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전지(剪紙)예술의 영향에 따른 현대 도자 응용 및 표현 연구

        호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중국은 다양한 예술형식을 갖고 있으며 그중 민간 전지예술은 문화 예술에 양분을 주는 근본이자 모체로 여겨지면서 현재까지 이어져 왔다. 전통 도자예술은 전지예술을 이용함에 있어서 원래 가지고 있던 예술 요소들을 재창작하는 것을 통해 기존의 전형적인 형식에서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게 되었다. 독창적 사고에 속하는 비유, 해음(谐音)등 알레고리를 운용해 작품 창작의 표준이 되는 다른 전형적인 형식을 형성했고, 새로운 형상과 창작방식을 찾아냈다. 전지예술은 창조와 심미 제일의 근본을 담고 있다. 이는 사회 문화와도 긴밀한 전통 문화형식으로서 도예의 융합과 변화를 거쳐 도예의 표현과 응용에도 다원화가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지예술의 영향으로 도자예술이 현대까지 이어진 표현기법의 배경 및 현대도자의 응용과 표현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전지예술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예술적, 상징적 및 문화적 의미 등 특징적 요소를 이론적으로 정리하였다. 제3장에서는 전지예술이 도자에 미친 영향을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도자문화 내포를 승화하는 중요한 자원의 시각에서, 두 번째 부분에서는 도자 창작의 기법을 풍부히 하는 주요 방식의 시각에서, 세 번째 부분에서는 도자의 창의적인 사고를 계발하는 중요한 수단의 시각에서 분석했다. 제4장에서는 전통의 전지예술에 대한 응용가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상징적인 표현형식과 문화적 내용, 도자예술의 조형요소 및 색채요소등이 융합된 특유의 본질적인 특징을 정리하였다. 제5장에서는 현대도예작품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도자 생산지역 3곳인 경덕진, 북방의 자주요계열, 남방의 길주요계열로 선정하였다. 각 지역에서 두 명의 전지예술 기반의 작품을 만드는 도예작가 6인을 선정하여 전지예술과 현대도자예술의 응용과 표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들의 작품은 모두 선명한 전지예술 풍격의 경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지역적 환경, 문화적 배경, 취미, 심미적 가치의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작품에서 보여진 전지예술 풍격도 각기 표현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제6장에서는 연구자의 전지예술의 표현을 응용한 현대도자예술의 연구작품으로서 전통적인 전지예술의 표현 형식이 현대적 감각의 조형과 색채로 완성된 현대 도자작품을 소개했다. 본 연구를 통해 전지예술이 현대 도자예술의 표현과 응용에는 문화 포용성, 전승과 발전에 힘을 실어주었으며, 현대인이 도자에 대한 심미 요구에 어울린 형식과 의식이 내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중화민족 전통의 전지예술과의 융합은 현대 도자예술의 다양성과 정체성을 추구함과 문화예술의 재창조로서 미래지향적 다원화가 될 수 있으며, 현대 도자예술의 표현 영역에서 응용과 표현의 콘텐츠로서 확장의 가능성이 무한함을 확인하였다.

      • 한국어와 중국어 지시어에 관한 대조 연구 : 한국어 '이, 그, 저' 와 중국어 '這, 那' 중심으로

        호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지 지시어는 표면적으로 보기에 간단한 것 같으면서도 복잡하고 번거롭다. 특히 한국어 지시어와 중국어 지시어의 체계와 기능의 사용상 차이에 있어서 중국인 학습자나 한국인 학습자들이 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이런 차이점을 밝힐 필요가 있다. 먼저 한국어 '이, 그, 저' 의 삼원 체계와 중국어 '这,那‘ 의 이원 체계를 대조하여 설명하고 한국어 지시어 '이, 그, 저' 기능과 중국어 지시어 '这,那‘의 기능을 총체적으로 소개하기로 한다. 본 연구에서 주로 지시어의 사용 양상, 즉 현장 지시, 조응 지시, 상념 지시 3 가지 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어와 중국어를 대조하여 분석하였다. 그 다음에 한국어 지시어와 중국어 지시어의 담화표지에 관한 대조연구를 살펴보았다. 기능에서 보면 한국어 지시어 '이, 그, 저' 와 중국어 지시어 '这,那‘ 의 용법은 차이가 많이 있다. 현장 지시를 보면 화자가 가까이 있으면, 한국어에서는 화자가 '이', 청자가 '그'를 쓰고 중국어에서는 화자가 ' 这'를 사용하며, 청자도 '这'를 사용한다. 청자가 가까이 있으면, 한국어와 중국어 지시어의 용법과 같다. 조응기능을 보면 한국어에서는 '그'가 쓰이며 중국어에서는 '그'와 반대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这'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해 예시를 통하여 설명하였다.

