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말뚝쿠션 재료에 따른 SIP 강관말뚝의 소음측정 및 에너지전달율에 관한 연구

        허재훈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말뚝쿠션재료의 기본적인 요구조건인 고효율의 에너지전달율을 만족하면서 효과적으로 소음을 제어할 수 있는 적절한 SIP공법 말뚝의 말뚝쿠션재료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께 6cm와 9cm 합판, 강(무 쿠션), 실리콘고무+합판, 미카타, 폴리우레탄, 고무, 폴리우레탄+말뚝캡에 대하여 램낙하높이를 변화시키면서 낙하해머로 동재하시험과 소음원으로부터 35m 이격된 위치에서 소음측정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에 의하면, 램낙하에너지 2tonf-m로 최종경타시 말뚝쿠션재료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두께 6cm 합판을 사용한 경우의 소음증분량이 700% 낮게 나타났다. 합판의 두께가 6cm, 9cm에 대하여 동일한 낙하에너지인 2tonf-m로 타격하였을 때 말뚝에 전달되는 에너지전달율은 각각 55%, 25%로 합판의 두께가 얕을수록 에너지전달율이 높게, 소음크기는 낮게 나타났다. 두께 6cm 합판은 사용한 다른 쿠션재료보다 소음이 가장 적게 발생하였을 뿐만아니라 에너지전달율도 강재료보다 더 우수하였다.

