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 자본과 신뢰가 농업의 생산과 소비에 미치는 영향

        허태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Wha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failure of government policies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for the sustainabi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 in Korea? The answer can be obtained from the argument that “the higher the trust society, the higher the rate of promoting economic growth and achieving the government's policy goals”(Fukuyama, 1995) and “consumer’s trust in agri-food products and social capital in rural areas are important for the sustainability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s”(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7). The return-to-farming Policy at the production stage and agri-food labeling information policy at the consumption stage are not successful, unlike the initial purpose of policy establishment. and the above policies can be seen as representative examples of policies related to the social capital in rural areas and consumer trust in agri-foo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social concept of ‘trust’ in the return-to-farming policy and the agri-food labeling information policy. and it tried to suggest a plan to increase the achievement rate of the policy. First, in the return-to-farming policy at the production stage, a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conomic performance to increase the settlement rate of return-to-farmers.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social capital of returning farmers affected economic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argument(Algan et al., 2014) that “trust is related to social capital with shared beliefs and values ​​that help overcome the free-ride problem in the pursuit of socially valuabl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conomic performance of returnee farms. In particular, social capital variables related to individual problem solving had a positive effect. and The social capital formation of these farms was influenc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age, gender) and empirical characteristics(education completion fields, occupation group) and the empirical characteristics(education completion fields, occupation group) had a positive effect. Next, in the agri-food labeling information policy at the consumption stage, a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ways to achieve the effectiveness of agri-food labeling information policy.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rust in labeling information (Individual evaluation) affects willingness to additional pay (favorable behavior) for safe food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argument(Lee jae-wan, 2013) that “policy trust is a favorable attitude or behavior that reflects the results of an individual’s assessment in evaluating polic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rust of labeling inform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er’s willingness to additional pay for safe food and the recognition of the labeling system has an effect on the trust of the labeling information of consumers.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agricultural policy in the future needs to change the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trust in the agricultural and food sectors, by reflecting the changes in the behavior of current farmers and consumers. 우리나라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정부 정책의 실패를 방지하고, 정책의 효과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이에 대한 해답은 “신뢰가 높은 사회일수록 경제성장 촉진과 정부의 정책적 목표 달성률이 높다”라는 주장(Fukuyama, 1995)과 농업·농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농식품에 대한 신뢰와 농촌 지역의 사회적 자본이 중요하다는 선행연구(농림축산식품부, 2017)에서 얻을 수 있다. 