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太極拳 이론과 그 易學的 特性에 관한 硏究

        한창희 公州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른바 ‘움직이는 禪’이라 불리우는 太極拳은 동북아시아 문화권의 易學적인 思惟를 토대로 하는 문화적․사상적 바탕 위에서 생성되었다. 『周易』은 동북아에서 가장 오래된 연원을 가지고 있고, 가장 심오한 철리를 담고 있으며, 가장 폭넓게 영향력을 끼친 경전이다. 易學의 太極․陰陽思想은 漢代 ‘동중서’에 이르러서 大一統을 이루고 사회의 주류사상으로 위치하게 되었고, 宋代에 와서는 ‘주렴계’의 太極圖說의 출현으로 五行思想의 대통합까지 이루어져 深層 발전하게 되었다. ‘태극권’이라는 이름이 문헌적으로 처음 나타난 것은 王宗岳의 太極拳譜에서 부터이다. 그 이후 武禹襄에 의해서 태극권은 문헌적인 자료들을 갖추게 되고 易學적 사상들을 바탕으로 해석이 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태극권은 태극을 體로하고 拳을 用으로 삼는 것이다. 즉 『주역』의 태극 ․음양․오행․팔괘 사상이 태극권의 사상적 기초배경이 되었고 이것은 여타의 다른 분야처럼 이론으로만 해석 적용되는 것이 아닌, 易學의 이치를 실천적인 체험과 현상으로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태극권에서 구현되는 음양은 매우 실용적이고 실증적인 것으로 한 치의 誤差도 허용되지 않는다. 오차가 생긴다면 이것은 태극과 음양이 이루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에서 밝히는 태극․음양사상이 태극권이라는 武術이자 修養法을 통해 실천적인 학문으로 드러나고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The ‘Tai Chi-Chuan’ which is called ‘Moving Zen’ was created on the cultur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which is based on the Northeast Asian thought of the ‘I-Ching’. 『I-Ching』 has the oldest origin in Northeast Asia and, is the most profound truth as the most widely influential scripture. 'Tai Chi' and 'Yin and Yang' philosophy of the ‘I-Ching’ achieved the great unification through Han Dynasty ‘Dong, Zhong-Shu’, and it was positioned as the philosophy of the mainstream of society, and in the Song Dynasty, the great integration with ‘Five Elements’ philosophy was consisted for the emergence of 『Tai Chi-Doseol』 by ‘Ju, Ryeom-Gae’, so it was developed in-depth. The first appearance of name of ‘Tai Chi-Chuan’ as the literature is from 『Tai Chi-Chuan Bo』(太極拳譜) by 'Wang, Jong-Ak'. After that, 'Tai Chi-Chuan' came to have the literature materials by 'Mu, Woo-Yang', and it can be seen that it was interpreted based on the philosophy through the ‘I-Ching’. 'Tai Chi-Chuan' took 'Tai-Chi' as Substance and 'Gweon'(拳) as its Functions. In other words, 'Tai-Chi', 'Yin-Yang', 'Five Elements', 'the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philosophy in 『I-Ching』 became the philosophical basic background of 'Tai Chi-Chuan', and it shows the reason of The ‘I-Ching’ as the practical experience and symptoms not like any other areas which apply the interpretation only in theory. In addition, 'Yin-Yang' realized in 'Tai Chi-Chuan' is very practical and demonstrative, even a hitch is not allowed. Because, if there is error, it means that ‘Tai-Chi’ and ‘Yin-Yang’ are not consisted. Therefore, it will be able to confirm that the 'Tai-Chi' and 'Yin- Yang' philosophy examined in 『I-Ching』are revealed as practical studies through 'Tai chi-Chuan', as a martial art and discipline method through this study.

