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재교육대상자 선발과정에서의 탈락경험과 수학영재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현선영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영재교육의 지속적인 양적 확대로 많은 영재교육기관이 생겨났고, 영재교육대상자로 선발되는 학생도 많아졌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탈락을 경험하는 학생 또한 많아졌다. 일반적으로 영재학생들은 보통 학생들보다 스트레스에 약하며, 완벽주의 성향이 강하고, 주변 상황에 대해 민감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윤여홍, 2000). 이러한 정서적 특성으로 인하여 영재학생들은 영재교육기관의 선발절차를 거치면서 극도의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영재교육기관의 선발결과와 영재학생들의 수학적 태도가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2010학년도 서울시 A 교육지원청 수학영재교육원 학생 58명을 대상으로 2011학년도 학생 선발 최종 발표를 마친 후, 대상학생들의 수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학적 태도 검사지는 1992년도 한국교육평가원에서 개발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학생 중 선발과정에서 탈락을 경험한 학생과 성공을 경험한 학생군 사이에는 지능의 차이가 없다. 둘째, 선발과정에서 탈락을 경함한 학생과 성공을 경험한 학생군 사이에 지도교사의 종합평정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셋째, 선발과정에서 탈락을 경험한 학생군이 성공을 경험한 학생군 보다 수학적 태도 검사의 하위항목인 수학자아개념과 수학학습 습관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수학적 태도의 하위항목 중 수학교과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수학교과태도의 하위항목인 수학교과흥미에서는 탈락을 경험한 학생군이 성공을 경험한 학생군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영재교육기관의 선발 절차에서 성공을 경험한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 간의 수학적 태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선발과정에서 성공을 경험한 학생과 탈락을 경험한 학생간에는 지능과 종합적 평정결과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재교육기관의 선발도구가 타당성과 신뢰도를 고루 갖추었다 할지라도 선발에 성공한 학생만을 영재학생이라고 할 수는 없다. 선발 시험에서 소외된 영재학생들은 이 경우 자신감을 상실하게 되고 마음의 상처를 받을 수 있다. 심리적․정서적인 특성은 지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므로 영재의 심리적 특성이 뒷받침될 때 그 잠재능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기 때문에(최은혜․이지연, 2010)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 금속 또는 산화 금속 나노 입자의 담지화를 통한 복합 실리카 입자의 제조

        현선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다양한 복합체는 하나의 물질만을 사용했을 때에는 얻을 수 없는 물성을 얻기도 하고 기존의 물성을 향상 시키기도 한다. 복합체에는 매트릭스 안에 다른 입자를 분산 시킨 형태, 코어-쉘 형태, 담지화(캡슐화) 형태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여러 복합체 형태 중 물 유리를 사용하여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를 공침시켜 담지화(encapsulation)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바 사용한 Sodium silicate와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의 몰 비에 따라 형성된 복합 입자의 형태 및 담지량에 관한 경향성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금속 나노 입자는 10 nm 이하의 은 나노 입자를 사용하였고,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는 산화철과 티타니아 나노 입자를 직접 제조 하여 사용하였다. 산화철을 제조하는 방법에는 마이크로 에멀젼 방법이나 열분해 방법등의 여러 가지가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수율이 높고, 계면 활성제나 고분자 등의 안정화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물을 용매로 하여 제조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공침법을 이용했다. 그리고 티타니아 나노 입자는 간편하고 경제적인 방법인 해교법을 이용하여 안정한 졸 상태로 제조 한 후 건조해서 사용하였다. 담지화 실험은 Sodium silicate의 몰 비를 고정하고,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Ag, TiO₂, Fe₂O₃)의 몰 비를 상대적으로 조절 한 후 알코올을 첨가 함으로서 공침시켜 복합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금속과 금속 산화물 각각에 대한 결과에 따른 경향성을 확인 하였다. 금속과 금속 산화물의 몰 비는 담지화에 영향을 미쳤고, 상대적으로 몰 비가 증가될수록 담지화된 복합 실리케이트 입자는 무정형으로 형성되었다. 반면 몰 비가 감소 되면 담지화 된 복합 실리케이트 입자는 크기가 약 100 nm의 구형입자로 형성되었다. 생성된 산화철 입자와 티타니아 입자는 X-선 회절분석기(XRD)를 통해 결정 구조를 분석 하였고, 은 나노 입자는 자외선 흡광도(UV-Visible)로 흡수밴드를 확인 하였다. 산화철 입자의 자성 특성은 진동시료자력계(VSM)를 통해 코팅 전 후의 자성 결과를 확인하였다.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이 담지화 된 복합 실리케이트 입자 내부는 투과전자현미경(TEM)을 통해 관찰 하였고, 표면 형성 모양과 크기는 주사전자현미경(SEM)으로 분석 하였다.