생산단계의 귀농·귀촌 정책과 소비단계의 농식품 표시정보 정책은 정책 수립 초기의 목적과 달리 성과가 미비하면서, 농촌 지역의 사회적 자본과 농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와 관련된 정책 중 대표적인 사례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귀농·귀촌 정책과 농식품 표시정보 정책에서 ‘신뢰’라는 사회적 개념을 도입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해당 정책의 목표 달성률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생산단계에서의 귀농·귀촌인 정책에서는 귀농인의 정착률 증대를 위한 경제적 성과 제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여기서 “신뢰란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을 추구함에 있어 무임승차 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는 공유된 신념과 가치로 사회적 자본과 관련된다”라는 주장(Algan 외, 2014)에 따라 귀농 농가의 사회적 자본이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귀농 농가의 경제적 성과에 사회적 자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특히 개인의 문제 해결과 관련된 사회적 자본 변수들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귀농 농가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는 개인적 특성(연령, 성별)과 경험적 특성(전년도 교육 이수 분야, 직업군)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경험적 특성(전년도 교육 이수 분야, 직업군)의 경우 정(+)의 영향을 주고 있었다. 다음으로 소비단계의 농식품 표시정보 정책에서는 농식품 표시정보 정책의 효과성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여기서 “정책 신뢰란 정책에 대한 평가 시 개인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는 호의적인 태도나 행동”이라는 주장(이재완, 2013)에 따라 표시정보에 대한 신뢰(개인적 평가)가 안전한 식품 소비를 위한 추가지불의사행동(호의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소비자의 안전한 식품을 위한 추가지불의사에 표시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소비자의 표시정보에 대한 신뢰도 형성에는 표시제도에 대한 인지 여부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농업·농촌 정책의 방향은 현재의 농업인과 소비자의 행태 변화를 반영하여 농식품 분야 신뢰 형성 중심으로 농정 방향을 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正祖의 華城築城과 隆.健陵의 風水論的 고찰

        허태호 서경대학교 경영문화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Study on Jeongjo(正祖)’s Hwaseong Construction(華城築城) and FengShu(風水論的) of Yung(隆)⦁Geonneung(健陵) Heo Taeho King Youngjo and Crown Prince Sado are recorded as the most tragic father and son in history all through Joseon Dynasty. King Jeongjo, who survived between them, experienced his father’s death at his age 11. During his childhood, Jeongjo might have experienced hard-heartedness of political power extremely to see his grandfather, Youngjo, who enforced his son’s death, and his father, who faced death without refusing it. King Jeongjo resolved to untangle his father’s resentment, Sado, who died under false accusation. At his age 11, who became the crown prince to succeed the throne after King Youngjo, Jeongjo was very careful in every moment. He only concentrated on study calmly everyday in pain, considering he might die any time as his father Sajo under slander, since he was the successor of King as Youngjo’s grandson, not the son. Immediately after enthronement, King Jeongjo announced in front of the officials that he was Sado’s son, and ordered to change his father Sado’s nickname to Jangheon(莊獻), and the name of Sado’s tomb, Sueunmyo(垂恩廟) to Youngwoowon(永佑園), also, Sadang to Gyeongmogung palace(景慕宮). This way, King Jeongjo’s policy was related to FengShui based on filial duty, eventually he considered that promotion of Sado to a king and enshrine in Jongmyo was a method of reformation and reinforcement of royal authority. Accordingly, first step of that plan was relocation to Hwasan, a new place of Suwonbu eubji from Gyeonggi-do Yangju-gun (current Seoul Dongdaemun-gu). Here, the researcher intended to investigate King Jeongjo’s love for his father, who intended to promote Youngwoowon and his FengShui concept that was spread intending to relocate Sado’s tomb to a better place. Until relocation to Hwasan Hyeonryungwon, King Jeongjo examined FengShui topography and geographical feature by offering worship over once a year, finally in Jeongjo’s reign 13th year(1789), he enshrined his father in Hwasan Hyeonryungwon, the only propitious site remaining among three sites over the nation, wishing he would be also entombed below his father’s feet in future. King Jeongjo established Hyeonryungwon and constructed temporary palace in Hwaseong where he could stay during his visit to his father’s tomb. He offered worship at Hyeonryungwon thirteen times during his reign. During Joseon history, there were lots of cases that a King paid attention to FengShui. However, mostly they were indifferent to FengShui except the period to select the late king’s burial site(葬地). That was because Joseon kings’ interest in FengShui was within the realistic world view based on Confucian rationalism. That was quite different from the preceding Dynasty Goryeo, which wished prosperity of the royal family through propitious and lucky site. In Joseon, a nation of neo-Confucianism, King Jeongjo constructed Yongjusa temple, to wish his father Sado’s heavenly bliss, rarely as a king of Joseon. Joseon Dynasty restricted Buddhism, however they believed in their life. It was because of the religious characteristic which clearly described the afterlife compared to Confucianism, which had no distinct afterlife view. 