      • 의치 세정제 침적이 적층 가공법으로 제작한 의치상 레진의 색조 안정성, 표면 거칠기 및 굽힘 강도에 주는 영향

        한창희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의치 세정제 침적이 적층 가공법으로 제작한 의치상 레진의 색조 안정성, 표면 거칠기 및 굽힘 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실험방법: 적층 가공용 의치상 레진(Denture 3D+ shade Red Pink; NextDent B.V., Soesterberg, Netherlands)과 3D 프린터(5100; NextDent B.V., Soesterberg, Netherlands)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대조군으로 자가 중합형 의치상 레진(Vertex Self-Curing shade 30; Vertex-Dental B.V, Soesterberg, Netherlands)을 이용하여 형태와 크기가 동일한 시편을 제작하였다. 의치 세정제로는 alkaline peroxide(Polident cleanser tablet, GSK, Brentford, Middlesex, UK)를 200ml의 증류수에 1정(tablet)을 용해시켰고, 치과용 소독제로 사용되는 sodium hypochlorite(RC Cleaner, Il-chung dental, Seoul, Korea)를 증류수에 희석하여 0.5% 수용액으로 준비하였다. 수면시간 동안의 침적을 가정하여 매일 8시간의 주기로 1년 간의 기간을 계산하여 122일 동안 침적을 시행하였다. 분광광도계(Color i5, X-rite, Grand Rapids, MI, USA)를 사용하여 시편의 색조(CIE L*a*b*)를 측정한 후, 의치 세정제 침적에 따른 색차(△E)를 계산하였다. 표면조도 측정기(DH-8, DIAVITE AG, Bachenbulach, Switzerland )를 이용하여 시편의 산술평균 거칠기값(Ra)을 측정하였다. 만능 재료 실험기(4201, INSTRON, Norwood, MA, US)를 이용한 3점 굽힘 실험을 통해 굽힘 강도를 평가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Gemini500, Carl Zeiss, Oberkochen, Germany)을 이용하여 표면 특성을 관찰하였다. 통계분석에는 SPSS version 28.0(SPSS Inc., Chicago, IL, USA)가 사용되었다. 정규성 검정 후 paired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Tukey's post hoc test를 시행하였다(P<.05). 결과: 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적층 가공 의치상 레진은 0.5% sodium hypochlorite에 침적한 군은 다른 실험군의 색차(△E)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색차(△E)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L*값의 감소로, 이는 명도가 낮아졌음을 의미한다. 의치 세정제 침적 후 표면 거칠기와 굽힘 강도는 모든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5). 0.5% sodium hypochlorite에 침적된 적층 가공 의치상 레진의 표면 전반에서 다공성의 결함이 관찰되었다. 결론: 본 실험의 결과를 통해 적층 가공법으로 제작한 의치상 레진을 0.5% sodium hypochlorite에 하루 8시간씩 1년 동안 침적하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색조 변화와 표면의 다공성 결함을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반해, alkaline peroxide는 색조 및 표면 구조에 대한 영향이 적어 의치 사용자들에게 있어 적절한 사용을 권장할 수 있다.

      • 극지 심부빙하코어의 고해상도 동위원소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에 따른 고위도 먼지입자 기원지 변화의 특성 규명

