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상포진 환자에서 급성기 통증의 임상적 특징 및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허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노인인구 증가에 따라 대상포진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동반된 통증으로 고통 받는 환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대상포진의 급성기 통증은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아직까지 대상포진으로 인한 일상생활 침해 정도에 대한 국내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는 대상포진의 급성기 통증이 일상생활의 침해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9년 10월부터 2010년 6월까지 피부과에 내원하여 대상포진으로 진단받은 환자 86명을 대상으로 급성기 통증의 임상적 특징 및 대상포진에 의한 일상생활 침해도를 평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처음 내원시 환자의 성별 및 연령 분포, 침범된 신경피절 분포와 이환정도, 동반질환이나 증상 발현 후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기까지 기간을 기록하였고, 통증의 양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글판 단편 맥길 통증 설문지(Short 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를 사용하였으며, 통증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포진 통증 정도 평가(Zoster Brief Pain Inventory, ZBPI)중 최근 24시간동안 환자가 느낀 통증에 대한 항목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상포진에 의한 일상생활 침해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ZBPI의 삶의 질에 대한 7가지 항목과 12가지 항목으로 이루어진 대상포진에 의한 일상행활 침해도 평가(Zoster Impact Questionnaire, ZIQ)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통증은 내원 5.6±3.2일 전부터 발생하였으며, 피부병변은 내원 평균 4.2±2.2일 전에 발생하였고 통증 발생시점을 기준으로 병원에 내원하여 항바이러스제를 투여 받기까지 소요된 기간은 평균 4.6± 3.1일이었다. 중등도 이상의 통증을 호소한 환자는 전체 86명 중‘찌릿찌릿한 통증’이 48명(55.8%)과 ‘찌르는듯한 통증’이 47명(54.7%)으로 가장 흔한 통증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성별, 나이, 신경피절 분포, 임상증상의 중증도와 동반질환에 따른 통증 양상에서 주목할 만한 차이점은 관찰되지 않았다. 통증과 ZBPI, ZIQ로 측정된 일상생활의 침해도와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통증의 강도가 1점 증가하였을 때 ZBPI지표가 0.632점 상승하였고(p<0.001), ZIQ 지표로 나타낸 일상생활의 침해도는 0.595점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최근 24시간 이내의 통증은 ZBPI와 ZIQ의 평균 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통증은 대상포진의 급성기 동안에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중요한 지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비교적 측정하기 까다로운 삶의 질에 대한 평가를 객관화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 지표를 계속적으로 추적 관찰하여 환자에게 알맞은 치료방법을 선택함으로써 통증으로 인해 야기되는 환자의 불편도 줄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유도전동기의 저속영역 센서리스 제어에 관한 연구

        허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order to detect the speed of an induction motor, a speed detector such as an encoder has been mainly used in the rotor, but a sensorless speed control method without a speed detector has been widely studied due to constraints such as installation environment, reliability, and price. In addition, most sensorless vector controls show a relatively good control result in the high speed region, but show a tendency of deterioration of control characteristics in the low speed reg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ontrol system by combining indirect vector control using spatial vector modulation with sensorless speed control using AFE rectifier and current error compensation. The AFE method can control harmonics included in the input power by actively controlling the input current of the AC power, an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making power excellent quality by controlling the power factor of the input voltage and current. In the sensorless speed control method using current error compensation, a stator voltage is applied to reduce the stator current difference between the induction motor and the modified model so that the speed of the induction motor follows the speed of the model. It is a method controlling the speed of induction motors indirectly by making the current difference between the induction motor and the mathematical model close to zero without controlling the speed directly. In this paper, an improved space vector modulation method in which less harmonics are included in current and torque than conventional hysteresis control and triangular wave comparison modulation, switching cycle is reduced by 1/2 compared to conventional space vector modulation. And the computational structure is so simple that it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low-cost controllers.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practicality of robustness against parameter variation and dynamic characteristics improvement from very low speed to low speed, which is a problem of the conventional sensorless speed control algorithm. In order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and system,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indirect vector control using the modified SVPWM using the AFE rectifier and the 2.2[kW] induction motor were analyz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nd experiment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excellent input current is supplied and the speed response and load characteristics of the induction motor are excellent even in the extremely low speed range and the low speed range.