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과적인 현대음악 감상수업을 위한 미술과의 통합적 수업방안 연구 : 고등학교 2학년 인상주의 음악과 회화를 중심으로

        현정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Art is an outcome of an integrative kind and according to each way of expression, a field of art presents its characteristics and signs. Music, for instance, expresses its beauty with the flow of melody, whereas the fine arts use their original colors and literature uses symbolic style of writing in a bid to express each field's characteristics. Also, such fields of art reflect a current, background and something that represents the times. This is why we should understand art in an integrative way, instead of understanding it separatel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and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pressionist music and art, in a bid to understand the impressionist music, which can be seen as the beginning of the modern music, that is, the music of the 20th century, in an easier and in a detailed way. In doing so,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relations among the characteristics and aimed to find an integrative teaching method that is proper in this regard. The seventh revision of the education course defines the goal of music education to be "helping the students to find and develop their musical potentials and creativity in order to make them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music, raising the quality of their lives, supporting them to have whole personality and having them understand, appreciate and enjoy music in a historic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 However, in current classrooms at schools, such a goal of music education is not very well realized, and furthermore, the contemporary music that is expressed in the 20th century music grammar, is all the more ignored. Such an imbalance in music education is a huge problem that we face now. Therefore, this researcher took interests in such an issue in order to improve the situation. To that end, this study presented a teaching plan for an effective contemporary music listening class in a way that integrates impressionist music and art. The teaching plan focused on the artworks like "The Prelude to the Afternoon of a Faun" by Debussy, the composer that represents the impressionist music and "Impression-Sunrise," "Les Coquelicots" and "Nympheas" by Monet, the impressionist painter. The result of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impressionist" music and art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an integrative manner in detail is as follows. More than anything, the impressionist painting cared the most about the color expression technique, in order to show the changes of light and the internal impression of a moment in the Nature, while the impressionist music used daring concord in order to express a new kind of composition of tones. Fine arts used the way of partition of colors and raised the purity of colors. Also, the art presented mysterious as well as subtle atmosphere, and the music used a pentatonic scale, whole tones and mood, in order to describe the atmosphere with the melody, whereas the paintings used hazy colors without clear outlines in order to present vague and fantastic atmosphere.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impressionism were expressed through the series composition method. In order to express how the Nature and objects look different by the different shades of light, the music gave relations among each chapter, took the instruments as the subject matters and composed in a series. Paintings, meanwhile, captured the moment and the scene where things change by the light, and described them in drawings in a series. Such characteristics prove that impressionist music and paintings have relations and correlations,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music and painting should be taught to students in an integrative manner. The teaching plan of this study would be of help for the students to effectively and easily study and understand the contemporary music in an integrative education method with other curriculum, which would motivate them and give new chances to perform music. Also, there is a need for teachers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and teaching ability for contemporary music, in order to open a wider scope of music education programs and diverse kind of study aids for the sake of high quality music education. Furthermore, the music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in an integrative educational method based on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of various cultures, in a bid to give high quality education to the students in a more comprehensive way. 예술은 하나의 통합적인 산물로써 각각의 표현방법에 따라 그 특징과 기호를 나타낸다. 음악은 선율의 흐름으로 그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미술은 고유의 색채로, 문학은 상징적인 문체로서 그 분야의 특징들을 나타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예술들은 한 시대의 흐름과 배경, 또한 시대를 대표하는 무언가를 반영하기 때문에 예술은 각각 따로 이해하기 보다는 통합적으로 이해해야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현대음악, 즉 20세기 음악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는 '인상주의 음악'을 좀 더 쉽고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인상주의 음악과 미술의 특징을 분석 연구하여 그 특징의 연계성을 찾아 그에 적합한 통합적 수업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 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음악교육의 목표를 ‘ 학생의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음악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도록 하며, 삶의 질을 높이고 전인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는데 있으며, 역사적?사회적?문화적 맥락 속에서 음악을 이해하고 애호하며 즐기는 태도를 가지게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 교육 현장에서는 이러한 음악교육 목표가 잘 실행되고 있지 않으며, 나아가 20세기 음악 어법으로 표현된 현대음악은 더욱더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으로 편중된 음악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위해 인상주의 음악과 미술을 통합적 교육방법으로 효과적인 현대음악 감상수업을 위한 수업 지도 방안을 연구하여 지도안으로 제시하였다. 지도안 작성에 중심이 된 작품들은 음악에서는 인상주의 대표적 작곡가 드뷔시의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이며, 미술 작품은 인상주의 화가 모네의 「인상, 해돋이」, 「개양귀비 꽃」, 「수련」등이 연구 작품으로 사용되었다. 