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품행장애 청소년의 사회정보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 반사회적 행동과 우울 성향을 중심으로

        한영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o investigate social cognitive features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f three adolescents groups such as conduct disorder, conduct-prone, and normal group. 2)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anti-social behavior and depressive tendency of the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us help the youth stay away from delinquent behaviors with the results of research. For the above purpose, 40 adolescents who are inpatients or out-patients diagnosed as conduct disorder, and 40 adolescents with conduct-prone tendency and 40 normal adolescents were selected from the 342 first and second year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s who were asked to fill in the self-reporting questionaries: such as delinquent behavior, Beck's depression inventory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s such as ANOVA, Chi-square, Scheffe' tes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f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1) The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showed a tendency to interpret other people's intention as more hostile than the other two groups, and thus showed negative attribution bias. 2)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atic situation the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came up with less alternative responses other than violent behaviors than normal adolescents. 3) The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reported a possibility to use aggressive behavior in order to solve a problematic situation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while the latter group reported a possibility to use various emotional responses more frequently than the former group 4) The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showed a tendency to express anger more easily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when facing negative results for themselves. 5) The conduct-prone showed more alternative solutions especially non-aggressive alternatives, than the clinical group facing a problematic situations. 2.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social behaviour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conduct disorder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tendency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 adolescents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ve tendency showed deficit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reported aggressive solutions for the problematic situations more frequently as their degree of depression increased 4.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Cinical Group and the Latency Group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pressive Tendency 1)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atic situations, the adolescent with conduct disorder and depression also showed more aggressive behavioral responses than those with conduct disorder only. In addition, the former evaluated the withdrawal behaviour more negatively than the latter group. among the conduct-prone group, the adolescent with anti social behavioral tendency and depression also showed aggressive behavioral responses behaviour more frequently than those with conduct disorder only. In summary, the adolescents with conduct disorder showed the tendency having more deficit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an those in the conduct-prone and normal groups. The deficits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f clinical and conduct-prone groups increased as their depressive tendency increased

      • 음악중점 고등학교 음악교육현장에 대한 분석연구 : 2011학년도 처음 시행된 음악중점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한영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ims to become useful information in understanding students and grasping their needs through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on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students of music-focused schools are educated. In this research,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level of student satisfaction with music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music-focused high schools, questionnaires had been sent to 225 students of 4 music-focused high schools which first had started fulfilling such an education system as of 2011.