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회전자에 엔코더 등의 속도 검출기가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설치환경, 신뢰성 그리고 가격 등의 제약으로 인하여 속도검출기가 없는 센서리스 속도제어 방식이 폭 넓게 연구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센서리스 벡터제어는 고속영역에서 비교적 양호한 제어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저속영역에서는 제어특성이 저하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AFE 정류기와 전류오차보상법을 이용한 센서리스 속도제어법에 공간벡터변조방식을 이용한 간접벡터제어를 결합하여 새로운 제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AFE 방법은 교류전원의 입력전류를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입력 전압과 전류에 포함된 고조파를 감소시킬 수 있고 입력전원의 역률을 제어하여 전력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특성을 가진다. 전류오차보상에 의한 센서리스 속도제어법은 유도전동기와 수식모델의 고정자 전류차이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고정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유도전동기의 속도가 설정치인 모델의 속도를 추종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직접 속도를 제어하지 않고 실제 유도전동기와 수식모델의 전류차이를 0에 가깝게 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히스테리시스 제어와 삼각파 비교 변조 방식에 비하여 전류와 토크에 포함된 고조파가 적고 기존의 공간벡터변조방식보다 스위칭 주기가 1/2로 감소하여 스위칭 손실이 감소되며, 계산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어 연산 구조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저가의 제어기에서도 손쉽게 구현이 가능한 개선된 공간벡터변조법을 적용하여 전류제어를 수행하였다. 또한, 기존의 센서리스 속도제어 알고리즘의 문제점인 극저속에서부터 저속영역에 이르기까지의 동특성 개선과 파라메타 변동에 대해서도 강인성을 가지는 실용성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과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AFE 정류기와 2.2[kW] 유도전동기를 사용하여 개선된 SVPWM을 적용한 간접벡터제어의 응답특성을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고조파가 적은 우수한 입력전류가 공급되어 극저속영역과 저속영역에서 유도전동기의 속도응답 및 부하특성이 양호함을 확인하였다.

      • 座式生活을 위한 아파트 居室計劃에 관한 연구 : 부산·경남지역의 소규모 아파트 거실을 중심으로

        허재 慶星大學校 産業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apartments, western style residences, have been easily accomodated in cities collectivizing existing old residences and forming nice environments which cannot be attained by one family house. And one of the reasons that they have been so easily accomodated is that they have made great use of Little land capacity of our country and the great efficiency has also contributed to that reality. But irrational acception of Western culture represented by apartments has a great possibility of conflicting with our traditional dwelling culture because housing is certainly a reflection of social change and cultural chacteristics of an age. Especially what is peculiar is that 42.5 percent of all the respondents (they are living in a less than 25 pyong apartments) are leading their lives in a sitting style living room, which means that existing apartments have been planned without any considering of people's life style. And I found that many problems still exist especially in living room planning according to my investigation and analyzing various materials. Among them : 1. The respondents are the people living in a small size(smaller than 25 pyong) apartments and the householders are in their thirties and they lead a sitting life style there. So we can conclude that more appropriate planning considering sitting-style is necessary. 2. Floor-heating should also be considered. 3. To satisfy psychological, motional and functional desire Space-dividing is necessary to connect standing-style of the kitchen with sitting-style of the living room. There are several ways to realized this: ① By raising the height of the floors of living room by 300mm above dining alcove, eye-level ranging from standing space to sitting space should be reconditioned. ② More thoughtful planning should be done for both open and divided system to be altered from the one to the other or vice-versa for living room according to the desire of the people moving in. 4. To reduce complete open wall space, low furniture or dividing facility should be used for cozy room planning. 5. To keep eye-level low which fits sitting-style well, low furniture should be preferred which is also to contribute to widening of range of vision and various designing must be studied. 6. Compared with standing-style houses sitting-style demands considering low eye-level, so we should consider lightening. Partial lightening should be preferred to whole lightening and we can use pendant, bracket, stand lihgt, etc. It heightens cozyness of the room. 7. About finishing materials in the living room, floor should not be finished with products which can easily be discoloured or slippery. Traditional floor papers or plastics, sheets or tiles are good and for the wall and ceiling, wallpaper is desirable because they must be nice for fixing and cleaning. Lastly, sitting-style apartment living room demands more systematic studying and I hope this thesis will be a basic material on which you can build better ones.