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part of Neung was required, temple was constructed through the system of Wonchal. During Joseon, temple was a useful facility as an organization to take care of later years of palace women along with necessity along with afterlife view. Along with construction of a new city in Suwon Hwaseong, King Jeongjo developed Suwon as a city where future generations of those who had relation with Sado directly and indirectly could live. Also, he established commercial zone for more people father and live, and had talented people settle down through state exam. Construction of Suwon Hwaseong and temporary palace was based on King Jeongjo’s love for parents, wishing to spend his later years nearby his mother, Crown Princess Hong and his father. Overall process of construction of Hyeonryungwon, Yongjusa, Hwaseong, and temporary palace due to such reason and political reason was reviewed and conducted based on FengShui. This research referred the historical materials as life story materials such as『Jeongjo annals (Silrok)』,『Hongje collection (Jeonseo)』, and『Ilseongrok』, and literary materials during the construction of Hyeonryungwon. This research paper is largely composed of 5 chapters, i.e. chapter 1, introduction, chapter 2, concept of FengShui, chapter 3, King Jeongjo’s awareness on FengShui and filial duty, chapter 4, King Jeongjo’s construction of Hyeonryungwon and Hwaseong, and chapter 5, conclusion and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正祖의 華城築城과 隆⦁健陵의 風水論的 고찰 허 태 호 영조와 그의 아들 사도세자는 조선왕조 전체를 통해 가장 비극적 부자관계로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사이에 살아남은 정조는 11세 어린 나이에 아버지의 죽음을 보았다. 아버지의 죽음을 강요하는 조부 영조, 이를 거부하지 못한 채 죽음을 맞이하는 아버지 사도, 어린 정조는 정치권력의 비정함을 몸으로 마음으로 느꼈을 것이다. 정조는 억울하게 죽어간 사도세자의 억울함을 풀어드릴 것을 다짐하였다. 11세의 어린 나이에 영조의 대를 이을 세자가 된 정조는 조심 또 조심 하였다, 세자가 아닌 왕인 영조의 손자로서 왕의 후계자 지위에 있던 그는 언제 아버지 사도세자처럼 모함에 의해 죽을지 모른다는 생각에 하루하루를 고통 속에 보내며 조용히 학문에만 열중할 수밖에 없었다. 정조는 즉위 직후 대신들에게 말씀 하기를 자신이 사도세자의 아들임을 공표하고, 아버지 사도세자의 존호를 장헌(莊獻)으로, 사도세자의 묘소인 수은묘(垂恩廟)의 명칭을 영우원(永佑園)으로, 또한 사당을 경모궁(景慕宮)으로 바꿀 것을 명 하였다. 이와 같은 정조의 정책은 효를 기반으로 한 풍수와 연관시켜 궁극적으로는 사도세자를 국왕으로 추대하여 종묘에 올리는 것이, 정조가 하고자 한 개혁과 왕권강화의 방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그 계획의 첫 번째가 경기도 양주군(현 서울시 동대문구)에서 새로운 장소인 수원부 읍지가 있는 화산으로 옮기는 것이었다. 필자는 영우원을 천장하고자 정조가 보인 효심과 사도세자의 묘소를 좋은 장소로 옮기고자 펼치는 정조의 풍수인식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정조는 화산 현륭원으로 천장하기까지 영우원을 매년 1회 이상 참배하여 풍수적인 지형, 지세를 살폈으며 마침내 정조 13년(1789) 전국 3대 명당의 하나로 유일하게 남아있던 화산 현륭원 자리에 아버지를 모시고 장차 자신도 아버지 발아래 묻히기를 원했다. 정조는 현륭원 조성 후에는 능행 시에 머물게 될 행궁도 화성에 건설하였다. 그리고 그는 재위기간 중 열 세 차례 현륭원을 참배하였다. 조선의 역사를 통해 국왕이 풍수에 관심을 가진 경우는 많다. 그러나 선왕의 장지(葬地)를 선정하기 위한 시기를 제외하고는 풍수에 대체적으로 무관심하였다. 그것은 조선의 왕들의 풍수 관심은 유교적 합리주의에 바탕 한 현실적 세계관을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전 왕조 고려가 명당, 길지 등을 통해 왕조의 번창을 바라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성리학의 나라 조선에서 정조는 국왕으로 드물게 아버지 사도세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용주사를 창건한다. 조선왕조는 불교에 대해 억압정책을 쓰고 있었으나 실생활에서 신앙하고 있다. 그것은 내세관이 뚜렷하지 않은 유교에 비해 사후세계가 정확하게 기술되어 있는 교리적 특징 때문이다. 한편으로는 능을 관리하는 주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원찰이란 제도를 통해 사찰이 창건되었다. 조선에서 사찰은 내세관에 의한 필요성과 함께 궁에 살던 여인들의 노후를 의탁한 주체로써 요긴한 시설이었다. 수원 화성에 신도시를 건설하면서 사도세자와 직간접으로 인연 있는 사람들의 후손들이 살 수 있는 도시로서 수원을 개발한다. 수원에 사람들이 더 많이 몰려와 살 수 있도록 상업지를 조성하고 과거시험을 통해 인재가 정착할 수 있도록 했다. 수원화성과 행궁의 건립은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와 아버지 곁에서 여생을 보내고 싶은 정조의 효심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이유와 정치적 이유에 의해 건설된 현륭원, 용주사, 화성 축성과 행궁 창건은 전 과정이 풍수에 기반을 두고 검토되고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는『정조실록』외에『홍제전서』,『일성록』등 연대기적 사료와 현륭원 조성 당시 문헌자료들을 참고하였다. 논문은 크게 5장으로 구성하였으며 제1장 서론에 이어 제2장 풍수지리의 개념, 제3장 정조의 풍수와 효 인식, 제4장 정조의 현륭원 조성과 화성축성 그리고 제5장 결론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설명하였다.

