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창업환경인식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역량의 매개효과

        한중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China, the number of university graduates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due to the rapi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 As of 2020, the number of Chinese university graduates reached 8.74 million, the highest ever. In this environment of higher education, entrepreneurship is one of the main policies that China is pursuing to revitalize the government as a whole. The Chinese government's start-up policy can be summarized as increasing investment in start-ups and providing policy and financial subsidies to start-ups to foster the power to encourage entrepreneurship in society. In the new socio-economic environment, it has become an important task for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their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research model focusing on factors and theories that influence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rough the literature analysis,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risk-taking tendency and achievement desire),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government support, university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e(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were selected as the factors to affec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acheive th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Questions 1. What are the overall trend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Question 2. Are there difference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gender, single child, residence, academic background, etc.)? Ques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3-1.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3-2. What factors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risk-taking tendency and achievement desir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government support, university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3-3.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3-4.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6 hypotheses were establish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1: College stude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have a direct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H2: College students' creative compete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3: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4: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have a direct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H5: College students' creative compete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6: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e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in February 2020 targeting 421 students at W University located in Shandong Province, China,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verified and confirmed. The confirmed measurement tools include 4 items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cale(Cronbach's α=0.905); 7 items for the creativity competence(Cronbach's α=0.950) and 11 items for the communication competence(Cronbach's α=0.958) in the Entrepreneurial Competence Scale; 4 items for the achievement desire(Cronbach's α=0.877) and 3 items for the risk-taking tendency(Cronbach's α=0.827) i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cale; 7 items for the government support(Cronbach's α=0.967), 8 items for the financial support(Cronbach's α=0.940), and 8 items for university support (Cronbach's α=0.939) in th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from March to April 2020 and 1,73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1,717 copies were collected, showing a collection rate of 98.1%. For the finally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mean, standard deviation, kurtosis and skewness to see the overall trend, and Pearson correlation was performed for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on entrepreneurship intention. Lastly, structural equation verificat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ootstrapping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ere found to be high in general. Among them, achievement desire was the highest,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financial support) was the lowest. Skewness and kurtosis showed that the main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satisfied the normal distribution assumption. Second, males, only children, first-year students, students familiar with government policies and school policies, and students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s have higher levels of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creativity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entrepreneurial inten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ity characteristics (risk-taking tendency, achievement desire),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government support, university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and entrepreneurial competence (creative competence,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creativity. Fourth,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them, creative competency has the largest influence, followed by communication competency,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ifth, hypothesis 1 was adopted and hypothesis 4 was rejected because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directly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did not directly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Sixth,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while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because they were sampled only at one university in Chin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when conducting programs and undergraduate education to improv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college students. Keyword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Entrepreneurial Environment Perception, Entrepreneurial Competence, Structural Equality Modeling, Mediating Effect 중국은 고등교육의 급속한 팽창으로 매년 대학 졸업생 수가 급증하고 있는 바, 2020년을 기준으로 볼 때, 중국 대졸자수는 874만 명에 이르고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고등교육의 환경에서 창업은 중국이 범정부적으로 활성화하고자 추진하고 있는 주요 정책 중 하나이다. 