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표면 특성에 따른 스쿼트, 월 스쿼트, 스패니쉬 스쿼트 동작 시 대퇴 근육의 활성도 비교

        허지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안정적인 지면과 불안정한 표면에서 스쿼트, 월 스쿼트, 스패니쉬 스쿼트 동작을 수행할 때 대퇴 근육의 활동 및 근육 활성도 및 동시 수축 차이를 비교하여 부상의 예방 및 더욱 효과적인 운동 효과를 낼 수 있는 운동 동작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소 최소 60분씩 주 3외 이상의 신체 활동을 수행하는 20~30대의 남성 22명을 실험 대상자로 선정하여 하지 근육 6곳(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 대퇴이두근, 반건양근, 박막양근)에 무선 근전도 기기를 부착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 안정적인 지면으로는 실습실 바닥, 불안정한 표면으로는 보수 볼 위로 설정하였으며, 두 가지 환경에서 각각 스쿼트, 월 스쿼트, 스패니쉬 스쿼트 동작을 수행하였다. 세 가지 스쿼트 동작의 근육 활성도를 지면의 특성별로 비교하기 위하여 이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은 지면 특성과는 관계 없이 스쿼트 종류에 따라 근 활성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패니쉬 스쿼트 수행 시 다른 스쿼트 동작보다 대퇴직근, 내측광근, 외측광근의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햄스트링은 스패니쉬 스쿼트 동작이 월 스쿼트보다 대퇴이두근의 근 활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건양근은 지면 특성에 따라 근 활성도에 차이가 있었다. 스패니쉬 스쿼트 동작을 수행할 때 대퇴직근, 외측광근, 내측광근의 근 활성도가 스쿼트나 월 스쿼트보다 높게 나타나는 결과도 얻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스패니쉬 스쿼트 운동이 부상 예방 및 효과적인 운동효과를 낼 수 있는 동작으로 제안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드라마를 통한 일본인의 경어행동 연구

        허지혜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honorific and Chinese characters are most difficult education points to foreigner learners who learn the Japanese language, especially the honorific is difficult to use correctly because the expression changes whom who you use it to how. The reason is the Korean language uses expressed absolute honorific by regular bases,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language uses comparative honorific distinguishing between own direction and the other party according to psychological and circumstantial factors. For this reason I analyzed factors of Japanese honorific behaviors, and treated the examples, and I studied it, in order to keep smooth personal relations with the Japanese, and to minimize an error of honorific uses. It is based on honorific expression sentence patterns and conversations of the Japanese in real life, and I understand honorific structure and its correct concept of the Japanese language. In this essay for using Japanese drama scripts of three in 2008 showed, I looked into examples, and tried to analyze it as dividing three elements, social, circumstant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classified Japanese honorific behaviors at Han Mi-Kyung's book with 1) the upper and lower classes relation (home, office, school, general relation), 2) intimacy relation, 3) favors and roles relation 4) classification of conversation scenes, 5) indirect conversation by conversation media (a spoken language. a negative language, a character language), 6) a feeling of psychologic distance, 7) judgment regarding a topic man, 8) regard about the other party's feeling, 9) regard about the scene and 10) own dignity maintenance. In the upper and lower classes relation, it showed honorific behaviors in ages and standings, and in intimacy relation it showed them as mutual friendship relation and estrangement relation. In favors and roles relation, it showed a trend that the person who got from a favor used honorific that earnestness is high relatively by comparison with the person who gave a favor, in roles relation it could show honorific behaviors uses of honorific changed according to strength and weakness of force. In classification of conversation scenes as changing honorific behaviors in official scenes and personal scenes, it showed they used honorific in official scenes for the majority(多数), and it showed the feeling of closeness they used a non-honorific in one-on-one personal scenes. In indirect conversation by conversation media, it explained it as divided by a spoken language. A negative language, a character language, but two case all showed