      • 가스터빈 블레이드 부분 캐비티 팁 막냉각 슬롯의 위치 및 형상 변화가 열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허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높은 에너지 발전 효율을 갖는 가스터빈은 산업 분야를 다양한 분야에서 그 활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가스터빈의 활용성이 확대됨에 따라 가스터빈의 열효율은 지속적으로 높아졌다. 가스터빈의 열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일한 방안으로는 작동유체의 입구온도를 높이는 것이 있다. 이 과정에서 블레이드를 높은 온도의 작동 유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연구 중 하나가 이중 스퀼러 팁보다 낮은 평균 열전달 계수를 갖는 부분 캐비티 팁을 활용하는 것이다. 블레이드를 보호하기 위해 더 확장된 연구로는 냉각 홀을 요소의 표면에 만들어 냉각 효과를 통해 블레이드를 보호하는 방법이 진행되어왔다. 기존 블레이드 팁의 막냉각 방식은 냉각이 필요한 요소의 표면에 수직하게 분사되는 냉각방식을 사용해왔다. 하지만 위와 같은 기존의 냉각방식은 일정 분사비 이상에서 분사된 냉각 유체가 누설 유동을 관통하여 쉬라우드로 향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팁의 표면에서 탈락하여 낮은 냉각성능을 보인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는 부분 캐비티 팁 설계방식을 활용하여 팁의 표면에 수평하게 분사되는 냉각 방식에 대한 전산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냉각 홀의 형상설계변수로는 냉각홀의 위치, 종횡비를 선정하였으며, 분사비를 1.0과 2.0의 조건에서 전산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산해석에는 상용프로그램인 ANSYS CFX 2020 R1을 사용하였으며, RANS를 활용하였다. 블레이드 팁과 캐비티 표면에서 막냉각 성능계수를 활용하여 냉각성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사비 2.0의 조건에서 캠버라인(CC), 종횡비(1:3) 냉각 슬롯이 설치될 때 기존 이중 스퀼러 팁에 적용된 기존 냉각방식보다 냉각성능이 207.54% 향상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Gas turbines are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due to their high energy efficiency. As the application of gas turbines is increased, research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of gas turbines is continuously increased. One way to improve the efficiency is to enhance the working fluid temperature at the turbine inlet. To protect the blade surfaces from hot mainstream flow,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One of these methods is applying partial cavity tips, which showed a lower heat transfer coefficient distribution compared to that of the double squealer tips.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applying cooling holes to improve the cooling effectiveness. In the conventional film-cooling approach, the coolant is injected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to the blade tip surface. In this cooling method, when the blowing ratio is increased, the coolant is moved to the shroud rather than the surface of the tip, and the cooling performance is reduced. Therefore, in this study, using a partial cavity tip, and a horizontal injecting fluid on the surface of the tip is applied. Location and aspect ratio were selected as the design variables for the cooling slot, and numeric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at different blowing ratios of 1.0 and 2.0. The RANS approach was performed using ANSYS CFX 2020 R1 solver. The film cooling effectiveness was calculated at the blade tip and the cavity. It was shown that the cooling performance was improved by 207.54% compared to that of the double squealer tip at the blowing ratio of 2.0, on the camber line (CC), and aspect ratio of 1:3 (AR3).

      • dFOV (display field of view) 크기에 따른 CT angiography 영상품질 평가 : 혈관협착(Stenosis) 영상의 재현성 및 왜곡도 평가

        허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목적 최근 CT 영상기술(CT imaging)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기존 2D X-ray 촬영으로 진단하기 어려웠던 혈관 내 미세병변 등을 실시간 입체영상을 통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졌다. 특히 MDCT의 발전에 따라 CT angiography 검사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혈관을 Axial, CPR(Curved Planar Reconstruction), VR(Volume Rendering) 등의 다양한 3D 영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혈관의 협착, 기형, 이상 확장증 등의 혈관질환 진단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에 따라 영상품질 향상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정량적으로 평가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그 중 디지털 영상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물리적 인자 중 하나는 FOV(Field of View)로써 크기에 따른 정량적 비교를 가능케 한다. FOV 내에 포함되는 matrix 수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FOV 크기가 증가하면 pixel의 너비도 증가하여 해상도는 떨어지게 된다. 이처럼 FOV 크기에 따라 해상도가 좌우되기 때문에 CT scan시 object size에 따라 적절하게 FOV를 설정해야 하는데 현재 대부분의 CT 검사 시 object 전체를 포함하도록 dFOV(display FOV)를 설정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있다. 하지만 이 영상을 바탕으로 인체 심부에 위치한 organ 및 vessel을 중점적으로 보기 위해서 해당 부위를 확대해서 보게 되며, 3D 영상을 재구성할 시에도 large dFOV 상태의 data를 확대하여 만들게 된다. 