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한적 합리성이 반영된 금융시장모형에 관한 연구

        허지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87

        본 학위논문은 제한적 합리성이 반영된 금융시장모형에 관한 세 개의 소논문으로 이루어져있다. 제 1장에서는 거시경제에 대한 경제주체의 감성을 측정하는 방법론을 다루고 있다. 최근 제한적 합리성을 반영한 거시경제의 실증분석에서 어휘에 담겨있는 감성을 지수화한 다양한 분석방법들이 개발되고 제시되었다. 이런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과 기계학습의 기법을 민간 경제주체의 거시경제 상황에 대한 비관 또는 낙관의 척도와 통화정책을 포함한 경제정책의 기조에 대한 인지의 척도를 작성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재귀적 신경망방식을 적용한 거시경제심리지수의 척도를 작성하는 방식을 새롭게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형태소별 사전적 감성부여와 재귀적 신경망 방식의 감성분석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분석을 제시한다. 한국자료를 사용하여 본 장에서 제시한 경제심리지수는 Bloom의 경제정책불확실성지수(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dex)에 포함되지 않은 거시경제상황에 대한 독립적인 정보가 있다는 점을 밝힌다. 아울러, 한국은행의 뉴스심리지수에 비해 변동성이 적은 것은 본 장의 심리지수에 제한적 합리성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임을 보인다. 제 2장에서는 뉴스가 미래주식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이론 모형과 실증분석 두 가지로 보인다. 효율적 시장 가설의 전형적인 특징인 주식 수익률의 예측 가능성은 이후의 실증분석에 의해 뒷받침되지 못했다. Shiller(2007, 2014)와 Garcia(2013)를 포함한 많은 학술적 연구들은 제한적 합리성을 가진 투자자의 존재가 이러한 효율적 시장 가설과 맞지 않는 실증 분석결과의 원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명시적인 미시 기반의 최적화 모델을 제시하면서 뉴스가 미래 주식수익률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논의는 많지 않다. 2장에서는 최적화 포트폴리오선택모형을 개발하여 1장에서 설명한 거시경제심리지수가 미래 주식수익률에 영향을 주는 것을 보인다. 또한 한국자료를 사용하여 레짐스위칭 확률에 따라 호황과 불황을 구분하고, 이렇게 경기 변동에 따라 수익률 예측가능성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 3장에서는 제한적 합리성을 가진 투자자들이 마진 제약에 직면했을 경우에 대해서 분석한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증권금융의 역할이 반영된 다수의 자산가격 설정모형이 제시되어왔다. 기존 연구에서는 개시증거금의 효과를 반영한 자산가격설정모형을 사용하여 주가수익률의 결정과 증권시장선을 분석하였다. 본 장에서는 거래증거금의 효과를 반영한 자산가격설정모형을 사용하여 주가수익률의 결정과 증권시장선을 분석한다. 본 장에서 제시한 초과수익률결정모형을 한국의 주요 산업에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베타계수의 값은 1보다 크다. (2) 기관투자자에게 적용되는 증거금제약이 실효적으로 존재한다. 이 같은 결론은 미국자료를 사용하여 마진제약의 실효성을 실증분석한 기존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This dissertation consists of three small papers on the financial market model reflecting limited rationality. Chapter 1 deals with the methodology for measuring the sentiment of economic agents toward macroeconomics. Recently, in the empirical analysis of macroeconomics reflecting limited rationality, various analysis methods that indexed the sentiment contained in the vocabulary were developed and presented. In this study, the techniques of text mining and machine learning are used to create a measure of pessimism or optimism about the macroeconomic situation of private economic agents and a measure of perception of the basics of economic policy, including monetary policy. Here, we propose a new method of creating a measure of the macroeconomic psychology index using the recursive neural network method. Specifically, we present a specific case analysis that can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ntiment analysis based on lexicon for each morpheme and that of the recursive neural network method. The economic sentiment index presented in this chapter using Korean data reveals that there is independent information on macroeconomic conditions that is not included in Bloom's Economic Policy Uncertainty Index.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re is less volatility compared to the Bank of Korea's news psychology index is because bounded rationality is reflected in the macroeconomic sentiment index in this chapter. Chapter 2 shows the effect of news on future stock returns in two ways: a theoretical model and an empirical analysis. The predictability of stock return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was not supported by subsequent empirical analysis. Many academic studies, including Shiller (2007, 2014) and Garcia (2013), argue that the existence of investors with bounded rationality is the cause of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at do not match the efficient market hypothesis. However, there is little discussion that news can help predict future stock returns while presenting an explicit micro-based optimization model. Chapter 2 develops an optimized portfolio selection model to show that the macroeconomic sentiment index described in Chapter 1 affects future stock returns. In addition, using Korean data, booms and recess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gime switching probability,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predictability of returns varies according to economic fluctuations. Finally, Chapter 3 analyzes the case where investors with bounded rationality face margin constraints.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 number of capital asset pricing models that reflect the role of securities finance have been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the determination of stock returns and the security market line were analyzed using the capital asset pricing model reflecting the effect of the initial margin. In this chapter, the determination of stock returns and the security market line are analyzed using the capital asset pricing model that reflects the effect of exchange margin. The results of applying the excess return determination model presented in this chapter to major industries in Korea are as follows. (1) The value of the beta coefficient is greater than 1. (2) Margin constraints applied to institutional investors effectively exist. This conclusion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at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margin constraints using US data.