        한창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Mineral dust originating from the various source regions significantly impacts on the energy balance of the Earth system through the absorption and scattering of radiation in the atmosphere and the modifications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clouds and snow/ice surfaces. Dust collected in polar ice is known to have been introduced from the source areas by long-range transport. It is known that the averaged atmospheric dust loading of the last glacial maximum is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Holocene and 20 times higher at high latitudes. Changes in atmospheric residence time of mineral dust also can play an important role, suggesting the need for size and rapidity of change of source region and high wind speed in the source area. The origin of dust is also directly related to the atmospheric circulation pattern involved in long-range transport. Isotope tracking is suitable for past dust provenance. Dust provenance studies have been performed in polar ice cores using Pb, Sr, and Nd isotopes. For the Greenland, some studies have found that the majority of Greenland dust originates from East Asian deserts during the glacial period while dust originates from various regions during interglacial. Because the large volumes of a sample were needed to obtain a reliable result and to minimize artificial contamination, previous researchers could not carry out on a high-resolution study using the fixed-diameter ice core samples. To overcome this problem, a new decontamination method has been improved to obtain an inner core by removing only a very thin layer. The experimental method was also confirmed by the analysis of recently collected at East Antarctic snow pit samples. High-resolution Pb and Sr isotopic compositions were obtained in the NEEM ice core, the most recently drilled ice core in Greenland, from the late last glacial stage (~31 kyr ago) to the early Holocene (~8 kyr ago). The Antarctic deep ice core study for Sr and Nd isotope was performed using only on glacial dust samples. In addition, the Pb isotopic approach of Antarctic ice core was carried out only during the period after mid-Brunhes event (MBE, ~430 kyr), and there is no study of dust provenance during the before MBE. In this research, Pb isotopes are presented for the EPICA Dome C ice core during the before MBE covering a period from 570 to 800 kyr BP. Pb, Ba, and Sr concentrations recorded in the NEEM ice core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varied with high concentration during the cold period and lower concentration during warmer periods. It means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elements is changed by the amount of dust flux in Greenland. The Pb and Sr isotope data confirm that NW Greenland dust originated from the different source of Summit region. High-resolution data and advanced PSA field data allowed that East Asian deserts, particularly the Taklimakan and the Gobi have been suggested as the dominant source of NW Greenland dust during Greenland Stadials 3-5.1 (~30.8 to 23.0 kyr ago). Subsequently, the Saharan isotopic signals clearly emerge during Greenland Stadials 2.1 (~22.6 to 14.7 kyr ago) and intermittent period during the late Bølling-Allerød to the Younger Dryas (~13.6 to 12.2 kyr ago), indicating the Sahara as an additional source of Greenland dust. It can be seen that the Sahara desert was not ruled out as a significant Greenland dust source region. Our findings provide new insights into climate-related dust provenance changes and essentially paleoclimatic constraints on dust-related climate feedbacks in northern high latitudes. The changes of the Pb isotopic composition in EPICA Dome C is inconsistent with the δD, for paleo-temperature proxy, before the MBE, while the changes in the Pb isotopic composition after the MBE is consistent with δD. The maximum value of 206Pb/207Pb before 570 ky BP is lower than after 220 kyr BP, which reduces the impact of the volcanic source or increases the impact of mineral dust. Decreased Pb/dust ratios in more recent glacial cycles indicate that the portion of dust Pb was increased, while increased Pb/dust ratios in older glacial cycles indicate an additional input of Pb from volcanic sources. New Pb isotopic data suggest that the Patagonia of southern South America is the primary dust source to the East Antarctic Plateau during glacial before the MBE. In the interglacial, Pb isotopic ratios are not increased even though the non-crustal Pb increases because of no influence of more-radiogenic Pb from Antarctic interior volcanoes. Here we confirmed that less radiogenic non-crustal Pb influenced Pb in EDC ice during the period before the MBE. This suggests that the radiogenic Antarctic interior volcanoes were not active during the period before the MBE. This increased non-crustal Pb before 570 kyr is consistent with nssSO42- flux and In concentrations. Our data also suggest that the source of less radiogenic non-crustal Pb is oceanic island including New Zeal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ying the origin of the Greenland and Antarctic dust could help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change and climate change signals.

      • 안면도 사질 조석대의 계절적 퇴적환경 변화

        한창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표는 한반도 서해안에 발달한 안면도 사질조석대에 대하여 표층퇴적물의 특성, 지형변화, 물리환경변화에 따른 계절변화 양상을 연구/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계절별로 채취한 퇴적물의 퇴적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8개 해빈, 12개 측선에 대하여 각각의 해빈입구 특성을 기준으로 크게 3구역으로 구분하였고, 지형변화와 표층퇴적물 조직변수를 계절별로 연구하여 비교하였다. 연구지역은 대조차 연안으로써 북서계절풍의 영향을 받으며, 겨울철인 11월~1월 강한 바람이 불고, 강수량은 7월과 8월에 집중되어 나타난다. 연구지역은 크게 두 구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자연적인 사구가 존재하는 삼봉~두여 해빈은 해빈과 해안사구의 상호작용으로 계속적인 침식, 퇴적이 반복되는 해빈 지역의 퇴적물 이동이 상당히 원활한 지역이라고 생각된다. 이것은 해빈형태와 경사도 등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이겠지만 해빈 퇴적물의 저장고 역할을 하는 해안사구와의 상호작용에 의한 결과도 상당히 중요한 요인이라 생각된다. 반면, 인공적인 옹벽이 설치되어 있는 꽃지 해빈은 폭풍이 없는 계절변화에도 상부해빈의 계속적인 침식이 관측된다. 이것은 옹벽의 영향으로 쇄파되는 지역이 해양쪽으로 전진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해빈의 경사가 자연해빈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하여 만조선 부근에서 파랑 에너지가 집중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연구기간 동안 태풍 등의 큰 기상 이벤트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무폭풍 기간의 사질조석대의 퇴적환경에 대한 연구가 되었다. 앞으로 태풍내습시의 해빈과 사구의 침식, 그리고 회복에 관하여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산업재 시장에서 시장지향성이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내부시장 지향성을 중심으로