이것은 혈관 내 Stenosis의 협착 정도를 평가할 때의 정확성에 영향을 주며 이는 혈관 내 Stenosis를 약물치료를 우선으로 할 것인지 아니면 수술을 우선으로 할 것인지의 치료계획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처럼 가느다란 혈관과 관상동맥의 협착 및 미세병변 진단이 주 목적인 CT 촬영에 있어서 dFOV에 따른 영상품질 조정은 주의 깊게 여겨야 할 사항이며 기기적 사양과 제조사마다 요구되는 dFOV 수치도 다르므로 반드시 관리되어야 한다. 이럼에도 dFOV의 크기에 따른 영상의 품질이 정량적으로 얼마큼 변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조사와 Stenosis 비율에 따른 dFOV 크기별 영상품질 변화를 평가해보고, CTA(CT Angiography) 검사 시 small dFOV 관리 및 적용이 Stenosis 진단에 얼마나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CT장비는 Discovery CT 750 HD (GE healthcare, Milwaukee, WI, USA)와 Brilliance 40 (Philips Medical Systems, Cleveland, Ohio)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Phantom은 Coronary artery vessel phantom (5mm diameter, Fuyo corporation, Japan), 영상 재구성 소프트웨어는 Tera Recon (San Mateo, Calif)를 사용하였으며 DICOM image 분석 프로그램으로 ImageJ (Version 1.43u;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를 사용하였다. Vessel phantom은 내부에 25%, 50%, 75% plaque가 포함된 stenosis vessel과 plaque가 없는 normal vessel(reference vessel)을 사용하였다. Vessel phantom에는 조영제(300mgI/ml, Omnipaque)와 Saline를 15:1의 비율로 희석하여 채워넣었다. dFOV(display FOV) 크기와 영상품질의 관계를 알기 위해, dFOV의 크기는 50mm, 100mm, 150mm 및 200mm로 각각 5번씩 촬영하였으며 노출조건은 관전압 120kV, 관전류 500mA, 노출시간 0.5sec/slice, 0.625mm slice thickness, tilt는 0°로 하였다. 영상품질평가에는 Axial image와 Tera Recon에서 재구성한 CPR image를 사용하였다. Axial 영상은 영상 단면의 profile을 구하여 혈관벽에 해당하는 CT number 값 89HU1),4)를 기준으로 CT number 값 최대치의 90%와 10%에 해당하는 폭 차이의 평균을 구하여 선예도(Sharpness)을 평가1)하고, 혈관 lumen의 Solidity3)를 측정하여 영상의 왜곡된 정도를 평가하였다. CPR(Curved Planar Reconstruction) 영상은 Tera recon system으로 저장된 DICOM 파일을 Image 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불러낸 다음 Stenosis에 해당하는 부분의 Profile을 분석하여 Gray value의 최대치 90%와 10%에 해당하는 폭의 차이 평균을 구하여 선예도(Sharpness)를 평가하고, 전체 혈관 단면적과 대비하여 혈관 lumen(Stenosis)의 면적이 얼마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지 구하여 실제 phantom의 stenosis 비율과 비교하였다. 결과 Discovery CT 750 HD (GE healthcare, Milwaukee, WI, USA)에서 구한 Axial 영상의 선예도(Sharpness)는 dFOV 크기가 50mm 일 때는 1.272, 100mm에서는 1.285, 150mm에서는 1.310 그리고 200mm 일 때는 1.345인 것에 반해 Brilliance 40 (Philips Medical Systems, Cleveland, Ohio)에서의 선예도(Sharpness)는 dFOV 크기가 50mm에서는 1.592, 100mm에서는 1.602, 150mm에서는 1.632, 그리고 200mm에서는 1.657로써 dFOV 크기에 따라 기기 내에서는 2.46%∼4.33%의 차이가 났으며 기기별로는 13.94%∼15.80%까지 차이를 보였다. Discovery CT 750 HD (GE healthcare, Milwaukee, WI, USA)에서 구한 Axial 영상의 Solidity는 dFOV 크기가 50mm 일 때는 0.984, 100mm에서는 0.956, 150mm에서는 0.945 그리고 200mm에서는 0.931로 나타난 것에 반해 Brilliance 40 (Philips Medical Systems, Cleveland, Ohio)에서의 Solidity는 dFOV 크기가 50mm에서는 0.976, 100mm에서는 0.957, 150mm에서는 0.939, 그리고 200mm에서는 0.927로써 dFOV 50mm 대비 2.01%∼5.43%의 영상 왜곡이 나타났다. Discovery CT 750 HD (GE healthcare, Milwaukee, WI, USA)에서 구한 CPR(Curved Planar Reconstruction) 영상의 선예도(Sharpness)는 dFOV 크기가 50mm 일 때는 1.306, 100mm에서는 1.315, 150mm에서는 1.357, 그리고 200mm에서는 1.435로 나타난 것에 반해 Brilliance 40 (Philips Medical Systems, Cleveland, Ohio)에서의 선예도(Sharpness)는 dFOV 크기가 50mm에서는 1.610, 100mm에서는 1.653, 150mm에서는 1.692, 그리고 200mm에서는 1.754로써 dFOV 크기에 따라 기기 내에서는 5.1%∼6.86%의 차이가 났으며 기기별로는 12.68%∼15.55%의 차이를 보였다. Discovery CT 750 HD (GE healthcare, Milwaukee, WI, USA)에서 구한 CPR(Curved Planar Reconstruction) 영상의 전체 단면적에 대한 lumen(Stenosis) 단면적 오차율은 Stenosis 비율이 커질수록 큰 오차율을 보였으며 dFOV 크기가 50mm 일 때 각각 0.184%, 0.471%, 1.448%, 100mm에서는 0.424%, 0.636%, 2.188%, 150mm에서는 0.891%, 1.662%, 2.541%, 그리고 200mm에서는 1.672%, 3.098%, 4.745%로 나타난 것에 반해 Brilliance 40 (Philips Medical Systems, Cleveland, Ohio)에서의 lumen(Stenosis) 단면적 오차율은 Stenosis 비율에 따라 각각 dFOV가 50mm 일 때 0.351%, 1.654%, 1.903%, 100mm에서는 1.360, 2.047%, 2.687%, 150mm에서는 1.403%, 2.520%, 4.628%, 200mm에서는 1.804%, 4.258%, 5.915%의 오차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Angiography 영상을 3D 영상으로 재구성 할 때에 dFOV(display FOV)의 크기가 영상품질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 지 정량적으로 평가해보았으며 단순 dFOV 크기가 작을수록 영상품질이 좋아진다는 결과 뿐만 아니라 영상과 장비의 종류에 있어서는 12.68%∼15.55% 그리고 Stenosis의 비율에 있어서는 최대 5.91%까지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Stenosis 치료계획 상 영상으로 통한 정확한 비율 측정은 약물치료를 우선시할지 아니면 수술을 우선시할지 등을 결정하는 주요한 과정이다. 하지만 CT 장비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 대형병원에서는 환자의 수 및 매 촬영 시 일일이 설정해줘야 하는 번거운 MDCT의 특성상 scan range 내에서 dFOV를 변화를 주며 촬영하는 것은 어렵다. 그렇지만 필요에 따라 그 부위에 적절한 dFOV를 설정하여 추가 영상을 얻으면 특정부위의 미세병변 및 혈관질환을 진단하는데 상당한 오차를 줄일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정확한 진단 및 관리를 위해 기기 종류와 Stenosis의 비율에 따라 보이는 오차를 관리할 수 있는 정확한 잣대와 영상품질을 평가하는 데에 있어서 필요한 표준화 방안이 제시되어야함을 느낄 수 있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Axial image와 CPR(Curved Planar Reconstruction) image를 평가하는 데 쓰인 Edge rise distance법1)과 Solidity3) 그리고 Lumen(Stenosis) 면적1),2) 대비 분석과 각각의 장비 종류 및 Stenosis 비율별 오차율 계산은 3D 재구성 영상품질을 평가하는 데 하나의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트랜스액션 관점으로 본 현대 건축에 대한 연구