      • 뉴 실버세대의 공연예술관람 만족도 분석 연구

        허지수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According to the tally from the 2017 Population and Housing Survey released by Statistics Korea in August 2018, 7.12 million people aged 65 or older entered the "aged society" for the first time. As Korea ages rapidly compared to other advanced countries, the silver industry targeting these generations is also drawing attention. Therefore, as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distribution to the Silver generation increases year by year, it is said that the current stage of marketing strategy based on satisfaction is necessary for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by identifying the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performing arts viewing to promote cultural and artistic flavor. This study analyze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erformance viewing in order to develop measures for revitalizing consumption related to performing arts in the New Silver Generation, which is active in leisure activities and consumption life based on the economic level higher than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in the past. The typical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are viewing partners, frequency, motivation, whether or not to visit a concert hall in a residential city, whether or not certain concert halls are preferred and based on the marketing mix of 5pThe types were divided into five factors: person-to-person performance work, price, promotion, performance hall, and human service, and which of these factors affected performance audience satisfaction.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of the aforementioned research proble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consumption behavior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mainly analyzed the Internet and the club as the channels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viewing performing arts. This means that despite the high age group, the New Silver generation uses the Internet comfortably and has high utilization rates, unlike the older generation. Therefore, the Internet is an important medium for promoting not only the young but also the future silver generation, and new online services and systems based on vivid colors and easy interfaces should emerge for them. Second, the highest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ttended the concert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members of the club suggested another important view of marketing positioning in that the New Silver generation actively promotes the club as a social activity and collects information on performing arts. Third, when asked if they preferred only certain venues, only 10 percent said yes. This means that there are still not enough theaters in Korea that can be uniquely identified by the New Silver generation, so they will have to provide additional services that will not only be used for general viewing but also for viewing. Fourth, among the 5p marketing mix factors, performance works and human service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performance viewing satisfaction. This can be inferred that the New Silver generation puts the quality of its performance ahead of price, as the younger generation does, based on its high