes PS on the apoptotic cells and mediates phagocytosis of aged RBCs and apoptotic cells. The ectodomain of stabilin-2 consists of 4 EMI domains, 4 EGF-Like repeats, and 7 fasciline domains. EGF-like repeats are responsible for specific interaction with PS. Fasciline domain was reported to interact with integrin αvβ3 and αvβ5 to regulate cell adhesion (J leucocyte, jmy). Here, we tested whether integrin is involved in stabilin-2 mediated phagocytosis through interaction with fasciline domain of stabilin-2. Our results indicate that Stabilin-2 cell lines (Stab-2/L) expressed αvβ5 but not αvβ3 comparing to mock-cells. αvβ5 antibody specifically inhibits phagocytosis but not αvβ3 nor IgG control. Moreover, preincubation of purified fasciline domain also inhibit phagocytosis in dose dependent way, which suggest that αvβ5 and the fasciline domains play roles in the stabilin-2 mediated phagocytosis. Our in vitro binding assay showed that the fasciline domains bind directly to αvβ5 in similar fashion. Next, In vivo interaction between αvβ5 and stabilin-2 and crosstalk of these receptor signaling were tested. Stabililn-2 was immunoprecipitated using anti-myc antibody and co-precipitation of integrin beta5 was assessed by immunoblotting. Beta 5 was co-precipitated with myc-tagged stabilin-2 but not with control IgG-conjugated bead. So we suggested αvβ5 pays role in stabillin-2 mediated phagocytosis via direct interaction with fasciline domains of stabilin-2.

      • 악기 구음을 활용한 시나위 감상 지도 방안

        홍민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student experience of the creative improvisation of Sinawi and appreciation of the musical beauty of melodies –and there in also lies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Accordingl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inawi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using the oral sound of instruments is suggested. The study also seeks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potential for educational use of oral sound and Sinawi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n analysis of textbooks regarding Sinawi appreci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nts and method of Sinawi appreciation teaching. Furthermore, after analyzing preceding studies related to oral sound and Sinawi, a method for teaching the appreciation of Sinawi and a learning method are proposed based on the 4 stages of ‘understanding, experience, communication, and creation’. In addition, the suggested teaching method is related to the ideas of singing and creation as put forwar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is not solely confined to sphere of appreci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s that in order to teach Korean music in a manner that is best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oral sound should be utilized. In particular, the natural and long established notion that has been conventionally applied to Korean music teaching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the ‘singing’ function of oral sound in the teaching appreciation of Sinawi is recommended. Learning spontaneous melodies in relation to Sinawi by experience through oral sound facilitates appreciation of Sinawi, which is an instrumental music. Regard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ince it focuses on a proactive and systematic appreciation method of Sinawi using the oral sound of instrument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learn various musical expressions of oral sound education and experience the creativity of the oral sound and improvisation of Sinawi through the association of different educational elements.