        허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15

        현대 건축을 이루는 요소들로서 건축물과 인간, 그리고 환경의 관계는 과거 서로에게 일방향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았던 것과 달리 그 영향관계는 쌍방향적이며 복잡하고 다양해졌다. 일련의 변화와 함께 현대 건축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응하여 현재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개념으로서 Interaction, Interactive, Interface Design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 경향은 컴퓨터나 디지털 매체에 일방적으로 의존을 하거나, 그 지속성이 단발성 이벤트로 그치는 경우나 또는 물리적, 평면적인 수준의 상호작용으로 한정되었다. 우선, Interaction Design에서의 Interaction은 그 단어의 근원에서부터 한계를 가지고 있다. Interaction은 근대적 사고관인 뉴턴적 세계관 - 이분법적, 기계론적 세계관, 절대적 시공간 , 관찰자적 지식론 등 -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존 듀이는 인터랙션에서 벗어나 트랜스액션으로 옮겨가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 건축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다양한 시도들을 트랜스액션의 관점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트랜스액션의 의미는 현재 다양하게 해석되고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의미들 중에서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존. 듀이의 개념을 바탕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존. 듀이는 트랜스액션의 의미를 '인간과 그를 둘러싼 환경 간에 일어나는 상호 관계적 활동일 뿐만 아니라, 거기에 수반되는 광범위한 인식작용을 가리킨다'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와 함께 트랜스액션의 특성으로는 첫째, 상호 유기체적관계로서, 둘째, 시․공간의 광범위한 인식작용으로서, 셋째, 창발적 사건으로서 트랜스액션 등 세 가지로 분석할 수 있으며 각 특성들은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크게 하나의 연속선상에 놓여 있으며 광범위한 영역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또한 트랜스액션은 세 가지 단계가 있는데, 첫 번째는 물리-화학적 수준, 두 번째는 심리-물리적 수준, 세 번째는 인간의 마음과 경험 수준으로 나눌 수 있다. 트랜스액션의 세 가지 단계는 정도의 차이, 기능의 차이로 볼 수 있다. 이렇듯 트랜스액션은 그 의미와 특성 또한 다양하게 해석되며 복합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트랜스액션의 특성과 단계를 바탕으로 건축적 해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호유기체적관계로서 트랜스액션은 건축의 기본적 설정으로 열린 시스템, 혼성, 불확정성을, 시․공간의 광범위한 인식작용으로서 트랜스액션은 장소성, 시간성, 상황성을 기본으로 하는 맥락적 인식을 그리고 창발적 사건으로서 트랜스액션은 과정으로서 또는 결과로서 사건의 건축을 도출하게 된다. 그리고 트랜스액션의 각 단계들로부터 건축 요소들의 상호 트랜스액션 정도와 건축적 적용 범위를 살펴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건축적 해석을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건축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트랜스액션 관점으로 살펴본 현대 건축이 나아가야할 방향은 건축을 구성하는 여러 요인들이 단순한 상호작용의 수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서로에 대한 깊은 이해 및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것을 바탕으로 건축은 건축물과 사용자 그리고 환경 등이 상호간에 더욱 물리적, 정서적으로 교류할 수 있는 장이 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tendency of transac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which is based on John Dewey's meaning of transaction. Transaction is a kind of action between individual and situations which surround the individual. In other word, it is the activity generating the effect through the medium of external situation. However the concept of transaction is able to be interpreted in the object as well as human being. There are three meanings of transaction. First is the mutual organic relation, second is synthetic cognition and the last is the emergent event. These meanings are used as an analytical tool to understand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factor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can be classified into user, environment, building. Each factor obtains the mutual organic relation and exchanges the effects. Also Each factor is recognized each other on the whole context. So this relationship and recognition can be analyzed the event.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not simply interaction but transaction since the experience of architecture is continuously changing and becomes a new one.

      • 사회구성주의에 입각한 전자 작문 과정 연구

        허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15