economic level. In addition, human-service factors were the least influential factor in satisfaction in existing research on the younger generation, but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in the New Silver generation. This means that the kindness of the staff at the concert hall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Therefore, it is said that more aggressive marketing measures are needed regarding human services so that housekeepers at the concert will come out a little earlier than the present time to provide performance-related services or lead to continuous viewing. <Key words> New silver generation, Performance satisfaction, Determinants of performance 2018년 8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전수집계결과에 의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712만 명으로 한국이 사상 처음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급속하게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들 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실버산업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실버세대에 대한 인구분포 비중이 해마다 높아지는 만큼 이들의 문화예술 향유 활성화를 위한 일반적인 공연예술관람 소비특성을 규명하고 만족도를 기반으로 한 마케팅 전략이 현재 공연예술계에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과거 노인세대보다 높은 경제수준을 바탕으로 여가활동과 소비생활에 적극적인 뉴 실버세대의 공연예술관련 소비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공연관람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뉴 실버세대들의 일반적 소비특성으로 관람 동반자, 관람 빈도, 관람 동기, 주거 도시 내 공연장 방문 여부, 특정 공연장 선호 여부와 마케팅 믹스 5p를 바탕으로 정한 관람 결정요인인 공연 작품, 가격, 홍보, 공연장, 인적 서비스 요인 5가지로 유형을 구분했으며 이들 중 어느 요인이 공연 관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앞서 제기했던 연구문제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뉴 실버세대의 소비행태를 분석한 결과 주로 공연예술 관람 정보를 얻는 경로로는 인터넷과 동호회로 분석되었다. 이는 뉴 실버세대들이 연령대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노인세대와는 달리 인터넷을 편하게 사용하고 활용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이 젊은 층만이 아닌 앞으로의 실버세대들에게도 홍보를 위한 중요한 매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들을 위한 선명한 색채와 쉬운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한 새로운 온라인 서비스와 시스템이 나타나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공연 관람 동반자로 가족과 동호회의 구성원과 함께 관람한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뉴 실버세대들이 사교활동으로 동호회를 활발히 하며 이를 통해 공연예술 관련 정보를 수집한다는 점에서 마케팅 포지셔닝에 대해 또 하나의 중요한 관점을 제시해주고 있다. 셋째, 특정 공연장만을 선호하냐는 질문에는 10%의 응답자만이 “예”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국내 공연장 중 아직 뉴 실버 세대들에게 특색 있게 각인될만한 공연장이 부족한 것으로 사료되므로 공연장들은 작품 해설 서비스나 로비공간을 활용해서 일반적인 관람만이 아닌 공연장이 각인될 수 있는 부가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넷째, 마케팅믹스 요인 5p 중 공연 관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연작품과 인적서비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뉴 실버세대는 높은 경제수준을 바탕으로 젊은 세대처럼 가격보다 공연작품의 질을 우선시한다고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인적서비스 요인은 기존의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만족도에 가장 영향력이 낮은 요인이었지만 뉴 실버세대에서는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공연장 직원들의 친절도가 뉴 실버세대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공연장의 하우스 어셔들이 현재보다 조금 더 이른 시간에 나와 공연 관련 서비스들을 제공하거나 지속적인 관람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인적서비스에 관련해 더 적극적인 마케팅 방안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핵심어> 뉴 실버세대, 공연 만족도, 공연 관람 결정요인

      • Comprehensive screening of multiclass illegal adulterants in herbal supplements and spice via extracted common ion chromatograms and neutral loss scan by UHPLC-Q/TOF-MS