        한창희 충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최근 학계나 실무계의 관심이 되고 있는 산업재 시장에서 내부 시장 지향성, 시장 지향성, 고객 만족사이에서 존재하는 개념 구조를 발견함으로 경영자나 마케터에게 유용한 경영의 올바른 방향에 대해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내부고객지향성과 시장 지향성이 조직 내부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두 개념간 관계를 집중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 고찰과 실증 분석을 통하여 산업재 시장에서 내부시장지향성과 시장 시향성이 활동이 내부고객과 외부고객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부시장지향성은 시장지향성 및 내부 고객만족에, 시장 지향성은 외부 고객 만족, 내부 고객만족은 외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O(Internal Market Orientation), MO(Market Orientation) on Custormer satisfaction In B2B market. In order to meet this purpose, the previous studies on IMO, MO and Customer Satisfaction were reviewed . Finding through the empirical tes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MO is likely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the employee satisfaction and market orientation in B2B market. Second, MO is likely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the Customer satisfaction. Third. Employee Satisfaction is likely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B2B market. In conclusion, Intenal market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on B2B market have mostly positive effect. Also, It is very important to increase Employee satisfac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 대기 난류를 보정하기 위한 천체 및 군사 목적의 매트릭스형 적응 반사 거울의 모델링

        한창희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는 대구경 망원경을 광학 설계 프로그램(Code V)으로 설계했고 대기 난류에 의한 임의의 위상 변화를 만들기 위하여 Kolmogorov 모델링을 사용했다. 대기 난류로 발생하는 왜곡된 파면이 망원경의 입사동으로 들어올 때 파면수차를 분석하는 프로그래밍을 제작했고, 광학계 성능이 얼마나 떨어지는지 보았다. 또한, Code V의 매크로를 사용하여 보정 알고리즘을 프로그래밍하고 실제로 지역, 전체적 보정을 했을 때 광학계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보았다. 개선된 보정을 위하여 새로운 보정 알고리즘의 개발과 매트릭스형 적응 반사 거울의 개수를 증가할 필요가 있다.

      • 개념 계층을 이용한 스트리밍 데이터의 관리 기법

        한창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센서 네트웍,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으로 발전하면서 스트리밍 데이터와 같이 무한한 데이터의 처리에 대한 요구가 많이 커지고 있다.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질의 처리는 크게 실시간으로 처리가 요구되는 질의와 과거 데이터에 대한 동향, 근사치 요청 질의로 나누어질 수 있다. 기존의 스트리밍 데이터 처리에 대한 연구들은 실시간 질의 처리만을 고려하고 과거 데이터에 대한 질의에 대한 고려는 미약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과거의 데이터에 대한 동향 분석 요청 질의, 또는 과거 어느 시점의 데이터에 대한 요청 혹은 근사치를 요구하는 질의에 대해서는 처리를 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트리밍 데이터 프로세서의 메모리의 범위를 넘어서서 삭제되는 과거 데이터를 디스크의 I/O처리 속도에 맞추기 위해서 로드 셰딩 기법을 적용해서저장 후에 개념 계층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만을 효과적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디스크의 제한된 용량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한계 시간, 디스크의 사용 공간에 따라 저장된 내용들을 개념 계층의 상위 단계로 요약한다. 이 기법의 특징은 히스토그램과는 달리 사용자가 시간을 기준으로 질의가 가능하고 오래된 데이터에 대한 질의의 대부분이 평균값을 요구하기 때문에 개념 계층을 통해서 상위 단계로 평균값을 유지함으로써 과거 데이터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해진 기간 동안의 동향이나 근사치 요청에 대한 질의 처리에 효과적임을 실험을 통해서 검증한다. As the environment with sensor network and ubiquitous computing is emerged, there are many demands of handling infinite data such as streaming data. Processing queries for streaming data can be divided into two query patterns. One is real time query, the other is trend or approximation query using past data. Although two query patterns are existed, ongoing researches on streaming data processing focus on only real time query processing. In this thesis presents the technique of processing trend or approximation query using past data. Specially, we use Concept Hierarchy structure to overcome memory capacity limits. The methodology is as follows. Interesting data are stored effectively by using Concept Hierarchy after applying load shedding technique, which drops past data when accumulated data overflows permitted memory size. Moreover, summarization data are stored toward a higher level in built-in Concept Hierarchy structure. Unlike Histogram technique, the proposed technique supports the time-based query and query using past data because it maintains summarized values to the higher level through Concept Hierarchy structure. We also verify that this technique has an effective on trend or approximation query within given period of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