      • 철과 스테인레스 강에 대한 폴리아닐린의 부식방지 특성

        허재훈 명지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631

        PANI 미세 분말, cyclohexanone(분산액 1), 또는 아닐린(분산액 2)으로구성된 PANI 분산액은 0.5 ~ 5 wt.% PANI 함량, 600~ 750 R_(p)m의 분쇄기의 회전속도, 그리고 12 ~ 100 시간의 분쇄시간과 같은 다양한 분쇄조건에서 미세 분쇄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여 각각 Fe와 SS 304의 부식억제 코팅 액으로 사용되었다. PANI/epoxy 분산액은 톨루엔과 같은 비극성용매에서 epoxy를 용해한 후 소량 용해되는 PANI-CSA 미세 분말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여 각각 Fe와 SS 304의 부식억제 코팅 액으로 사용되었다. 가용성 PANI 용액들은 3wt.% PANI분말을 NMP용액에 조금씩 첨가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각각 Fe와 SS 304의 부식억제 코팅 액으로 사용되었다. PANI 블렌드 용액들은 m-cresol에 녹인 PMMA와 톨루엔에 녹인 epoxy용액에 PANI-CSA, PANI-DBSA를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각각 철와 SS 304의 부식억제 코팅 액으로 사용되었다. PEtOAN염/WSE블렌드는 메탄올에 녹인 WSE용액에 PEtOAN-Cl, PEtOAN-NO₃와 PEtOAN-BF₄를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각각 Fe의 부식억제 코팅 액으로 사용되었다. . PANI와 PANI/epoxy분산액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위하여 백금위에 분산액 들을 코팅하여 CV를 측정하였다. PANI분산액들은 전형적인 두개의 redox 피크를 가진 화학적으로 합성된 PANI와 유사한 CV곡선을 나타내었다. 3 wt.% NaCl용액 내에서 PANI분산액 코팅된 Fe 또는 SS 304의 PDPC와 Voc측정결과 전체적으로 E_(corr)는 증가하고 I_(corr)는 감소하여 R_(p)값이 증가하는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PANI분산액이 코팅된 Fe과 SS 304 전극의 Voc에서는 분산조건에 따라 다른 부식전압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PANI 분산액은 Fe와 SS 304에 환경 친화적이며 탁월한 부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Fe와 SS 304에 대한 PANI/PMMA, PANI/epoxy 그리고, PEtOAN/WSE 블렌드 코팅 액의 부식측정은 3 wt.% NaCl에서 PDPC 와 Voc측정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PANI 와 PEtOAN이 포함된 블렌드용액은 epoxy, PMMA or WSE 코팅과 같은 단일 구성 코팅 액보다 우수한 부식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Fe 전극에서 옥살산 도핑된 PANI는 CV법으로 합성하였으며 PDPC측정한 결과를 코팅되지 않은 Fe와 비교하였을 때 E_(corr)는 증가하고 I_(corr)는 감소하여 R_(p)값이 증가하는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SS 304전극에서는 황산, 인산, 옥살산에서 전기화학적으로 PANI를 합성하였다. 황산 도핑된 PANI는 CV, PS법으로 합성하였고 인산 도핑된 PANI를 SS 304위에 CV , PS, GS 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으며 옥살산에서는 CV법으로만 합성하였다. 인산 도핑된 PANI의 CV에서는 0.2 V 와 0.6 V에서 두개의 특징적인 redox 피크가 나타났다. 0.1M과 0.2M ANI의 농도는 인산용액에서 전기화학적으로 PANI를 합성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PANI 코팅의 활용과 응용을 위하여 Cl^(-)가 포함된 중성용액과 산성용액에서 PDPC와 Voc를 측정하였다. 전기화학적으로 합성한 PANI는 SS 304에 탁월한 부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Processible PANI dispersions consisting of PANI micro-particles, cyclo- hexanone(dispersion 1), or ANI(dispersion 2) were prepared in a micro- milling machine with various mixing conditions such as 0.5 ~ 5 wt.% PANI content, rotating speed from 600 to 750 R_(p)m and milling time from 12 hr to 100 hr, The dispersions were also prepared for the application of protective coating on Fe or SS 304 surface, respectively. The PANI/epoxy blend dispersions were made by add PANI-CSA and epoxy in toluene by same molar ratio was also prepared for protective coating on Fe or SS 304 surface, respectively. The soluble PANI solutions were made by dissolve 3 wt.