        허지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천연물 소재 기반의 건강기능성 식품 및 spice에 불법적으로 의약품을 혼입한 사례는 관련 규제에도 불구하고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인체의 위해에 대한 우려 역시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건강기능성 식품 및 spice 중 비 스테로이드성 진통제 19 종, 비만치료제 26 종, 마약류 35 종 및 유사대마 13 종으로 총 93 종의 부정유해물질을 15분 이내로 스크리닝 할 수 있는 UHPLC-Q/TOF-MS 법을 개발하였다. 부정의약품의 이화학적 특성을 고려한 pH 조절 액체-액체 추출법(LLE)을 사용해 추출하였고, BEH C18 컬럼(100 X 2.1 mm, 1.7 μm)과 이동상(A : 0.1% formic acid 수용액, B : 0.1% formic acid in acetonitrile)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분리하였다. 빠르고 효율적인 스크리닝을 위해 MS/MS 스펙트럼 해석을 통해 공통이온과 중성 이온을 발굴하였다. Phenethylamine 류 화합물의 경우 m/z 117, 유사대마의 경우 m/z 155 와 m/z 144, sibutramine 류 화합물의 경우 m/z 125 와 m/z 158 이온이 공통이온으로 관측되었다. 하이드록실기 혹은 카르보닐기를 가진 화합물에서 H2O 또는 CO의 중성 분자 손실 이온이 관찰되었다. 공통이온 및 중성 분자 손실 이온은 추출 공통이온 크로마토그램(extracted common ion chromatogram, ECIC)과 중성 분자 손실 스캐닝(neutral loss scan, NLS) 크로마토크램에 적용되었으며, 건강기능성 식품 속 부정유해물질의 신속 스크리닝에 효과적으로 적용하였다. 공통이온 크로마토그램과 중성 분자 손실 크로마토그램은 새로이 합성된 신종부정유해물질의 non-targeted screening 법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불법 조제 건강기능성 식품의 선제적 관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Illegally adulterated supplements and spices are being widely distributed via Internet and local markets because adulterants are not so much strictly regulated as synthetic drugs. In this study, rapid screening method was developed for detection and confirmation of 98 multi-class illegal adulterants (19 NSAIDS, 4 diuretics, 27 weight loss drugs, 35 psychotropic substances, and 13 cannabinoids) in supplements and spices by UHPLC-Q/TOF-MS. Illegal adulterants was effectively extracted from supplement and spices by pH control liquid-liquid extraction based on their basic properties. A broad range of 98 adulterants were successfully separated within 15 min on 1.7 μm fused-core C18 particles in a 100 X 2.1 mm column with mobile phase (A : 0.1% formic acid in water; B : 0.1% formic acid in acetonitrile) and sensitively detected at sub-ppb levels in ESI positive ion mode. From the MS/MS spectra of illegal adulterants, specific common ions were observed to reflect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m/z 91 for phenethylamines, m/z 155 and 144 for synthetic cannabinoids, and m/z 125 and 158 for sibutramine analogues. Also specific neutral molecule loss fragments were observed: H2O or CO for hydroxyl or carbonyl group containing adulterants. Based on these specific fragmentations, extracted common ion chromatograms (ECICs) and neutral losss can (NLS) could effectively apply for rapid screening of illegal adulterants. Also, these characteristic high resolution (HR) ECIC sand NLS based on reduced mass tolerance window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screening of multi class of target analytes and new emerging adulterants and avoided false positive and/or negative results. Established screening method using ECICs and NLS was successfully applied for the analysis of illegal drugs in various types of supplements and spices. Developed method can be used as promising screening tool for confirmation and determination of illegaladulterants in various types of supplements to ensure people’s safety.