      • 중국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 매개효과와 전공만족도 조절효과

        호결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self-leadership on learning engagemen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engagement, considering the regulating effect of professional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engagement. The pre-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16th, 2021 to January 20th, 2021 among 583 four-year normal school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in Sichuan Province, China, using the “Questionnaire Star” website.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e-surve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 24 program; validation of measurement tools was ver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tested by Cronbach’s α. The questions that failed the test were removed and then the formal survey started. The formal survey started between February 5th, 2021 and February 25th, 2021, which was still conducted online and lasted about 3 weeks among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Sichuan Province, China. At the end of the survey, a total of 2276 samples were collected, and 1745 valid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Through the AMOS24 program, the data collected from the formal survey were used to analyze the measured model.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nes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academic engagement were both at moderate to low level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leadership were at moderate levels. The lower variab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were ranked from highest to lowest in terms of perceived self-emotion, emotion regulation, emotion use, and perceived others’ emotions, and the lower variables of self-leadership were ranked in terms of focused behavior-centered strategy, natural reward strategy, and constructive thinking strategy; the lower variables of learning engagement were ranked in terms of student-teacher interaction, academic challenge, and peer learning.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self-leadershi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place of origin, whether or not they are student leaders, and whether or not their major was their first choi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engage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major, place of origin, whether or not to be a student leader, and whether or not to be the first choice of major;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de, whether or not to be a student leader, and whether or not to be the first choice of major. Third, bo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d learning engagement, and self-leadership also positively influenc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 terms of influence, self-leadership had a greater impact on learning engagement than on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intelligence was a complementary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engage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engagement.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needed to strengthen the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promote college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Meanwhile, it was also important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engagement by improving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In conclusion, the factors that influenced college students’ learning engagement were a complex system and need to be continued in the future. key words: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Major Satisfaction, Learning Engagement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습몰입 향상 방법을 찾기 위하여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및 전공만족도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중국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전공만족도, 학습몰입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중국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전공만족도, 학습몰입은 개인적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국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로 설정하였다. 예비조사는 2021년 1월 16일부터 2021년 1월 20일까지 중국 쓰촨성에 있는 2개 대학을 선정하여 "Questionnaire Star" 웹사이트를 통해 4년제 대학 대학생 58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후 SPSS 24.0 프로그램으로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Cronbach's α를 측정해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테스트에 실패한 문항은 삭제하였다. 본조사는 2021년 2월 5일부터 2021년 2월 25일까지 온라인 조사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조사는 쓰촨성 내 15개 4년제 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약 3주간 진행되었으며, 총 2,276개의 샘플을 회수하여 최종적으로 1,745개의 유효한 설문지를 확보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 도구는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전공만족도 및 학습몰입 4가지 변수이며, 분석에 사용된 방법은 평균, T 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 회귀분석 및 공분산 구조 분석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전공만족도, 학습몰입의 일반적인 경향성을 살펴보면 셀프리더십 전체평균은 3.5로 대체로 중간 수준이었다. 