        이 논문의 목적은 전자 작문 과정의 현상을 기술하고 전자 작문을 통해 학습자의 지적, 정의적 변화와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 상호 작용 관계, 주변 상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전자 작문 수업은 사회구성주의 이론에 토대를 두었다. 사회구성주의는 담론 공동체를 강조하며 사람들 사이의 협상을 통해 지식이 구성된다고 보며 또한 지식 습득이 실제적인 맥락 안에서 이루어질 때 학습이 용이해진다고 본다. 사회구성주의에 입각한 전자 작문은 근접 발달대에 기반한 협동 학습을 통해 동료 평가를 주도하며 대화를 중심으로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전자 작문은 바흐친이 말한 카니발적 세계관과 유사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구성주의에 입각한 전자 작문 과정을 고찰하기 위해서 홈페이지를 개설하였고 질적 연구 중 문화 기술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있는 8개 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11명과 남학생 5명이었다. 연구 기간은 4개월로서 2000년 1월∼2월, 2개월에 걸친 손 작문과 3월∼4월, 2개월에 걸친 전자 작문 수업을 하였다. 수업은 학원에서 이루어졌으며 교실에 컴퓨터는 없었다. 연구자는 학생들이 인터넷에 올린 글과 이메일(E-mail), 서술적 수업 관찰 및 녹음, 설문 조사와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전자 작문의 수업 과정과 절차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학생들은 소집단으로 구성된 조에서 계획하기, 자료 찾기, 텍스트 작성하기, 상호 평가하기, 텍스트 완성하기의 단계를 통해 전자 작문을 하였다. 수업 시간에는 학생들이 써야 할 내용에 대해 계획하기와 자료를 보고 토의하기, 상호 평가하기를 중심으로 하였고 집에서는 자기 소개하기, 개요를 게시판에 올리기, 자료 찾기, 초고글 작성해서 올리기, 텍스트를 완성해서 올리기 등을 하였다. 이러한 전자 작문을 통해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학습자는 지적 영역에서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다. 학생들은 작문 수행능력에 있어서 손 작문보다 평균 10점 이상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이것은 전자 작문이 손 작문보다 학습에 더 의미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전자 작문 교육은 지식 기반 사회가 요구하는 문식성, 고등 정신 능력, 글쓰기 능력 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정의적 영역에서 전자 작문은 학생들의 작문 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이유는 개별화 수업과 자기 주도적 학습 그리고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장점 때문이다. 학생들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글쓰는 그 자체를 즐겨했으며 특히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전자 작문은 또한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자 작문을 할 때의 상호 작용은 손 작문을 할 때보다 더 활발하였다. 근접 발달대에 기반한 소집단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인지적 발달을 가져왔으며 담론 공동체의 담론을 효과적으로 배웠다. 또한 상호 평가를 통해 학생들은 교육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소집단내의 상호 작용을 통해 학생들은 작문이 일종의 의사 소통 방식임을 인식하게 되었다. 전자 작문에서 교사는 안내자, 조언자, 촉진자의 역할을 하였으며 이와 같은 교사의 역할은 전통적인 수업에서 교사 중심의 수업 방식과는 달리 학생 중심의 수업 방식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자 작문 수업을 할 때 일어났던 주변 상황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학생들은 시간이 갈수록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것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느꼈으며 컴퓨터가 다운(down )된다든지, 컴퓨터 바이러스에 의해 컴퓨터의 하드웨어에 손상을 입어 컴퓨터를 쓸 수 없다든지 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하였다. 또한 잘못하여 글이 삭제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상의 전자 작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겠다. 첫째, 전자 작문은 지식 기반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정보 인프라를 구축하고 적극적인 전자 작문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글을 쓰기 전에 사고를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글쓰기에 있어서 학생들의 동기가 유발되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cess of computer writing and the impact of computer writing on students in terms of their writing ability, motivation and interaction with other students. Computer Writing class is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constructionism. The theory has three main points. First, it puts emphasis on community in which members can discuss various matters and share information. Second, t argues that knowledge is created and accumulated when people share their opinions and reach in agreement. Third, learners can get knowledge with ease when the knowledge they learn can be applied practically. Computer writing, based on social constructionism, has two main features corresponding to the stated three points. First, computer writing centers on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thus driven by mutual evaluation and dialogue among students. Second, computer writing reflects the carnival worldview which was noted by Bakhtin. To study the process of computer writing, a homepage was opened on the web. This study was also based on the ethnography among qualitative approaches. The students of this study were sixteen high school freshmen (5 males and 11 females). The study was conducted over the period of 4 months, from January to February, 2000 on handwriting class and from March to April on computer writing class. These handwriting and computer writing classes were conducted at a private cram school. Writing the students posted on the internet and their emails were referred, the classes were observed an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students were devided in small groups. The class began with planning, followed by searching for data, writing a text, evaluating and completing the text. Those classes were focused on planning, discussing on data and