      • 미디어아트 도큐멘테이션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연구

        허지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국내 미디어아트 도큐멘테이션을 위한 메타데이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문헌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전통 예술과 차별되는 미디어아트의 특징과 보존 방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외 미디어아트 관리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국내 실정에 맞는 메타데이터를 제시하였다. 국외사례로는 DOCAM 연구 연합(Document and Conservator Of the Media Arts Heritage Research Alliance)의 목록 모델, 미디어 아트센터 V2 archive의 미디어아트를 위한 메타데이터, MANS(Media Art Notation System)에서 제시된 메타데이터 요소를 선정하였다. 이들은 미디어아트를 기술하기 위한 상세한 요소명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더블린 코어를 응용하고 있었다. 또한 국내 미디어아트 관리 현황과 각 기관별 메타데이터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으로 국공립기관인 국립현대미술관과 백남준 아트센터, 미디어아트 전문 기관인 아트센터나비의 작품 382개에 대해 미디어아트 세부 장르를 구분하였으며, 각 기관별 메타데이터를 비교하였다. 위와 같이 국내 3개 기관의 작품 메타데이터 요소를 조사한 결과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요소는 <작가명>, <작품명>, <제작년도>, <작품설명>, <이미지>이다. 또한 3개 기관의 소장품의 유형 분류를 시도한 결과, 다수를 차지한 주요 유형 위주로 작품군을 <Film/video>. <Installation/Object>, <Video installation>, <Interactive Installation>, <Internet art> 5가지로 설정할 수 있었으며, 이를 메타데이터 요소에 반영하였다. 미디어아트 메타데이터 설계 시 IFLA에서 제시한 서지기술 모델인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형식을 사용하였다. 미디어아트의 특성상 동일한 내용이지만 매체와 표현 방식이 다른 경우가 있으며, 동일 원저작을 기초로 한 여러 편의 작품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아트의 반복과 변화, 작품과 관련된 정보자원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FRBR의 제 1집단의 저작, 표현형, 구현형, 개별자료 수준에서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시하였으며 각 수준마다 식별정보, 작품정보, 역할정보, 내용정보, 표현정보, 전시정보, 평가정보, 저작권·관리정보, 상태정보를 기술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요소명은 다양한 유형의 자원에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더블린 코어와 CDWA를 기반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작품유형 분류 결과는 국내 주요 기관이 소장한 미디어아트 작품의 장르나 형식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개발의 사전단계에서 본 논문의 FRBR 형식에 기반을 둔 메타데이터 요소를 참고로 할 수 있을 것이다. 제안한 미디어아트 메타데이터 요소를 실제 작품에 적용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 저작과 표현형, 구현형의 경계를 구분하기 어렵다. 미디어아트 작품의 특성상 원저작과 파생 관계의 구분이 모호한 경우가 있다. 둘째, 논문에서 제시한 5개 작품군에 해당하지 않는 미디어아트 작품의 경우 상세 메타데이터 요소를 기술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게임이나 동식물을 이용한 바이오 아트(bio art) 등과 같은 특수한 유형의 작품에 대해서는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국내 미디어아트 현황을 반영하여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메타데이터의 사용으로 작품과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용할 수 있다. 미디어아트 메타데이터의 경우 작품의 특수성을 충분히 반영하여 기술할 수 있는 요소가 필요하다. 향후 본 논문에 제시되지 않은 미디어아트 작품 유형에 대해서도 연구가 수행되어야하고, 국공립기관과 관련기관의 협력으로 국내 실정에 맞는 미디어아트 메타데이터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for the suggestion of metadata elements for media art documentation. Series of literature research, overseas and domestic case studies, and data analysis were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included media art's features and conservation methods. Foreign case studies reviewed and analyzed metadata elements of DOCAM (Document and Conservator Of the Media Arts Heritage Research Alliance) cataloging form, V2 archive, MANS(Media Art Notation System). These institutions have specific metadata to describe media art, and applied Dublin core to practical use. The Domestic case study conducted analyzed current domestic media art management. The analysis object range was 382 art works from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Nam June Paik Art Center, and Art center Nabi. These were then categorized to specific criteria in which each metadata was compared. From this data 5 groups were produced <Film/video>, <Installation/Object>, <Video installation>, <Interactive Insallation>, <Internet art>. This research adopted the FRBR(Functional Requirements for Bibliographic Records) framework in order to design metadata. The main reason is that media art can have various versions of the same continuity. Media art metadata can provide these transitions, repetitions, and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information sources. The research suggests the metadata elements can be expressed by the FRBR framework through level of work, expression, manifestation, and item. Also, Dublin core and CDWA is applied to metadata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future circumstances with related institutes. Results can also be used as a reference point for future related endeavors. Specific limitations were met during the conduction of this research. First, It is hard to demarcate work, expression, and manifestation. Media art is made up of many different and various original works. Second, Detail information can not be provided about certain specific art groups such as game art, bio art, etc. This research reflected current domestic situations. Using metadata can make effective use of information resources. Media art metadata should reflect artwork's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national and public institutions should develop standard metadata for media art in the future.