a common figure to use with honorific for the message that oneself would express to partners. In a feeling of psychologic distance, it was governed by feelings, there were a lot of cases to be given mainly in names in judgment regarding a topic man, and it showed if a listener was considered that it is own side, he treated you without reserve and if not being own side, he treated honorific behaviors to rise a partner. In regard about the other party's feeling, it showed honorific behaviors to use stylized euphemistic expressions 「すみません」「お世話になる」「おかげです」「せっかく」etc. to front and back of conversations, in regard about the scene it showed figures to show in honorific behaviors to be elegant and refined as ceremonious languages use「こちら」「本日」「ご愛顧」etc. in specific places. Finally in own dignity maintenance, I was able to know that it wasn't a purpose to use it as it give consideration to a partner but it raised own dignity and it used by means of showing to the persons whom there is culture by honorific uses. I was able to know that a Japanese honorific behaviors in real life were governed by various factors through this study. But it was reconsidered necessity of concrete and practical study through analysis of more data and actual examples as Japanese honorific behaviors is given according to comparative and subjective mental states. Also it has a purpose of this study it makes Korean learners use with correct honorific, it sees a partner by the honorific behaviors that are the least courtesy and consideration and it makes it so as to be able to speak natural Japanese. 일본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한자와 함께 가장 어려운 학습항목인 경어는 누구에게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그 표현이 달라지기 때문에 올바른 경어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그 이유는 한국어는 일정한 기준에 의해 표현되는 절대 경어를 사용하는 반면 일본어는 심리적∙상황적인 요인에 따라 자기 쪽 사람과 상대편을 구별하는 상대경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본인과의 원활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고 경어사용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해 일본어의 경어 구조와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고 일본인들이 실생활에서의 경어표현 문형과 회화를 바탕으로 일본인의 경어행동의 요인을 분석하고 그 용례를 다루어 연구하였다. 본고에서는 2008년 방영된 3편의 일본드라마 대본으로 한미경의 책에서 일본인의 경어행동을 분류한 사회적요인, 상황적요인, 심리적요인의 세 가지의 요소를 1)상하관계(가정, 직장, 학교, 일반관계), 2)친소관계, 3)은혜․역할관계, 4)대화 장면의 구분, 5)대화 매체에 의한 간접대화(음성언어, 문자언어), 6)심리적 거리감, 7)화제의 인물에 대한 판단, 8)상대방의 기분에 대한 배려, 9)장면에 대한 배려, 10)자기품격유지로 나누어 용례를 살펴보고 분석해 보았다. 상하관계에서는 연령의 상하관계와 지위의 상하관계에서 경어행동 나타나고 친소관계에서는 상호간 친분관계인지 소원한 관계인지에 따라 경어행동이 나타났다. 은혜․역할관계에서는 은혜를 입은 사람이 은혜를 주는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어의 정중도가 높은 경어체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며 역할의 관계에서 힘의 강약에 따라 경어의 사용이 달라지는 경어행동을 볼 수 있었다. 대화 장면의 구분에서는 공적인 장면과 사적인 장면에서 경어행동이 달라져 같은 표현을 하더라도 다수(多数)를 대상으로 하는 공적인 장면에서는 경어체를 사용하여 격식 있는 모습을 보이고 일대일(一対一)의 사적인 장면에서는 비경어체를 사용하여 친근함을 나타내는 경향이 나타났다. 대화매체에 의한 간접대화는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로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두 경우 모두 상대에게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경어체로 사용하는 공통적인 모습을 보였다. 심리적 거리감은 감정에 의해 좌우되며 화제의 인물에 대한 판단에서는 주로 호칭에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으며 청자가 자신의 쪽이라 간주되면 격의 없이 대하고 청자가 자신의 쪽이 아니라고 간주되면 상대를 높이는 경어행동을 보였다. 상대방의 기분에 대한 배려는 대화의 앞뒤에 「すみません」「お世話になる」「おかげです」「せっかく」등의 정형화된 완곡한 표현을 사용하는 경어행동이 나타나며 장면에 의한 배려는 특정장소에서 격식을 차리는 말로 「こちら」「本日」「ご愛顧」등을 사용하여 격조 있고 품위 있는 경어행동을 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자기품격유지에서는 상대를 배려하여 사용함이 목적이 아니라 경어사용으로 인하여 자신의 품격을 높이고 교양 있는 사람으로 나타낼 수 있는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실생활에서 일본인의 경어행동이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하여 좌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상대적이고 주관적인 심리 상태에 따라 일본인의 경어행동이 나타나기 때문에 보다 많은 자료의 분석과 실례를 통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재고되었다. 또한 한국인학습자들로 하여금 올바른 경어사용과 최소한의 예의와 배려인 경어행동으로 상대를 대하며 자연스러운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하겠다.

