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의 문화예술교육분야 사회 공헌활동에 관한 연구

        함성애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Support Act is enforced, the interest in arts education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surged. In the public sector over the past 10 years, social awareness about art education was spread through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olicy, in particular with the demand for arts education in schools increasing - an encouraging result that shows that the R&D base of arts education has been laid. (Baeknyeong, 2015) In bot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support fo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has been made in various ways. However, research on arts education in the private sector is in the minority compared to the public sector and basic research is still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types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at are operated or supported by corporations as thei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are organized on the basis of examples in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tions casebook. Prior to looking at the examples, definitions and current status were organized in order to underst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and we also examined how businesses support the arts and culture, and the recent status of corporate support of arts and culture. And we examined the concept and value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the status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at is supported by the public sector. Relevant cases gathered were organized under several headings of objective, operations, support type, program type, and the targeted items. Businesses carry out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s a part of thei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and it is shown that social awareness improvements were regarded as a means of operating and supporting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rough human resources development, eliminating educational gaps and cultural differences, culture promotion, and arts and cultural educations. This can be interpreted as companies adding to the welfare of society by operating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hrough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also trying to contribute to national cultural promotion. As ways of operating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ith these purposes, there was direct operation, collaboration and support. When directly operating, corporations construct programs using cultural infrastructure (human resources, facilities, etc.), or plan and direct their own programs through the volunteer activities of their employees. In cases of collaboration, corporations mainly pay the operating costs of foundations, public institutions, local authorities and NPOs. For the sponsorship, it is shown that corporations select the institutions or organizations that operat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nd support their operating cost. Support types were organized and divided into cash and non-cash support, cash support is divided into directly hosted costs, operating expenses, prize money and scholarships, non-cash support is divided into material support and personnel support. Program types are described and divided into education, contest, scholarship program, and audition program. For education, it is divided into history education, awareness training, work experience education, combined education as well as arts education, and in case of contests and scholarship programs, new concept programs developed from simple forms such as awards and scholarships are found. Targets were studied based on age, region and social-stratum. Primarily, targets are children and teenagers, and there different programs availabl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pecific regions and countrywide. It was found that most of targets are underprivileged, such as low-income, multicultural families, single-parent families or people with disabilities. While each type were divided and analyzed, it is seen that the corporations us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with an interest in the instrumental value of cultural arts, not in the education to train artists as was previously the objective. However, there are cases that participants of training programs for social awareness are somewhat not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 therefore improvement is needed. Also it is found that evaluations for the conducted education are not performed. It is considered that evaluation could enable review of the program conducted, find improvements to operate long-term programs, keep data and also help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cademia. In addition, it is proposed to design programs that are connected to the region where the corporations are located to develop relationships with regions, and improve the image and favorability of the corporation. This is because there are extremely