      •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수평에지 정보를 이용한 고속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에 관한 연구

        허지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자율주행차량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Automatic License Plate Recognition, ALPR)에 대한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미래의 차량운행은 운전자가 직접적으로 개입하지 않기 때문에, 전방 차량의 번호판 인식은 차량 내 embedded system의 책임이 된다. 하지만 현재의 ALPR은 주차 관리, 고속도로 감시 등과 같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사용되고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H/W 스펙을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사양 H/W를 필요로 하는 기존의 ALPR이 아닌 embedded system에서도 Real-time 처리 속도로 잘 동작할 수 있는 ALPR을 제안한다. 특히, ALPR의 핵심 요소인 번호판 검출(License Plate Detection, LPD)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대부분의 방법들이 CPU속도와 Cache 사이즈가 제한된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용되기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H/W 자원이 부족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동작할 수 있는 새로운 LPD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논의한다. 제안하는 ALPR system은 ARM Cortex-A9, 1GB RAM환경에서 구현되었으며 93.12%의 정확도와 45ms의 처리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ALPR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가 PC환경에서 96.62%의 정확도로 42ms 처리속도를 달성했음을 고려할 때, 본 논문에서 다루는 내용은 상당히 의미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license plate detection (LPD) algorithm that is suitable for the operation in an embedded system where the computational resources are limited. Unlike the conventional approaches where images are scanned multiple times to investigate the edge-density, we propose a novel method where we utilize the parallel horizontal edge to reduce the search area. To reduce the frequent memory access and processing time, the proposed algorithm operates using the strong horizontal edge position information. We evaluated the detection accuracy and processing speed of the proposed system in comparison with other conventional edge-density based methods. We also implemented our algorithm in a real embedded system with ARM Cortex-A9, 1GB RAM. The average success rate is 93.12% and the average processing speed is 45ms per frame.

      • 내생적 정보 경직성을 고려한 DSGE 모형에 관한 연구

        허지수 서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소비자의 정보처리 능력의 유한성을 반영한 뉴케인지언 모형과 합리적 기대 가설을 부여한 전형적인 뉴케인지언 모형을 비교 분석한다. 정보경직성을 연구한 지금까지의 연구와 가장 큰 차이점은 기존 연구가 주로 필립스 곡선 도출에 정보 경직성을 반영했다면, 여기에서는 총수요 곡선에도 정보경직성을 적용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의 주요 결과는 총수요 곡선에 정보경직성이 반영되면 합리적 기대 가설의 모형과 비교하여 미래 시점의 상황에 부과되는 가중치가 감소하게 되고 그 결과 통화정책의 실물효과가 감소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지속성이 높은 통화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정보경직성이 높을수록 실물 효과는 더욱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난다.

      • Essay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technology innovation : The synergistic interaction effect on firm performance