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156 returned answer papers from 165 people of 3 schools except 1 school.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satisfaction rating of the students surveyed,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its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survey asking about music class(No. 2), music curriculum(No. 3), music class facilities(No. 4) and the effectiveness of music class(No. 5), the respondents mostly answered the questions positively with ‘moderate’ followed by ‘yes’. When it comes to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No. 1), in the question of ‘music-focused class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level of musical ability’(question 2), they answered, ‘moderate’ and ‘no’. Additionally, in the question of ‘music-focused class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with other class(academic class) students(question 3) in the same category, most of the respondents showed dissatisfaction with 49% answering, ‘no’ and ‘absolutely not’.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music-focused class students felt difference in their musical ability in comparison with other students in the same class and they did not get along with the academic class students. Furthermore, 40% of those questioned said that they regret having entered a music-focused school. In the case of satisfaction with personal music tutors(No. 6), 74% of the students expressed great satisfaction by answering, ‘satisfied’, but the reasons why others were dissatisfied with them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analysis above,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reality of the music-focused high school’s education situ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ducation conditions of the music-focused high schools, it is essential to produce the teachers who have high level of teaching skills, through upgrading teacher-training programs and developing systematic curriculums, that is, a wide variety of music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subject of contents and functions.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he institutional aspects such as entrance examination systems or educational curriculums, as well as train a teacher. In this thesis, reflecting on the concrete opinions of the overall student satisfaction with the music-focused high schools beginning first as of 2011 was useful in analyzing the music education situation. Showi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in which the students majoring in music in the music-focused high schools are faced with, will help suggest more effective improvement in the music education situation. 본 논문은 음악중점학교 학생들이 어떠한 환경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지 자료를 표집․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학생들을 이해하며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음악중점 고등학교의 음악교육현장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2011년도 현재 처음 시행되고 있는 음악중점고등학교 4개교의 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한 학교를 제외한 3개교의 학교 165명 중, 156부를 회수한 자료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 학생들의 전체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응답률을 얻을 수 있었다. 음악수업(문항2), 음악 교육과정(문항3), 음악 수업시설(문항4), 음악 수업효과(문항5)에서는 대부분 ‘보통이다’와 ‘그렇다’의 순으로 긍정적인 결론이 나왔다. 학교생활 만족도(문항1)의 경우, 같은 문항 중 ‘음악전담학급의 같은 반 학생들이 느끼는 음악 수준 만족도’(질문2)에 대해서는 ‘보통이다’와 ‘그렇지 않다’의 통계가 나왔으며, 같은 문항 중 ‘음악전담학급 학생들이 느끼는 다른 학급(인문계)과의 관계 만족도’(질문3)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와 ‘매우 그렇지 않다’의 비율이 49%로 대체적으로 학생들은 불만족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같은 반 학생들의 음악수준에 대해 차이를 느끼고 있으며, 같은 학년 인문계반의 학생들과는 잘 어울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중점학교에 진학한 것에 대해 후회를 했던 학생들도 40%로 나타났다. 