      • 생물학적 소야의 함양을 위한 BSCS 통합권고안을 통한 2007년 개정 교육과정 분석 : 고등학교 생명과학을 중심으로

        홍민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대한민국 현 교육과정은 여러 가지 사회ㆍ문화적 환경의 변화와 학문적 발달 등으로 교육계와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인 ‘학습 분량의 적정화’와 ‘생명과학Ⅰ의 과목성격인 생물학적 소양(생명과학에 대한 기초 소양)’에 맞게 개정 되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연구자는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을 위한 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Study(BSCS) 통합권고안(1995)을 바탕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의 하나인 ‘학습 분량의 적정화’에 있어서 개념의 삭제·이동으로 중요도가 낮은 내용, 지나치게 어려운 내용 그리고 중복된 개념의 감축으로 일정정도 학습 분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왔으나 과목별 개념수를 비교한 결과 생물학적 소양에 중요한 과목인 생명과학Ⅰ의 개념 증가로 학습 분량의 적정화라는 목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개정방향의 다른 하나인 ‘생물학적 소양의 함양’은 필수 개념의 추가·이동으로 각 과목의 성격에 맞게 개정 된 것으로 보였으나 BSCS 통합권고안의 영역별, 과목별로 개념수를 비교한 결과 과목 성격에 맞게 개정되었다고 보기에는 미흡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한민국 교육과정에서 ‘생물학적 소양’에 대한 명확한 입장 표명이 없는 실정에 BSCS 통합권고안과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을 평가하였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이것은 명목적인 용여였던 생물학적 소양이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그러므로 생명과학 교육의 목표로 설정되어있는 생물학적 소양(생명과학에 대한 기초 소양)을 위해 교과서와 교수 자료 개발, 그리고 다음의 교육과정 개발에 구체적인 지침 및 권고안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as announced as the necessity of revising education process has been recognized in educational circles and schools because of all kinds of changes in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scientific development and so on. This study, in turn, wa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if the revision was made according to learning quantity rationalization which is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policy and the biological literacy(literacy for life science) which is the character of the subject, life science I.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s this, we analyze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based on biological science curriculum study(BSCS) integrated recommendations for fostering biological literacy. As a result, in terms of learning quantity relevance which is the 2007 curriculum revision policy, the learning quantity decreased to some degree as contents unimportant, too difficult and duplicate decreased according to deletion and removal of concep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umber of concepts per subject, on the other hand, the purpose of learning quantity relevance was not reflected because concepts of life science I increased which is an important subject for biological literacy. Also, in terms of characters of subjects, it appeared that characters of subjects were revised according to addition and removal of essential concept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number of concepts per field and subject based on BSCS' Guide, on the other hand, it was insufficient to consider that it was revised fit for characters of subjects. In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o evaluate education curriculum by doing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BSCS's Guide and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hen there is not a clear expression of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iological literacy' in Korean education process. Also, we hope this will be important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 curriculum with relation to the biological literacy which used to be in name only.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text books and teaching materials for fostering to the biological literacy(literacy for life science) and prepare specific guide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next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 우리나라 정부 및 민간주도형 푸드뱅크(Food Bank)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전략 모색

