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의 과학 Ⅰ-상과 호주의 biology science의 교사용 지도서 비교분석

        함수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사의 역할은 조언자, 촉진자, 수업경영자, 교육과정 설계자, 훈육자, 학습지도자 및 수업평가자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중 어느것 하나도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 과학의 경우 학생들에게 많은 과학 지식을 전달하고 또한 응용하도록 하기 위해 과학적인 방법으로 문제에 접근하는 능력을 키우고 과학적인 사고력을 발달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게속적인 과학교육과정이 연구·개발되었다. 그리고 교육 과정의 변화에 따라 교과서 개편이 이루어지면 새로운 내용이 담긴 교과서가 집필되고 새 교과서를 지도해야 할 교사에 대한 교육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교사의 교육 특히 과학 교사의 교육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교사용 지도서는 새로운 교과 내용을 교사에게 교육시키는 자료로써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우리나라의 교사용 지도서가 수업지도 자료로써 교사에게 유용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현재보다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 일찌기 호주에서는 과학교육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1960년대말 이후로 과학수업지도시 사용되는 교재의 연구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교사용 지도서와 호주의 교사용 지도서의 비교 분석을 동해 우리나라와 호주의 교사용 지도서의 장점을 추출하고 앞으로 있게될 우리나라 교사용 지도서의 개편시 활용 방안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의 교사용 지도서와 호주의 교사용 지도서를 비교 분석한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의 교사용 지도서가 호주의 교사용 지도서에 비해 우수한 점은 첫째, 교과서 내용을 잘 보충해 주고 전체 교육과정의 동향 및 흐름 파악이 용이하도록 자세히 기재되었다. 둘째, 개념의 연관성을 강조하여 자세히 기재함으로써 학년별, 단원별로 연계된 수업지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반면, 호주의 교사용 지도서가 우리나라의 교사용 지도서와 비교해 우수한 점은 첫째, 수업지도시 사용할 수 있도록 풍부한 수업지도자료를 기재하여 시청각 수업을 유도하고 있다. 둘째, 수업내용 전개와 맞추어 교사와 학생의 도달 목표를 세부적으로 자세히 기재함으로써 수업목표 도달을 강조하고 있다. Teacher's Guid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eaching of educational materials. In this study, I analyzed Teacher's Guides for Korean Science I (Volume One) and for Australian Biology Science, compared them with each oth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strong points of Teacher's Guides for both Korean Science I (Volume One) and for Australian Biology Science. This study is composed of anaysis of the structures and contents of Teacher's Guides for Korean science I (Volume One) and for Australian Biology Science, respectively. The conclusion of my analysis is as follows : First, Korean Teacher's Guide not only explains the full contents of a textbook but also writes down in detail the whole curriculum and matters in relation to a concept. Second, Australian Teacher's Guide not only has the rich contents with subsidary materials, literature cited, audio-visual materials in teaching but describes in full teaching objectives (teacher and student) very well.