구체적으로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나타난 ‘인상주의’의 음악과 미술의 연관성을 통합적인 측면에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엇보다도 인상주의에서는 빛의 변화와 자연의 순간적인 내적 인상을 나타내기 위해 색채적 표현기법을 중요시하여 음악에서는 대담한 화성을 사용하여 새로운 음의 조성을 표현하였다. 미술에서는 색채 분할법을 사용하여 색의 순도를 높여 사용하였다. 또한 신비스럽고 미묘한 분위기를 표현하였는데 음악에서는 5음 음계, 온음 음계, 선법을 사용하여 선율로 그 분위기를 묘사하였으며, 미술에서는 뚜렷한 경계선이 없는 흐릿한 색채로 모호하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리즈 작법을 통해 인상주의 특징을 나타내었다. 빛에 의해 자연이나 사물이 다르게 보이는 것을 표현하고자 음악에서는 각 악장에 연계성을 두고 악기들을 소재로 하여 시리즈로 작곡을 하였다. 미술에서는 빛을 통해 변화되는 광경을 순간적으로 포착하여 그것을 시리즈로 화폭에 그려내었다. 이러한 특징들은 인상주의 음악과 미술이 연계성을 가지고 서로 상호 관련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며, 인상주의 음악과 미술이 통합적 교육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지도되어져야하는 필요성을 갖게 한다. 학생들이 타 교과와의 통합적 교육방법을 통해 현대음악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쉽게 이해하며, 그것으로 인해 학습에 대한 동기부여와 음악 활동의 새로운 기회들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본 연구의 지도안이 참고가 될 것이다. 또한 앞으로 현대음악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지도력 향상을 위해 더욱더 폭넓은 음악교육 프로그램이 개설되고 다양한 학습 자료가 개발되어 질 높은 음악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나아가 여러 문화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통합적 교육방법을 통한 음악교육이 더욱더 활발하게 이루어져 학생들을 위한 질 높은 교육이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현정희 건국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anguage art programs for young children on their Language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conduct the purpose of study as follows. First, how large is the effect size of the language art programs which affect children's language ability? Second, Is the effect size of the language art programs which affect children's language ability different depending on program's instructional approaches? Third, Is the effect size of the influence of language art programs over children's language ability different according to moderator variables such as children's age, type of institute, type of group in experiment, experiment group, the number of children in an experiment group, the period of experimental treatment, and the number of experimental treatment? The subjects of meta-analysis for this study were 271 samples of effect size from 103 papers which correspond with selection criteria among the studies which employed language art programs to enhance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and verified the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anguage art programs carried out aiming at enhancing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have large effect size in improving children's faculty of speech. Second, The majority of the studies were based on meaning-oriented approach and the programs based on meaning-centered approach had the largest effect size of influence over children's language ability comapring to phonics & balanced approaches. Third,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difference in effect size of the influence of language art programs on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the regulation effect about children's age, type of institute, type of group in experiment, the number of children in an experiment group, the period of experimental treatment, and the number of experimental treatment were explored. As a result, children's age and the number of children in an experiment group proved to be the moderator variables which explain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 of the influence of language art programs on children's language ability, while children's age, the number of children in an experiment group, type of institute, type of group in experiment emerged as moderator variables which explain the difference of effect size of influence on language ability according to language forms and lower factor by language art program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various language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whose goal is to enhance children's language ability have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본 연구는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고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둘째,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조절변인(유아 연령, 연구기관, 실험 시 집단유형, 실험집단 인원수, 실험처치 기간, 실험처치 횟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00년부터 2013년 1월 16일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박사학위 논문과 등재지 논문을 중심으로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을 목표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 중 자료 선정기준에 부합되어지는 논문 111편으로부터 총 301개의 효과크기 사례수를 표집하였다. 이 중 이상치가 발견되는 논문 8편과 효과크기 사례수 30개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03편의 논문, 271개의 효과크기 사례수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을 목표로 실시하고 있는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큰 효과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을 발음중심 접근법, 의미중심 접근법, 균형적 언어접근법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의미중심 접근법을 토대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살펴본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 역시 의미중심 접근법을 토대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살펴본 연구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의 차이 및 이질성에 대한 원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아 연령, 연구기관, 실험 시 집단유형, 실험집단 인원수, 실험처치 기간, 실험처치 횟수에 대한 조절효과를 탐색한 결과, 유아의 연령과 실험집단 인원수는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의 차이를 설명하는 조절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언어형태별 언어능력 및 하위변인에 미치는 효과크기의 차이를 설명하는 조절변인은 유아의 연령과 실험집단 인원수, 연구기관, 실험 시 집단유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언어구성요인별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의 차이를 설명하는 조절변인은 실험집단 인원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보았을 때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을 목표로 실시하고 있는 다양한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이론적 관점 중 의미중심 접근법을 토대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살펴본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효과크기 역시 발음중심 접근법이나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토대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살펴본 연구들에 비해 효과크기가 더 컸다. 1990년대 초 의미를 중요하게 다루는 총체적 접근법이 우리나라에 소개된 이후 지금까지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만큼 이를 토대로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유아의 언어능력을 향상시킴에 있어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을 것으로 보여진다. 