      • 매체의 기술적 발전에 따른 인식의 변화 : J. Baudrillard의 매체이론을 중심으로

        현선영 大邱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um's theory of Jean Baudrillard, as it were, the meaning of medium is propagated into simulacra, not in the real representation. The information and meaning in the society full of image are propagated into the medium, the image is produced 'hyperreal' which looks like the real by absorbing everything. The distance between the real and the presentation is disappeared, all difference is propagated into them. In this society, although the masses absorb everything, they are fallen into an insensibility. According to J. Baudrillard, these masses are 'silent majority'. This is just 'the time of simulation' that indicated by J.Baudrillard. A social character featuring the present age is the extension of communication by media. In such point, what J.Baudrillard emphasized was the cognition for ' new reality' as hyperreal. However, Baudrillard's opinion that society is composed of simulacra, namely, image is exactly overstated. Nevertheless, we can't pass over the theory because he analyzed today by developing medium. The following is to explain his epistemology and the above stated background of medium's theory. Baudrillard's cognition about society was in an extreme of post constructivism's stream because he interpreted the world by a very radical form. If he had experienced human action and social institution based on a material utility or an economic capacity of conversation and commodities formed the main current in the existing study for society, a new hypothesis in the theoretical tendency that have doubts about such whole is approaching way with an intention as 'anti or anti rationality'. What an exchange/ a sign/ a symbolic character prescribe the essence of human life is just such way. According to simulacra's concept of Baudrillard, the social aspect of present age came to new order of society that can't be explained by existing categories on politics or economy. Baudrillard's thought is made up of a whole though it looks like as if his idea was severed. Actually his early works was in the domain of Marxism and political economics. At that time he was interested in how the society can provide new value, meaning and active world, b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a consumptive society. However he definitely tried to separate from Marxism after 「The mirror of production 」. At that time, he established a social construction of a new form and presented all boundaries, categories and values for the industrial society, and his theory was situated in a world view of new post modern in a late theoretic system. Accordingly there seems to be no foundation to insist a consistency of a whole theory. Since Baudrillard had an interest in how the system of meaning's action for object makes routine object precise and daily life produce an a commercial scale, he started to deal with a matter of epistemology. According to Baudrillard, modern epistemology is generally based on the concept of individual, rational causationism and constructive causationism, as it were, this is a part of an intellectual world with an identical meaning. In the modern philosophy, half law of object provided a cognitive form for a metaphysical study and insisted superiority of subject against object. On the contrary, objects (for instance, the masses/ information/ media/ goods/ capital/ politics) in his theory got out of a notional establishment and a control by subject, by infinitely increasing, as the result, the subject was overwhelmed by the object. He clarified a developing course of object based on such cognition. A real object is erased by avant-garde phenomenon that actuality of television shows more actual thing than reality, and only image is survived in there. That's just simulacra.

