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봉산탈춤을 활용한 온라인 예술교육 콘텐츠 설계 : 유튜브 콘텐츠를 중심으로

        홍도은 국민대학교 종합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유튜브 동영상 플랫폼을 통해서 전통문화예술교육의 온라인 강의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2020년 현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로 우리나라 교육계에서 비대면 강의인 온라인 교육이 쟁점이 되고 있다.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온라인 매체를 이용한 예술교육 콘텐츠가 생성되어 활성화된다면 미래의 예술교육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온라인 예술교육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체 활동이자 유희적·놀이적 성향을 띄는 봉산탈춤의 기본동작을 교육 자료로 선정하고 학습자가 자신의 의도에 의해 학습상황에 주도적으로 개입하게 되는 적극적 상호작용의 유도를 돕는(피수영, 이명숙, 2016) 콘텐츠 활용중심의 교육 특성을 반영한 온라인 교육콘텐츠로 인해 새로운 예술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예술교육의 보편화 및 활성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 유튜브 동영상 플랫폼을 기반으로 봉산탈춤의 기본동작을 활용한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예술과 온라인 매체의 융·복합적 사례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교육을 제공한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현시대에 급변하고 있는 온라인 교육에 다양한 콘텐츠와 새로운 교수학습법 교육 매체를 활용한 온라인 예술교육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봉산탈춤의 기본동작을 다루면서 유희와 춤, 국악, 전통문화를 동시에 아우르며 새로운 교육 매체인 동영상 콘텐츠와 연계한 체험적 전통예술 교육콘텐츠의 개발을 다루고 있다. 유튜브를 활용한 온라인 교육콘텐츠 <탈춤 꽃이 피었습니다>를 통해서 학교에서 학생들의 문화생활 및 행사 활동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예술교육의 대중화와 보편화를 위한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본 연구의 방향성이 향후 다양한 측면에서의 타당성 검증과 여러 예술 과목과의 융합에 관한 연구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This research is appreciated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online lectures on traditional culture and art education through YouTube video platforms. As of 2020, online education, which is a virtual lecture,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Korean education since the wake of the Coronavirus infection-19. Th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online art education content was carried out, considering that if art education content is generated and activated using online media without time and spatial constraints, it will be of significant tool to the future art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new art education can be explored, and the generalization and revitalization of the art education can be expected with online educational contents reflecting educational characteristics which focused on the usage of contents, by selecting the basic movement of Bongsan Dalchum, which is cooperative activity and has a playful tendency, as an educational material, and helping learners to lead the active interaction in the learning situation according to their own intentions (Pi Sooyeong, Lee Myung-sook, 2016). Based on the YouTube video platform, an educational model utilizing the fundamental movement of Bongsan Tartum is developed, and the education of awareness and understanding regarding the combination of art and online media is provided. Based on this research, I hope that further research on online art education with new teaching methods and utilizing various contents will be conducted in depth. This research addresses th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traditional art education contents in cooperation with video contents, which are new educational media, by simultaneously drawing games, dances, national music and traditional culture. It is expected that the online educational content “Tartumai (Kamemai) has bloomed” will be used as a useful material for the cultural life and event activities of students at school and as well as generalization and ubiquity of art education. It is anticipated that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become a study on the integration of various art subjects and validity in various asp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