      • 텍스타일디자인 유형화에 따른 오브제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허지혜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Objet Based on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 Components Huh, Ji Hye Dept. of Fine Art & Design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Modern society is experiencing a new paradigm such as urban problems, expansion of scale, an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design has evolved into various concepts, mutually developed and influenced by history, culture, society, politics, technology, and materials. The changing paradigm of design suggests a new direction of textile design that respond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ety. Currently, the response to the paradigm is relatively inadequate in the textile design field compared to other design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extile design that can utilize individuality and respond in multiple angles through research on the general classification system and applicability of textile design, that follows the design paradigm change. This way of product creation in the design planning process brings out differentiation, a new perspective, to the users, which improves products and increases its competitiveness. Design Integrations: Research and Collaboration, noted that new areas of design coupled with methods, techniques and scientific developments for analyzing patterns of complex problems in design will grow significantly and also claimed that an integrated design area with other fields will emerge. This way of value increase is not a work of art to satisfy the personal desires of designers, but a way to improve products and increase its competitiveness by presenting differentiation, a new perspective, to the users. By focusing on the creative and innovative aspects of the product, various types of application method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s can be extended to the areas of competitiveness that are important from the present marketability. In response to this demand, the study begin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he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 compon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fic components and elements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 general concept of textile design and objet, and to suggest applicability of new expression expansion by elucidating component types and its applicability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 2,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s related to textile design and objet were reviewed, and the etymologies and concepts of textiles and objet were summari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aimed to extract the components and elements of textile design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trends in previous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ile design and objet and its applicability was discussed through the extracted components and elements from the analysis of the trend in previous studies on objet. In chapter 3, textile design components and elements are extra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on objet and the reclassification and standard of textile design components. The applicability in relation with the specific element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alysis was derived. In chapter 4, specific elements applicable to objet according to textile design component classification were derived. Through this, the classification of applicable components and elements of textile design and objet were solidified. The validity of the final classification categories was confirmed to verify the component classification category and the specific elements. Reliability and importance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collecting questionnaires on the component classification from a group with expertise on the applicability of the textile design and the specific elements of objet. In chapter 5, verification and case analysis subjects on applicable textile design elements were selected to verify the component classification that was for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ion criteria and empirical analysis. By empirical analysis, the importance of applicable textile design component classification was confirmed. Through verification of objet applicable elements from the textile design component classification, a connecting role can from to expand new areas of expression and provide plans for actualized objects (product manufacturing type). An applicability that can actualize and subdivide, through the elements and components that can create new