중국대학생의 셀프리더십 하위변인의 순위는 행동중심적 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이었다. 정서지능의 전체평균은 3.596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정서지능의 하위변수의 순위는 자기정서인식, 정서조절, 정서활용, 타인정서이해였다. 전공만족도의 전체평균은 3.48로 중하위 수준이었다. 학습몰입의 전체평균 점수는 2.57로 중하위 수준이었다. 학습몰입의 종속변수 순위는 교수와의 경험, 학습적 도전, 교우와 학습이다. 둘째,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전공만족도, 학습몰입의 대학생 개인 배경변인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셀프리더십은 성별, 출신지, 학생 간부 경험 유무, 제1지망 전공 진학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도시 출신은 농촌 출신보다, 학생 간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제1지망 전공에 진학한 학생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셀프리더십이 높았다. 그러나 학년별, 전공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정서지능은 성별, 전공, 출신지, 학생 간부 경험 유무와 제1지망 전공 진학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의 정서지능은 여학생보다 높고, 비사범 인문계열과 비사범 이공계열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사범 인문계열 대학생보다 높았다. 도시 출신 대학생의 정서지능은 농촌 출신 대학생보다 높으며, 학생 간부를 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높으며, 제1지망 전공에 진학한 대학생은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정서지능이 높았다. 그러나 학년별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전공만족도는 학년별, 학생 간부경험 유무, 제1지망 전공 재학 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학년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3학년, 4학년 대학생보다 높았고, 학생 간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높았으며, 제1지망 전공에 진학한 대학생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전공만족도가 높았다. 한편 전공만족도는 성별, 전공별, 출신지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습몰입은 성별, 전공, 학생 출처, 학생 간부 경험 유무 및 제1지망 전공 재학 여부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비사범 인문계열이 사범 인문계열 대학생보다, 도시 출신 대학생이 농촌 출신 대학생보다 학습몰입이 높았다. 학생 간부 경험이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제1지망 전공에 진학한 대학생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학습몰입이 높았다. 그러나 학년에 따른 학습몰입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셋째,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전공만족도와 학습몰입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전공만족도 및 학습몰입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엇다.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의 상관계수는 0.51, 정서지능과 학습몰입의 상관계수는 0.44, 전공만족도와 학습몰입의 상관계수는 17, 셀프리더십과 전공만족도의 상관계수는 .28이었다.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 정서지능과 학습몰입 다중회귀에서 셀프리더십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고(β=.30), 셀프리더십은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쳤으며(β=.80) 정서지능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쳤다(β=.17).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전공만족도 및 학습몰입에 포함된 공분산 구조 분석은 측정된 데이터와 일치하였으며 4가지 잠재변수 간의 인과관계는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중국 대학생의 학습몰입은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전공만족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중국 대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전공만족도의 평균은 비슷하게 중간 수준인 반면 학습몰입은 중간보다 낮은 수준이였다. 둘째, 대학생의 개인배경 중에서 특정 공통적인 요소로서 남학생, 도시 출신 대학생, 학생 간부 경험이 있으며 제1지망 전공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학습몰입이 모두 높은 수준이었으며 여학생, 농촌 출신, 학생 간부 및 제1지망 전공에 진학하지 않은 학생들의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학습몰입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개인배경의 또 다른 특징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전공만족도는 오히려 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대학생의 학습몰입을 위해서는 셀프리더십, 전공만족도, 정서지능이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 전공만족도는 학습몰입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우선 전공만족도는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면서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의 관계를 강화시킨다. 정서지능은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에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하면서 셀프리더십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더 높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적인 측면과 개별대학 측면에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적인 차원에서, 국가는 최상위 설계부터 시작하여 교육과정 설계, 교수이념, 학습방법, 입학 예비교육 등의 각 단계를 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는 학생들의 대학입시 맹목성을 피할 수 있는 동시에 대학입시 전공과목에 대한 정체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 함양을 대학의 인재육성방안에 포함해야 한다. 중국의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 교육은 타 국가에 비해 비교적 시작이 늦다. 따라서 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현지화된 셀프리더십과 정서지능 교육의 교육과정과 방법을 개발하고 탐구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서조절의 힘을 셀프리더십 이론에 활용해야 한다. 기존의 셀프리더십의 함축적 정의와 측정에는 행동과 동기, 인지적 전략이 포함되었으나 정서조절에 관한 내용은 고려되지 않았다. 둘째, 개별대학 차원에서 고등교육기관은 교육과정의 대대적인 재설계가 필요하다. 대학의 교사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학습목표와 이상을 찾도록 지원하고, 교육과정에서의 창의성을 존중함으로써 개인 자질 향상을 촉진해야 한다. 학습몰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전공학습 환경을 만들기 위해 교사와 학생이 함께 노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생의 전공 학습 상황을 파악하고, 학생 중심의 합리적 전공 양성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향상시킴으로써 학습몰입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켜야 한다. 키워드: 중국 대학생, 셀프리더십, 정서지능, 전공만족도, 학습몰입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대상 설명적 글쓰기 교수방안 연구 : 장르 중심 접근법과 메타담화 분석을 바탕으로