개인레슨교사(문항6)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에는 74%의 학생들이 ‘만족 한다’라고 응답을 하여 매우 만족도가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으나, 불만족한 학생들의 이유에 대해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위 설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첫째, 음악중점학교의 입시제도가 면접으로만 학생들을 선발하다 보니 학생들의 음악적 수준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로인하여 학생들은 같은 반 학생들임에도 불구하고 수준의 차이를 느껴 학생들 간의 괴리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문계고등학교 내에 소수 반을 시행하다보니 인문계열 학생들과 교류가 많지 않아 원만한 학교생활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대부분은 ‘전공이 너무 많아 복잡하다’ , ‘전공레슨 선생님이 아니다’ , ‘교육내용이 자주 수정 된다’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는 음악중점고등학교가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의견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결과로 볼 때 음악중점고등학교 교육현장의 실태는 많은 문제점들을 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음악중점고등학교 교육현장의 개선을 위해 교사양성 과정에서 좀 더 심화되고 체계적인 커리큘럼, 즉 음악교육의 영역별 내용과 기능에 대한 광범위한 프로그램의 개발로 현장성이 높은 교사를 배출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양성 뿐 아니라 입시전형이나 교육과정 등 제도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2011년 현재 처음 시행되고 있는 음악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전체 만족도에 대한 구체적인 의견반영은 음악교육현장을 분석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음악중점고등학교 음악전공생들이 현재 처한 환경과 조건에 대한 만족도를 세세하게 보여주며,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음악교육현장을 위한 개선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佛敎社會福祉思想과 實踐的 機能에 관한 硏究

        한영옥 大田大學校 經營行政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세계 각국은 행정의 목표가 대부분 사회복지 구현에 연관되어 있다. 다만 현실적으로 사회복지의 수준이 서로 상이한 것은 나라마다 역사와 정치·경제·문화 등 배경의 차이와 함께 그 속에서 형성되어 온 복지철학의 차이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지금 현재 널리 통용되는 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제는 주로 서구사회에서 산업혁명 이후 발달해 온 자본주의와 산업화·도시화의 결과로 생겨난 사회문제들에 관련한 대응책이라 할 수 있다. 우리사회도 주지하듯이 짧은 시간동안에 괄목할 만한 경제성장과 국력의 신장을 가져왔고 이와 더불어 정치·사회·문화 등 여러 부분에 걸쳐 거대한 변혁의 역사를 기록했다. 그러나 다른 한편 지나친 물량주의, 나만 잘살면 된다는 이기적인 개인주의의 풍조, 가치관의 혼란, 상대적 박탈감 등으로 각종 사회적 재해와 공해, 범죄, 비행 등의 부작용을 유발시켰다. 그리하여 성장과 변혁의 정책을 시도하면서 "무엇을 위한 성장과 변혁이며, 누구를 위한 성장과 변혁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이것은 결국 국민분열과 소외 그리고 비인간화, 차별, 불평등을 조장하고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일반적으로 서구의 사회복지(Social Welfare)는 사회구성원 개개인이 모두 물질과 정신의 만족을 누리는 理想社會로의 사회적 이념이며 실천을 동시에 포함한 개념으로 과학적 접근방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동시에 사회복지가 추구하는 이념적 가치는 인간의 존엄성과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자유와 평등을 본질로 한 민주주의와 사회연대의식에 입각한 상부상조 정신과 자조정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불교사회복지의 개념은 우리가 살고 있는 외적 조건뿐만 아니라 내적으로도 심리적 갈등이나 불안, 욕구로부터의 해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객관적 요인보다는 주관적 요인에 의한 것임을 주지시킨다. 여기에서 인간의 삶의 현실에서부터 철학적이고 논리적인 물음과 체계가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는데, 불교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하는가"라는 근본문제의 제시와 그 해결에 본질적인 요소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불교가 있는 곳에는 항상 광의의 사회복지가 있다고 말할 수 있는데, 불교사회복지는 그 근저에 있어서 열반을 지향하는 자유와 정법수용의 대가없는 보시를 통해 利他의 사회, 상호존중하는 사회로 나아가며 궁극적으로는 모든 사람의 해탈에 목표를 두어 보다 이상적인 사회의 건설을 지향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선 불교의 사회복지사상에 관한 경전적 근거와 체계를 이해하면서 그것이 제시하는 불교적 실천방법론을 각 분야에 맞게 대안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21세기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정책을 전망하여 불교사회복지를 현대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에 기본적인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우선 불교사회복지는 종교적 특성을 살리면서 불교적 가치관에 입각한 사회복지이념을 정립해야 하며 동시에 인간 및 사회현상을 객관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복지 전문지식 및 기술적 접근을 통한 문제해결의 모색이 전제되어야 한다. 제Ⅱ장 불교사회복지의 사상기반에서는 불교사회복지사상을 경전적 근거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것은 불교학에서 자체적으로 복지이념 및 실천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지를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서, 이러한 시도는 불교의 복지사상을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재해석 해낼 수 있도록 하는 방안과도 연계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대승보살사상, 자비사상 등을 압축하여 불교적 사회복지관이 무엇인가를 제시하였고, 불교적 세계관이랄 수 있는 緣起思想은 존재하는 모든 것은 서로 緣하여 生起한다는 법칙으로서, 결국 모든 존재는 공동운명체로서 유기적인 삶을 살아간다는 자각을 촉구하여 상호대립을 지양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제Ⅲ장 불교사회복지의 실천적 기능에서는 불교의 사회복지활동 중 지역복지의 필요성과 역할을 부각시켰고 또한 불교적 자원봉사활동의 의미 및 자원봉사의 실천방안을 위해 자원봉사의 활성화와 그를 통한 프로그램의 개발, 효과적인 자원봉사자의 관리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대인중심의 아동 및 청소년복지, 여성복지, 노인복지, 장애인복지 등의 문제점과 복지내용, 복지과제 그리고 불교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21세기의 사회복지는 소비자의 입맛에 맞추는 서비스의 시대라 할 수 있다. 불교복지정책 역시 각 복지 대상층과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여 차별화 되고, 보다 나은 현실적인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제Ⅳ장 불교복지사상과 실천의 현대적 모색에서는 현대사회의 사회복지 이념과 정책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불교사회복지사상과 그 실천의 현대적 모색을 검토해 보았다. 여기에서는 21세기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정책을 전망하여 사회보장제도가 국민의 기본생활을 보장하여 사회안전망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재원확충과 더불어 선진 사회보장제도로 발전시켜야 함을 여러 각도에서 부각시켰다. 더불어 불교사회복지가 당위성을 확보하고 보편적인 복지로서 설득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야 함을 제기하였다. 복지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분명히 하지 않고 종교적 심정으로 자비의 보살행을 실천해가는 지금까지의 방식도 나름대로는 역할을 했다고 인정할 수는 있지만, 21세기를 맞는 현대사회에서는 과학철학적인 접근방식을 활용하여 보편적인 복지로서의 가치와 학문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현대사회가 국제화·정보화의 시대이고 또한 고령화시대의 도래가 예상되니 만큼 시대에 맞게 사회복지의 제도 및 정책의 혁신이 필요하며 이러한 사회변화 과정에 맞추어 불교사회복지도 더불어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사회복지의 이론과 실천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소화기계암 수술후 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