      • Human Commuting Activity Recognition based on Mobility Natural Vibration on a Mobile Device

        허태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존의 사용자 행위인지는 웨어러블 센서를 방향과 위치를 고정한 채 몸에 부착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으로 스마트폰이 출시되었으며, 이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지니고 있어 기존 행위인지에서 사용되던 센서를 대체하게 되었다. 스마트폰은 특성상 사람들이 위치와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가지고 다니기 때문에 기존 센서와는 달리 위치와 방향 독립성을 보장해야 한다. 한편 현대의 사람들은 평일에는 핸드폰을 소지하고 차량을 이용하여 통근하는 등의 비슷한 생활양식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통근 활동 인지를 위한 최적의 환경이 구성되었다. 통근 활동은 통근 중에 일어나는 행위로써 서기, 앉기, 걷기, 조깅 및 자동차, 버스, 지하철, 기차, 오토바이, 자전거 등을 탑승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다니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센서로부터 가속도, 각속도, 속도, 좌표, 소리, 영상 등의 데이터를 습득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특징을 추출하고 분류하여 사용자의 행위가 무엇인지 파악 가능하다. 통근 활동을 자동으로 인지할 경우의 장점으로 1) 이동 수단 이용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자동으로 획득 가능하여 설문 등의 수동 방법에 비해 시간과 비용 절약이 가능하고, 2) 사용 중인 이동 수단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나 광고가 즉시에 전달 가능하며, 3) 건강 상태, 안전 문제, 소모 칼로리량 등이 모니터링 가능하여 건강 관련 서비스가 가능하고, 4) 온실 가스 탄소 발자국 예측 등이 있다. 통근 활동 중에서는 차량 인지가 가장 큰 문제를 야기한다. 이는 차량 안에서는 사람이 서 있거나 앉아 있는 등 움직을 보이지 않으며, 이는 정적 행위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시계열 센서 신호에서는 수치에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며 특정한 패턴을 가지지도 않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몇 연구에서는 주파수 신호에서 특징을 추출하였다. 주파수는 단위 시간 당 반복적인 이벤트 발생 횟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주로 추출되는 특징으로는 통계적 특징인 평균이나 표준 편차, 그리고 최대 진폭을 보이는 주파수 등이 있다. 그러나 통계적 특징의 경우 주파수 자체가 서로 다른 차원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에 대한 통계를 내어서는 안되며, 최대 진폭 주파수의 경우 고정되지 않고 변화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다른 고려 사항으로는 실제 환경에서 발생하는 예측되지 못한 변수에 대하여 기계학습 기법에서는 오류가 발생한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오류를 보정하기 위해서 기계학습 기반 분류 이후에 휴리스틱 기반 후처리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한다. 첫 번째는 소지위치 문제와 차량 분류 문제를 위한 차량의 고유진동 특징을 이용하는 것이다. 모든 물체는 고유진동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차량도 마찬가지로써 소지위치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두 번째는 행위 보정으로 현실 세계를 반영하여 분류 결과는 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GPS를 이용하여 지하철과 지상 차량을 분류하는 것, 상호 변환 규칙의 사용, 그리고 현재 행위, 이전 행위, 이전 보통 행위를 이용한 행위 보정 방법이 사용된다. 실험 결과에 따라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통근 활동 인지 방법보다 높은 결과를 나타냄을 입증하였다. Traditional Human Activity Recognition attached wearable sensors on the body with fixed position and orientation. As the technology has developed, smartphone has emerged embedded with various kinds of sensors, substituting wearable sensors. Due to the nature of smartphone, people carry it on any place with different orientation. This lead to one of an important consideration, guaranteeing position and orientation independency. Meanwhile, people nowadays show similar life pattern. This includes such as people go to work on week days, uses vehicles for movement, and carry a smartphone. This makes a perfect chance to recognize commuting activities. Commuting activity is an activity happening during commuting such as standing, sitting, walking, jogging, riding a car, bus, subway, train, motorcycle, bicycle, and many others. As most of the people carry smarpthone, we can extract inertial data from accelerometer and gyroscope, speed and coordinate information from GPS, sound from mic, video from camera and so on. From these data, we can extract features and classify them to know which activity the user is performing. The advantage of automatic detection of commuting activity will be 1) Statistical data of transportation usage can be acquired automatically, reducing the cost and time spent via manual survey, 2) User customized services or advertisements can be provided based on transportation just-in-time, 3) Monitoring health status, safety issues, and consumed calories can be provided for health care, and 4) Carbon footprint can be estimated which is a unit of an object producing greenhouse gas. Especially vehicles among commuting activities possess major issues. The problem is that user does not move inside the vehicle, only standing or sitting. These are static activities having no big variation on sensor signal, and also showing no eigen pattern from time domain signal. To overcome this problem, some of the research extracted features from frequency domain signal. Frequency i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a repeating event per unit of time. Mainly extracted features are statistical features