objects (present state expansion), is suggested. It was analyzed by the expert interview that was done to verify the component classification categories. In chapter 6, a comprehensive study result on the studies above is summarized, with a description 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plan, and the suggestion of objet applicability on textile design. In this study, a new direction of textile design was explored through examining previous studies and the classification of components was theoretically established. The study acts as a guideline for objet application method based on textile design component classification, and provides a foundational basis for active response in different situations. The study suggests product creation and design planning that gives differentiation, a new perspective, to the consumers, to improve products and increase its competitiveness.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for the research on various applicability according to the component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 to continue in the future. Key words: Textile design element, objet application element, classification, relational applicability 현대사회는 도시문제, 규모의 확장, IT기술의 발달 등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고 있다. 디자인은 20세기 후반 이후에 역사, 문화, 사회, 정치, 기술, 소재의 발전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다양한 개념으로 발달되어 왔다. 디자인의 패러다임 변화는 사회의 급속한 발전에 대응하는 텍스타일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텍스타일디자인 분야는 타 디자인분야에 비해 패러다임의 대응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디자인 패러다임 변화에 맞추어 텍스타일디자인의 전반적인 유형분류 체계와 오브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자신의 고유한 개성을 살려 다각도로 대응할 수 있는 텍스타일디자인 기반을 마련 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제품을 창조하는 것은 디자인 기획 할 때에도 사용자에게 차별성 즉, 새로운 시각을 줄 수 있는 것이 제품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디자인 통합(DesignIntegrations: Research and Collaboration)에서 역사적인 배경과 시대적 흐름에 따라 구성방식이나 표현방법이 다양해지면서, 디자인의 복잡한 문제의 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기술 및 과학 발달과 연계된 디자인의 새로운 분야들이 현저히 발전하게 되며, 타 영역 간의 통합된 디자인 영역도 등장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복잡한 패턴을 분석하기위해 텍스타일디자인의 각각의 고유한 특징을 갖는 유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그에 대한 특성을 정리한 자료가 제공된다면, 대상, 목적, 상황에 맞는 적용 방법을 구현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치 증대는 텍스타일디자이너의 개인적인 만족을 충족시키기 위한 예술 작품이 아니며, 사용자에게 차별성 즉, 새로운 시각을 줄 수 있는 것이 제품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제품의 창조적인 것과 혁신적인 것을 중심으로 텍스타일디자인의 유형 분류를 통한 다양한 적용방법은, 현재의 시장성에서 중요한 경쟁력 있는 영역으로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른 요구에 맞추어 텍스타일디자인의 유형화의 필요성 인식에서부터 본 연구는 출발하고자 하였다. 텍스타일디자인과 오브제의 일반적인 개념과 선행연구를 통한 구체적인 요소, 유형들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적용 가능성에 대한 유형 항목을 도출하여, 새로운 표현 확장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텍스타일디자인과 오브제에 관련한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문헌연구를 통해 텍스타일과 오브제의 어원 및 개념에 대해 정리하였다. 이에 따른 텍스타일디자인의 선행연구 동향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한 유형과 요소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오브제의 선행연구 동향 분석에서는 추출된 유형과 요소를 통해 텍스타일디자인의 관계성 및 적용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텍스타일디자인의 유형에 대한 기준과 재분류를 통해 유형화 및 요소와 오브제의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유형 및 요소를 추출하였다. 유형화 분석에 따른 구체적 요소의 관계적 적용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텍스타일디자인 유형화에 따른 오브제 적용 가능한 구체적 요소를 도출 하였다. 이를 통해 텍스타일디자인과 오브제의 유형 및 요소에 있어서 적용 가능한 항목과 요소를 구체화 하였다. 유형화 항목 및 구체적 요소 검증을 위해 최종적으로 추출된 유형 항목별 타당성 검증을 하였다. 텍스타일디자인과 오브제의 구체적 요소에 따른 적용가능성에 대해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유형 항목별 설문조사를 통해 신뢰도 및 중요도를 분석 하였다. 5장에서는 실증분석 대상의 선정기준과 특성에 따른 유형화 항목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텍스타일디자인 요소의 사례분석과 검증대상을 선정한다. 실증분석을 통해 오브제 적용 가능한 텍스타일디자인 유형화 요소의 중요도를 검증하였다. 텍스타일디자인 유형화에 따른 오브제 적용 가능 요소 및 검증을 통해 새로운 표현 확장, 구체화 된 사물(제품 제작형)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 즉, 고리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새로운 사물(확장된 현재성)을 제작 할 수 있는 요소 등 유형을 통해 구체화 ‧ 세분화 할 수 있는 적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유형화 항목 검증을 위한 전문가 인터뷰(Expert Interview)를 통해 분석하였다. 6장에서는 앞에서 진행한 연구들을 토대로 종합적인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이를 토대로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서술하고 텍스타일디자인의 오브제 적용가능성의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타일디자인의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유형화를 이론적으로 정립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른 텍스타일디자인 유형화에 따른 오브제 적용방법으로서 하나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주는 것이며, 상황에 맞춰 능동적으로 대응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제품을 창조하는 것과 디자인을 기획 할 때에 소비자에게 차별성 즉, 새로운 시각을 줄 수 있는 제품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텍스타일디자인의 유형화에 따른 다양한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질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텍스타일디자인 요소, 오브제 적용 요소, 유형화, 관계적 적용가능성