      • 유희적 변형에 의한 도자조형연구

        함수경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예술가들은 시대정신을 대변하는 산업 사회의 전문성, 기능주의적 사고에 저항을 느끼고 자신의 예술세계 속에서 더욱 인간적이고 독창적인 가치를 부여하고자 노력해왔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예술이란 즐거운 형식을 만드는 시도이며, 행위자체로서 즐길 수 있다는 유희의 개념은 바로 예술가가 이 세상의 사물과 현상에 대해 자유롭게 보고 듣고 느끼며 조형 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내면세계를 표현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인은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인간의 감성 속에서 느껴지는 대상에 대한 심상을 인간이 가지고 있는 유희성을 통하여 조형적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론에서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및 범위를 정하고, 본론인 Ⅱ장에서는 유희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미학적 자율성에 기인한 예술 행위의 근본개념을 알아보았다. 본인에 작업에 사용된 유희적 표현방법 중 하나인 변형에 대하며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유희적 변형의 의의를 정의해 보았다. Ⅲ장에서는 예술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조형표현에 대하며 분석하였으며, Ⅳ장에서는 작품을 계획함과 그 과정에서의 주제 도입과 형태 표현, 그리고 작품 해설에 관해 서술 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실생활에 사용되는 '용기'의 기능 외에 요소들을 유희적 변형에 의해 독특한 조형언어로 재구성하여 감각적 조형물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예술이 뭔가 특별한 무엇이 있어서 하는 것이 아닌 인간의 본연의 순수함과 순진한 감성으로 작품에 임할 때 더욱 호소력 있고 감동 있는 예술품을 만들 수 있음을 되새겨 보았고, 앞으로 작품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순수함을 잊지 않고 예술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해보고자 한다. Modern artists have been resistant to the professionalism and functionalism of industrial society, which represent the spirit of the era, and have tried to put more humanistic and creative values in their artistic world. Art is a trial of creating enjoyable forms from this perspective, and the concept of play, meaning that the behavior itself can be entertained, is the core of artists' actions to express their inner world. Based on these ideas, this study and work express formatively the image of objects reflected by emotions through human instincts of the play. The study sets the methods and the scope of research in its introduction, attempts to find out what the general concept of the play is and how it has been expressed in artworks, and speculated on deformation as an expressive method of the concept in Chapter Ⅱ. In Chapter Ⅲ, artists' formative expressions shown in their works are analyzed. Chapter Ⅳ describes about the planning process of the work, the introduction of subject and expression of forms in the process, and the commentary about the piece. The artwork expresses as a sensuous form reconstructed by enjoyable deformation with unique formative languages as well as its practical function as a 'vessel'. Through this research project, it is realized that the art could be more appealing and impressive if it is approached with the innocence of human nature and naive emotions but with something special. The essence and meaning of art could be understood when the human innocence is kept in the act of art production.

      • 초등학교 음악교과 전담제에 관한 연구

        함수경 경희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학교 시기는 한 인간의 가치관과 성격, 정서 등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결정적인 시기인데, 학교는 아동들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곳으로 이 곳에서의 교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겠다. 학교에서는 각 학급마다 담임교사가 있어서 아동들의 학습과 생활전반에 대한 지도를 담당하고 있는데 초등학교의 경우, 한 사람이 9개의 교과를 동시에 담당해야 하므로 모든 과목들을 동일하게 치우침 없이 가르친다는 것은 사실상 거의 불가능한 일이며 담임의 능력에 따른 학급차가 생길 위험성도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예체능교과 및 실과 교과에 대해 전담교사를 두도록 하는 교과 전담제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교육부는 "제 7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교육 부문 계획안"에서 초등학교 예.체능 교과 전담제의 단계적 실시방안을 확정 발표함으로써 본격적인 교과전담제 운영의 발판을 마련하였고 1992년 3월 6일, 교육법 시행령 제 37조 2항을 개정하여 본격적으로 초등학교에서 교과전담제의 실시가 가능하게 되었다. 교과 전담제는 해당되는 교과의 전문성을 살리고 교육의 질을 높임으로써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 교사들은 이제껏 학교에서 지식위주의 교육을 받아왔으므로, 다른 교과와는 구별되게 교사의 소질과 실기능력을 필요로 하는 예체능 교과지도에 대해서는 자신 없어 하는 경우가 많고 전담제의 운영이 단지, 교사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방책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과전담제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있는 55개의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음악교과 전담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경우에 현재 교과 전담제 운영의 실태에 관해서는 긍정적이었으나 일부는 아직까지도 교과 전담교사에게 보결수업이나 잡무처리의 부담을 안겨주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이는 전담교사로의 지원을 기피하게 하는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전담교사 선정 방식에 있어서 이제까지의 담임우선 배정방식을 따르지 않고 전담교사를 희망하는 교사를 해당교과에 우선적으로 배치하길 원하며 해당되는 교과에 대한 특기와 소질을 가진 교사를 배정해야 할 것이다. 셋째, 음악의 네 가지 영역에 대해 균형있는 수업이 이루어지고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창작, 가창, 기악의 경우에는 외부의 전문 교육기관에 의탁하여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연수를 통하여 음악전담교사의 실기능력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두도록 한다. 예체능 교과에서 필요한 실기능력은 단기간내에 이뤄질 수 없는 것이므로 교사들은 적극적이고도 지속적인 자세로 참여해야 할 것이다. 