중국정부의 창업 정책 기조는 창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창업자에 대한 정책 및 재정적 보조를 실시하여 사회에 창업을 장려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대학에서는 새로운 사회경제적 환경에서 대학생들의 창업의지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모델을 구축하고 이러한 변인간의 관계에 대해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위험을 감수하는 성향과 성취욕구를 구성요인으로 하는 성격특성과 정부와 대학, 그리고 재정적 창업지원정책에 대한 창업환경인식도, 그리고 창의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을 중심으로 한 창업역량이 창업의지를 향상시키는 데 어떠한 역할을 하는 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개인배경변인(성, 외동여부, 거주지, 학력 등)에 따라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2 . 대학생의 성격특성(성취욕구, 위험감수성향), 창업환경인식도(정부지원, 재정지원, 학교지원),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중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3-3.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창업의지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3-4.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 간에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번과 연구문제 4에서 설정한 대학생의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창업의지 간의 구조관계 및 창업역량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서 설정한 가설 6개는 다음과 같다. H1: 대학생의 성격특성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대학생의 창의역량은 성격특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H3: 대학생의 의사소통역량은 성격특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H4: 대학생의 창업환경인식도는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H5: 대학생의 창업역량의 창의역량은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H6: 대학생의 창업역량의 의사소통역량은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산동성에 위치한 W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421명을 대상으로 2020년 0월에 예비조사를 하고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확정하였다. 확정된 측정도구로는 창업의지척도 4문항(Cronbach's α=0.905), 창업역량척도에는 창의역량 7문항(Cronbach's α=0.950), 의사소통역량 11문항(Cronbach's α=0.958), 성격특성 척도에는 성취욕구가 4문항(Cronbach's α=0.877), 위험감수성향이 3문항(Cronbach's α=0.827)으로, 창업환경인식도는 정부지원이 7문항(Cronbach's α=0.967), 재정지원이 8문항(Cronbach's α=0.940), 학교지원이 8문항(Cronbach's α=0.939)으로 구성되었다. 본 조사는 2020년 0월-0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로 이루어졌으며, 1,730부를 배포하고 1,717부를 회수하여 98.1%의 회수율을 보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자료는 전반적인 경향성을 보기 위해서 평균, 표준편차, 첨도와 왜도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서 Pearson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서 Stepwise 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성격특성과,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창업의지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은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 창업의지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성취욕구가 가장 높았고, 재정지원에 대한 창업환경인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왜도와 첨도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주요 변수가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시키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남성, 외동, 1학년 학생, 정부정책과 학교정책에 익숙한 학생과 창업의향이 있는 학생은 더욱 높은 수준의 창업환경인식도, 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창업의지를 가진다. 셋째, 창업의지는 성격특성(위험감수성향, 성취욕구), 창업환경인식도(정부지원, 학교지원, 재정지원), 창업역량(창의역량, 의사소통역량)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그 중에서 창의역량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개인의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의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친다. 그 중에서 창의역량의 영향력이 가장 크고 그 다음은 의사소통역량, 창업의향, 창업환경인식도, 개인의 성격특성이다. 다섯째, 대학생들의 성격특성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창업환경인식도는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 해서 가설 1은 채택, 가설 4는 기각되었다. 여섯째, 창의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은 성격특성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으며, 창의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은 창업환경인식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의 한 대학에서만 표집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반화의 한계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의 창업의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과 학부교육을 실시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키워드: 성격특성, 창업환경인식도, 창업역량, 창업의지, 구조모형검증, 매개효과

      • 항공기 재난보도에 관한 연구

        한중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15

        한국은 농경사회(農耕社會)를 벗어나 1960년대에 산업사회(産業社會) 문턱에 들어서면서 대연각호텔 화재, 대왕코너 화재, 모산 건널목 열차충돌사고 그리고 경부고속도로 고속버스 추락사고 등 화재(火災)와 교통사고(交通事故) 중심의 재난(災難) 사고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같은 재난은 시작에 불과했다. 1990년대에 들어서는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이 붕괴(崩壞)되고 서해 페리호(號)가 침몰하고 항공기가 잇달아 추락하는 등 한국도 산업사회에서 위험사회(危險社會: Risk Society)에 진입했음을 알려주는 경보(警報)가 여러 곳에서 울렸다. 특히 항공수요가 급증하고 대형 항공기가 등장하면서 항공재난 사고가 발생했다 하면 인명피해가 커지고 사회적인 관심도 함께 증대(增大)되어갔다. 언론은 다른 어떤 뉴스보다 재난사고가 발생하면 이를 집중적으로 보도했다. 그러나 언론매체(言論媒體) 가운데 텔레비전의 재난보도는 '소나기식 보도', '흥미위주의 보도', '선정적인 보도'라는 비난의 대상이 되어왔다. 본 연구는 과연 텔레비전이 항공기 재난보도의 경우 어떤 아이템을 어떻게 보도했기에 이 같은 지적(指摘)을 받아왔는지, 현장을 취재하는 기자들과 게이트키핑 역할을 하는 데스크들은 어떤 인식(認識)을 가지고 재난 보도에 임하는지 하는 문제제기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래서 1990년대에 발생한 대표적인 항공사고 가운데 아시아나항공의 목포 사고와 대한항공의 괌 사고의 경우, 방송이 어떻게 재난보도의 역할을 했으며 특성(特性)은 어떤 것이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당시 KBS, MBC, SBS 텔레비전 3사의 저녁 종합뉴스 보도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아시아나항공 목포 사고의 경우 발생 이후 3일 동안 TV3사는 평균 39.7%를 사고관련 뉴스에 할애하고, 뉴스 아이템의 평균 보도시간은 97.23초로 나타났으며 뉴스 아이템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다룬 주제(主題)는 '대책'문제였다. 그 대신 '현장수습'과 '생존자 치료상황'과 '사망자 명단' 등 가족과 친지 그리고 수용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보전달(情報傳達) 아이템이 적게 나타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아이템의 성격에서도 또 다른 유사(類似)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제시'에 대한 아이템은 한 건도 없었고 사고가 수습되어 가는 과정(36.1%)이나 결과/현상(27.8%)에 대한 뉴스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사고발생 첫날 3개사가 평균 16건의 사고관련 아이템을 방송했는데 이 가운데 12건이 중복현상을 보임으로 75%의 중복률(重複率)을 보인 것도 문제였다. 대한항공 괌 사고에 대한 분석결과는 아시아나항공 목포사고와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차이점과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항공사고가 어느 지역에서 발생했는가? 어떤 시간에 발생했는가? 항공기에는 몇 사람이 타고있었으며 생존자와 희생자는 몇 명인가? 하는 점들이 텔레비전 항공기 재난보도의 양(量)과 내용(內容)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사고가 발생하자 새벽 6시를 전후해 3개 방송사는 뉴스특보(特報)체제에 들어가서 하루종일 재난방송을 계속하고 종합뉴스에서는 비교적 내용이 정리된 아이템을 방송할 수 있었다. 목포사고와 비교할 때 뉴스제작을 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질 수 있었다. 그래서 3개 방송사의 3일 동안의 총 뉴스 아이템 수는 198건으로 아시아나항공 목포 사고 때의 127건보다 71건이 증가했다. 그러나 시간적 여유 때문에 뉴스 중복률(重複率)은 아시아나항공사고 때보다 높게 나타났다. 뉴스 보도형식 가운데 중계차와 SNG활용에 있어서는 내용이 빈약하고 '모양 갖추기'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뉴스전달이 20건으로 10.1%를 차지함으로써 재난보도에서 상황재연(狀況再演) 아이템이 부쩍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뉴스의 연성(軟性)화와 함께, 확실하지 않은 사고경위 등을 재연(再演)하는 문제는 연구대상이 될 것이다. 