        한영옥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화기계암 수술후 환자를 대상으로 대상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이를 기초로 소화기계암 수술후 환자의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서울시에 소재한 Y대학병원에서 소화기계암으로 수술을 받은 후 외래 내원 환자 또는 항암 치료나 방사선 치료를 위해서 재입원중인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2009년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가족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Cobb(1976)가 개발한 도구를 강현숙(1984)이 수정한 가족지지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건강증진행위는 Walker, Sechrist와 Pender(1987)가 개발하고 오복자(1994)가 번안하여 암환자의 특성에 맞게 수정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정, 보완한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고 도구의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가족지지 정도는 최고점수 55점 중 평균 47.89점의 가족지지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최고 200점 중 평균 120.46점의 건강증진행위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영역별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영양관리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건강책임, 자아실현, 대인관계, 휴식 및 스트레스 관리, 운동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 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 중에서 진단명(t=-2.219, p=.023), 치료비 부담감(F=3.528, p=.034), 수술 후 기간(t=-1.354, p=.006)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대상자의 가족지지는 건강증진행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36, p=.002). 결론적으로 소화기계암 수술후 환자의 가족지지는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높다는 것은 대상자에게 있어서 가족은 영향력 있는 지지체계이며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를 위해서 가족의 지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소화기계암 수술환자를 돌보는 가족들을 지지하고 교육하는 간호사는 가족지지를 제공함으로써 수술 환자의 건강상태를 높이며 건강증진행위를 도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patients who had surgery for gastrointestinal tract cancer. Eighty patients were recruited for the present study both in inpatient and outpatient clinics at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5 to May 31, 2009.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included a family support measure developed by Cobb (1976) and modified by Kang (1984), and an investigator-modified Walker, Sechrist, and Pender's (1987) health promoting behavior scale reflecting study participants’ cancer experienc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SPSS 15.0 using Cronbach's alpha, t-test, ANOVA with Scheffe post 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procedures.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5.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Participants received high levels of family support with the mean score of 47.89 out of 55.0. Participants reported to have engaged in moderately healthy behaviors with the mean score of 120.46 from 200.0. Of the six categorie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 nutrition score was the highest and the rest follows in descending order: health responsibility, self-actualization, interpersonal relation, rest and stress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2.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and perceived family support. However,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ypes of cancer (t = -2.219, p = .023), financial burden (F = 3.528, p = .034), and the length of recovery period (t = -1.354, p = .006). 3. Patients who received high levels of family support showed significantly better health promotion behaviors (r = .336, p = .002). The data suggested that family support had positive impact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cancer patients. Nursing interventions with an emphasis on family support are needed to increase health-promoting behaviors and, in turn, to improve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patients who have undergone surgical treatment.

      • 고등학교 10-나 함수 개념의 지도 사례 연구