넷째, 능력있는 전담교사의 확보를 위해서는 전담교사에 대해 우대책을 실시함으로써 보다 실력있는 교사가 전담교사로 지원하게끔 유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교는 학생들이 풍부한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독립된 음악실과 악기, 감상용 도구, 자료 등의 확보를 통해 음악적 환경을 마련해 주어야 할 것이다. The time when people go to elementary school is the critical time for one's view points, personality and emotions to develop. A school is a place where children spend most of their time, and so the education carried out here does a very important role. In a school, there is a homeroom teacher in each class and s/he supervises all the children's works and life in the school. In an elementary school, one teacher is in charge of nine subjects, which makes it almost impossible for the teacher to teach all subjects on the equal basis without getting partial, and there is also a danger that gaps might appear between classes according to the teachers' abilit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was needed to set the exclusive responsibility for subjects such as arts, music and other practical courses that relatively need more practical training.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 The 7th Economic-Social Development 5 year Plan - Education Part", provided the basis for more active exclusive responsibility system by announcing the step-by-step practice of the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On March 6th, 1992, after altering sub-section 2, section 9 of the law of education, the practice of the exclusive responsibility system could be made possible. The exclusive responsibility system develops specialties of subjects and improves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allows the students to receive a better education. However, in fact, the teachers themselves have received knowledge-centered education until today, thus some do not feel confident about teaching art subjects which need higher ability and expertise of teachers than any other subjects. It is shown that sometimes the exclusive responsibility system was used to seek for convenience of teachers. Thus this study is aiming at looking a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exclusive responsibility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and finding out the problems a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found. For this, surveys were carried out on music teachers working in 55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of all, most of the teachers were quite positive about present system. However, it is still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of standby classes and extra works being a burden for teachers with exclusive responsibility for a subject. These problems seem to be the causes for the teachers be reluctant to apply for a teacher with exclusive responsibility. Second, from now on, when selecting the teachers of exclusive responsibility, the selection must be following the hope of the teachers applying for the job, not giving the first choice to the homeroom teachers, which has been the case until today. The teachers who have got the ability and the skills must be allocated in the subjects in concern. Third, there must be balanced education for four parts of music and fair evaluations must be made. For production, singing and instrumental music we should depend on the specializing institution outside the school and improve the technical ability of the music teachers with thorough training. The ability and skill needed for the arts and sports subjects cannot be developed in a short length of time, and so the teachers must participate in the training with continuous effort. Fourth, in order to secure excellent teachers, carry out some systems in favor of the teachers of the exclusive responsibility, this would lead to more applies of skillful teachers for the job. Last of all, for the students to enjoy enough musical experience, the school must provide exclusive music room, equipments for musical appreciation, resources, etc. and establish a good musical environment.

      • 프래그머티즘 미학에 근거한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교육적 의의

        함수경 경성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John Dewey(1859-1952) stated that all life experiences can be artistic he perceived artistic activities as an important means for aesthetic experience. This study examined the art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mmunity dance based on pragmatist aesthetics of John Dewey. The contents of this thesi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 concept of pragmatism, the characters, essence and principles of pragmatist experiences, and pragmatist aesthetic experience; second, the relevance of the concept and value of community art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community dance; third, the empirical practice of art as education with respect to community dance and the pragmatist aesthetic experience; fourth, a practical example of educational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community dance; and fifth, art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mmunity dance based on pragmatist aesthetic experience. The