이 밖에 아이템의 주제(主題) 가운데 '화제(話題)와 스케치'가 15.6%를 차지해서 아시아나항공 목포 사고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어서 언론인들은 항공사고를 보도할 때 어떤 뉴스가치를 중요시하며, 항공기 재난 보도시에 언론인들이 준수해야할 취재 및 보도준칙들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등을 조사 했다. 그 결과 언론인들은 항공기 재난 보도시에 신속성, 정확성, 생생한 현장감(現場感)과 같은 뉴스가치를 중시(重視)하는 반면, 공정하고 비판적인 해설이나 일반 수용자, 피해자 입장에서 보도하는 것과 같이 뉴스 전달에서 주관적(主觀的) 가치개입에 대해서는 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이템 내용에 관해서는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과 '사고현장의 상황을 보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사고일지(事故日誌)를 정리하는 것'과 '희생자 가족의 반응(反應)을 보도하는 것'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실제로 보도된 것은 가족들의 '반응'(反應)이나 화제(話題)·스케치가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생각과 실제(實際)는 차이를 보였다. 결국 앞으로의 항공기 재난보도에서는 지금까지 나타난 문제점들을 분석해서 개선방안을 찾아 나가야 할 것이다. 우선 보도철학의 확립이다. '무슨 내용을, 무엇 때문에 알리는가 하는 방향(方向)이 설정(設定)되어야 한다. 다음으로는 전문적인 지식과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재난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임기응변식의 보도와 백화점식 나열보도는 지양해야 한다. 또한 재난사고에 대비해서 '매뉴얼'과 '가이드라인'을 준비하고 재난방송에 대비한 시스템을 미리 구축해야 한다. 2000년 1월 현재 전세계의 하늘에는 항상 900여 대의 항공기가 떠있다. 하나님께서 자기 것으로 삼으신 하늘(穹蒼)을 인간이 도구(航空機)를 만들어 날아다니는 동안, 항공기 재난사고는 끊이지 않을 것이다. When Korea started industrialisation in the 1960s, getting out of agricultural society, Korea met disasters such as the conflagration of the DaeYeonKak hotel, the EuiWang Corner fire, the KyoungSan railway crossing crash, and the KyoungBu motorway car pile up. However, these calamities were just the beginning. In the 1990s, the SungSoo Bridge and the SamPoong Dept. Store collapsed, the SeoHae Ferry sank, and airplane crashes have continued, which warns us that Korea has shifted from industrial society to risk society. Especially, as the demands for flight increase and more jumbojets operate, once a plane crash happens it claims a greater number of lives than before and there has been growing attention from society to this problem. Disasters and calamities have been a very popular news item in the Korean Press. Yet among the media, television reports on disasters have been blamed for "torrents of reporting", "yellow journalism", or "sensationalism". This study is interested in why the broadcasting media have been blamed when reporting on airplane accidents, especially in terms of the news items they choose and the news editors' perceptions of the disaster reporting. Thus the thesis analyses broadcasting news on two famous airplane crashes in the 1990s, the Asiana airline's MokPo crash and the Korean Airline's Guam accident, to explore the role and character of the broadcasting coverage on the given items. The news items are chosen from News at Night on KBS, MBC, and SBS. The result shows that in the case of the Asiana, for 3 days, 3 broadcasting channels dedicate, on average, 39.7% of the whole news items to the accident and each item is approximately 97.23 seconds. The coverage deals with 'countermeasures' the most. However, it appears to be a problem that there are comparatively few reports on something more informative to audience and victims' family such as 'saving the situation', 'treatment or cures for survivors' or 'the death toll list'. Considering the items, 'the process of managing the accident(36.1%)' and 'result/ descriptions(27.8%)' account for a signigicant amount of the whole news reports, while there is no coverage on 'plans to prevent similar accidents'. On the first day of the plane crash, 3 broadcasting news programs reported 16 items about the accident. Another problem that arises is that 12 out of the 16 items are about the same, which means that there is 75% redundancy. Meanwhile, there are some distinctions and differences between reports on the KAL and the Asiana airplane crashes. What affects the amount and content of the news seems to be 'Where and what time did the plane crash happen?', ' How many passengers were on board?', 'The number of survivors and deaths', and so on. As soon as the KAL air crash happened, around 6am, 3 broadcasting companies operated a news flash system and gave special reports on the disaster all day long so that they could report the disaster in a comparatively well-organised way on News at Night. They had more time for news making than for the MokPo crash. As a result, the number of news items on three channels for three days is 198 which outnumbers the number of items about Asiana's crash(127) by 71. However, since they dedicated more time to the KAL accident, the redundancy rate of the news is higher than Asiana'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news reporting styles, the news contents covered by using relay broadcasting vehicles and SNGs are poor in substance and superficial. The number of news reports with computer graphics is 20(10.1%) and it shows that there are more repeated showings of the disaster. Such items like trivialised news or rerunning of uncertain circumstances should be a subject for future studies. Apart from that, as to the theme of the news, 'topics and descriptions' takes 15.6% in the reports on the KAL's incident, which is about the same as Asiana's. Added to this, the thesis surveyed journalists about important news values and rules of gathering and reporting news when they deal with plane accidents. Those questioned answer that when they report plane accidents, timeliness, accuracy, and realism are more important news values than objective and critical interpretations and subjective involvement from a view of audience and victims. The survey also deals with the contents of news items which journalists are concerned about. They think that 'finding out the cause of an accident', 'reporting on the spot of disasters' are the most important, whereas they say 'summarising the whole accident', 'reporting on the reponses of victims' family are not really critical issues. However, it is a fact that 'reponses of victims' family' or 'topics and descriptions' takes a significant part of the whole news report. Thus reports on airline accidents should be improved based on the problems discovered in this study. First of all, a philosophy of news reporting should be established. A direction of 'what to report' or 'why we report' should be set up clearly. And then a professional opinion and a scientific approach are also needed. Temporary and superficial reports on disasters or accidents should be avoided. What is more, there should be a 'manual' and 'guidelines' for disaster reporting and a well-equipped system for broadcasting news of disasters should be prepared in advance. At the moment, in January 2000, 500 airplanes are always flying in the sky. As long as human beings fly in the sky, which belongs to God, by making a device like aircrafts, there always will be plane crashes.