% PANI in NMP was also prepared for protective coating on Fe or SS 304 surface, respectively. The PANI blend solution were made by PANI-CSA, PANI-DBSA in PMMA and epoxy was also prepared for protective coating on Fe or SS 304 surface, respectively. PEtOAN-Cl, PEtOAN-NO₃, and PEtOAN-BF₄ in WSE were also prepared for protective coating on Fe surface, respectively.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dispersion films coated on Pt electrode were investigated by CV. The electrochemistry of the PANI dispersion coatings was basically similar to a chemically synthesized PANI coating based on the results of CV. PDPC and V_(oc) measurements carried out in 3 wt.% NaCl solution when the PANI dispersion coatings applied on Fe or SS 304 surface. The results of PDPC showed increase in E_(corr), decrease in I_(corr), and increase in R_(p) values. V_(oc) Variation of the dispersion coating/Fe or SS 304 electrodes was observed, which differed with milling conditions. The results demonstrated practical use of the conducting polymer dispersion as a coating material for corrosion prevention of Fe or SS 304. The protective properties of the PANI/PMMA, PANI/epoxy and PEtOAN/ WSE blend coatings on pure Fe or SS 304 have been studied in 3 wt.% NaCl solution by PDPC and V_(oc) measurements.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atings containing PANI and PEtOAN showed better corrosion protection in 3 wt.% NaCl solution than the single component coatings such as epoxy, PMMA or WSE. We electrodeposited oxalate doped PANI films on Fe surface in the electrolytic solution with 0.1 M ANI and 0.1 M oxalic acid. The potential cycle was performed in the range of -0.6 ~ 1.5 V (vs. SCE). PDPC measurements carried out in 3 wt.% NaCl solution with PANI coated Fe electrode. It showed increase in E_(corr), decrease in I_(corr), and increase in R_(p) values. We electrochemically prepared phosphate doped PANI films on SS 304 surface in the electrolytic solution containing different ANI concentration and 1.0 M phosphoric acid solutions by applying PS, GS, and LSV method. The optimum condition for electrodeposition on SS 304 in phosphoric acid appeared at 0.1 M and 0.2 M ANI concentrations. The CV diagrams of the films showed the characteristic redox couples around 0.2 V and 0.6 V.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doped PANI films on SS 304 revealed a strong adhesiveness and excellent uniformity. Corrosion properties of SS 304 electrode were investigated by PDPC and V_(oc) measurements in acidic chloride environments. The results showed not only dramatic increases in both E_(corr) and film breaking potential(E_(b),_(pit)), but also large drop in I_(corr).