        호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설명적 텍스트에서 메타담화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고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설명적 글쓰기의 장르적 특징을 잘 드러내려면 메타담화의 사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전제 아래 장르와 쓰기 교육에 관련된 연구 및 쓰기에서 메타담화 분석에 관련된 연구를 고찰하였다. 특히 현재 사용되는 메타담화라는 용어는 ‘Metadiscourse’ 를 번역한 용어이기 때문에 기존의 ‘표지어’ 의 차이점 및 메타담화의 기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Ⅱ장에서는 먼저 장르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외국어 쓰기 교육에 있어 장르는 ‘필자와 독자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분석할 수 있는 수단으로 보고, 이를 통해 목표언어인 독자의 요구 및 그들의 공유된 틀을 알 수 있다. 그 다음에 시드니 학파의 주요 장르 교수-학습 모형을 살펴보았다. 본고는 장르 중심 쓰기 교육에서 메타담화 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하고 한국어 쓰기 교육에 있어 메타담화의 교육적 의의를 찾기 위해 메타담화의 개념 및 특징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설명적 텍스트에 있는 메타담화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설명적 텍스트의 장르적 특징에 따라 주로 의사소통 목적, 정보의 구성, 및 독자와의 상호작용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미숙한 필자와 능숙한 필자들의 메타담화 사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앞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숙한 필자들에게 메타담화 교육의 필요성을 기술하고 교육 내용을 정리하였다. 특히, ‘설명적 텍스트의 장르 특징 이해’에 대한 수업 내용, 메타담화의 활용 단계에서의 연습 문제, 그리고 실제 텍스트를 생성한 후에 점검하는 질문을 제시하는 등의 실제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메타담화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교수 방안 및 예시를 보여주었다. 【주요어】장르 중심 쓰기 교육, 설명적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 메타담화, 텍스트 구조적 기능, 독자와 상호작용적 기능,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 도시 밀집주택 주거 풍경에 대한 회화적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호결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택은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결과이며 개인적, 사회적으로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다. 나라마다 도시마다 독특한 주택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 데, 그 스타일에는 도시의 정신과 문명, 사회·문화가 담겨져 있으며, 독 특한 민족 정신이 축적되어 있다. 단계별로 주택은 그 시대에 속하는 풍 모와 특징이 있다. 각 지역의 전통문화, 기후, 지리적 요건 등의 요소는 지역마다 건축문화를 차별화 시켰다. 주택을 그린 이유는 이곳이 각종 기하학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 양한 추상적 요소들이 형성되고 투시감이 뚜렷하며, 다른 시각에서의 건 축 변화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주택을 대상으로 한 창작은 도시 주택 의 표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볼 수 있는 사회 현상과 사람들 의 현재 생활상으로 본인의 내면 감정을 표현할 것이다. 본 논문은 본인의 2018년부터 현재 2021년까지의 작업을 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은 도시주택 건축물을 소재로 중 표현 방식, 가치 관념, 회화기법 등을 연구함으로써 자신의 창작 주제, 창작 형식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자신의 창작 방향을 긍정적으로 평가해 개인의 독특한 회화 기법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도시주택 건축물을 그린 회화장르에 대한 연구와 분석, 표현 형식을 통해 이러한 장르의 창작이 갖는 사회적 가치를 묘사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본인의 도시주택 회화작품 발전의 중요성과 표현성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 주로 문헌 연구와 선행 작가의 작품을 분석하였으며 각종 문헌과 인터넷, 전시회 등을 통해 장르와 관련된 도판과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본문과 관련된 예술가와 그 일부 작품에 대해 연구작품과의 연관성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본인의 관점을 논증할 것이다. Housing is an artificial result and an integral part of society. Each country has its own unique style of housing, which carries a city's spiritual civilization and social culture. He built up his own unique national spirit along the path of social formation. At different stages, houses have their own features and features The traditional culture, climate type, and geography of each region make the architectural culture different from region to region. Residential architecture is depicted because it contains various geometries, forms a variety of abstract elements, and has a clear perspective, so you can appreciate the changes in architecture at different times The creation of a housing theme is not limited to the appearance of urban housing, but also to the social phenomena and people's current state of life derive from it, thus expressing their feelings within themselves This paper deals with my 2018-2020 work.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tudy expressions, values and painting techniques in urban housing architecture, to provide ideas for selecting materials and forms for one's own creation, to affirm one's own direction, and to find individual's unique painting technique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describe the human and social values of urban housing architecture through the research and expression of urban housing architecture. The research method is mainly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the works of previous authors. It collects paintings and writings related to subjects through the Internet, books, and art exhibitions Through case study, the author discusses the related artists and some of their works in depth to demonstrate their views.