      •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에 관한 연구 : 법적 문제점을 중심으로

        한중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총 사업비가 수 조원에 달하는 용산역세권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 등 대규모 개발 사업 방식으로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가 적극 활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법적 문제점 및 향후 개선 방안 등에 관하여 체계적인 접근이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에 향후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제도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 설정을 위하여 아직 제대로 정립되어 있지 않은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의 설립․운영 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실무상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의 설립․운영 과정에서 제기된 법적 문제점을 국세청 질의 회신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관련 법률과의 유기적인 해석론 및 입법론적 관점에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제도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선행연구를 고찰하면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함과 아울러 현재까지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를 학문적으로 체계화하는 작업이 충분하지 않았음을 살펴 보았고 제2장에서는 가칭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법’의 제정이 무산된 과정을 살펴보고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제도가 법인세법을 통하여 도입된 후 그 때 그 때의 필요에 따라 수 회에 걸쳐 개정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의 법적 근거가 다른 특수목적회사에 비하여 부족하고 불안정함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의 제3장에서는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의 권리능력에 관하여 고찰하면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의 경우 특수목적회사로서의 특성에 비추어 일반 회사에 비하여 권리능력을 제한할 필요성이 높음을 살펴 보았고 제4장 및 제5장에서는 법인세법 및 조세특례제한법에 규정되어 있는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의 요건 및 조세효과에 관하여 국세청 질의 회신을 중심으로 해석론 및 입법론을 전개하였으며 제6장에서는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제도 폐지론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함과 아울러 현행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제도의 개선방안으로서 ↘ 국세청에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와 관련되어 축적된 유권해석을 기초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의 설립․운영․청산에 관한 통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 ♭ 국세청은 부동산 개발사업에 대한 전문부처가 아니므로 부동산개발을 위한 도관체라는 관점에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를 보는 것이 아니라 조세 특혜라는 관점에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를 보기 때문에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를 활성화하기보다는 세수 확보를 하기 위하여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에 대한 조세혜택을 축소하려는 방향으로 관리․감독을 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제도를 안정화시키고 활성화시키기 위하여는 부동산개발 관련 전문부처인 국토해양부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에 대한 관리․감독권을 이관할 것, ♩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제도를 안정화시키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반 조성은 단순한 세제상의 문제가 아니어서 법인세법 등 관련 세법 개정만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제도 자체의 폐지나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에 대한 조세 혜택 축소에 관한 비생산적이고 불필요한 논의가 반복되지 않고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제도를 안정화시키고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한편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의 설립 현황조차 공식적으로 파악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를 통한 대규모 개발사업의 진행 과정이 외부로 공개되지 않고 폐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 설립되어 운영 중인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의 사례들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객관적이면서도 보편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실무상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의 설립․운영상 발생된 법적 문제점, 특히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의 요건 및 조세효과에 관하여 최종적인 법률해석기관인 사법부의 판단이 아직까지 이루어진 바 없기 때문에 본 연구의 실무에서의 적용 가능성 및 적용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파악할 수 없는 점에서도 한계를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에 대한 특별법이 제정되지 않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방식으로 부동산 개발사업을 준비․진행하고 있거나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관련 업무에 종사하고 있거나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를 연구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유용한 정보 및 선행연구물이 되리라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Project Financing Vehicles (PFVs) have been actively involved in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the multi-billion dollar Yongsan Station Area International Business District Development Project. Despite this, this research launches on the premise that there has not been a sufficient systematic approach to the related legal questions and plans for future development of the PFVs. To that end, and for the purpose of benchmarking the future development pattern of the PFV system, this research seeks to understand the current reality of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practices of the PFVs’, which still remain largely on a weak foundation in legal aspect. Simultaneously, a series of legal problem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the PFVs- centered around the inquiries raised by the National Tax Service (NTS)- has been examined while seeking plans for improvement based on a related legal basis, including interpretative theories and legislative perspective. Part One of this research raises awareness on the PFVs and related problems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research, the scope and methods of this study, and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revealing that the efforts to systematize the academic approach to PFVs has been largely insufficient. In Part Two, by examining the collapsed enactment of the so-called “Project Financing Vehicle Law” and by tracing the frequent adjustments the PFVs had to make to survive ever since PFV system was instituted through corporate tax law, it is clear that the legal grounds for PFVs are unstable and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other Special Purpose Vehicles’ (SPVs). With regards to the range of privileges afforded to the PFVs, in light of the fact that PFVs are for-special-purpose by nature, Part Three notes the particular need to place a stricter control on their privileges. Based on NTS inquiries and the Corporate Tax Law and Restriction of Special Taxation Act ’s cumulative effects and the requirements they have specified for the PFVs, Part Four and Five expands upon the aforementioned interpretative and legislative theories. In Part Six, scrutinizing theories for the abandonment of the PFV system in its entirety, this reasearch offers a roadmap for improvement for the PFV system, which includes: ↘ an integrated guideline provided by the NTS fo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anaging, and liquidating PFVs; ♭ the transferring of the authority for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PFVs to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which specializes in real estate development-; and ♩ an enactment of a special legislation specifically for affairs pertaining to PFVs. However, the process of business establishment and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involving PFVs are not only done behind closed doors, but more seriously, there is no way to gather an official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reality of the situation.