        허지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23

        현대의 제품경쟁 시장에서는 단순히 선진 기술을 개발하거나 기술 및 기능적 요소를 기반으로 한 제품 차별화 전략은 기업의 경쟁우위를 보장하는데 한계가 있다. 기술적으로 뛰어나더라도 소비자의 심미적 요구사항에 충족하지 못한 제품은 시장에서의 성공을 단정할 수 없다. 제품은 갈수록 기능적으로 비슷해지고, 경쟁은 디자인에서 비롯된다. 디자인은 단순히 제품의 외관을 넘어서 사용자 편의성, 브랜드 이미지, 제품에 대한 인지적 가치와 직결된다. 따라서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기술적 측면과 디자인적 측면을 신제품개발 과정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개발해야 한다. 본 학위논문은 디자인혁신과 기술혁신 간의 관계를 연구한다. 세부적으로, 디자인혁신이 복잡한 지식의 활용에 미치는 영향, 디자인과 기술개발에 모두 참여하는 디자인 엔지니어의 지식기반 및 협력패턴의 특징적 요소, 디자인과 기술의 통합적 제품 개발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탐구하는 세 가지 소 연구로 구성된다. 각 소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1980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에 본사를 둔 상장기업 특허 데이터를 활용한다. 각 소 연구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혁신에 대한 학술적 논의에 기여하고, 오늘날 제품경쟁에 참여하는 기업에게 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함의를 제시한다. 첫 번째 장에서는 기술복잡도, 디자인혁신, 그리고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복잡한 지식의 활용에 있어 디자인의 역할을 탐색한다. 주요 가설은 디자인혁신은 기술복잡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긍정적으로 조절한다는 것이다. 1,743개의 미국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패널 일반화최소자승법 분석을 통해 디자인혁신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양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술복잡도와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확인한다. 디자인혁신은 복잡한 지식기반을 상업적으로 활용하고 상품화하는 데 기여한다. 첫 번째 장의 결과는 기업의 자원기반 관점에서 디자인이 기업의 제품 차별화와 경쟁우위를 달성할 수 있는 전략적이면서도 가치가 높으며, 모방이 어려운 무형자산으로 바라볼 수 있는 이론적·실증적 근거를 제시한다. 또, 동적역량 관점에서 기술집약 산업의 기업들은 제품 또는 기술의 생애주기에 따라 점차 기능 중심에서 형태 중심으로, 기술중심에서 디자인중심으로 혁신전략을 변화시키는 등의 적절한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신제품개발에 참여하는 발명가를 디자인특허 및 기술특허 출원 여부에 따라 엔지니어, 디자이너, 디자인 엔지니어로 구분하고, 이들 간의 지식 포트폴리오와 협력 패턴을 비교한다.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활용하여 각 기업에 대해 발명가로 구성된 사회적 네트워크와 지식요소로 구성된 지식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이원고정효과모형을 통해 엔지니어가 디자인 엔지니어에 비해 지식네트워크 내 더 많은 연결성을 가지며 높은 지식의 결합 가능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한다. 반면, 협력네트워크 내에서는 디자인 엔지니어가 엔지니어에 비해 더 많은 발명가와 협력할 뿐만 아니라, 이질적인 그룹 간의 소통을 돕는 연결자 또는 지식 중재자로서 역할하는 것을 확인한다. 두 번째 장의 결과는 디자인 엔지니어가 기업 내에서 주요한 협력자 및 지식이전의 촉진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이들은 다학제적 위치를 활용하여 지식을 전파하고, 기업 내 디자인-기술 융합 제품개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한다. 기업은 디자인 엔지니어를 통해 신제품개발 과정에서 다학제간 협력과 공동 의사결정을 촉진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세 번째 장에서는 기업의 디자인 엔지니어링 역량 즉, 신제품개발 과정에서 디자인과 기술적 지식을 통합한 다학제적 이해 기반 제품개발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효과를 규명한다. 주요 가설은 디자인 엔지니어링 역량은 기업의 혁신 활동과 경영 성과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한다는 것이다. 기업의 디자인 엔지니어링 역량은 디자인 엔지니어의 수로 측정한다. 디자인 엔지니어는 디자인과 기술개발에 모두 참여하는 발명가로 다학제적 협력을 통해 기업 내 디자인적 사고를 전파하고, 학제 간 소통 및 지식 공유를 촉진한다. 이들은 기술적 지식과 디자인적 지식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디자인과 기술 간의 간극을 좁히고, 성공적인 제품 개발을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허의 발명가 정보를 활용하여, 디자인 및 기술 특허 공동 출원 여부를 바탕으로 디자인 엔지니어를 식별한다. 1,659개의 기업에 대한 패널 일반화최소자승법 분석을 활용하여 디자인 엔지니어링 역량은 기업의 혁신활동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확인한다. 세 번째 장의 결과는 제품 개발에서 디자인과 기술적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개발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신제품개발에서 다학제적 지식을 보유한 디자인 엔지니어의 역할 및 중요성에 대한 실증적 근거와 함의를 제공한다. 기업은 디자인팀과 기술개발팀 간의 협력을 도모하고, 숙련된 디자인 엔지니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서 기술개발과 시장성공 간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본 학위논문은 디자인혁신과 디자인-기술 융합이 제품혁신과 기업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더불어, 디자인혁신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실증 분석을 통해 기업에게는 실무적으로 적용 가능한 함의를 제시하고, 학문적으로는 디자인혁신에 대한 학술적 논의를 확장한다. In today’s highly competitive markets, firms can no longer ensure a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the development of highly advanced technologies or differentiation based solely on technological and functional factors. Simultaneously, there is growing recognition that design and aesthetic factors can contribute to firms’ competitive advantage and profitability.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innova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 Each chapter here investigates the synergistic interaction effect of design and technology on product innovation and overall firm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s of knowledge, human capital, and organizational capability. To conduct empirical analyses for each chapter, this dissertation relies on patent data for US-headquartered publicly-traded firms from 1980 to 2015. This dissertation contributes to the academic discussion on product innovation and offers insights for managers aiming to foster innovation and promote firm growth in today’s dynamic and competitive business environment. The first study of the dissertation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complexity, design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to uncover the role of design innovation in exploiting complex technologies. Our main hypothesis is that design innovation positively moderates the negative effect that technology complexity has on firm performance. Focusing on 1,743 US firms, the results