evaluating. Then, the students searched for data and posted their writings on the internet at home. The study identified three main effects of computer writing on the students. First, their writing ability was improved. They acquired on average 10 points higher grades in their essay tests. When they performed computer writing than they did handwriting. Which suggests that computer writing i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writing ability than handwriting and that computer writing may help promote literacy and higher mutual functions needed in the knowledge based society. Second, they were more motivated for writing when they performed computer writing than they did handwriting. It is because computer writing class is focused on individuals and let students themselves learn the class. It is also because students favor working on a computer. Third, they interaction with teachers on others students was enhanced, Performing in small groups based on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they could learn effectively how to share their opinions. They came to regard writing as a way of communications. Through this interactions, teachers played a role of a guide, having students play a bigger part in class. There were also some difficulties facing the students which they performed computer writing.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cost of using the internet with the lapse of time and some computer hardware glitches occasionally blocked them from writing on computers. Based on the study, some recommendation can be made. First, computer writing can help foster talented people who are needed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Second,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and computer writing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Third, students should be taught expanding their thought before writing. Fourth, students should be motivated for writing.

      • 공공연구기관 연구자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 : 사회환경적 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허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공공분야 R&D 연구자들의 개인자율성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다차원적인 자율성의 특징을 도출하고, 사회・환경적 변수가 각각의 자율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관계를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표본은 대표적인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율성 요인분석결과 4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각 연구전략 자율성, 자원기반 자율성, 시간기반 자율성, 학습지향 자율성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회・환경적 요인(사회적지지, 환경적 제약, 경쟁평가 강도)과, 인구통계학적 변수 및 연구특성변수를 입력하는 방식의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자율성의 각 차원마다 유의한 회귀계수가 다르게 나타났다. 결과를 통해 각 자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변수의 투입을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R&D환경의 변화로 자율성이 제약을 받는 현실적인 문제를, 조직 내 신뢰와 존중의 문화를 조성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창의적 연구환경 구축, 국가 R&D 정책수립에 있어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Although studies on the effects of autonomy on R&D performance have been widely conduct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multidimensional trait of autonomy in the public sector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effects of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This paper is aimed at exploring the facets of autonomy of researchers in government-funded institutes(GFIs) and to identify the significant effects of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Empirical data is collected from among surveys capturing the perceived level of autonom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validity of variables and the relationship, our results shows that autonomy can be decomposed into latent variables, such as research strategy autonomy, resource-based autonomy, time-based autonomy, and learning-oriented autonomy. Moreover, the distinct effects of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on each factors can be found. Our findings imply that considering the distinct effects of socio-environmental variables, the multidimensional trait of autonomy is essential for assessing the creative environment for enhancing R&D performance, moderated by individual autonomy of researchers. Also, operational and theoretical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managerial strategies and R&D policies are provided.