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efforts to arrive at objective conclusions and workable solution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individual cases of currently operating PFVs are considerably limited. In addition, current research is also limited in applying the findings to practical situations and problems by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no official decision made by the judiciary?C which has the final say in any legislative interpretation- regarding legal issues that emerge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PFVs, especially those pertaining to the aforementioned requirement specifications and the tax effects. Even so, at status quo, with no special laws in place, this research seeks to become the foundational source of useful information and important data for those just embarking on PFV-oriented real estate development, currently operating PFV-related businesses, and those seeking to research the PFV system.

      • 부동산경매절차의 효율성 확보방안에 관한 연구

        한중 강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15

        경제 불황 이후를 기점으로 경매 대중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경매절차는 일반인들이 인식하기에는 간단하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그 절차가 복잡하고 경매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연구의 목적은 경매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규명하고 효율적 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경매에 관한 이론을 문헌조사를 통하여 고찰하고, 경매절차상 발생 할 수 있는 위험성을 밝혀내고,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절차상 개선방안을 문헌조사와 실증적 사례를 분석하여 대안을 제시하였다. 경매실태에 관한 조사결과 경매 절차상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경매신청의 일방적 취하로 인하여 경매시장에 참여자가 많은 시간적 비용적 손실을 보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이해관계인의 항고로 인하여 경매과정이 1년 이상 지체됨으로서 채권자와 채무자의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현황조사에서 법원이 직접 현장조사 한 현황보고서에서 권리분석 등에 대한 정보 및 신뢰성의 부족으로 입찰예정자는 직접 조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저경매가격에 있어서 평가목적에 따라 평가금액의 차이가 심하고, 감정평가 절차상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은 첫째, 경매시장에 참여자가 경매과정에서 우선 신뢰성 있는 정보의 취득이 필요하다. 둘째, 경매 부동산의 물리적, 법률적 안정성의 확보를 위하여 세심한 현장조사와 서류분석을 통해서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경매 받을 부동산을 선정했다면 법원에서 입찰기록을 열람한 후 현장에 나가 법원기록에 없는 추가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셋째, 법적 위험성은 철저한 등기부 및 소유권에 관련한 권리분석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등기부등본에서 1순위 저당권보다 빠른 가등기, 가처분예고 등기가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여 경매 참가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또한 토지의 경우 토지이용계획 확인원을 살펴본 후 제한사항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경매대상부동산의 수익성 분석을 통하여 투자수익에 대한 예측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 간의 갈등에 관한 연구 : 진주시 대 경남일보 사례 분석

        한중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As the local government system representing the flower of grass-roots democracy has been activated and the function of criticism done by the local press has been reinforced, there have been distinctive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As long as these two entities have continu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while performing their unique roles in each social system, it has seemed inevitable that the changes in their relationship would continue. Local governments should keep collecting public opinion in political process and the press forms critical public opinions while observing and indicating whether the political activities of the former would work properly. This can largely be considered a positive function. However, as local governments and the press have exchanged concrete and active effects by forming mutually equal relationships as the players of power structure in local society since the consolidation of decentralization, there have been increasingly more factors causing conflicts. In this aspect, this paper analyzed through case studies on what factors have triggered the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and through what processes they have been resolved in the passage of time dynamically and it began to model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m.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se conflicts would be highly probable to show up in various forms along with the further development of our local government system,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ases through the in-depth observation. It first conducted preliminary theoretical researches on the relation between government and the press, the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or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environmental NGOs and applied them to actual cases of conflicts for analysis. In terms of theoretical researches, the study looked closely into the functions and roles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within the power structure of local society as their regional background. Especially, the factors of structural conflicts between those two entities have been in part confirm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how much the power structure of regional society and the news frame of the press.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The relationship model with the highest conflict factors among various relationship models between government and the press was an interpenetration model. It has been conceived that this model underwent more active interactions while having an 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s and politics, thus having many factors for conflicts.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level of close observation and criticism of the press against political system together with the enhancement in freedom of speech. Furthermore, it has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s and the press would be a mutual control among ‘the model of pendulum movement between government and the press’. Third, the study rearranged the concept of conflicts caused by the press release along with the investigation on the libel of public officials and freedom of speech. The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the regional press were defined as ‘a current state, in which the confrontational or adversarial behaviors affected regional soc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of their perspective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egional agenda and repeating the interpenetrations as the official doer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official doer of the regional press within the power structure of local community.’ Fourth, the study established an analysis model for the cases of conflicts. In order to examine the factors of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dynamically in the passage of time, it set up a frame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the primary aspects as below: four stages of classification by time such as potential conflicts - occurrence and expansion of conflicts - incubation or continuance of conflicts - resolution of conflicts, systematic factors, behavior characteristics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 said theoretical investigation, this study created five research questions for the analysis of conflict cases between Jinju City and the Gyeongnam Ilbo occurred actually in Gyeongnam area. <Research question 1> what were the factors of conflicts by stage? <Research question 2> what characteristics did the behaviors of conflicts show by stage? <Research question 3> what were the conflicts about? <Research question 4> what characteristics did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conflicts have? <Research question 5> what effects did the social conflicts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the press have on local community? In order to solve the said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figured out the changes in each stage and conflict factors as to the situations of conflicts based on the case analysis models established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After the analysis, the conflict factors by stage between the two entities could be summarized as in the following. In the stage of potential conflicts,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editing according to the conflicts among the governing political powers in the community and the subsequent disunion in the process of recruiting regional politicians and the appearance of new management in the press. In the stage of occurrence and expansion of conflicts, the following was analyzed as the primary factors: administrative pressure of Jinju City according to the reinforcement of critical release function against the policies of Jinju City and its mayor, excessive distrust between them, request for arbitration to the Press Arbitration Commission and legal countermeasures and intervention of regional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the stage of incubation or continuance of conflicts, there were incubated or temporary conflicts while the following factors were interacting complicatedly such as the claims for damage, continuous administrative sanctions, replacement of the management of the Gyeongnam Ilbo, changes in the attitudes of news coverage and release and heightened public opinions wanting to resolve the conflicts for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confirmed the correlations among the collision regarding each of their unique duties, the feature factors of behaviors and the variables of regional environment while pursuing the common purpose of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conflict relationship between the cases in question. It has been no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s were more than anything else crucial in the establishment of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It has been analyz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 further interest in the performers consisting of local governments and of the regional press in charge of setting up regional agenda. Besid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advisabl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the regional press should be control- and reciprocity-based in the confrontational and supplementary relationship while both fulfilling their unique roles. This study on the conflicts between Jinju local government and local press the Gyeongnam Ilbo was meaningful in that there have been no researches concerning this issue even if such cases of conflicts have coexisted. 풀뿌리 민주주의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지방자치제도가 활성화되고 지역 언론의 비판 기능이 강화되면서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관계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이 각자의 사회 체계 속에서 고유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하는 한 양자 간 관계 변화는 계속될 수밖에 없다. 지방정부는 정치과정에서 지속적인 여론수렴을 해야 하며, 언론은 그와 같은 정치활동 행위가 제대로 작동 하는가를 관찰, 지적하면서 비판적인 여론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는 대체로 순기능적인 관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지방분권이 강화된 이후 지방정부와 언론이 지역사회의 권력구조의 한 축으로서 상호 대등한 관계를 형성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로 발전하면서 갈등의 요소가 더욱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 사이의 갈등이 어떤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어떤 전개 과정을 거쳐서 해소되는지를 사례 연구를 통해 동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지방정부와 언론과의 관계를 모델링하기 위해서 출발했다.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 간의 갈등은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도가 더욱 활성화될수록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개연성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보다 심도 있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사례 분석에 접목을 시도했다. 본 연구는 정부와 언론 관계의 선행 연구와 지방정부 간 또는 지방정부와 환경NGO간 갈등 관계의 선행 연구를 통해 이론적으로 고찰한 뒤 실제 갈등 사례에 적용시켜 분석했다. 이론적 연구에서는, 먼저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지역적 배경이 되는 지역 사회의 권력구조 내에서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기능과 역할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특히 지역사회 권력 구조와 지역 언론의 뉴스 프레임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고찰을 통해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구조적 갈등 요인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는,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과의 관계에 대해 고찰했다. 정부와 언론의 다양한 관계 모델 중 갈등유발 요인이 가장 많은 관계 모델은 상호 침투형 모델이다. 상호 침투형 모델은 언론과 정치 간에 대등한 관계를 이루면서 보다 적극적인 상호 작용을 거치게 되기 때문에 그 만큼 갈등의 요인도 많다는 의미로 인식되었다. 이는 언론 자유 신장과 더불어 정치체계에 대한 언론의 감시와 비판 수위가 상향 조정되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바람직한 정부와 언론의 관계는 ‘정부와 언론 관계의 진자 운동 모형’ 중에서 상호 견제적 관계라는 추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세 번째로는, 공직자의 명예훼손과 언론 자유에 대한 고찰과 함께 언론 보도로 인한 갈등의 개념을 정리했다.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갈등은 ‘지역사회 권력구조 내의 공식적 행위자인 지방정부와 비공식적 행위자인 지역 언론이 주체가 되어 지역 의제 설정을 두고 상호 침투작용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치관의 차이에 따른 대립적 또는 적대적 행동이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화된 상태’로 정의했다. 