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관리활동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허정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전문화인식의 정착과 자율적 임파워먼트의 의해 영향이 미치므로 이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관리활동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 안전관리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수술간호의 질적 안전문화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전남, 전북, 경남에 위치한 수술실 간호사 26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10월 20일부터 11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환자안전문화인식, 안전관리활동, 임파워먼트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피어슨의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검정,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술실 간호사의 평균점수는 환자안전문화인식은 3.57±.48, 안전관리활동은 4.22±.54, 임파워먼트는 3.67±.63이었다. 둘째, 수술실 간호사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인식의 차이는 연령, 성별, 직위, 수술실 경력, 수술실 안전관련교육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안전관리활동은 연령, 직위, 최종학력, 수술실 경력, 수술실 안전관리교육에서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임파워먼트는 연령, 직위, 최종학력, 수술실 경력, 수술실 안전관리교육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관계 분석에서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관리활동,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임파워먼트 그리고 안전관리활동과 임파워먼트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넷째, 환자안전문화인식이 안전관리활동과 임파워먼트의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관리활동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을 독립변수로 하고 안전관리활동를 종속변수로 하여 조절변수 임파워먼트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환자안전문화인식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커지는 연구결과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관리활동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조절되고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수술실 간호사의 임파워먼트가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안전관리활동의 관계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전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안전관리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의 구축과 조직 내 인적자원의 능력발휘와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임파워먼트의 교육 및 개발의 전략적 정책의 후속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능력의 관계

        허정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odes of verbal control, children's self-efficiency and social competence.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on 211 children(ages 3 to 5) in 5 kindergartens and their parents in Wonju, Gangwon-do. For the study, an inventory for measuring the parental modes of verbal control (complemented and developed by Hye-Suk Do, 1997) has been used and the children’s self-efficiency test (In-Ok Jeon, 1996, 1999) has been conducted. In addition, ISCS was reorganized (Na-Ri Song, 1993)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omplemented by Jeong-Lan Kim, 2002) was measured. For the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have been measured and Chronbach’s α, t-test, ANOVA (Analysis of Variance),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The results areas follows: First, the less frequently command control is used, the more positiveresults are observed in terms of the parental modes of verbal control. Second, in terms of parental modes of verbal control by children’s background factor, the position control modes were mostly applied to both boys and girls and the first child. Command control was mostly used on younger children. Third, in terms of modes of verbal control by parents’ background factor, fathers 40 and older mostly used both command and position controls while character control was widely used among fathers 35 and younger. In addition, mothers 30 and youngermostly used command control while position and character controls were widely used among mothers 40 and older. Command control was the preference for parents with less education. For both working moms and housewives, position control was mostly used. Parents with a lower monthly income preferred using command control. Fourth, the cognitive domain of self efficiency and social competence were the highest in both boys and girls with the lowest instability. The youngerthe children were, the higher the self efficiency, social competence and instability. In terms of infants’ birth ord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ocial and emotional domain of self efficiency only. Fifth, in terms of children’s self efficiency and social competence by parent’s background factors, instability of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 depending on the mother’s age. In terms of the father’s occupation, the self efficiency turned out the most significant in engineers, followed by government employees, office workers, sales people, soldiers, and professional employees. In terms of parent’s educationalbackground and mother’s job statu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both children’s self efficiency and social competence. As parents’ monthly income was higher, children’s self efficiency was higher as well.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ocial and emotional domains only. Sixth, even though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parental modes of verbal control,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detected between parental modes of verbal control and children’s self efficiency and social competence. Seventh, even though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hildren’s self efficiency and social competence,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detected between physical domain and hypersensitiveness.