      • 2세 영아 부모를 위한 과학중심 부모교육 실행연구

        현선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2세 영아 부모의 영아 과학교육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부모교육의 실행과정과 부모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실행연구는 2020년 11월 23일부터 2021년 4월 23일까지 경기도에 위치한 P 직장 어린이집 만 2세 부모 11명과 부모 교육자로 총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부모교육은 주 1회씩 총 6회기, 회기 당 60분의 소집단 온라인 비대면 교육으로 진행하였다. 부모교육에서는 과학 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소개하고 부모가 가정에서 실제로 활동해 본 놀이에 대해 개별적으로 피드백을 하고 부모교육 참여자 간 토의를 통해 경험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실행 기간 동안 실행-관찰-평가-재실행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자료 수집은 사전, 사후 면담과 총 6회기 동안 수집한 면담, 참여관찰, 부모교육 및 토론 자료 전사본, 부모 교육자와 참여자의 저널과 놀이 보고 기록물 등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녹화와 녹음을 병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본과 해석을 기록한 부모 교육자 저널, 연구참여자의 저널을 반복해서 읽고 공통요소와 핵심어를 분석하여 내용범주를 구성하였다. 이를 기초로 관찰 사례를 지속적으로 비교하고 검토하여 이를 포괄할 수 있는 적합한 상·하위 범주로 서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중심 부모교육의 실행과정은 영아 과학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인식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하고 평가하는 과정의 반복이었다. 1차 실행에서는 영아의 발달과 과학교육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전달식 이론 강의와 구체적인 놀이 과제를 제시하였다. 1차 실행을 통해 부모의 인식과 경험의 변화를 관찰하였고 부모의 적극적 참여와 반성적 사고를 촉구할 수 있는 2차 실행방안을 모색하였다. 2차 실행에서는 진행 방법 및 놀이 과제를 변경하여 양방향 소통의 기회를 확대하고 자율성을 부여하는 부모교육이 실행되었다. 둘째, 과학중심 부모교육 실행과정에서 부모들은 영아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다. 초기에 부모들은 영아 과학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자료, 부모의 역할을 모호하고 막연하게 인식하였다. 부모교육 실시 후 자녀의 일상과 놀이를 관찰하고 안내에 따라 놀이하는 과정을 통해 영아 과학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자료, 부모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부모들은 과학중심 부모교육 실행과정에서 부모교육 공동체 경험이 변화하였다. 공동체를 구성한 부모들은 자기공개에 대한 두려움과 상대적 비교에서 오는 위축감을 표현하고 솔직한 고백과 그간 아쉬웠던 점들을 언급하며 어렵게 인식하였던 문제들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부모들은 영아 자녀와 다양한 놀이를 실행하고 공동체와 경험을 공유하며 학습공동체 안에서 함께 성장하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넷째, 부모들은 과학중심 부모교육 실행과정에서 부모-부모 교육자 간의 경험이 변화하였다. 부모와 부모 교육자는 관계 맺기를 통해 신뢰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했고, 부모 교육자는 연구 안에서 경계를 지키기 위해 부모를 이해시키며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교육 이후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부모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어린이집과 연계하여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관계망의 확장을 경험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과학중심 부모교육은 실행-관찰-평가-재실행의 과정을 통해 영아 과학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구체화할 수 있는 경험이 되었다. 과학중심 부모교육 공동체에서 학습하는 과정은 지식을 재구성하고 재성찰하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긍정적 자극이 되고, 기관과 가정의 연계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부모교육을 통한 영아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가능성을 확인하고 영아의 과학적 탐구를 증진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parent education and changes in parent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infant science education of 2-year-old infant parents. The study period is from November 23rd 2020 to April 23rd 2021,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1 parents aged 2 at the P workplace daycare center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and 1 researcher, a total of 12. Parental education is conducted as online non-face-to-face education for a total of six sessions, and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bservation, evaluation, re-execution is repeated. For the data, interviews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s, transcripts of parent education and discussion data, journals and play report records of parent educators and participants a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are repeatedly read and the common elements and keywords are analyzed to form a content category.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science-centered parental education was conducted in total secondary by analyzing parents' perceptions of infant science education and their demands for education, recognizing problems, and seeking specific measures. Secon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science-oriented parent education, parents become specifically aware of their goals, contents, methods, data, and parents roles in infant science education. Thir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science-centered parent education, experiences within the parent education community and experiences between parents and parents' educators changed.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to develop a parent education program that can confirm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parent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infant science education through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and promote the scientific inquiry of infants.

      • Characterization of AlGaN/GaN-based Heterojunction Diodes : AlGaN/GaN를 기반으로 한 이종접합 다이오드의 제조와 특성