      •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허지혜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2~3년 동안 휴대폰의 급격한 기술 발달은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문화 도구를 만들었으며, 그 영향력은 ‘스마트폰 중독’으로 확대되었다. 스마트폰이 청소년들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하고 있는 현재에 스마트폰 중독은 행동 중독 현상의 하나로 나타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청소년들이 스마트폰 사용에 지나치게 집착하게 되는 중독 행동을 보이면 스마트폰은 더 이상 언어소통을 위한 도구가 아니라, 청소년의 삶을 지배하는 수단이 되어 버리는 것이다. 가족과의 대화가 단절되고, 스마트폰 사용이 아닌 취미활동이나 학교생활에는 소홀해지는 것이다. 인터넷 중독처럼 스마트폰 내에서의 인간관계에만 집착을 하게 되어서 정상적인 성격형성이나 인간관계 형성 또한 어렵게 된다. 본 연구는 청소년 중에서도 중학교 1,2,3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재학 중인 중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0.0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을 중학생으로 선정한 이유는 청소년의 초기단계로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자아존중감과 친구관계가 신체적․심리적 변화를 겪으면서 구체적으로 형성되는 시기를 중학생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성별, 스마트폰 사용 후 인터넷 사용시간 경감유무, 스마트폰 하루 사용시간,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모님 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각각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스마트폰은 휴대폰의 기능과 PC의 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도구이며, 스마트폰 중독이란 청소년기에 보여지는 인터넷 중독, 게임 중독과 비슷한 성격을 가진 새로운 개념의 중독현상임을 알 수 있다. 중독현상의 하나로서 스마트폰의 중독 수준은 높아지고 있으며, 자아존중감이 낮은 청소년일수록, 특히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일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길수록, 부모님의 잔소리와 같은 간섭이 심할수록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며, 청소년이 바람직한 스마트폰 사용 방향을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청소년 복지에서 문제시 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2-3 years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mobile phones 'smart phone' has created a new cultural tool, its influence 'smartphone addiction' has been expanded to. Smart phone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o offer young people in the current smartphone addiction is a behavioral addiction appears as one of the. In other words, young people use smartphones to be overly obsessed smartphone addiction behavior you see is no longer the language as a tool for communication, a means to dominate the lives of youth will become. Cut off the conversation with your family and hobbies and non-use of smart phones in school is to be neglected. Internet addiction in smartphones like the obsession to be the only normal human relationships and human relationships formed character is also difficult  This study among adolescents in middle school for grades 1, 2, 3, and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smartphone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egu and Gyeongsangbuk-do middle school students enrolled in a survey of 610 people was conducted, SPSS 20.0 and analyz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was verified. The reason for selection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urveyed in the early stages of the youth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physical self-esteem and peer relationships. While undergoing psychological changes when formed specifically to middle school students had seen. About the level of youth addicted to smartphones analysis esteem affects a smartphone addiction was confirmed that the gender, using smart phones and Internet time captain or not, using smartphones hours a day, parents attitudes about using smart phones the smart phone addiction that significantly affect were eac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unctions of a mobile phone smart phone and the PC is a tool that has a combination of features, smart phones, internet addiction shown in Iranian adolescent addiction, game addiction is similar to the nature of the addiction with a new concept that can be seen. Addiction as one of the higher levels of smartphone addiction, and youth with low self-esteem the more, the more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in particular, the longer smartphone use, such as parents' nagging interference increases the severity level of the smart phone addiction could se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of adolescents addicted to smartphones with a greater understanding of material will be important to broaden youth is desirable to recognize the direction of smartphones will be able to provide that opportunity. In addition, the youth welfare is at issue in the smart phon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for addiction based on the data is expected to be able to present.