conclusions drawn from research based on these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a strong grasp of Dewey's theory of experience serves as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pragmatist philosophy, and aesthetic experience solidifies the pragmatist aesthetic of Dewey’s theory of experience. The key point of Dewey’s theories of education, which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20th-century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by completing pragmatism, is the concept of “experience.” The key point of Dewey’s theories of education, which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20th-century theory and practice of education by completing pragmatism, is the concept of "experience." The essence of experience stated by Dewey includes both "trying" and "undergoing." This finding does not only refer to an experience of a simple activity but also to the process of changing and growing in connection with the subsequent experience by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 Moreover, Dewey’s pragmatist aesthetics are focused on what specific contributions of artistic knowledge and artworks to us in daily life of people. Hence, direct experience of art for "trying" must assure consecutive changes in daily life. Therefore, understanding Dewey’s theory of experience form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pragmatist aesthetics in which artistic experiences must lead to continuous growth. Second, community dance as a form of community art that is participated in as a direct experience and that may foster cultural democracy and bring about a variety of social utilities. Thus, community dance can be a form of community art to be provided 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ird, the key theories of pragmatism are embedded in all core aesthetic elements of community dance. Pragmatist experience emphasizes organic and specific direct experiences that break away from the ideological and abstract reasoning of philosophy. Moreover, it emphasizes on the verification of intellectual contents with generative thinking through direct experiences. Community dance is an activity of direct experience of a body. The practitioner and participants share common ideas within the community, and performs artistic works by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If activities through this realizing sense are consecutively maintained in daily life by expression of movements, community dance can be an art educational experience that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of pragmatist experiences in its essence. Therefore, community dance embodies all the key theories of pragmatist aesthetic experience that pursue interaction, continuity and change as art education by direct experience. Fourth, As researcher and practitioner at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s well as various other institutions from 2005 to 2013, I implemented and participated in numerous art education programs. Through these experiences, I could examine how most participants developed along with their change in perception of art in the process of community dance practice. These programs, which allowed me to confirm the above results, proved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consummatory experience is generated in life based on the exploration and thinking of the practitioner and participants regarding the expression of their movement. Once this actual value of community dance is acknowledged, obsessing about the formal classification of community dance in arguments of art or seeing community dance as a fixed object separated from life becomes inappropriate. Thus, community dance is considered an art involving active emotion. Fifth, in the same vein, community dance is considered to not only bring forth communication, life as art,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healing; indeed, it also encourages the search of an educational experience of art as a practice of democracy. The body that is used as the means of expression in community dance exists in our daily life, and the existence of body can be used as a medium of artistic expressions according to individual interests or internal motivations. Thus, communication as a dance unit, which includes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manner through which participants express their perception rather than that of the community, evokes aesthetic interaction and grows as it establishes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with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this process, the encounter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counseling in community dance would have the healing effect of education, if it leads to the formation of empathy that sustains the social bounds among people or between people and the community. Moreover, the interests and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are shared through community