        한영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함수 개념의 이해를 돕고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고 수학의 유용성과 실용성을 깨닫게 하여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는 학습 자료를 구성하고자 한다. 이에 학습 자료의 구성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여러 선행 연구들과 교과서에서 함수 개념이 어떻게 도입되어 전개되는지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구성된 학습 자료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학습과정의 특성을 분석해 봄으로써, 적용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고등학교 10-나 함수 개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학습 자료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나. 학생들에게 학습 자료를 활용한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하여 경기 수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Y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3명을 선정하고, 학습 자료는 함수 단원을 중심으로 본 연구자가 연구 대상 수준에 맞추어서 선행 연구와 교과서, 학생들과의 비형식적 면담, 발문과 질문을 통해 직접 구성하였다. 실생활과 관련된 함수, 함수의 그래프, 합성함수, 역함수, 유리함수와 무리함수개념을 4종 교과서의 비교와 선행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가 직접 재구성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하여 보고, 연구를 실제적으로 진행하기 전에 학생들과의 자유로운 대화 속에서 비형식적인 면담을 통하여 학생들의 이해도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에게 수업을 하면서 학습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파악하여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현실 속에서 함수가 될 수 있는 다양한 함수적 현상을 찾아보고, 사다리 활동지를 이용하여 일대일 대응의 개념을 이해시키고, 실생활과 관련된 함수를 학습하게 됨으로써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흥미를 가지도록 하여 수학의 실용성과 유용성을 인식시켜 본 결과 사다리를 통해 일대일 대응에 대한 개념을 자신의 말로 내면화 시키고, 많은 예를 통해 실생활과 관련된 함수를 인식하였다. 이외에도 다양하고 넓은 범위의 실생활과 관련된 함수를 학생들에게 지도하고 인식시킬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함수의 개념을 알고 있지만 함수의 그래프를 찾는 과정에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학생들이 잘못 알고 있는 점을 수정하기 위해 발문 과정을 거쳐 함수의 그래프에 관한 지식의 이해를 넓혀 본 결과 학생들은 교과서에서 익숙했던 일차함수나 이차함수 외에 다양한 측면으로의 그래프를 이해하였다. 또한 그래프를 통한 함수의 시각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은 중요하므로 공학을 활용한 그래프 학습에 대한 많은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셋째, 사다리와 함수상자를 이용하여 합성함수의 개념을 이해시키고 합성함수를 그림으로는 표현을 하나 함수식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시각적인 이미지에서 수학적인 구조로 표현하는 활동을 경험하도록 하여 본 결과 사다리를 연결하는 과정을 통하여 합성함수의 개념을 쉽게 이해하였고, 연결된 두 함수상자를 표현하는 과정 속에의 현상을 어려움 없이 받아들였다. 이외에도 합성함수의 개념을 알게 하는 다양한 연구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넷째, 역함수의 정의와 존재조건을 바로 정의하지 않고 하나의 예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이끌어내도록 지도함으로서 역함수 개념의 이해를 경험하도록 하여 본 결과 학생들은 역함수의 정의를 자연스럽게 이끌어내면서 역함수의 개념을 그다지 어렵지 않게 이해하였다. 또한 역함수의 정의와 존재조건을 자연스럽게 이끌어 낼 수 있는 선행개념과 연결시킨 예나 연구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다섯째, 유리함수와 무리함수의 개념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미 배운 바 있는 실수체례를 도입하여 설명함으로써 개념의 확장이라는 발전적 이해로의 사고 확장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유리함수와 무리함수의 개념을 이끌어 내어 본 결과 학생들은 이런 식의 설명이 더 도움이 된다는 반응과 유리함수와 무리함수를 보고 실수체례를 생각하지는 못하였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유리함수 단원에서 분수함수를 주로 배우며, 유리함수가 어떤 것인지 먼저 인지하고 식을 세워 함수식을 만들어 봄으로써 유리함수 개념에 대한 사고 확장을 하여 본 결과 학생들은 어렵지 않게 이해하였다. 또한 체계적으로 유리함수와 무리함수를 지도할 수 있는 연구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 韓·日 呼称에 관한 社會言語學的 硏究

        한영옥 中央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kindred and conjugal address terms in Korean and Japanese from the sociolinguistic perspective.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the definition of kinsman and its scope for both Korea and Japan .The chapter also examines the meaning and the usage of the first-degree kinship such as father, mother, son, and daughter based on examples extracted from various literatur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 1) The scope of kinship in Japan is much smaller than that in Korea; and the kinship vocabulary in Japanese is far less in number compared to that in Korean. 2) The use of personal pronouns and kindred address terms for both Korean and Japanese is based on certain principles. 3) While Korean people often use such expressions as 「우리아버지 , 우리어머니」signifying the family-unit kinship at the household level, Japanese people use expressions such as 「私の父, 私の母」adding 「私」instead of 「우리」. 4) As Japanese distinguishes one's vocative term from his or her reference term unlike Korean, it is crucial to note this point in its usage. 5) In contrast to the address terms for mother and father that maintain a variety in its forms in both languages, the address terms for 「son and daughter」are limited in its number in the two languages alike.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Korean conjugal address terms.