such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r peak frequency. But these features contains problems that statistical feature cannot be applied in frequency domain that each frequency is representing different dimension, and the peak frequency can be changed. Another consideration of commuting activity recognition is that due to unseen real world environmental factors, error may cause based on machine learning method. To correct this error, heuristic based post-processing is required after machine learning based classific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two methods are proposed. The first is using natural vibration features to handle position independency and classifying vehicles. As every object has their own natural vibration, each vehicle will have their own too, and this does not affect the position of the sensor. The second is activity correction which adjusts the classified result taking into account real world scenario. In here, GPS coordinate is used to distinguish from road vehicles to subway when the subway runs ground level, state transition rule is adopted, and the activity is corrected referring current activity, previous activity and previously corrected activity. From our experimental result, the proposed method shows higher performance than existing method for commuting activity recognition.

      • 농업 ODA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수원국 개발수요 중요도 분석 : AHP 분석

        허태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DA, this work tri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and problems in the agricultural and farming village part of Kore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reas. This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the point that most cooperation projects have been performed uniformly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cipient Country. Therefore, this work conducted a development demand survey with the experts dispatched to each Recipient Country, in order to look into the development demands of each Recipient Country, compare them with a donor's support details, and thereby explore the differences. For this study, this researcher performed a development demand survey twice. In the first development demand survey, the simple priority result was found. In the second development demand survey, AHP analysis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item and analyze the development priority of each item.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Korea's support details about ODA projects in the agricultural area, this work explor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evelopment demand survey and support details.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development demands of Recipient Country had similar weight values in terms of agricultural production technology, food supply,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However, according to the Korea's support details about agricultural ODA, agricultural production technology part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part had similar support cases, whereas food supply part had relatively low support cas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demand survey on Asia, agricultural production technology items were placed in the highest priority. However, KOICA's support details showed that the organization gave the most support to agricultural development item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demand survey on Africa, food supply items were placed in the highest priority, but, KOICA concentrated their support on agricultural production technology item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demand survey on Latin America, agricultural production technology items were placed in the highest priority, but KOICA's support details revealed that the organization gave the similar support to agricultural production technology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tems. According to KOICA's support details, improvements of production technology for fish farming, stock raising, vegetables and seed potatoes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of production technology items. In terms of food supply items, processing centers of agricultural products accounted for the most, and in terms of agricultural development items, the support for irrigation ditches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accounted for the most. Therefore, it was found that Korea's ODA projects failed to reflect Recipient Country' stage-based development situations, but that the ODA projects have been performed