dance, individual personalities are respected as free interactions, and expressions become democratic experiences. That is, social reform is gradually achieved in an individual's life by the practice of community dance. Considering the discussion above, if we emphasize on the fact that community dance must be understood as an art of life and on its mechanisms as a practice of art education, we may be able to determine the art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mmunity dance based on pragmatism. This outcome will be accomplished with public participation in art, amid rapidly changing social phenomena and fluctuating financial conditions. Key words: Dewey, pragmatism, community art, community dance, aesthetic 교육학박사 학위논문 프래그머티즘 미학에 근거한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교육적 의의 함 수 경 경성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박 준 영 초록 존 듀이(John Dewey: 1859-1952)는 우리의 삶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경험이 예술적 경험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예술 활동을 미적 경험을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보았다. 본 연구는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근거로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교육적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내용은 첫째, 프래그머티즘의 개념 및 경험의 성격과 본질, 원리 그리고 미적 경험에 대한 고찰 둘째, 커뮤니티 댄스의 이해를 위한 커뮤니티 아트의 개념과 커뮤니티 아트로서의 커뮤니티 댄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커뮤니티 댄스의 고찰 셋째, 커뮤니티 댄스와 프래그머티즘 미적 경험교육으로서의 경험적 예술실천 관련성 넷째, 커뮤니티 댄스 실천과정에서의 교육적 경험 실천사례 다섯째, 프래그머티즘 미적 경험에 근거한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교육적 의의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과 연구내용에서 고찰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듀이 경험론에 대한 고찰은 프래그머티즘 철학을 이해하는데 초석이 되었으며 나아가 듀이 경험론에 있어서 미적경험이 프래그머티즘 미학의 근본 토대가 됨을 알 수 있었다. 프래그머티즘을 완성하여 20세기 교육 이론과 실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듀이의 교육이론 핵심은 ’경험‘ 개념이다. 듀이 경험의 본질은 '시도하는 것'과 '겪어서 사고하는 것'이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이는 단순한 활동의 경험이 아니라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후속 경험과 연속되어 변화하고 성장하는 것이다.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은 예술의 지식과 함께 예술작품이 일상생활에서 구체적으로 우리에게 기여할 수 있는 바가 무엇인지에 초점을 맞춘다. 이는 시도하는 것으로서의 직접적인 예술경험이 일상생활 속에서 연속적인 변화를 확보하는 것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듀이가 주장하는 경험의 이해는 미적경험이 지속적인 성장의 결과로 나타나야하는 프래그머티즘 미학을 이해하는데 초석이 된다. 둘째, 커뮤니티 아트로서의 커뮤니티 댄스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커다란 공헌을 가져올 수 있는 하나의 무용 형태가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민주주의와 다양한 사회적 효용성을 가지고 올 수 있는 직접 경험하는 참여예술의 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커뮤니티 댄스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커뮤니티 아트의 바람직한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커뮤니티 댄스에서 갖추고 있는 미학적 핵심 요소는 프래그머티즘 핵심적 이론에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프래그머티즘 경험은 철학의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논증에서 벗어나 유기적이고 구체적인 직접경험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는 직접 경험을 통한 생성적 사고로 지적 내용의 검증을 중시하는 것이다. 커뮤니티 댄스는 몸의 직접경험 활동이다. 그리고 실행자와 참여자는 공동체 내에 공동의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며 상호작용에 의하여 함께 예술작업을 진행한다. 이러한 생생한 경험을 통한 활동이 일상의 삶속에서도 움직임의 표현 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지속된다면 커뮤니티 댄스는 본질에 있어 프래그머티즘 경험의 성격을 포함하고 있는 예술교육적 경험이 된다. 넷째, 연구자는 실행자로 2005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및 다양한 기관에서 실시하는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 참가를 통해 커뮤니티 댄스 실천과정에서 대부분의 참가자가 예술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실행자와 참여자는 움직임 표현 방법의 탐구와 사고로 수렴적 완성(consummatory experience)의 미적인 경험이 삶 속에서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커뮤니티 댄스의 실제적인 가치를 인정한다면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논쟁에서 형식적인 분류에 집착하는 것이나 커뮤니티 댄스를 삶과 분리된 고정된 대상으로 보는 것은 바람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이에 커뮤니티 댄스는 의미를 탐구하는 예술교육적 실천으로 능동적인 감동의 예술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섯째, 이와 같이 볼 때 커뮤니티 댄스는 삶의 소통, 생활의 예술화 그리고 치유의 교육적 의의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댄스를 통해서 민주주의 실천방식으로서의 예술교육적 경험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커뮤니티 댄스의 표현 매개체로 쓰는 몸은 우리의 삶 속에서 존재하고, 몸의 존재는 개인 흥미나 내적 동기에 따라 예술의 표현 매개체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커뮤니티 댄스를 통한 자연스러운 소통의 신체경험은 교육적 소통을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커뮤니티 댄스의 소통은 공동체가 실제로 보고 듣는 자체 보다는 참여자 자신이 감지한 것에 대해 어떻게 표현하는가의 의미와 가치를 포함한 무용단위 의사소통으로 미학적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커뮤니티 댄스에서의 만남이 인간과 인간 사이에 또는 인간과 공동체가 사회를 존속시켜 나가는 공감의 형성으로 나아간다면, 커뮤니티 댄스는 교육철학상담적 치유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커뮤니티 댄스에서 공동체가 가진 관심과 이해가 서로 공유되고 개인의 개성은 존중 받으며 자유로운 상호작용과 표현은 바로 민주주의 방식의 경험이 되는 것이다. 사회개혁이 커뮤니티 댄스의 실천에 의해 삶 속에서 점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논의로 비춰볼 때, 커뮤니티 댄스가 우리에게 삶의 예술로 이해되어야 하며 예술교육적 실천으로 어떤 의미로 작용되는가에 의미를 둔다면 프래그머티즘에 근거한 커뮤니티 댄스의 예술교육적 의의가 우리에게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듀이, 프래그머티즘, 커뮤니티 아트, 커뮤니티 댄스, 미학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