        홍민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우리나라 푸드뱅크 사업이 정착되기 위한 과도기적인 시점에서 효율적인 푸드뱅크 사업 수행을 위하여 정부주도형 푸드뱅크와 민간주도형 푸드뱅크의 실태를 조사하고, 운영자·기탁자·이용자 측면에서 현황을 파악하여 푸드뱅크 사업의 현행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정부주도형 푸드뱅크와 민간주도형 푸드뱅크 각각의 관점에서 푸드뱅크 사업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우리나라 푸드뱅크 사업의 전반적인 발전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푸드뱅크 사업의 실태와 운영현황 조사를 위하여 전국 지역별 분포에 따라 비례 층화 추출법에 의해 정부주도형 푸드뱅크(푸드뱅크 1377)와 민간주도형 푸드뱅크(먹거리나누기운동협의회) 사업을 운영하고 있는 120곳을 무작위 추출(random sampling)하고 각 운영자에 속한 기탁자 3명, 이용자 3명을 선정하여 총 운영자 120곳, 기탁자 360명, 이용자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회수된 설문지 운영자 85곳, 기탁자 171명, 이용자 205명의 응답을 분석하였고 푸드뱅크 운영관리 속성에 대해서 중요도·수행도 분석(IPA)을 수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푸드뱅크 사업 활성화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SWOT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푸드뱅크 사업은 정부주도형 푸드뱅크와 민간주도형 푸드뱅크 사업으로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었으며, 식품위생 사고 발생에 대한 제도적 장치의 미비로 기탁자와 이용자에 대한 법적 보호가 이루어지지 않아 푸드뱅크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양적 성장에 주력하여 시설·설비·전담 인력이 부족한 상태로 운영되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조직(organization), 재정(finance), 법적·제도적(legal), 안정성(safety), 인력자원(Human resource), 홍보활동을 통한 사회·문화적 합의(public relation), 정보망 구축(network), 이용자(user)의 8가지 측면에서 푸드뱅크 사업의 발전전략을 모색하였으며, 세부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자 측면에서 설문결과 푸드뱅크의 운영관리 속성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IPA) 결과,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아 중점 관리되어야 할 운영관리 속성으로는 '운영비 지원', '푸드뱅크 전담인력 배치'로 파악되었다. 둘째, 인력관리 실태는 푸드뱅크 전담직원의 수는 정부주도형 푸드뱅크는 평균 0.29명, 민간주도형 푸드뱅크는 평균 0.30명, 겸직은 각각 평균 0.96명, 0.83명으로 겸직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설 및 보유장비 현황은 기탁품 중 냉장필요량이 51.6%로 냉장 장치의 구축의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냉장·냉동장비(냉동탑차)의 보유율이 정부주도형 푸드뱅크는 45.0%, 민간주도형 푸드뱅크는 60%로 저조하였다. 넷째, 기탁관리에 대해서는 운영자가 직접 기탁처로 기탁품을 받으러 가는 형태가 96.3%로 가장 많았으며, 분배 기준은 '이용자의 특성 파악 후 필요한 물품을 선별적으로하는 분배' 63.8%, '국민기초수급 관리자 중심으로 분배' 53.8%로 사회 취약계층에게 주로 분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탁자의 유형은 정부주도형 푸드뱅크와 민간주도형 푸드뱅크 모두 제과·제빵업체가 각각 31.4%, 45.3%로 가장 많았다. 여섯째, 기탁품은 주로 '판매재고 상품'(57.6%)이었으며, 기탁빈도는 '매일기탁'이 정부주도형 푸드뱅크 27.1%, 민간주도형 푸드뱅크 22.6%로서 가장 많았다. 일곱째, 기탁 가능하지만 기탁하지 않는 식품이 있다는 응답이 28.7%였고, 기탁하지 않는 식품의 종류는 '유통기한이 촉박한 식품'(67.3%)이 가장 많았으며, 기탁 가능하지만 기탁하지 않는 이유는 '식품사고 시 법적 보호가 없기 때문' 54.5%, '식품사고 시 이미지 손상 우려' 52.3%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푸드뱅크 이용자는 국민기초생활수급자가 56.6%로 저소득 노인의 이용율이 높았으며, 지원 형태는 '조리된 음식이 집으로 배달'되는 방식이 민간주도형 푸드뱅크의 경우 42.7%로 가장 높았으며, '조리된 음식을 받아 가는' 형태는 정부주도형 푸드뱅크의 경우 26.8%로 조사되어 두 주체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1). 이용자들이 지원 받는 식품은 '조리된 음식'이 50.0%이며, 향후 바라는 식품도 '조리된 음식'이 51.1%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아홉째, 이용자들의 푸드뱅크 이용시 혜택으로는 '식비지출 감소'가 55.6%로 가장 컸으며, '배고픔 감소' 16.6%의 순이었다. 우리나라 푸드뱅크에 대한 현황 조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들을 개선하여 한국형 푸드뱅크로 정착시키기 위하여 각 주체에 대한 SWOT 분석으로 도출된 강점(Strengths), 약점(Weaknesses),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요인을 근거로 Mini-Maxi 전략, Maxi-Mini 전략, Maxi-Mini 전략, Mini-Mini 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조직, 재정, 법적·제도적, 안정성, 인력자원, 홍보활동을 통한 사회·문화적 합의, 정보망 구축, 이용자의 8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푸드뱅크 사업의 발전전략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 푸드뱅크는 정부주도형 푸드뱅크와 민간주도형 푸드뱅크 사업이 서로에게 위협요인이 아닌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동반자적 협조체제를 구축하고, 동시에 정부의 푸드뱅크 관련 법률 제정과 운영비 지원을 통한 제반적인 운영여건이 구비되면 푸드뱅크 사업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 examine the overall operating conditions of both government-dominant and non-governmental food bank programs and (b) provide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food bank program in Korea.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parties; operators, donators, and users. The random samples of 120 food bank operators were selected by proportionate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and from each food bank, 3 donators and 3 users were also selected. A total of 85 operators, 171 donators, and 205 us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Promoting strategies were developed through SWOT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operation management, 'assistance for operating funds' and 'deployment of experience staff' were placed at "Focus Here". 2. There was a great shortage of experienced staff with food bank-specific knowledge. The average number of the government-dominant and non-governmental food bank program employees was 0.29 and 0.30 respectively, while the ratio of employees with other jobs were 0.96 and 0.83 respectively. 3. Shortage of refrigeration facilities were an area that needs to be addressed. While 51.6% of donated food required cold storage, only 45% of government-dominant and 60% of non-governmental food bank programs had refrigeration facilities. 4. Most of food bank operators(96.3%) were required to visit the donators' locations to pick up the donated foods. And the foods were distributed to the people in need, specially to the livelihood protectee. 5. The largest donators to either government-dominant or non-governmental food bank programs were bakery and confectionery companies: 31.4% and 45.3% respectively. 6. The majority of donated foods were 'goods in stock'(57.6%), and frequency of donation were largely on a daily basis(27.1% for government-dominant and 22.6% for non-governmental). 7. Some of the donators(28.7%) who had more donatable food did not donate, and the reasons were closeness to expiration date of food(67.3%), lack of leg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food poisoning(54.5%), and poor public image of food related accidents(52.3%). 8. Food bank users were mostly livelihood protectee(56.6%). The survey also showed that non-governmental food banks delivered the food directly to the 42.7% of users, meanwhile the users of government-dominant ones went to the food bank to receive the foods. 9. Saving food expenses(55.6%) and overcoming hunger(16.6%) were found as the benefits of the users. A SWOT analysis was to develop promoting strategies in eight specific perspectives: organization, finance, legal, safety, human resource, public relations, network and user. In conclusion, better coordination between the governmental and non-governmental food bank programs were needed. Moreover, government's regulatory, financial and operational support to the food bank program were also in need.