최근에는 학습자에게 의미중심 접근법의 기본 틀을 유지하면서 음운인식이나 철자와 소리의 대응과 같은 기본 기술을 가르치는 균형적 언어접근법이 강조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이루어진 연구물의 수가 의미중심 접근법을 토대로 이루어진 연구에 비해 현저히 적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토대로 구성된 언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언어구성요인별 언어능력 중 음운론과 통사론에 대해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크기를 나타내어 의미중심 접근법을 토대로 구성된 프로그램의 효과크기와 비교했을 때 효과가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균형적 언어접근법을 토대로 수행된 프로그램이 그 기본 철학을 견지하지 못한 채 시행되고 있다는 비판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즉, 균형적 언어접근법의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발음중심 접근법과 의미중심 접근법의 균형, 교수방법의 균형(교사주도, 교사-유아주도, 유아주도 활동), 다양한 매체의 제공 등의 요소를 충분히 갖추지 못한 채 실시된 측면이 있다. 이것은 아직 유아교육 전문가들의 균형적 접근법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지 못함을 반증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균형적 언어접근법에 대한 의미를 재정립해 보고 현장에서 유아들을 직접 교육하는 교사들에게 이와 관련한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조절변인 중 유아의 연령, 실험집단 인원수, 연구기관, 집단유형이 언어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크기의 차이와 이질성을 설명하는 조절변인으로 나타난 결과는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는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설계할 때 연구자의 편의가 아니라 프로그램이 유아의 연령에 적합한가, 어떤 집단유형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그리고 프로그램이 기관유형의 특성에 부합하는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 선행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 변실금 아동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생물․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 : 선천성 거대결장증 사례를 중심으로

        현정희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거대결장증 사례를 중심으로 변실금 아동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생물․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물․심리․사회적 중재가 변실금 아동의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생물․심리․사회적 중재에 따른 변실금 아동의 삶의 질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 참여자는 현재 S시의 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학년(12세) 남자아동이며, 주 호소문제는 변 지림, 배변조절 실패 등과 같은 변실금이다. 대상아동과 배변문제로 상담을 시작하게 된 것은 2017년 4월부터이며 그 후 그 해 10월까지 약 7개월 동안 생물․심리․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첫째는 생물학적 접근으로써 필라테스를 통해 항문괄약근 강화이며, 두 번째는 긍정행동지원과 이야기 치료의 외재화를 통한 심리적 접근이고, 세 번째는 가정 차원과 학교 차원에서의 사회적 접근이다. 변실금 아동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면담, 참여관찰, 일화기록으로 자료를 수집했으며, 사전·사후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아동용 항문직장기형 삶의 질 질문지, 부모용 아동 정서․행동발달 검사지(CPSQ), 교사용 강점 난점 설문지(SDQ)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생물․심리․사회적 중재 프로그램이 아동의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효과 및 그 변화 양상을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세 가지로 나누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생물학적 중재는 변실금 아동의 건강 관련 삶의 질 개선에 효과가 있다. 둘째, 심리적 중재는 아동으로 하여금 정서․행동문제를 감소시키고 변실금 치료 의지를 높여줌으로써 삶의 질 개선에 효과가 있다. 셋째, 사회적 중재는 가정과 학교의 지지로써, 아동의 삶의 경험을 넓혀주고 재구성해간다는 점에서 삶의 질 개선에 미치는 효과가 있다. 결론적으로 생물․심리․사회적 중재가 변실금 아동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다. 또한 생물․심리․사회적 중재는 서로의 효과를 극대화시켜가며 아동의 삶의 질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이 연구는 소규모 학교의 한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선천성 거대결장증 질환으로 인한 변실금 사례이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생물․심리․사회적 중재의 효과가 일시적인지 장기적인지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효과성 검증을 위해 다양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계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fecal incontinence, focusing on a case of Hirschsprung’s disease. First, what is the effect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on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fecal incontinence? Second, what is the change in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ho are affected by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It was in April, 2017, that the counseling was started with children on the subject of fecal incontinence, and after that, a biosoci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 program was carried out for about 7 months until October of that year. The first is the enhancement of the anal sphincter through pilates as a biological approach, the second is the psychological approach through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externalization of narrative therapy, and the third is the social approach at home and school level.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 process of children with fecal incontinence, data were gathered from interviews, participation observation, anecdotal records, and Hirschsrung's disease/anorectal malformation quality-of-life questionaire (HAQL), Child Problem-Behavior Screening Questionnaire(CPSQ),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SDQ) were conducted as a pre- and post-test. The researcher analyzed data on the effects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 programs on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and their changing patterns in three categories: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iological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fecal incontinence. Second, psychological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by reducing children'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increasing their willingness to treat incontinence. Third, social intervention has an effect on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by expanding the experience of children's life and reorganizing as support of home and school. This suggests that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fecal incontinence. In addition, biological,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maximized the effects of each other. Howev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a student in a small school and it is a case of incontinence due to Hirschsprung’s disease. There is also a limit to whether the effects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interventions are temporary or long term. Therefore, a follow-up study designed for various students will be conducted to verify effectiveness.