      • 존 듀이의 경험주의 미학에 입각한 예술교육

        허정임 영남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듀이가 자신의 철학을 집대성하고 그의 연구업적에 정점을 찍게 된『경험으로서의 예술』을 출간한 것은 1934년이지만, 교육학과 사회학, 심리학 분야에서 그의 업적은 이미 19세기 말부터 미국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듀이의 영향력이 오늘에까지 미치는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교육학, 사회학, 심리학 분야의 학술적 업적과 그것이 사회에 미친 영향일 수 있지만, 무엇보다 인간과 사회의 질적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예술의 힘이라는 것을 인류로 하여금 깨닫게 한 점 때문일 것이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듀이의 업적을 듀이의 경험주의 미학에 입각하여 살펴보고, 경험의 ‘질성’과 ‘통합성’이란 주된 미적 성질을 중심으로 듀이 미학에 함축되어 있는 교육학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듀이가 전망했던 것으로 여겨지는 예술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간단하게 구성해봄으로써 한국 예술교육 현실의 전망을 진단해 보았다. 듀이의 예술교육사상에 영향을 미친 반즈의 예술교육 활동과 그의 예술교육사상을 살펴보았고, 이를 입증하기 위해 반즈 재단을 통한 듀이의 교육활동을 검토하였다. 듀이의 예술교육사상 형성에 반즈는 실제로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듀이가 반즈와의 교류를 통해 예술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반즈는 예술가들이 느낀 직접적이고 감각적인 경험을 하기 위해 반즈 재단의 예술작품들을 앞에 두고 예술가의 창조적인 표현행위를 듀이와 함께 논의하였다. 그 결과 듀이가 ‘전이된 가치’, ‘연속성’, ‘통합’이라는 개념을 확고히 하게 되었음을 반즈의 저서와 듀이의 에세이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경험으로서의 예술』에서도 반즈의 영향을 받았던 사실이 확인되었다. 듀이는 인간을 변화시키는 힘인 예술성을 “미적 성질”이나 “질성”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질성은 듀이 미학의 근간을 이루는 자연주의적 형이상학(naturalistic metaphysics)으로서, 내용면에서는 형이상학적이지만, 방법적인 측면에서는 현실주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는 철학의 과업이 진리를 규명하기 위해 세계의 궁극적 실체를 밝히는 이론적 작업이 아니라 인간의 삶을 개선하는 실질적인 문제를 다룬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자신의 형이상학도 이를 위해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을 것이다. 이러한 질적 성장은 인간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상황 속에서 발생하는 모든 역경과 방해요인을 극복할 때 가능하다. 이런 역경을 극복할 때에만 더 나은 삶을 살아가려는 실천적 의지가 바로 질성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다. 교육적 상황 속에서 질적 성장은 교사와 학생의 경험이 질성을 통해 완성적 경험(consummatory experience)을 동시에 획득할 때 가능하다. 완성적 경험을 통해 획득되는 질적인 변화는 교육학계에서 “교변작용(transaction)” 또는 “교호작용(transaction)”이라는 용어로 설명되어 왔다. 유기체로서의 인간과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의 상호작용(interaction) 과정이 경험인데 많은 경험들 중에 목적의식을 갖고 끝까지 완수하는 경험이 있다면 그것은 하나의 경험이고, 따라서 하나의 경험은 교변작용을 일으키는 경험이 된다. 경험의 상호작용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경험의 질적 변화가 일어날 때 그 경험은 교변작용을 일으켰다고 말할 수 있다. 인간 존재의 질적 개선이 결국 지적 인식을 체화시킴으로써 정감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의지를 자극해 실천하는 인간성을 목표로 하는 것이라면, 그 자체가 교육적이다. 예술의 질성은 과학적 인식을 명료하게 하는 측면에서는 과학의 도구이지만, 질적 개선을 끌어내는 점에서는 질성 자체가 목적이 된다. 인간 존재의 질적 개선의 가능성을 보장해주는 것이 질성이기 때문이다. 과학적 탐구의 결과가 완성적이라면, 이 과학적 경험은 예술적 경험에서 두드러지는 질성을 갖는 것으로서 미적 경험일 수는 있지만 예술이 될 수는 없다. 과학이 예술적 성질 없이 삶에 유의미한 것이 될 수 없듯이, 예술도 과학적 사고를 필요로 하지만, 과학과 동일시되는 것은 아니다. 말하자면 듀이는 삶의 영역을 구분하는 가운데 각 영역의 본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그 영역들의 상호교통을 통해 프래그머틱하게 통합되어가는 이상적 사회를 지향한다. 듀이의 ‘경험’을 특징짓는 질성과 통합성에 기초해 볼 때 듀이가 지향하는 예술교육도 이와 같이 각 교과의 영역들이 상호적으로 개성을 살리는 가운데 교과영역 간의 교통을 꾀하는 통합교육의 형식을 취할 것이다.