      • 노인복지관의 사회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노인음악교육 실태분석

        허지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사회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 노인음악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향후 노인음악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고령화의 특징과 고령화 사회에서의 노인교육의 중요성, 노인교육의 정의, 그리고 음악교육이 노인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고 한국 노인교육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노인교육기관에서의 음악교육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211개의 노인복지관이 설립되어 있으며, 이 중 44개 기관이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다. 이 논문은 경기도 소재 44개 노인복지관 중 설문조사에 응한 33개 기관을 대상으로 기관별 사회교육프로그램 담당자와 음악교육 강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노인음악교육 실태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노인복지관에서 음악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다. 사회교육프로그램 담당자들의 보유자격증 비율은 사회복지사 자격증 보유율에 비해 평생교육사와 노인교육전문가 자격증의 보유율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음악교육강사들에 있어 가장 높은 소지 비율을 나타낸 건 정교사 2급 자격증이었다. 노인복지관 음악교육강사의 연령분포는 40대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50대, 60대와 30대 그리고 20대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노인복지관에서 실시 중인 음악교육프로그램은 가요교실, 가곡교실, 민요교실, 합창단 또는 합창반, 풍물놀이나 사물놀이, 난타, 장구, 하모니카, 오카리나, 아코디언, 기타합주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노인복지관의 사회교육프로그램 담당자와 음악교육강사는 자신들에게 노인교육(노화와 노인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현재 사회교육 담당자에게 연수나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기관은 17개였으나 담당자와 강사 모두에게 연수나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곳은 한 곳뿐인 것으로 조사됐다. 앞으로는 경기도뿐 아니라 전국의 노인복지관을 비롯한 노인교육기관들을 대상으로 한 음악교육현황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노인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국가차원에서의 연구들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search and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music education for older adults in the social education programs of senior welfare center and to investigate the futur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for older adults based on the result from above. For thi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the definition of educational gerontology along with the impact of music education on the elderly learners were surveyed first through the documentary study. Presently, Korea has 211 senior welfare centers, 44 of which are located in Gyeonggi-do. In this paper,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for the social educational program directors and the music education instructors of 33 senior welfare centers in Gyeonggi-do to comprehend the situation of music education for elderly peopl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l senior welfare centers were carrying out the music education programs. The retaining rate of social worker license was as high as 96.4%, the rates of lifelong educator and educational gerontology specialist were fairly low. The highest rate of the music educators was the teaching certificate/teacher's license. The age range of music educators in the senior welfare centers was 40% of 40s, 27.1% of 50s, 14.3% of 30s, 14.3% of 60s and 4.3% of 20s.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 in the senior welfare centers were made not only for older adults but also by older adults. Present music education programs in the senior welfare centers were surveyed as pop song class, classical song class, traditional song, choir activity, folk play or samulnori(traditional performance), nanta(beating performance), janggu(traditional drum), harmonica, ocarina, accordion and other symphony activities.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education programers and the music lecturers were feeling the necessity of education about older adults and aging for themselves. Presently, the institutions which actually supplies the opportunity of training or education to the persons in charge of social education are 17. But the institution which provided the training or education to both of person in charge and lecturer was only one. In the item questioning which effect of the music education for the elderly learners was greatest, 67.3% of persons in charge of social education program answered that it could give the mental stability and energy, while the music lectures answered uniformed for 3 items of the mental stability and energy, the improvement of memory and concentration and the enhancement of life quality through the creative activities by 31.4%. In the question about the operation level of current music education programs in the senior welfare centers, 41.8% of the persons in charge of social education program answered that the programs were diverse enough to meet the desires of learners. In the same question, 61.4% of the music lecturers answered that the satisfaction was increasing and the quality of program was improving thanks to their efforts. In the senior education program, it is not sufficient to faithfully follow the request of elderly learners. To maintain the present elderly participants and to induce the new elderly participant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develop the new programs including the interesting and challenging activities. Otherwise, it will never induce the new participants, because it becomes a self-satisfied program or gives an exclusive impression. In the future, it seems necessary to survey and analyze the situation of music education for elderly people in the senior education institutions including the senior welfare centers in the whole nation as well as Gyeonggi-do. In addition, the studies by the government should be carried out to systemize the elderly education.