      • Bowen과 대상관계 이론을 통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현정희 경남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n integrating parent training program the Bowen's Theory with the Object Relation Theory and to test its effects in order to provide a proper parent training program to those who had difficulty raising their children. The study consisted of total four parts including an exploration of the Bowenian Family Therapy Model and the ORPT Model to design a parent training program that is good enough, design of a parent training program, operation of the parent training program, and test of the program's effects.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What kind of effects does an integrated program between the Bowenian Family Therapy Model and the ORPT Model have on the parents' self-differentiation,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emotional acceptance? Research Question 2: What kind of effects does an integrated program between the Bowenian Family Therapy Model and the ORPT Model have on conflicts, intimacy and dependence affect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The subjects include a group of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ed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 City, Gyeongnam Province. After dividing them in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based on the pre-test results, the former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nce a week for eight weeks from September 30 to November 18, 2010 with each session lasting for 180 minutes. After the program application was ended, the experiment group took a post-test.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the parent training program were tested on parent-child relationship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gram change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of the parents who had difficulty with child rearing in a positive way and reduced parent-child dependence of the subfactors. Second, the program's effects on parent acceptance were also tested. As a result, the program also change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of the parents who had difficulty with child rearing in a positive way and increased the children's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desire for autonomy. Third, the program's effects on separation-individualization were tested, as well.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gram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individualization and symbiosis factor of the parents who had difficulty with child education and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s both in the individualization and symbiosis factor. That is, the mothers whose object relation levels were high tended to have less fear for sound separation and dependence need and less desire for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object and accordingly generate greater effects for their child rearing acts. Finally, the program's effects on children's self-esteem were also tested. As a result, the program turned out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the parents who had difficulty with child education. In short, the integrated parent training program between the Bowenian Family Therapy Model and the ORPT Model, which was designed to provide practical supports to mothers who had difficulty with child issues, induced the mothers to develop an insight into their inner worlds rather than concentrating on their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and thus was effective with mother-child relationships, parental acceptance, separation-individualization, and self-esteem. 본 연구는 자녀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부모에게 적절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Bowen의 가족치료모델과 대상관계부모훈련(ORPT)모델을 통합한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은 총 4가지로 첫째, Bowen과 대상관계 이론을 통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Bowen의 기족치료모델과 대상관계이론 탐색, 둘째, 부모훈련 프로그램 설계, 셋째, 부모훈련 프로그램 운영, 넷째,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Bowen의 가족치료모델과 대상관계부모훈련(ORPT)모델을 통합하여 부모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연구문제2: Bowen의 가족치료모델과 대상관계부모훈련(ORPT)모델을 통합한 부모훈련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관계와 부모 수용, 분리개별화, 자존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를 위해 경남 T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였으며, 사전검사 실시 후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0년 9월 30일부터 11월 18일까지 매주 1회기에 180분씩, 8회기 동안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부모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훈련 프로그램이 자녀교육에 어려움을 겪는 학부모의 부모-자녀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하위요인 중에서는 부모-자녀의 의존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훈련 프로그램이 부모수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훈련 프로그램이 자녀교육에 어려움을 겪는 학부모와 자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며, 하위요인 중에서는 자녀 개인차 수용과 자녀의 자율성 욕구 수용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 훈련 프로그램이 분리-개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교육에 어려움을 겪는 부모에게 개별화와 공생 요인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하위요인 중에서 개별화와 공생 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어머니의 대상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한 분리와 의존욕구에 대한 두려움이 적고 대상과 밀착된 관계로 남고 싶은 욕구가 감소하여 자녀양육 행동의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 훈련 프로그램이 부모의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교육에 어려움을 겪는 부모의 자존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자녀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어머니들을 실질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설계한 Bowen과 대상관계 이론을 통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들에게 자녀의 문제행동에 집중하기보다는 자신의 내면을 통찰함으로써 어머니-자녀관계, 부모 수용도, 분리개별화, 자존감에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