rare cases of programs operating at a region where a corporation is located, using its region’s personnel and material infrastructure, while there are many programs operated by targeting welfare facilities and institutions already in the region. Finally, a partnership with arts organizations is proposed. As a partner to build long-term relationships rather than short-term employment as an educator, it is more effective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In this study, the operating system, type of support, program type, purpose and targets of arts and cultural education in the private sector were looked at by categorizing each type, on the basis of the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s classified in the social contribution casebook of the Federation of the Korean Industries (FKI)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tions, and arts and 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Korea Mecenat Association. Although there are limits, specific or detailed analysis was not performed and the effect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r educational effects were not presented, it should be helpful in future studies as a basis for upcoming research. References Baeknyeong (2015). The New 10 Year, Expected Prospect of Arts Education - Proposal for Objec 문화예술교육지원법이 시행되면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이 공공과 민간영역에서 급증하였다. 공공영역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문화예술교육정책을 통해 예술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었고, 특히 학교에서 예술교육의 수요가 증가되고, 예술교육에 대한 R&D 기반이 마련됐다는 고무적인 결과를 낳았다 백령(2015), ‘새로운 10년, 예술교육의 새 지평을 기대하며-한국예술교육의 목표와 전략을 위한 제언’, 메세나협회계간지, 2015 Autumn Vol.92, p.16 . 공공영역 뿐만 아니라 민간영역에서도 그간 다양한 방식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민간영역에서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공공영역에 비해 소수에 불과하고 아직 기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이 문화예술교육분야에 사회공헌활동으로써 어떤 문화예술교육을 운영, 혹은 지원하고 있는지 전경련과 중견·중소기업 사례집의 사례를 토대로 정리해보았다. 사례를 살펴보기에 앞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이해하기 위해 정의와 현황을 정리하였고, 기업이 문화예술을 지원하는 방식과 최근 기업의 문화예술지원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그 가치, 공공영역에서 지원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살펴본 내용을 토대로 수집한 사례는 목적, 운영방식, 지원유형, 프로그램유형, 대상으로 항목을 나누어 정리하였다. 기업은 사회적 책임(CSR)의 일환으로 사회공헌활동을 실시하는데, 그 중 문화예술교육을 운영 및 지원하는 목적으로 인재양성, 교육격차해소, 문화격차해소, 문화진흥,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사회인식개선을 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복지적 차원의 사회공헌활동을 실시함과 더불어 국가 문화진흥에 기여하려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런 목적의 문화예술교육을 운영하는 방식으로는 직접 운영, 협업, 후원이 있었다. 직접 운영을 할 경우 기업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인프라(전문인력, 시설 등)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거나, 임직원의 봉사활동을 통해 직접 프로그램을 기획, 총괄하고 있다. 협업으로는 재단, 공공기관, 자치단체, NPO 등이 있었는데 기업에서는 주로 운영비를 부담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후원은 문화예술교육을 운영하는 기관이나 단체를 선정하여 운영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유형으로는 현금 지원과 비현금 지원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는데, 현금 지원은 직접 주최, 운영비, 경연대회의 상금 및 장학금으로 나뉘었으며 비현금 지원은 물적 지원과 인적 지원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프로그램유형으로는 교육, 경연대회, 장학금지원프로그램, 오디션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는데, 교육에는 예술교육과 더불어 역사교육, 인식개선교육, 직업체험교육, 융합교육 등으로 다시 나뉘었고, 경연대회와 장학금지원프로그램에서는 수상 및 장학금 수여의 간단한 형태에서 발전한 새로운 형태의 프로그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대상은 연령, 지역, 사회계층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주로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서울 및 수도권, 특정 지역 대상, 전국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을 살펴봤다. 그리고 대부분이 저소득계층, 다문화가정, 한부모가정, 장애인 등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 유형별로 나누어 정리하고 분석함으로써 기업은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기존의 예술가양성을 위한 교육이 아닌 문화예술의 도구적 가치에 관심을 가지고 활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사회인식개선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대상자가 목적과 다소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개선할 필요가 보인다. 또 실시한 교육에 대한 평가가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를 통해 실시한 프로그램에 대해 돌아보고 개선점을 파악함으로써 장기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자료로 남김으로써 문화예술교육학계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역과의 관계 발전, 기업의 이미지와 호감도 상승을 위해 기업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과 연계한 프로그램을 기획할 것을 제안하였다. 지역에 위치한 복지시설 및 기관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많았지만 기업의 사업장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인적, 물적 인프라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례는 극히 드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예술단체와의 파트너십을 제안하였다. 교육자로서의 단기고용이 아닌 파트너로서 장기적인 관계를 구축하여 프로그램을 더욱 다양하게 발전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경련의 사회공헌사례집과 중견·중소기업의 사회공헌사례집에서 분류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과 한국메세나협회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각 항목별 유형화를 통해 민간영역에서 실시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운영방식, 지원유형, 프로그램유형, 목적, 대상자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 항목별로 구체적이고 세밀한 분석을 하지 못한 점, 사회공헌활동으로써의 효과 및 교육의 효과를 다루지 못한 점 등의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