      • 하도급 분쟁 조정에 관한 연구 : 분쟁 조정 성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허지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로서 하도급 분야 관련 분쟁 조정에서의 성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대체적 분쟁해결제도는 전통적인 사법적 구제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갈등을 해결하는 방식으로, 사법적 재판에 비해 신속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분쟁 당사자들이 분쟁해결의 주체가 됨으로서 자율적인 협의를 통한 합의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하도급 거래에서는 원사업자가 거래상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수급사업자에게 불공정한 거래 행위를 행하는 경우가 많아 국가 경제의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도급 분야에서의 분쟁을 조정하는 행정 기구로서 한국공정거래조정원에 설치된 하도급분쟁조정협의회에서 2018년 한 해 동안 처리한 사건을 대상으로 조정 성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분쟁 당사자들의 업종, 경제적 규모(매출액 및 자산총액), 분쟁 신청 취지, 분쟁조정에 소요되는 기간을 독립변수로 하여 조정 성립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조정이 성립된 사건들 중에서 조정을 통해 청구하는 금액인 신청금액 대비 실제 조정이 이루어진 금액인 조정금액의 비율인 피해구제정도에 앞서 열거한 독립변수들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분쟁조정에 소요되는 기간은 조정 성립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내었고, 신청인과 피신청인이 자동차 및 조선 업계에 종사하는 경우 다른 업종에 종사하는 것 보다 피해구제 정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조정이 하도급 분야의 분쟁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끔 제도적으로 보완하고자 하는 정책적 시도가 필요하다. 한편, 향후 하도급 분야의 분쟁을 해결하는 다른 조정 기관들과의 비교 분석 및 조정 제도의 한계점을 고려한 조정 절차에 대한 강제성 부여, 조정전치주의 등의 제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 factors on completion of mediation, as an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ADR), in the sub-contractor relationship. ADR is designed to resolve conflicts in a way that is different from the judicial process, which is efficient by reducing costs and time, and aims to reach an agreement through autonomous consultation of involved parti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ive factors of completion of mediation in the sub-contract relations of Korea Fair Trade Mediation Agency, during 2018.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result of the mediation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in the industry sectors of the dispute parties, economic scale (sales and assets), the causes of the disputes, and the period of the dispute. Using logistic regression, the duration of the dispute settlement period showed a negative effect on the completion of mediation. In addition, among the disputes that are solved, we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the damage relief and independent variables above.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egree of damage relief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industries when the dispute parties are engaged in the automobile and shipbuilding industries. Such research results require policy attempts to effectively resolve disputes in sub-contractor relationships.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be supplemented by further researches in the future such as comparing other institutes which play roles in resolve the disputes by mediation.

      • 게임이론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등 수학영재의 전략적 사고과정 분석

        허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삶을 살아가는 동안에 상대방과 영향을 주고받는 상황을 무수히 많이 만난다. 이때 우리는 ‘나는 어떤 행동을 해야 좋을까’를 생각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고는 상대방의 영향을 고려하여 전략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사고로 전략적 사고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략적 사고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경쟁력뿐 아니라 나아가 국가의 경쟁력 차원에서 꼭 필요한 사고이다. 따라서 미래 사회의 인재인 영재들에게 이러한 전략적 사고를 길러주는 교육이 필요하다. 게임이론은 주로 상호의존성이 존재하는 전략적 고려가 필요한 상황을 다루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반드시 전략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전략적 사고와 게임이론이 서로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에 대한 선행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게임이론에 관련된 문제 상황을 제시했을 때 영재 학생들은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전략적 사고가 어떤 과정으로 나타나는지를 자세히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게임이론 관련 문제에서 초기 전략을 수립할 때, 중등 수학 영재들은 전략적 사고의 각 단계별로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가? 2. 초기 전략에 대한 자기반성 과정과 상대 경기자(player)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중등 수학 영재들은 전략을 어떻게 재수립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게임이론 관련 문제를 선정하여 수학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1과 실험2로 나누어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 문제 1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영재 학생들은 초기 전략을 수립할 때, 인식하기 단계에서는 문제 상황에 대한 이해와 획득한 정보의 조직에서 영재들 간의 차이를 보인다. 둘째, 수학영재 학생들은 초기 전략을 수립할 때, 이해하기 단계에서는 상대방도 나와 같은 전략적 사고 과정을 거쳐 전략을 수립할 것이라는 가정을 하는지에 대한 것과 각 전략별로 나에게 좋은 전략이 무엇인지 세부적으로 분석하기에서 영재들 간의 차이를 보인다. 