      • 군 응급구조사의 업무 및 직무만족도

        허정임 경일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work and job satisfaction of militar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ystem improvement aiming more practical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work design and the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122 militar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ho participated in ‘12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refresher training were selected as the study object,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Nov. 12, to Dec. 21 of 2012. Credibility of the study tool was work Cronbach’s α=.98, job satisfaction Cronbach’s α=.85,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0.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Among militar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s, accident scale evaluation of emergency patient evaluation area, CPR, surgical treatment, prehospital first-aid treatment, rushing to the hospital, training, response showed a quite high work rate, but internal first-aid treatment, special condition first-aid treatment, physician assisting works, Mass Casualty treatment, situation room related work, self development, administrative work showed a low work rate. 2. As for the work utilization rate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work utilization in air force was the highest among the army, navy and air force and work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work place turned out to be the highest in air rescue technicians. 3. Gross average of the military emergency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was 3.32, by area it was in the following order, job category area 4.1, interaction satisfaction 3.63, work requirement 3.52, system requirement 3.36, working conditions 3.25, autonomy 3.08, pay 1.52, it showed the military emergency technicians are most satisfied with the work itself and most dissatisfied with the pay. 4. As for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 work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5. As for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work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for the military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t showed a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order of air force(3.47), navy(3.40) and army(3.19), in case of the working plac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air rescue technicians(3.64) and group beyond regiment, squadron(3.24). Keywords: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work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 이브세 마스지(井伏 준二)의 초기작품에 나타난 현실인식에 대한 고찰

        허정임 嶺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Ibuse masuji(1898-1993), a novel writer, devoted himself to a consistent thought for over seventy years from starting his career in 1919 when he was at twenty-one year old, and going through wartime to finishing in 1993. His etudes at the early days were not estimated properly by existing literary circles, however after then his novels were appreciated as "literature of the sorrows" on the theme of self-consciousness of despair and anxiety. The early representative work, "sanshouo", shows his deep understanding on a young man's self-consciousness about harsh realities living in unrest and gloomy world. The six years when his first novel "yuhei" had been revised into "sanshouo" was not only the most unhappy days in his life, but also a period that a young man Ibuse living in gloomy world had taken unceasing challenges on the literature and struggled with the affliction in self-consciousness. Such harsh situation like rock house made Ibuse Masuji organize renunciatory ideas of reality that in "sanshouo" a protagonist even suffers from despair and sorrow, he think there is no other chance to admit his situation as destiny. This renunciatory thought on reality in the early days became slowly firm, finally his basic attitude to reality appearing everywhere in his literary works. In addition it came to be common lamentation shouted by protagonists, Sanshouo or Kuchiske when they was confronted by the wall of reality. Ibuse Masuji tried to express the sorrows of all human in sympathy with their destiny and sadness, watching pitifully a human's miserable situation dragged by his destiny. His thought on understanding of reality stated above appeared in works of various themes like experience of wartime after his early studies, and constituted the basis of his literary world throughout long writing activitie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form of other rock house.