      •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에서 관찰된 왼쪽자리 효과

        홍민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 사회에서 발견된 특징 중 하나는 많은 기업들이 브랜드파워 구축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브랜드명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사실이다. 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업들은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고, 신제품의 성공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기발한(fanciful)한 브랜드명을 통해 소비자들을 공략하려는 전략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기발한 브랜드명의 분명한 원천은 알파뉴메릭 브랜드명 (alphanumeric brand name)이 될 수 있으며 많은 기업들이 제품을 확장할 때 또는 제품계열 안에서 특정 제품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브랜드명에 숫자들을 차례대로 사용하기도 한다. 다양한 이유로 인해 기업들의 알파뉴메릭 브랜드명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알파뉴메릭 브랜드명과 관련된 연구가 최근 들어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여전히 알파뉴메릭 브랜드명과 관련된 구체적인 연구는 국내외를 포함해 미흡하게 이루어져왔다. 효과적인 브랜드명은 치열한 마케팅 경쟁에서 우위확보를 가능케 하기 때문에 브랜드명중에서도 특히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가격인지(price cognition)의 대표적인 연구 중 하나인 왼쪽자리 효과(left-digit effect)의 영향력을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이러한 차이가 속성제시여부 및 제품에 대한 전문적 지시 보유여부에 따라 조절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두 실험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에서 왼쪽자리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증명되었다. 두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의 맨 왼쪽 자리 숫자가 다를 때, 더 높은 숫자를 포함한 브랜드명에 대한 최대지불용의액은 더 낮은 숫자를 포함한 브랜드명에 대한 최대지불용의액 보다 크지만 맨 왼쪽 자리 숫자가 같을 때 이러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두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의 왼쪽 자리 숫자가 다를 때, 더 높은 숫자를 포함한 브랜드명을 선택할 확률은 왼쪽 자리 숫자가 같을 때, 더 높은 숫자를 포함한 브랜드명을 선택할 확률 보다 크다는 것을 밝혀냈다. 둘째,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의 왼쪽자리효과는 속성제시 여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제품관련 속성 정보가 제시되지 않을 경우,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의 왼쪽자리 효과는 나타났지만 속성 정보가 제시되는 경우, 왼쪽자리효과는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의 왼쪽자리 효과는 제품에 대한 전문적 지식보유 여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보유한 소비자들에게는 알파뉴메릭 브랜드명의 왼쪽자리 효과가 나타났지만 제품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소비자들에게서는 브랜드명의 왼쪽자리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격인지관련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된 왼쪽자리 효과가 전혀 다른 영역인 브랜드명에서도 관찰될 수 있는 효과라는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the higher, the better” 휴리스틱이 기능적(technical)제품뿐만 아니라 비기능적(nontechnical)제품에서도 관찰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의 입장에선 추가적인 이윤을 만들고 싶은 제품의 브랜드명을 왼쪽자리 효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만듦으로써 제품에 추가적인 이윤을 붙일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한다. 다만, 소비자에게 두 제품에 대한 속성을 자세히 제공하지 않을 경우 그리고 제품에 대한 전문적 지식이 없는 소비자들 대비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더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전략임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