셋째, 수학영재 학생들은 초기 전략을 수립할 때, 추론하기 단계에서는 영재 학생들 마다 가지고 있는 최종 전략 선택 기준에 따라 최종 전략 선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최종 전략 선택 기준은 영재 개인의 경험, 가치, 인성 등과 관련된 것으로 최종 전략 선택에서는 추론하기 단계가 앞 단계들보다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문제 2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략 재수립 과정에서 영재 학생들은 초기 전략에 대해 자신의 전략과 상대방의 전략을 서로 평가해 보면서 자기반성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자기반성 과정을 거쳐 서로의 최종 전략 선택 기준이 공유되고 평가되어 다음 전략을 짜는데 영향을 주었다. 둘째, 전략 재수립 과정에서 영재 학생들은 상대 경기자(player)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최종 전략 선택 기준이 바뀌거나 다시 되돌아가는 등 재정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 결과를 통해 나온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이론 관련 문제들은 수학영재들이 전략적 사고를 경험해보게 하는 과제로 적절하다. 둘째, 수학영재 학생들 간에도 전략적 사고 능력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전략적 사고를 경험하고 길러 줄 수 있는 영재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게임이론과 관련된 문제에서 최종 전략 선택에서는 추론하기 단계가 가장 중요하다. 이때 추론하기 단계에서는 가치, 경험, 인성 등에 큰 영향을 받는 최종 전략 선택 기준이 재정립된다. 즉 정의적 영역에 대한 부분이 문제 해결에 큰 영향을 주는 것이다. 따라서 문제를 통해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경험, 가치, 인성 등 정의적 영역이 얼마나 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면 그 문제로는 게임이론 관련된 문제들이 적절하다. 넷째, 게임이론 문제 해결 과정에서 초기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는 학생 고유의 가치, 경험, 인성 등이 드러나고, 전략을 재수립하는 과정에서는 상대방의 가치, 경험, 인성 등을 공유하고 평가해보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는 나와 다른 다양한 가치들을 인식하고 이를 인정해보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이렇듯 게임이론은 영재 학생들의 전략적 사고를 경험해보게 하는데 적합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이 개발되고 연구되면 좋을 것이다. 또한 게임이론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면서 학생들의 다양한 가치를 드러내고 평가해 보는 인성교육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개발해 투입해 보는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도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Human Mesenchymal Stem Cell and Trophoblast Cell Line, BeWo.

        허지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Mesenchymal stem cells (MSCs) have greater potential for immediate clinical and toxicological applications, due to their ability to self-renew, proliferate, and differentiate into a variety of cell types. To identify novel candidate genes that were specifically expressed during transdifferentiation of human MSCs to neuronal cells, we performed a differential expression analysis with random priming approach using annealing control primer-based differential displ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approach. We identified genes for acyl-CoA thioesterase,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1, brain glycogen phosphorylase, ubiquitin C-terminal hydrolase and aldehyde reductase were up-regulated, whereas genes for transgelin and heparan sulfate proteoglycan were down-regulated in MSC-derived neurons. Thes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may have potential role in regulation of neurogenesis.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environmental toxicology in the field of testing the toxicity of a chemical or a physical agent.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d ginseng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and widely used in dietary supplement on a human trophoblast cell line, BeWo. The cell viability of MTT assay in preincubated BeWo cells with 100 ㎍/ml of red ginseng was about 3-fold increased compared with non-preincubated BeWo cells. Higher doses of red ginseng decreased cell viability and showed a cytotoxic effect at 10,000 ㎍/ml. In DCF assay, fluorescence intensity was about 10 % decreased in preincubated BeWo cells with 50㎍/ml and 100 ㎍/ml of red ginseng compared with non-preincubated BeWo cells. In the presence of 100 ㎍/ml of red ginseng after oxidative challenge with H2O2, Xanthine (Xa), Xanthine oxidase (Xo) and Xanthine plus Xanthine oxidase,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fluorescence intensity was lower than non-preincubated BeWo cells. Thus, red ginseng supplementation during pregnancy may exert cell proliferative and antioxidant effect via depending on dosage. We analyzed genes that were specifically expressed in incubated BeWo cells with 100 ㎍/ml of red ginseng. We identified genes for Homo sapiens acidic ribosomal phosphoprotein and Homo sapiens heparan sulfate 6-O-sulfotransferase 2 (HS6ST2) were up-regulated, whereas genes for Homo sapiens protein O-mannosyltransferase and Homo sapiens block of proliferation 1 were down-regulated in BeWo cells with 100 ㎍/ml of red ginse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