      •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허정임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 3~5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정서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어머니의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재인식함으로써 기본생활습관과 사회정서능력을 바로 이해하고 교육하는데 필요한 연구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사회정서능력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사회정서능력과의 관계는 어떠 한가?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사회정서능력 미치는 영향은 어 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재원중인 만 3~5세의 유아 209명과 어머니 2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알아보기 위한 본 검사는 Schaefer(1959)의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MBRI)를 이원영(1983)이 번안한 것으로 신정화(2009)가 사용한 질문지를 연구자가 연구 내용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둘째, 기본생활습관에 대한 질문지는 국립교육개발원(1995)이 제작하고 김세령(2011)이 사용한 질문지를 연구자가 연구내용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셋째, 다충 구조 모델(Multi-tiered model)의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에 따라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다층 구조 모델에 따른 사회정서능력 지원체계에 맞춘 것으로, Jane Squires, Diane Bricker(2007)에 의해 개발되고 허계형·노진아(2010)가 번안한 SEAM(Social Emotional Assessment / Evaluation Measure)의 Preschool-age(36~63개월) 연령의 양육자 작성 척도를 교사용으로 수정·보완한 것이다.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산출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측정도구의 내적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ɑ값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사회정서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및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사회정서능력의 전반적인 경향에서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보면 애정적 양육태도, 자율적 양육태도, 거부적양육태도, 통제적양육태도로 애정적양육태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제적양육태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을 보면 청결, 질서, 절제, 예절로 청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예절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아의 사회정서능력을 보면 반응적 상호작용, 일과와 전이 및 규칙, 사회정서기술로 반응적 상호작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정서기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은 전체변인에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정서능력은 전체변인에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사회정서능력과의 관계에서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사회정서능력 미치는 영향을 보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에 영향을 미쳤고 하위영역 중 거부적 양육태도가 기본생활습관의 청결, 질서, 예절, 절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의의 사회정서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曺學晋과 朴東鎭의 赤壁歌 比較分析 : 군사설움타령(5)와 적벽화전을 중심으로

        허정임 추계예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정춘풍, 박기홍, 조학진의 계보로 이어지는 판소리 적벽가 중 조학진의 '군사설움타령(5)'와 '적벽화전(1,2)'를 조학진으로부터 전수받아 우리나라 적벽가 부문의 인간문화재까지 되었던 박동진의 판소리 '적벽가' 증 '군사설움타령'과 '적벽강싸움'을 비교,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판소리의 전수과정에서 변화된 부분과 유사점, 상이점 등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판소리의 시대적인 변화양상을 분석하여 활용할 수 있는 연구 자료로서 그 필요성을 둔다. 위의 두 사람의 음반에서 제목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사설과 음악적 내용이 같아 두 대목을 선정하여 비교 연구하였으며, 판소리의 세가지 요소인 성음 · 음계 · 장단으로 분석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현재 전통음악의 음계론에 접근하는 방법은 학자마다 달라서 일관된 방법으로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는 바, 본 논문에저는 평조길 · 우조길 · 계면길의 음계로 접근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음을 밝힌다. 위와 같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내를 생각하며 우는 대목' 「악보1-1」, 「악보2-1」 를 비교, 연구한 결과 성음에서 조학진은 계면, 우조, 계면으로 바뀐다. 박동진은 계면, 평조, 계면으로 바뀐다. 음계에서 조학진은 c본청 계면길로 시작되다가 E^(b)본청 우조길로 전조되어 다시 c본청 계면길로 끝난다. 박동진은 c본청 계면길로 시작되어 B본청 우조길로 전조되고 다시 c본청 계면길로 끝난다. 음역에서 조학진은 c음에서 c"음까지이다. 박동진은 d음에서 e^(b)"음까지이다. 장단에서 조학진은 잦은 증중모리 52장단으로 짜여 있다. 박동진은 중중모리 68장단으로 짜여 있다. '다른 군사들 우는 대목' 「악보1-2」, 「악보2-2」 를 비교, 연구한 결과 성음은 두 대목 모두 같은 설렁제이다. 음계의 구성에 있어서 조학진과 박동진 모두 설렁제의 특징적인 모습이 잘 나타나고 있다. 음역에서 조학진은 a음에서 c"음까지이다. 박동진은 g음에서 c"음까지이다. 장단에서 조학진은 자진모리 15장단으로 짜여 있다. 박동진은 중중모리 21장단으로 짜여 있다. '적벽화전(1,2)'와 '적벽강싸움' 「악보3」, 「악보4」 를 비교, 연구한 결과 성음에서 조학진은 평조, 우조, 계면조의 성음이고 박동진은 설렁제가 주성음이지만 사설에 따라 계면성음으로 바뀐다. 음계에서 조학진은 D본청 평조길로 시작되다가 여섯 번의 전조와 변조를 거쳐 B본청 우조길로 끝난다. 박동진은 설렁제로 시작되어 d본청 계면길로 변조되고 다시 설렁제로 끝난다. 