of panel generalized least square regressions confirm our hypotheses on the direct effect of design innovation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firms and it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complexity and firm perform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esign innovation mitigates the adverse effects of technology complexity on the exploitation or commoditization of knowledge stock. The results of the first study contribute to the 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by recognizing design as a strategic resource that firms can leverage to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Furthermore, the chapter offers insights into the interplay between technology complexity and design innovation, suggesting that firms operating in technology-intensive industries need to be particularly attuned to the role of design in exploiting complex knowledge and in different stages of a technology or product’s life cycle. These findings also align with the dynamic capabilities perspective,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irms’ ability to adapt and respond to changes in their environment, such as a shift of emphasis in products from functions to forms or from technology-oriented innovation towards design-oriented innovation. The second study of the dissertation categorizes inventors in new product development into three primary groups: engineers, designers, and design engineers based on the type of patent applications they hold, and investigates their differences in knowledge portfolios and collaboration patterns. Two types of networks are constructed for each firm-period: a social network comprising inventors and a knowledge network consisting of knowledge elements. The results of inventor-time fixed-effects regressions show that, compared to engineers, design engineers are more densely connected with other inventors in the social network, although they have knowledge elements that are relatively disconnected in the knowledge network. The results of the second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while design engineers may not be the primary driver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they play important roles as key collaborators and facilitators of knowledge transfer within firms. They leverage their interdisciplinary position to disseminate knowledge and foster a design-engineering integrated new product development environment within the firm.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firms seeking to maximize the synergy between design and technology in their innovation process, highlighting the valuable role that design engineers can play in facilitating cross-functional collaboration and decision-making i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e third study of the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effects of firms’ capability to effectively integrate design and technology throughout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which we refer to as ‘design-engineering capability,’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it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innovation activ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Specifically, we argue that firms’ design-engineering capabilities are significant in leveraging the outcomes of their innovation activities for financial success. A firm’s design-engineering capability is measured by quantifying the number of design engineers, representing key individuals bridging the gap between design and technology and facilitating successful product development through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Using inventor information from patents, design engineers are identified based on their association with design and technology patents. The results of panel generalized least squares regressions confirm our hypotheses on the direct effect of design-engineering capability on firm performance and it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activity and firm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third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firms’ design-engineering capabilities, as measured by the presence of design engineers, significantly impact their product development and overall firm performance. These findings make several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the field of new product development and innov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at managers and decision-makers within firms should encourage collaboration between design and engineering teams, and prioritize the recruitment and retention of skilled design engineers. These professionals are critical in bridging the gap between design and technology, facilitating successful product development and translating innovative ideas into marketable products. In summary, this dissertation significantly advances our understanding of the profound influence of design innovation and its collaborative interplay with technology innovation on firm performance. The research not only expands theoretical discussions in the field of product innovation but also provides practical insights for managers and decision-ma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