uniformly in the areas which Korea experienced a lot. Also, it was found that the regional development priority items drawn from the development demand survey of this work was inconsistent with KOICA's support detail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inconsistency, it is required to conduct a development demand survey prior to the execution of a projec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conduct the first development survey demand by performing Korean agricultural/farming village training, and then conduct the second development demand survey for importance by returning training participants to Recipient Country and thereby comparing what they feel in the countries with what they learned in training. In so doing, it is possible to draw effective projects through the discussion of experts of both donors and Recipient Country. By creating the community to help to make the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choose projects in the areas which have low probability of project failure at the beginning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ojects. 본 연구는 ODA의 효과성을 증대시키고자, 한국 국제협력 분야 중 농업·농촌부문을 중심으로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대부분의 사업이 각 수원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수원국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개발수요조사를 통해 수원국의 개발수요를 확인하고 공여국 지원내역과 비교함으로써 그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개발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수요조사는 1차-2차에 나뉘어 실시하였으며, 1차 개발수요조사는 단순우선순위결과를 확인하였고, 2차 개발수요 중요도 조사는 AHP 분석을 통해 평가항목의 중요도를 산출하여 항목의 개발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의 농업부문 ODA 사업의 지원내역을 비교하여 개발수요조사와 지원내역간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개도국의 개발수요는 농업생산기술, 식량공급, 농촌개발 3개 부문에 대해 비슷한 가중치를 보이고 있으나, 한국 농업 ODA의 지원내역을 살펴보면 농업생산기술부문과 농촌개발부문에 비슷한 지원건수를 보이고 있으나, 식량공급부문에 대한 지원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아시아의 경우 개발수요조사 결과 농업생산기술에 대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반면, 실질적으로 KOICA의 지원내역을 살펴보면 농촌개발항목에 대한 지원이 많았다. 아프리카의 경우 식량공급항목이 개발수요조사 결과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반면, 실질적인 KOICA의 지원은 농업생산기술에 집중되어 있었다. 중남미의 경우 개발수요조사에서 농업생산기술에 우선순위가 가장 높았으나, 실질적인 KOICA의 지원내역을 살펴보면 농업생산기술과 농촌개발 두 항목의 지원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KOICA의 지원내역을 살펴보니 생산기술 항목에서는 양어, 축산, 채소, 씨감자 등 의 생산기술향상이 주를 이루고 있고, 식량공급 항목에서는 농산물가공센터, 농촌개발 항목에서는 관개수로 지원 및 농촌개발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즉, 수원국의 발전단계별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채, 한국의 경험이 많은 분야에 대한 사업이 일률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개발수요조사를 통해 나온 지역별 개발우선순위와 KOICA의 지원내역이 불일치를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사업 시행 전 개발수요조사를 실시하여 사업의 불일치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한국 농업/농촌 연수를 진행하여 1차 개발수요조사를 실시하고, 현지에 귀국하여 현지에서 느낀 점과 연수내용을 토대로 다시 2차 개발수요 중요도 조사를 실시한다. 그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양국의 전문가들이 협의를 통해 효과적인 사업을 도출해 낼 필요가 있다. 이러한 협의를 이끌어내는 커뮤니티를 형성함으로써, 사업 선정 시부터 사업의 실패확률을 낮추고 효과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분야로 사업을 선정해야 한다.

      • 전시관람을 위한 파노라마 VR 콘텐츠 구현 및 유용성 연구

        허태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oday's IT and contents industries, virtual reality is gathering attention as one of the next generation technologies beyond the smart phone market, which is already saturated. In the past, the virtual reality equipments was massive, heavy and pricy, so military and research institutes usually used them. 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and smart phone, which is the next generation IT hardware,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about to be introduced to general users. Meanwhile, once market ecosystem is completed, demand of contents is increasing inevitably, so the relevant industries increase the investment of contents development and research, enhancing contents productivity. The immersion type of virtual reality contents is most actively developed in the game field due to the technical characteristic of 1st person HMD terminal, and its contents utilization is tr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ovie, medical field, exhibition and SNS. Nevertheless, other than game field, it is short demo-level of contents and hardly available for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xpansion of VR contents utilization was considered, so the effectiveness was analyzed through panorama VR contention realization and application cases with the exhibition field focus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ulture contents technology in museums and galleries, the method of information