      • 건축마감재료로서 활성탄의 활용방안에 관한 실험적 연구

        허재훈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주거문화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오늘날에는 초고층화, 대형화, 복합화, 고기밀화된 건축물이 등장하고 있으며, 서양에서 전해져온 concrete라 불리우는 재료가 건축물의 구체 재료로 대부분 사용되고 있으며, 마감재료로 cement를 사용하여 마감하는 공법을 많이 쓰고 있다. 또한, 현대 사회에서의 건축물은 튼튼함이나 작업시의 편리함 및 완공 후 입주민의 편이함만을 추구할 뿐 실내 환경 문제나 재실자의 건강에 대한 문제고려는 부족한 실정이다. 아파트라는 주거형태가 등장하면서 이러한 문제들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되었고, 대지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용적율 증가로 건물의 밀폐화가 진행되어 오히려 실내의 오염도는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실내오염의 원인은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는 벽지나 바닥재, 페인트 등의 주원료인 염화비닐수지(PVC)와 접착제, 실링재 및 가구 등에서 많이 배출되는 포름알데히드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국외 유럽이나 일본 등지에서는 실내에서 주로 근무하는 사람에게 발생하는 알레르기, 두통, 불면증, 호홉기 질환 등 빌딩증후군(SBS : Sick Building Syndrome)이 현대건축의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리하여 사회적으로 문제시 된 80년대부터 건축자재의 화학물질 배출량을 규제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에는 아직 이렇다 할 만한 법적 규제가 없다는 보고가 경원대학교 윤동원 교수팀에 의해 보고된 바 있다. 이렇게 재실자들의 환경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의 학계 및 업계에서는 화학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마감재 대신에 다양한 천연소재의 개발에 적극 나서고 있다. 그 중에서 건강에 유익한 숯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최근 숯의 새로운 효용성들이 보고되면서 더욱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숯은 방부, 방습, 조습, 탈취 등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실내에서 유해한 액체나 기체를 흡수하고 전자파까지 흡수할 수 있는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숯에 약 1000℃의 수증기를 가하여 다시 열처리 과정을 거쳐 숯보다 성능이 좋고, 사용성 또한 좋게하여 가공한 것을 활성탄(소)이라고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탁월한 성능을 가진 활성탄을 건축재료로 사용한 예는 드물며, 실내에서도 그냥 방치하여 악취제거나 조습 성능에만 사용할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숯의 다공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가공한 활성탄을 사용하여, 좀 더 과학적인 근거를 찾고, 실험을 통하여 건축마감재료로서의 활용 가능성 여부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을 통하여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활성탄을 혼입한 아직 굳지 않은 모르터의 플로우치는 활성탄의 치환율에 비해 활성탄을 치환하지 않은 모르터의 경우보다 매우 경미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본 연구 범위의 최대 치환율인 50% 이상의 범위에서도 유동성과 작업성에서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2) 활성탄 치환율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는 초기 재령에서 약간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재령 28일 압축강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범위 내에서는 치환율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는 거의 없으며, 금후 실험의 범위를 확대하여 최대 치환율을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단위용적중량의 변화는 활성탄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꾸준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활성탄의 활용이 건축재료의 경량화에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4) 열전도율 또한 활성탄의 치환율에 따라 변화를 보였는데,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꾸준한 감소를 보였다. 이는 일반 모르터에 비하여 활성탄을 함유한 모르터가 단열성능이 높을 것으로 추측된다. (5) 활성탄을 혼입한 시멘트 모르터의 표면 관찰 결과, 예상대로 활성탄 치환율이 높아질수록 표면에 나타나는 활성탄의 수량은 많았으며, 이로 인하여 활성탄을 함유하지 않은 모르터에 비해 시멘트 특유의 냄새가 나지 않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앞으로 쾌적한 주거환경을 만드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6) 포름알데히드 흡착 실험은 본 연구 범위의 최대 혼입율인 30%에서 가장 흡착 시간이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활성탄이 유해 가스를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제2차 제품으로 활용되었을 때 효과 좋은 제품이 될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 (7) CO2 농도 흡착 실험에서도 앞선 실험과 마찬가지로 활성탄 혼입율 30%의 시험체가 흡착 시간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또한 최대 혼입율과 적정 시간대를 찾아내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8) 요오드 용액 반응 실험에서는 두 가지 부류로 나누어 실험한 결과 모두 활성탄이 요오드 용액을 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화가 진행된 후 녹말과의 반응을 살펴보았을 때, 요오드 용액이 반응하는 것과 달리 정화된 용액은 아무런 반응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ur country, the building have appeared, according to radical development of housing culture such as high-rised, large-sized, high-tight since the liberation. The material is called Concrete is widely used in the most structure. But the structure is only concentrated to the convenience of construct- ion and residents' life but to residents' health. These problems are caused, housing from called Apartment, and the buildings shut tightly than the pollution of interior air is on the increase. It is proved that the caused of this pollution is formic-aldehyde and ammonia from paint, adhesive, and PVC. The disease of called SBS (Sick Building Syndrome) is embossed in modern society. But there is no report which is the controls of poisonous gas from construction materials. Increasing interest in residents' health and circumstances, domestic academic circles and business circles are developing natural construction materials instead of chemical poisonous materials actively. The charcoal is highlighted in these natural things, and the study is in progress according to the report of its usefulness. It is excellent in dryness, dampness, deodorization and adsorption. There is carbon called 'Activated Carbon' which process charcoal by 1000℃ stim heating. It is superior to charcoal in its usefulness and effic- iency. But there is scarcely exemple used in construction material.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s the scientific basis of activated carbon and finds out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using metho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flow of fresh mortar added activated carbon indicates slight diminution and there is no problem is about flowability and workability in the maximum rate ; 50% (2) The change of compressive strenght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rate of activated carbon indicates slight decrease in the early age but there is scarcely change in the age of 28 days. Therefore, there is little change of compressive strength according to replacement rate in the range of this study, hereafter, it is need to find out maximum replacement rate. (3) The change of unit volume weight indicated decrease steadly,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activated carbon has a good effect on the light weight of construction materials. (4) The thermal conductivity indicates decrease steadly by the increase of replacement rate, too this displays that the mortar added activated carbon has better heat insulation than not added. (5) Observing the surface of cement mortar added activated carbon, as the replacement rate of activated carbon is higher, as the number of that is larger, and we can know little bad smell of cement. It will contribute to good housing circumstance. (6) The adsorption experimentation of formic-aldehyde is the most rapidest in 30% ; it is maximum replacement rate of this study. Therefore, we can ascertain that the activated carbon has the capacity to adsorb poisonous gas. (7) The adsorption experimentation of CO2 density is the most rapidest in 30%, too. (8) Two parts of experimentations show that the activated carbon purifies iodine solution in the reaction experimentation of iodine observing reaction on dextrine after purification, it can judged that the purified solution doesn't react on dextrine.