        현선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넓은 밴드갭과 직접천이 특성을 갖는 GaN계 질화물 반도체는 고출력, 고주파 전자소자인 HBT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및 광소자인 LD (laser diode)와 LED (light emitting diode)로의 응용을 위해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다. 그러나 Mg을 도핑한 p-GaN 박막은 낮은 활성 효율 및 높은 결정결함으로 인해 우수한 특성의 소자 제조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GaN 박막의 특성을 평가한 후 소자에 적용하기 위하여 AlGaN/GaN 이종접합 기반으로 한 다이오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높은 hole 농도와 낮은 박막 저항을 가지는 p-GaN 박막을 얻기 위하여 cyclically doped p-GaN 구조를 제안하여 uniformly doped p-GaN과 그 특성을 비교 ∙ 분석하였다. 그 결과, cyclically doped p-GaN 구조에서 3.48×1018 /cm3의 높은 hole 농도와 9.6 kΩ/□의 낮은 박막 저항을 얻었다. 그리고 성장된 p-GaN 위에 AlxGa1-xN를 30%, 12%의 Al 조성으로 성장하였다. 성장된 이종 접합 및 동종 접합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이오드를 제작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작된 다이오드 중 abrupt 접합에서 낮은 barrier을 가지는 Al0.12Ga0.88N:Si와 높은 hole 농도와 낮은 박막 저항을 가지는 cyclically doped p-GaN을 가지는 경우 비교적 낮은 turn-on 전압과 약 3.9의 ideality factor 그리고 39.7 kΩ/□의 낮은 series resistance을 얻었다. 하지만 p-GaN의 오믹 특성에서는 여전히 Schottky 영역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소자의 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높은 hole 농도와 낮은 박막 저항 그리고 비교적 높은 hole 이동도를 가지는 cyclically doped p-GaN을 얻었다. 이는 p-GaN 특성에 영향을 받는 소자 제작에 적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성장된 막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작된 이종접합 및 동종접합의 다이오드의 연구 결과로부터 HBT의 연구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p-GaN의 오믹 특성 연구에 있어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금속인 Ni/Au 뿐만 아니라 Pd/Au, Pd/Ni 등의 금속에 관한 추가적인 실험이 진행된다면 고출력용 HBT 및 광소자용 LD, LED의 성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 L-GAN 3D : 3D 얼굴 모델링을 위한 Landmark기반 GAN모델

        현선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인공지능 기술이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 을 적용하기 위하여 연구되고 있다. 이 중 인공지능을 활용한 이미지 생 성 분야는 인공지능을 학습시키고 그 결과로 가상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기술이다. 이 분야에는 GAN이라는 신경망 모델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모델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연구는 임의의 형태를 가진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하여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그것을 3D 모델로 생성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랜드마크를 이용하여 원하는 얼굴 형태를 가진 3D 모델을 생성하는 L-GAN 3D 모델 을 제안한다. 기존의 L-GAN 모델은 랜덤 노이즈 벡터 z를 입력으로 받고 이미지 를 생성하는 GAN 모델의 입력을 사람의 랜드마크 이미지로 변환하여 실 제 얼굴 이미지의 각도와 형태를 유지하며 가짜 얼굴을 생성하는 데 성공 하였다. 이는 원하는 형태의 얼굴을 생성할 수 있는 모델이지만 3차원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3D 모델을 만들기 위해 L-GAN의 구조를 변형하고 2D 이미지를 3D 사람 얼굴 모델인 3DMM으 로 변환해주는 3D-Optimizer를 추가하여 원하는 얼굴 구조를 가진 3D 사 람 얼굴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GAN 모델은 원하는 얼굴 형태를 가진 3D 모델을 만들지 못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모 델은 2D 이미지를 3D 모델로 변환하여 생성하기 때문에 2D 사람 얼굴의 랜드마크를 수정하여 입력함으로써 원하는 특징을 가진 3D 사람 얼굴 모 델을 생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as recently grown, it is being studied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various fields. Among them, the field of image gener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technology that learn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utputs virtual images as a result. A neural network model called GAN is typically used in this field. Research to generate an image using this model is being conducted to generate an image with an arbitrary shape, but it is difficult to generate a 3D model.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L-GAN 3D model that generates a 3D model with a desired face shape using human landmarks. Existing L-GAN models have succeeded in generating fake faces while maintaining the angle and shape of the real face image by converting the input of the GAN model that receives the random noise vector z as an input and generates an image into a human landmark image. It is a model capable of generating a desired shape of face, but it is difficult to generate a 3D Model.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o create a 3D human face model with a desired facial structure by modifying the structure of L-GAN and adding an encoder that converts 2-D images to 3DMM, a 3D human face model. The existing GAN model does not produce a 3D model with the desired face shape, but since the model presented in this paper converts a 2D image to 3D Model,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3D human face model with the desired characteristics by modifying and inputting the 2D human face landm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