transmission is extended from the passive one way exhibition to the active experience type, which is correlated with the virtual reality immersion and the user communication theory through experience. Thus, VR contents utilization effectiveness needs to be discussed focusing on the exhibition field. In this study, the reason the panorama VR contents utilization is needed in the exhibition field is discover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norama VR contents are researched as research problems. For understanding of VR contents technology types proper for application to the exhibition field, the media characteristics by systems and contents types are considered, and the precedent studies and tendency are analyzed. In addition, as the exhibition environment is changing, the appropriateness for exhibition field VR contents application time is discussed based on the panorama VR contents application cases in Korea and overseas. Lastly, one exhibition site of 2015 is set as the research target, and the smart phone-based HMD VR contents realization process is organized with the software and hardware access methods. Through the comparison with commonly used VR contents, contents characteristics for application to the exhibition field are studie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iveness based on field application cases show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smart phon-based panorama VR contents realization principle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easily realized without complicated programming process, and it is expected to access t various fields in addition to the exhibition field. For this, attention should be paid during the filming stage in order not to cause any problems with contents realization due to distortion and ommission of images. Second, for realization of VR contents with high effectiveness of exhibition application, supported viewing angle and provided senses should be increased for visitors' active participation, so it should be expanded into interactive contents. Besides, with consideration of human fact elements such as dizziness, the immersion type of contents production paradigm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ooperation of technology and contents producers from the planning stage of VR conten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VR contents that can expand and optimize users' cultural experiences. 오늘날 IT 및 콘텐츠 업계에서는 포화상태가 된 스마트폰 시장을 넘는 차세대 기술 중 하나로 가상현실에 주목하고 있다. 과거 가상현실 구현장비는 부피가 크고 무거웠으며 고가인 문제로 군과 연구기관에서 주로 운용되어 왔다. 그러나 컴퓨터의 발달과 차세대 IT 하드웨어인 스마트폰이 개발되며 가상현실 기술은 이제 일반 사용자들에게도 보급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시장 생태계 형성이 완료되면 필연적으로 콘텐츠 수요가 늘어나게 되는데 유관업계에서도 이를 위해콘텐츠 개발의 투자와 연구를 늘리며 콘텐츠 생산성을 높이고 있다. 몰입형 가상현실의 콘텐츠는 1인칭 시점이란HMD 단말의 기술적 특성으로 게임분야에 가장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그 외의 영화, 의료, 전시, SNS 등 다양한 분야에 콘텐츠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게임 이외에는 짧은 데모수준의 콘텐츠이며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할 만한 콘텐츠가 잘 보이지 않는 것 또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R 콘텐츠 활용도 확장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전시분야를 중심으로 파노라마 VR 콘텐츠 구현 및 활용 사례를 통해 유용도를 분석했다. 박물관, 미술관에서의 문화콘텐츠 기술의 도입을 통해 정보전달방식이 수동적 일괄전시에서 능동적인 체험의 유형으로 확장중인데 이는 가상현실의 몰입과 체험을 통한 수용자 커뮤니케이션 논리와도 상통되기에 전시분야를 중심으로 VR 콘텐츠의 활용 유용도를 논의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로 전시분야에서 파노라마 VR 콘텐츠 활용이 필요한 이유를 알아보고 활용을 위한 파노라마 VR 콘텐츠의 특징이 무엇인지 밝혀본다. 전시분야 활용에 적절한 VR 콘텐츠 기술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시스템별, 콘텐츠유형별로 매체특성을 고찰해보고 선행연구와 동향을 분석한다. 또한 전시환경에 변화되며 파노라마 VR 콘텐츠의 국내외 활용 사례를 토대로 전시분야 VR 콘텐츠 활용 시점에 대한 당위성을 논구한다. 마지막으로 2015년의 전시현장 한 곳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여 해당 전시활용을 위한 스마트폰 기반의 HMD VR 콘텐츠 구현프로세스를 소프트웨어적 하드웨어적 접근방법으로 정리한다. 상용 VR 콘텐츠와의 비교를 통해 전시분야 활용을 위한 콘텐츠 특징에 대해 밝혀보고 현장 활용 사례를 토대로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기반의 파노라마 VR 콘텐츠의 구현원리는 복잡한 프로그래밍 과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쉽게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전시분야 외의 다양한 분야에서 접근이 기대된다. 한편 이를 위해서는 이미지의 왜곡현상 및 누락으로 콘텐츠 구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촬영단계 진행시 주의해야 한다. 둘째, 전시 활용 유용도가 높은 VR 콘텐츠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관람객의 능동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지원시야각과 제공감각을 늘려 공감각화한 인터렉티브 콘텐츠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어지러움 증과 같은 휴먼펙트의 요소도 고려하여 VR 콘텐츠의 기획 단계부터 기술과 콘텐츠 제작자의 협업을 통한 융합형 콘텐츠 제작 패러다임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이용자에게 문화체험의 기회를 확대하고 최적화될 수 있는 VR 콘텐츠 개발방향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