네 번째로는, 갈등 사례 분석을 위한 분석 모델을 구축했다.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 간 갈등 발생요인들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동태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갈등 사례를 잠재적 갈등-갈등 발생 및 증폭-갈등의 잠복 혹은 지속-갈등 해결 이라는 4단계의 시간적 분류와 제도적 요인, 행위자 특성 요인, 환경적 요인의 3가지 주요 요인 측면에서 분석하는 틀을 구축했다. 이와 같은 이론적 고찰을 토대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실제 경남지역에서 2008년도에 발생했던 지방정부인 진주시와 지역 언론사인 경남일보 사이의 갈등 사례 분석을 위해 5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했다. <연구문제 1> 갈등의 단계별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갈등의 행위자들이 단계별로 보여 준 특성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 갈등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4> 갈등의 해소 과정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연구문제 5>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사회적 갈등이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구축한 사례 분석 모델을 토대로 갈등국면에 대한 단계적 변화와 갈등요인을 파악했다. 분석 결과 진주시와 경남일보의 단계별 갈등 요인은 다음과 같이 정리됐다. 갈등의 잠재단계에서는 지역 집권 정치세력 간 갈등과 이에 따른 지역 정치인 충원과정에서의 분열, 언론사의 새로운 경영진 등장에 따른 편집방향의 변화로 파악됐다. 갈등의 발생 및 증폭 단계에서는 진주시의 정책 및 시장에 대한 비평적 보도 기능 강화에 따른 진주시의 행정적 탄압, 상호간의 극심한 불신, 언론중재위 중재신청과 법적 대응, 지역 시민사회 단체의 개입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갈등의 잠복 혹은 지속 단계에서는 손해배상 청구 소송의 진행과 지속적인 행정적 제재조치, 경남일보 경영진의 교체 및 취재와 보도 태도 변화, 지역 발전을 위한 갈등 해소 여론 고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갈등관계가 잠복하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 대상의 갈등 관계 분석을 통해 지역의 발전이라는 공동의 목적을 추구하면서 상호 고유의 업무 기능에 대한 충돌과 행위자들의 특성 요인 및 지역 환경의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했다. 궁극적으로 지속발전 가능한 지역사회를 위해서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이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관계 설정에 있어서 무엇 보다 행위자들의 특성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지방정부를 구성하는 행위자와 지역 의제를 설정하는 지역 언론을 구성하는 행위자에 대한 일반의 관심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바람직한 지방정부와 지역 언론의 관계는 양자 간 고유의 역할 수행에 충실하면서, 상호 대립적 보완적 관계 속에서 견제와 공생을 오가는 견제적 호혜 관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지방정부인 진주시와 지역 언론사인 경남일보 사이의 갈등에 대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갈등 사례가 정도만 달리할 뿐 상존하는 것인데도 불구하고, 그동안 이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 있어서 나름대로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 체육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한중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objective of the following paper is to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physical education teacher class. It seeks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levels of involvement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 primary goal is to investigate to what degree student-teacher interactions affect levels of satisfaction and class involvement. In order to research this topic the students from Gyeongi Humanities High School were the sample population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ample population was gathered clustered random sampling, 398 surveys were distributed to active students. Surveys that were incomplete or showed inconsistencies were removed, leaving 383 surveys to be analyzed for this study. This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dows version 18. It was first tested with factor analysis, followed by a reliability analysis. The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run, followed by a one-way ANOVA, where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last statistical test wa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showed this in relation to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its effect on student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First, different demographic factors influenced the effects of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interaction with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levels. The confidence levels for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female students, while closeness, sincerity,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xes. In terms of the factors involved with students’ level of concentration and participation during class the result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make students. When mal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lass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and guidance were also higher among male students. In regards to the class environment and topic of the lect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grade level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levels of intimacy and its interaction with the student teacher relationship, in the following order from highest to lowest: 3rd grade, 2nd grade, and 1st grade. However, in levels of confidence, openness, and sincer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In terms of class participation in the area of individual goal setting, 2nd grade had the highest levels, followed by 1st grade, then 3rd grade. For other factors like understanding and absorption of the material, conduct during class, and regular feedback,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levels of exercise and its effects on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all factor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ame was found to be true for factors involving class participation. Also levels of satisfaction had an impac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and class leadership ability.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und in the factors of class environment, and class subject. During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had an interactional effect on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ll factors for those who actively participated during class compared to those who didn’t. The same applied for all the factors for involvement during clas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ose students who actively participated during class. Also, in terms of class satisfaction, the subject of the class, the effectiveness of the lecture, and the level of guidance were all higher for those who actively participated during class, with the exception of class environment in which there was no difference. Secondly,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This was especially true for low level factors like confidence, sincerity, in which these factors had an effect upon class involvement. For confidence levels and openness there wasn’t a significant difference. Thirdl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inter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vels