      • 소규모 지주공동체사업에 있어 주민참여 의사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 민법상 조합사업 중심으로

        허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대규모 정비사업이 지연·중단되어 기존의 정비사업 지정구역이 해제됨에 따라 지역 쇠퇴현상이 진행되고 있어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 도시지역의 노후화된 소규모 저층주거지 정비사업 활성화를 목적으로 빈집 및 소규모주택정비에 관한 특례법이 시행되고 있지만 잘 추진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사업 활성화 저해하는 제도적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을 통한 소규모 주택정비사업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도심지역의 노후화된 저층 단독주택 2필지 이상의 정비사업과 공동주택인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등 주택정비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주민합의체를 구성하여 공동사업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소규모 토지등소유자(공유자 포함) 2인 이상이 공동사업을 하는데 있어서 법률적·제도적인 문제점에 대해서 연구한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여 소규모지주공동체사업이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업시행 주체인 2인 이상의 토지등소유자인 주민의 전원 동의로 구성한 민법상 법인격이 없는 주민합의체가 단독으로 사업시행 주체가 되어 소규모지주공동체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주민이 사업 참여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요인에 대해서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법인격을 부여 받지 못한 민법상 조합 형태인 소규모 지주공동체가 단독으로 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대규모 지주공동체사업과는 달리 이해당사자인 주민들이 사업참여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민감하게 인식하는 부분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1차적으로 선행연구와 문헌 및 현행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도적인 요인을 도출하였다. 2차적으로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에 맞게 전문가 FGI를 통해 비용부담과 관련한 제도적인 문제, 법률 적용에 있어서 동일한 사업 형태이지만 법률 불비로 인한 대규모사업과 달리 소규모 사업에 있어서 제도 적용에 있어서 불합리성 문제와 사업 수익성과 주민들의 분담금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 분양분에 대한 공공임대주택 매각에 따른 사업성 문제, 사업추진에 있어서 사업의 안정성 등 분석대상 요인으로 유형화하였다. 설문조사는 소규모지주공동체사업 시행이 아직 초기 단계로 일반인들은 제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실정으로 사업시행 주체인 토지소유자(주민)를 대상으로 하지 못하고 도시정비사업과 이해관계가 있는 전문가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규모주택정비법이 시행한 후 2018년 10월부터 약3개월간 도시정비사업 담당 공무원, 정비사업전문관리업체 직원, 세무관련 국세청 공무원 및 세무·공인회계사, 시공사 및 부동산개발업체 직원을 통해서 회수한 설문지 중 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분석 내용과 정책적 시사점을 요약하면 사업 추진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비용부담과 관련한 제도적인 문제점은 첫째, 소규모지주공동체사업에 있어서 사업 초기단계에서 현물출자 의무 이행으로 미실현 이익에 대해서 발생하는 양도소득세 과세에 따른 비용 부담에 대한 개선책으로 과세이연제도 도입이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집합건축물에 같이 거주하는 이유로 의도하지 않은 공동사업 참여로 장기보유특별공제 혜택에 대한 불만족이 나타났다. 따라서 소규모지주공동체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익적인 차원에서 과세혜택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소규모지주공동체사업은 수익성이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일반분양분에 대해서 취득세가 이중과세 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의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한 조합원에 대한 가중된 부담은 분양가 상승유발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제도적용의 불합리성 문제와 관련해서는 첫째, 사업시행주체인 민법상 조합인 지주공동체에 대한 법인격 여부가 문제가 된다. 이는 민법상 권리의무 주체인 법인도 자연인도 아닌 법인격이 없는 단체로 사업시행주체로서 권리의무주체 및 행위주체로 권한과 책임이 모호함으로 대외적 신뢰성을 인정받기 쉽지 않아 자금조달 및 외부와 사업시행 관련 계약 체결이 쉽지 않다. 따라서 단체에 대한 권리의무 주체뿐만 아니라 납세의무 주체를 명확히 함으로써 책임의 한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사업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성과 관련해서는 자금 조달계획과 관련성이 있는 공공임대주택 매각에 대한 분양가와 매각시점이 사업시행 참여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소규모지주공동체사업의 경우 대부분 열악한 사업성으로 분담금에 대한 민감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분석 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은 도심권 저층주거시설 노후화로 인한 체계적이고 효율적 관리 및 정비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불합리하게 적용되고 있는 법률적·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