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conducted upon four hundred eighty nine Korean married women in their twenties and abov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was performed via several survey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research targets' age groups. The conjugal address term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rank and the degree of intimacy. The research illustrates that the level of rank influences much more than the degree of intimacy in the address terms for husband. As such address terms for husband, the series of 「○○아빠」is most frequently used regardless of rank and intimacy. The research also shows that the level of rank does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address terms of wife. While the degree of intimacy does not have much influence for women in their twenties and above fifties, it does for women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As such address terms of wife, the series of「집사람」is most frequently used. In addition, many of the address terms suggested in standard social conversational etiquette are not currently used. Therefore, it is critical to provide such address term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today's time period. The fourth chapter examines the Japanese conjugal address terms.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conducted upon four hundred twelve Japanese married women in their twenties and above in the areas of Tokyo. The research was performed via several surveys with the same focus on the age groups of the research targets. The conjugal address terms were analyzed on the level of rank and the degree of intimacy. The study illustrates that the level of rank does not have much influence in the address terms for husband where the degree of intimacy does. As for such address terms for husband, the series of is 「主人」most frequently used. The study further shows that both the level of rank and the degree of intimacy have much influence on the address terms for wife. As for the address terms for wife, the series of 「かみさん」and 「家內」are most frequently used. However, the series of 「家內」is used to a much lesser extent in younger responders as address terms for wife in contrast to the series of 「主人」, which is used throughout the all age groups as address terms for husband regardless of the level of rank or the degree of intimacy. Hence, the address terms of wife are expected to experience much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times. A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Japanese conjugal address terms have been changing one-sidedly, this suggests much to such field of study. 본 논문은 한·일 양언어의 친족어 및 부부호칭을 사회언어학적인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제2장에서는 한·일 양국의 친족과 친족범위에 대하여 살펴보고, 1親等語인 父·母·子·女에 관련된 어휘를 문학작품에서 용례를 추출하여 그 의미용법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본의 친족 범위는 한국보다 훨씬 좁으며 친족어휘도 한국어에 비해 현저히 적다. 2) 한·일 양언어의 인칭대명사와 친족어의 사용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서 선택되어진다. 3) 한국어의 친족어 가운데는 집(家)단위로 「우리 아버지, 우리 어머니」와 같이 친족관계의 의미를 표출하는 예를 흔히 볼 수 있으나, 일본어에서는 찾아 볼 수 없으며, 「우리」가 아닌 「私」를 붙여서 「私の父, 私の母」등으로 나타내고 있다. 4) 일본어의 친족어는 한국어와 달리 呼稱語와 指稱語의 구분이 있어 그 사용에 특히 주의가 요망된다. 5) 한·일 양언어의〔父·母〕語는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한 반면, 〔子·女〕語는 한정된 몇 개의 어휘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제3장에서는 한국인 부부의 부부호칭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인의 부부호칭을 설문지를 통하여 20세 이상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서울과 경기도를 중심으로 연령별로 조사하였다. 한국인 전체 조사 대상자는 489명이다. 부부호칭을 상하·친소관계를 중심으로 조사.분석한 결과, 남편의 지칭어는 상하관계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친소관계는 거의 작용하지 않고 있다. 남편의 지칭어로는 상하·친소를 막론하고 「○○아빠」계열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아내의 지칭어는 상하관계가 전혀 작용하지 않으며, 20대와 50대 이상은 친소관계가 작용하지 않는 반면, 30, 40대는 작용하고 있다. 아내의 지칭어로는 「집사람」계열이 가장 폭 넓게 쓰이고 있다. 또한 표준화법에서 제시하는 호칭 중 현재 전혀 쓰이지 않는 호칭도 상당 부분 남아있어, 시대에 맞는 표준화법의 제시가 시급하다고 하겠다. 제4장에서는 일본인 부부의 부부호칭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일본인의 부부호칭을 설문지를 통하여 20세 이상의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동경과 동경근교를 중심으로 연령별로 조사하였다. 일본인 전체 조사 대상자는 412명이다. 부부호칭을 상하·친소관계를 중심으로 조사·분석한 결과, 남편의 지칭어는 상하관계가 거의 작용하지 않는 반면, 친소관계는 작용하고 있다. 남편의 지칭어로는 「主人」계열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아내의 지칭어는 상하·친소관계가 모두 작용하고 있으며,「かみさん」계열과 「家內」계열이 아내의 지칭어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그러나 젊은층으로 내려갈수록 「家內」계열의 사용빈도가 낮아지고 있어 아내의 지칭어는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여 많은 변화가 예상되나, 남편의 지칭어는 상하·친소를 막론하고 「主人」계열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일본인 부부호칭의 변화는 상당히 편향적으로 흐르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