of satisfaction. This is especially true for low-level factors like confidence, and sincerity. However there wasn’t a statistical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imacy and openness, in regards to their effect on satisfaction. Lastly, students’ involvement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evels of satisfaction. Especially in low-level factors of student involvement like individual goal setting, absorp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lecture, and conduct during class, were all affected by levels of satisfaction. However, combined processes, and overall feedback weren’t found to have an effect on levels of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이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과 그에 따른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에 대하여 어떻게 지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경기지역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중심으로 모집단을 설정하였으며, 표집방법은 단순무선 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으로 표본을 추출하고, 총 39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배부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부적합한 데이터를 제외한 후 최종 383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및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체육수업에서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학년, 운동수준, 수업 외 스포츠참가)에 따른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 수업몰입,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에 따른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차이는 신뢰감에 있어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친밀감, 개방성, 성실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업몰입은 모든 요인(자기목적적, 과정통합, 내용몰두, 행동의식일치, 구체적피드백)에 있어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만족의 경우는 수업효과와 수업지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수업환경과 수업내용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년별에 따른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차이는 친밀감에서 3학년, 2학년, 1학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신뢰감, 개방성, 성실성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몰입의 차이를 보면, 자기목적적경험은 2학년이 가장 높았으며, 1학년, 3학년이 뒤를 이었으나, 과정통합, 내용몰두, 행동의식일치, 구체적 피드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보면, 모든 요인(수업환경, 수업내용, 수업효과, 수업지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운동수준별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차이를 보면, 모든 요인(친밀감, 신뢰감, 개방성, 성실성)에 있어서 운동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수업몰입 또한 모든 요인(자기목적적, 과정통합, 내용몰두, 행동의식일치, 구체적피드백)에 있어서 운동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수업만족의 경우에는 수업효과와 수업지도에서 운동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수업환경과 수업내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 체육수업 이외의 스포츠참여 여부에 따른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차이는 모든 요인(친밀감, 신뢰감, 개방성, 성실성)에 있어서 스포츠에 참가하는 경우가 참가하지 않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업몰입 또한 모든 요인(자기목적적, 과정통합, 내용몰두, 행동의식일치, 구체적피드백)에 있어서 스포츠에 참가하는 경우가 참가하지 않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업만족의 경우에는 수업내용, 수업효과, 수업지도에서 스포츠에 참가하는 경우가 참가하지 않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수업환경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체육수업에서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수업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 하위요인 중 친밀감, 성실성이 학생들의 수업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뢰감, 개방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수업에서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수업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 하위요인 중 신뢰감, 성실성이 학생들의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친밀감, 개방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들의 체육수업몰입이 체육수업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수업몰입의 하위요인 중 자기목적적, 내용몰두, 행동의식일치에서 학생들의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정통합, 구체적인 피드백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기호 실행에 기반한 악성코드 실행 및 프로토콜 역공학 자동화 구현 방법론

        한중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악성코드를 동적으로 분석하고 악성행위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악성코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만들어야 하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실행 환경과 분석 환경에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분석 환경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명령제어 서버와 통신하는 악성코드를 대상으로 실제 악성행위를 수행하도록 동작시키며, 명령제어 서버와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도출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기호 실행 기술을 도입하여 위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악성코드를 실제로 실행시키며, 악성코드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규명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분석 과정들을 자동화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 1장에서는 악성코드를 실제로 동작시키며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규명함에 있어서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향후 활용될 수 있는 분야에 대해 논의한다. 제 2장에서는 선행된 기호 실행 기술 및 프로토콜 역공학 기술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 3장에서는 스크립트를 제작하여 악성코드를 실제 악성행위를 수행하도록 동작시키는 방법을 제시한다. 목표한 API까지 도달할 수 있는 경로를 탐색하고, 탐색한 경로대로 실제 프로그램이 진행하도록 한다. 그 과정에서 기호 실행을 이용하여 각 분기별 제약조건을 풀이하여 의도한 분기로 프로그램이 진행되도록 유도한다. 제 4장에서는 3장에서 실제 실행한 악성코드를 대상으로 프로토콜을 도출하는 프로토콜 역공학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행위를 수행하는 API를 기호화하여 악성코드가 수신 및 송신하는 페이로드를 포함한 버퍼 영역이 어떤 값으로 풀이되는지 추적한다. 추적한 제약조건들을 풀이하여 명령제어 프로토콜을 도출한다. 풀이를 반복하는 깊이가 정해진 깊이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제 5장에서는 3장과 4장에서 제작한 스크립트들을 통합하는 통합 스크립트를 구현한다. 또한 통합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실제 실행에 해당하는 디버깅 과정과 기호 실행에 해당하는 에뮬레이션 과정에 대하여 각 시스템 상태를 동기화 하며 제작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구현한 통합 스크립트를 활용하여 실제 악성코드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며 활용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사항들 외에 악성코드를 자동화된 분석을 하기 위해서 많은 난점이 존재한다. 여러 악성코드들은 분석을 방해하는 다양한 기법과 난독화가 적용되어 있다. 본 논문의 결론에서는 이러한 난점들을 종합하고, 이를 수동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 DSIC 신호 방색을 이용한 다중회로 설계에 관한 연구

        한중 광운대학 1984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현재 단거리 시분할 다중전송 방식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T1 반송 시스템인 PCM24 찬넬 방식을 이중화(Double)하여 DS1C(Digital signal No.1C) 신호방식을 만족하도록 한 다중화 회로 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이 신호방식은 2조의 1544kb/s 단극성 정보(Unipolar data)를 합성하여 DSIC신호로 처리한 후 3152kb/s 복극성 정보(Bipolar data)로 T1C선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설계한 다중화 회로의 입력 2조는 각각 1프레임당 1비트의 프레임 펄스를 갖는 펄스열(Pulse stream)이 되도록 하였으며 설계된 회로의 각 지점에서 논리레벨은 요구된 레벨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3152kb/s 다중화 펄스특성은 CCITT 권고안 G.921에 의했으며 로컬 에리어 네트웍(LAN) 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