      • 世界化 過程에서 中國 民族映畵産業 發展 戰略에 관한 硏究 : 韓國映畵産業과의 比較를 中心으로

        호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세계화 과정에서 산업적인 측면으로 중국영화산업에서 나타난 산업 구조, 제도, 정부 정책의 변화 양상, 존재하는 문제점과 문화적인 측면으로 중국영화가 보여주는 변화와 대응전략을 논의하고 이를 근거하여 중국 민족영화산업의 발전전략을 어떻게 전개해야 하는지를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영화산업은 대표적인 문화산업으로서 한 나라의 민족정체성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파급효과와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이중성을 내포하고 있다. 영화산업의 세계화 대응전략은 영상산업으로서의 경제적인 이익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산업적인 전략과 문화산업으로서의 민족영화 정체성을 지키는 전략이 있는데 미국을 제외한 나머지 나라들은 영화산업이란 이중성을 지닌 것이며 정부의 정책과 관련된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세계화의 배경에서 시장개방과 체제개혁에 따라 중국영화산업의 대응전략을 어떻게 전개하고 있는가, 중국 민족영화산업의 발전전략을 어떻게 세워야 하는가를 주요 연구문제로 제기하고 이에 대해 주로 첫째, 산업과 정부 정책적 차원, 둘째, 문화적인 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에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산업적, 정부 정책적 차원에서 중국영화산업은 점점 원래의 계획경제체제에서 벗어나 시장경제체제로 전환하고 있으며 현대적인 영화산업 시스템 구축이 시작했다. 영화산업의 제작부문에서는 제편창의 구조조정이 이루졌고 제작자본의 다양화에 따라 제작수준이 제고되었다. 배급부문에서는 정부의 배급에 관한 개혁 정책의 실시와 새로운 배급 방식인 분장제(分帳制)의 실행에 따라 다양한 배급경로가 생겼고 선진한 배급라인이 구축되었다. 상영부문에서는 현대적인 멀티플러스 극장 건설, 새로운 상영방식인 원선제(院線制)의 도입 등 새롭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대외정책과 시장 개방에 따라 매년10부 외국 대작영화를 수입하기 시작하여 영화산업의 발전을 더욱 자극했다. 하지만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중국영화산업은 여전히 부족한 영화 공급량, 영화제작, 배급, 상영 부분의 모순 심화, 충분히 발굴되지 않은 시장잠재력, 국산영화가 직면한 보편적 신용위기 등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다. 문화적인 차원에서, 중국영화에서 주체적인 위치로 자리잡아왔던 주선율영화는 여전히 정부 각 방면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고 있지만 상업영화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기 시작하여 새로운 장르들도 계속 나타났으며 예술영화는 신민속영화, 사실주의영화, 제6세대 영화 등으로 세부적으로 분류하기 시작했다. 중국영화는 그동안 이데올로기 전략, 문화전략, 예술전략, 경제전략을 통해 세계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이러한 대응하는 양상에 비춰볼 때 중국영화산업의 발전전략에 대해 산업적, 정부 정책적 차원으로는 영화산업의 체제개혁, 영화 관리 체제 개혁, 영화제작 수준의 향상, 국제시장과 영화 후속시장의 개발 등을 거론할 수 있고 문화적인 차원에서 중국영화는 문화를 초월한 제작, 본토화 제작, 주변적 제작 세 가지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겠다. 세계화의 배경은 중국영화산업에게 많은 참고대상과 기회를 제공하면서 중국영화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 중국영화산업의 산업화 과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계획경제체제에서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에 따라, 특히 WTO 가입의 현실을 직면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는 영화산업의 산업화가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되고 한국처럼 문화적인 측면보다 산업적인 측면을 더욱 강조하는 것이 바람직한 발전전략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영화산업의 근본적인 관리 메카니즘과 정부의 정도 높은 개입이 개선하지 않으면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다. 산업적인 측면에 대한 강조는 문화적인 측면에 대한 무시를 뜻하는 것이 아니다. 중국영화는 앞에 제기한 세 가지 방향으로 발전하는 동시에 반드시 영화를 통해 민족문화의 평등성을 쟁취하고 세계를 향해 진실한 중화민족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해야 하며 민족적 자신감과 중국영화의 국제적 위치, 국제적 영향력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In the nation-states outsiade of USA, the term of 'film industry' is the one concerning the policies of governments and refers to a dual system, involved with not only national indentity, but also ecnomical effect and profits. According to this, strategies of a film industry to cope with globalization always inclode two contradicting parts, the one of protecting national identity, and the other of maximazing the encomical profits. In such context, this study aims at discussing the changes of industrial structures and institutions, the policies of government in Chinese film industry from industrial aspect, as well as the variance and strategies of Chinese film industry from cultural aspect during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thus finding what kind of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be taken in the future. It seeks to discuss these from two aspects- 'industrial, government policies' and 'cultural'. The findings are as bellow. At the aspect of 'industrial and government policies', Chinese film industry is transforming from planned ecnomic period into market-oriented period, constructing modern film industry system. In this process, the structures of film production factories have been regulated and the qualitiy of film production has been improved depending on the various investments; many distribution channels and new distribution lines have been constructured; modern multiplus therates and new methods of exhibition have also appeared; ten foreign blockbusters have been imported every year. Alough there have been so many acheivments reached, problems such as lack of film supply, deepper contradiction among production, distribution and exhibition, insufficiently explored latent potemtial of market, incredible attitude to domain production still can not be solved. At the aspect of cultural, the 'main ideological films' are still in major position and actively supported by Chienes government, but 'commercial film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than before; as far as 'art film', it turned to be classified by three new categories- 'neo-folk film', 'realism film' and 'the sixth generation's film'. The strategies coping with globalization of Chinese films can be approached from four sides: ideological, cultural, art and ecnomical. In