      • 가상 그림자 체이서 : 가상 그림자 생성을 위한 실제 그림자 제거 기술의 적용

        허재훈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present our design of a media art installation that a participant chases and interacts with a runaway virtual shadow and a way of removing the participant’s real cast shadow to generate illusionary virtual one. In the interactive art installation, a participant sees his or her own cast shadow on the floor being transformed into an unrealistic shadow and running away from his or her body. The participant is to restore his or her real shadow by chasing and catching the virtual shadow. This project regarding the virtual shadow is intended to reflect the present-day social phenomena that people are lost in the virtual reality aloof from the reality. To make the virtual shadow illusionary and immersive, the real shadow needs to be removed. This paper describes the computer vision techniques related to shadow removal and our technical design that employs multiple beam projectors, video cameras and an infrared camera. Our interaction design is intended to arouse participant’s interest and motivation for interaction. 본 논문에서는 실제 사람의 그림자로부터 파행하는 가상 그림자 환영을 생성하고 관객이 그 가상 그림자를 쫓으며 상호작용하는 미디어 아트 작품의 디자인과 구현을 제시한다. 작품이 설치된 공간에서 관람객은 바닥에 투영된 자신의 그림자가 비현실적인 가상 그림자로 변형되어 신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게 된다. 관람객은 그 가상 그림자를 쫓아 자신의 실제 그림자를 회복하는 노력을 하며 그림자와의 상호작용을 경험한다. 이 작품은 실제 현실에서 멀어져가는 가상적 현실에 몰입하는 오늘날의 사회상을 반영하려는 의도로 기획되었다. 바닥에 투영되는 가상 그림자에게 환상적인 현실감을 불어 넣어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그림자의 제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 제시된 연구에서는 그림자 제거에 관련된 컴퓨터 비전 기술을 조사하고, 여러 대의 빔 프로젝터들, 비디오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등을 사용하여 작품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한다. 이를 통해 관객의 흥미와 상호작용을 유발하는 작품의 디자인을 제시한다.

      • 고속도로 교량 바닥판 손상특성을 고려한 교면포장 적정 개량시기 산정

        허재훈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고속도로의 기능유지와 차단시간 최소화를 위해 동절기 제설염화물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교량, 배수시설 등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의 손상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동절기에는 염해와 동해의 복합열화로 인한 급격한 내구성 저하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손상은 교면포장 아래에 위치한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 상면에서 발생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손상이 크게 진전되어 포장면으로 나타나기 이전까지는 육안점검 등에 의한 외관조사로는 탐지하기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도로공사 교량 바닥판 유지관리 방식은 접근이 가능한 교면포장 및 교량 바닥판 하면에 대한 육안조사 자료를 근거로 교량 바닥판 상태등급 평가 후 교면포장 개량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 이러한 유지관리 방법에서는 육안 확인이 가능한 교면포장 및 교량 바닥판 하면 위주로 유지관리가 시행되어 오면서 육안조사 자료에 근거한 교면포장의 개량여부 결정으로 인해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평가과정 및 기준 적용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교면에 집중된 개량만을 추진하면서 교량 바닥판 상부에서 누적되는 열화 손상에 대한 대처가 미흡하여 결과적으로 교면포장상태는 양호하게 유지해 온 반면 바닥판 내부상태는 불량한 교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교통차단 조기개방, 공기 단축 등의 현실적인 제약조건으로 인해 바닥판 열화발생부에 대한 적절한 보수가 충분히 이뤄지지 못한 채 교면포장만 반복적으로 개량할 수밖에 없는 한계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구조물 열화인자 및 수명예측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교량바닥판의 열화가 교면포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교면포장의 적정 개량시기 산정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이 부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 바닥판의 열화를 고려한 교면포장 결정 적정시기 도출을 위하여, 교량 바닥판의 열화특성을 분석하고 교량 바닥판 공용수명을 감소시키는 영향인자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규명하여 교량 바닥판과 교면포장 상태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서 적정한 교면포장 개량시기를 선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교면포장 개량 적정시기 결정을 위한 열화모델을 도출하였다.