음역에서 조학진은 e음부터 e"음까지이다. 박동진은 g음부터 f"음까지이다. 장단에서 조학진은 자진모리 123 장단으로 짜여 있다. 박동진은 자진모리 278 장단으로 짜여져 있다. 위와 같이 조학진과 박동진의 선율을 비교해 볼 때, 박동진이 조학진에게서 전수 받은 소리를 발전시켜 나감에 있어 극적 표현을 위해 사설의 내용을 더 늘리고 표현의 변화를 위해 같은 대목에서 성음과 장단을 많이 변화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erform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Soldier Sorrow Song(5)' and 'Jeokbyeok Fire Fight(1,2)' of Jeokbyeok-ga sung by Jo Hak-jin, who follows the genealogy of Pansori (the song of a drama by the chang reciter) reciters including Jeong Chun-pong and Park Ci-hong in order, and 'Soldier Sorrow Song' and 'Jeokbyeok River Fight' of that sung by Park Dong-jin, who inherited the skill fiom Jo Hak-jin and was designated as human cultural assets of the Korean Jeokbyeok-ga section. This study aims at clarifying the changes in Pansori inherited including similar and different points and has the significance as a foundation enabling to analyze the historical transition of Pansori and utilize the result. Although the above two reciters' discs have different titles regarding the parts compared in this study, they include the same accounts and musical descriptions. Thus, the two parts were chosen and examin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in terms of vocal sound, scale and rhythm which are three components of Pansori. Nowadays, a variety of approaches to the scale the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ve depended upon the expere and haven't incorporated into an agreed one, and the approach to the scale of Pyeongjo-gil, Ujo-gil and Gyemyeon-gil was us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art weeping with missing my wife 「Score 1-1」 and 「Score 2-1」, it was found that the Jo Hak-jin's vocal sound is changed into Gyemyeon, Ujo and Gyemyeon in order, whereas the Park Dong-jin's vocal sound into Gyemyeon, Pyeongjo and Gyemyeon in order. The Jo Hak-jin's scale begins with c-Boncheong Gyemyeon-gil, goes through the transition into Eb-Boncheong Ujo-gil, and ends with c-Boncheong Gyemyeon-gil again. On the other hand, the Park Dong-jin's scale begins with c-Boncheong Gyemyeon-gil, goes through the transition into b-Boncheong Ujo-gil and ends with c-Boncheong Gyemyeong-gil again. The Jo Hak-jin's compass ranges from c to c"tone, while the Park Dong-jin's one from d to eb" tone. The Jo Hak-jin's rhythm consists of frequent Jung-jung-mori 52 rhythm, whereas Park Dong-jin's one Jung-jung-mori 68 rhythm.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art where other soldiers are weeping' 「Score 1-2」 and 「Score 2-2」, it was found that the two both correspond to Seolreongje (a kind of Pansori melody); the two reciters' scale compositions are well-characterized by Seolreongie. Jo Hak-jin's compass ranges from a to c" tone, while the Park Dong-jin's one from g to c" tone. And, the Jo Hak-jin's rhythm consistsof Ja-jin-mori 15 rhythm, whereas Part Dong-jin's one Jung-jung-mori 21 rhythm.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core 3」 and 「Score 4」 of 'Jeokbyeok Fire Fight(1,2)' and 'Jeokbyeok River Right', it was revealed that the To Hak Jin's vocal sound is changed into Pyeongjo, Ujo and Gyemyeon, whereas the Park Dong-jin's vocal sound follows primarily Seolreongje, however is often changed into Gyemyeon according to the accounts. For musical scale, the Jo Hak-jin's song begins with D-Boncheong Pyeongjo-gil, passes through six transitions and variations and ends in B-Boncheong Ujo-gil. On the other hand, Park Dong-jin's song begins with Seolreongje, is changed into d-Bongcheong Gyemyeon-gil, and ends with Seolreongje again. The Jo Hak-jin's compass ranges from e to e" tone, while the Park Dong-jin's from g to f"tone. The Jo Hak-jin's rhythm is composed of Ja-jin-mori 123 rhythm, whereas the Park Dong-jin's one Ja-jin-mori 278 rhythm. Putting together the results stated above, it was confirmed that as Park Dong jin had developed the Pansori skill inherited from Jo Hak-jin, he reinforced the descriptions of accounts for dramatic expression and pursued more frequently varying vocal sounds and rhythms at the same parts for variation in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