current post-colonial position of China, ideological and cultural strategies have been adopted by 'neo-folk films' to conform the viewpoint of orientalism, and the anti-major-ideological strategies taken by 'the sixth generation's films' for appealing to European art film makers. Besides, they almost take narrative and skills diffrent from Hollywood films as art strategies and explore overseas markets by forgein investment or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as ecnomical strategies. The findings above bring us to the conlcusion that reforming the system of film industry and the film management machenism, improving the quality of production much more, exploring the overseas and other entertainment markets of film can be the develpoment strategies for Chinese film industry in the aspect of industrial and government policy. In the cultrual aspect, Chinese film should develop in three directions, exceeding-culture production, localizing production and side production. Nowadays industrialising film industry is the most significant subject for Chinese film indutry. For development of film industry, we should focus on industrial aspect rather than cultural one like what Korean has done, but it will not come into effect only if the level of government intervention be lowered. Focusing on industrial aspect does not mean that the cultural side can be neglected.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position of Chinese films, strive for the equality of national culture and create a real image of Chinese nation in the world.

      • 도예치료기법을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후제 원광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327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아동을 대상으로 도예치료기법을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자아존중감과 자기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2010년 3월 22일부터 7월 12일에 걸쳐 도예치료기법을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연구, 대상자 선정, 사전검사, 도예치료기법을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Z시에 위치한 H초등학교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3〜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아동이며, 여아 총 4명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도구로는 다음과 같은 검사지를 이용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Coopersmith, S(1967)의 연구를 참조하여 전미향(1997)이 연구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기표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Rubin, J. A(1984)가 제작한 주장 행동 척도를 성시순(2000)이 우리의 문화적 배경에 맞게 개발한 자기표현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대웅표본 T-검증 분석하여 통계 및 질적 분석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예치료기법을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총체적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변화를 주지 못하였지만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가정적 자아존중감과 학교내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도예치료기법을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정아동의 자기표현의 하위요인인 자기표현, 음성적 자기표현, 비언어적 자기표현력에 영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주요어 : 도예치료, 집단미술치료, 다문화가정 아동, 자아존중감, 자기표현력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using the technique of ceramic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self-expression of children in cross-cultural famili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2010 to July 12 in the order of the study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the technique of ceramic art therapy, subject selection, pre—test, the operation and application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the technique of ceramic art therapy, post-test, and data proc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ren in cross-cultural families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using H children school in Z city. They are composed of 4 children (4 girls). The following test sheet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Self-esteem scales, developed by Jeon Mi-Yeon(1997)on the basis of the research by Coopersmith, S(1967) was used to measure self esteem. Self expression rating scales, developed to be suitable for Korean cultural background by Sung See-Sun(2000) on the basis of assertive behavior scales made by Rubin, J. A(1984), were used to measure self expression. The collected data produce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12.0 program, and were analyzed through t-test, and then statistically an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using the technique of ceramic art therapy didn't make significant changes in the sub-elements of self esteem such esteem of children in cross-cultural improvement of general self esteem, as social self families, but it had effects on the self esteem in family, and self esteem in school. Second, group art therapy using the technique of ceramic art therapy had importa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general self expression and its sub-elements such as negative self expression and nonverbal self expression of children in cross-cultural families. Key Words : Ceramic Art Therapy, Group Art Therapy, Children of Cross-cultural Families, Self-Esteem, Self- Express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