      • 팬구동용 단상 하이브리드 SRM의 설계 및 제어

        허재훈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산업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가정용 또는 산업용기기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예를 들어 냉장고, 선풍기, 에어컨디션, 팬, 펌프, 원심분리기, 컴프레셔 등 대부분의 기기에는 전동기가 사용되고, 용도에 따라서 단방향 구동과 양방향 구동 전동기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단 방향 구동용 전동기는 냉장고, 선풍기, 에어컨디션 등의 기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수요의 증가에 따라 PMSM, BLDC, SRM 등의 다양 전동기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그 중 1838년에 개발된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Switched Reluctance Motor, 이하 SRM)는 전자기적 구조가 간단하고 견고하며, 고효율, 고 토크/관성비 등의 장점을 가진 전동기이다. SRM은 전기적인 상의 개수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보통 3상, 2상, 단상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의 개수가 증가 할수록 각 상에 따른 스위치의 개수가 증가하며, 이는 인버터의 크기와 비용을 증가 시키는 단점으로, 스위치의 개수를 줄인 단상 SRM을 사용하는 것이 장점으로 단상 SRM의 연구의 수요가 증가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상 SRM은 기동 시 초기 회전자의 위치가 고정되어있지 않아, 기동 시 기동 토크 발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을 사용하여 회전자의 초기위치를 고정한 형태인 단상 하이브리드 SRM의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 하지만 영구자석에 따른 영구자석 부-토크는 토크리플의 증가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구자석을 사용한 팬 구동용 단상 하이브리드 SRM의 설계함에 따라, 영구자석에 따른 설계 변수를 정하여 영구자석에 따르는 특성을 파악하여 토크리플을 줄이는 설계를 하였다. 그리고 시작 전동기의 제작을 통하여 전동기의 특성 분석 및 성능을 파악, 그 성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Ky. Lu[2]의 펌프 구동용 H-SRM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팬 구동용 단상 하이브리드 SRM을 설계 하였다. 설계 시 기존의 팬 구동용 브러시리스 전동기를 바탕으로 설계치수를 제한하고, 치수를 산정하였다.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전동기의 단점인 영구자석의 부-토크에 따른 토크리플과 데드-존을 줄이는 설계를 하였고 Ky. Lu[2]의 전동기와는 다르게 긴-팁 형태의 영구자석 극을 가지는 하이브리드 SRM을 설계하고,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전동기 설계 시 설계에 따른 변수들을 정의 하고, 변수들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FEM 툴을 통해 해석을 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여 전동기 설계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영구자석 극과 고정자 내에 위치한 영구자석의 누설자속을 줄이고자 형상의 두께에 따른 특성을 해석하였다. 또한 영구자석의 배열각도, 영구자석 극 안쪽 각도, 극 각도, 고정자와 영구자석 사이의 두께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였다. 영구자석의 배열각도가 커질수록 자속 밀도의 집중도와 피크 토크는 줄어들며, 안쪽 극 각도가 커질수록 자속 밀도가 극 중심에서 분산되고, 영구자석 극 각도가 커질수록 토크의 영역의 넓어지는 특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토크리플을 줄일 수 있는 값을 산정하여 선정하였다. 전동기를 구동하기 위해 비대칭 컨버터를 사용하고, 스위치 소자로는 MOSFET을 사용, 회전자 위치에 따른 상전류를 입력하기위해 포토 센서 사용 하였고, 전류제어를 위해 마이크로 프로세서 ATMEGA8을 각각 사용하였다. 설계된 하이브리드 SRM은 시뮬레이션 결과 짧은 영구자석 극 전동기에 대비 긴-팁 전동기를 가질 때 데드-존 토크 구간에서 각각 50% 증가 효과를 가져왔고, 시작전동기의 제작과 실험을 통해 실험을 설계된 전동기의 성능을 확인하고 팬 구동용 하이브리드 SRM의 효용성 및 활용도를 입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