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과서 삽화 분석을 통한 '바른 생활'수업의 활성화

        한숙자 대구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1, 2학년 교과서의 6~70%를 차지하는 삽화의 양에 비해 수업 시간에 다루어지는 교과서의 삽화는, 답이 확연히 드러나는 내용을 살펴보고 무엇을 하는지 알아보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활동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어 도덕적 행동 경향성을 높이지 못하는 경우가 있음을 느꼈다. 또한 3~6학년 ‘도덕’과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초보적인 판단 능력을 향상시키며 학생들로 하여금 당위적으로 행동해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깊이 생각해 봄으로써 바른 생활 태도에 대해 내면화가 이루어져 자신의 앎을 행동에 옮길 수 있는 흥미롭고 활발한 ‘바른 생활’교수·학습 활동으로는 아쉬움이 많이 남았다. 본 연구자는 ‘바른 생활’삽화의 내용을 좀더 자세히 살펴봄으로써 더욱 재미있고 흥미로우며 활발한 교수·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교과서 삽화 분석을 통한 ‘바른 생활’수업의 활성화된 모습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삽화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이 탐구하거나 발견하는 과정, 의견 나누는 방법을 쉽게 파악하며 자기 주도적인 학습방법을 스스로 체득하게 되었다. 스스로 삽화에서 발견한 내용에 대해 적절한 이유를 들어가며 삽화의 잘못된 내용을 분명하게 제시하게 되었으며, 모둠별 학습 활동 방법을 체계적으로 익히고, 삽화에 표시된 주요 낱말을 바탕으로 스스로 정리하는 방법도 익히게 되었다. 둘째, 학생 스스로 교과서 삽화를 분석하고,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여러 가지 놀이 활동 및 다짐 활동을 통해,내면화 및 실천의지를 갖게 되었다. ‘교사의 일방적 가치 주입은 교화라는 비난을 받기도 ’하지만 학생들이 스스로 느끼고 고민하면서 학습한 내용을 오래 기억하고 실천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었던 것은 교과서 삽화 분석 활동이 매우 흥미롭고 재미가 있어 학생들에게 내면화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라고 본다. 셋째, 스스로 삽화 내용을 분석하여 다양한 활동지에 정리를 해 보고, 여러 가지 놀이 경험을 쌓으며, 만들기, 꾸미기와 병행하여 다짐을 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언어적 지능이나 논리 수학적 지능만이 아니라 공간적 지능, 음악적 지능, 신체 운동 감각적 지능, 대인간 지능, 개인 내 지능 등 다양한 지능을 통합적으로 자극하고 활용하는 통합적 교과의 기능’을 달성하였으며 다른 교과의 학습력 신장에도 전이 될 수 있었다. 즉 교사가 일방적으로 지도한 내용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문제를 찾아 발견해 나가는 과정에서 커다란 기쁨과 즐거움을 누리는 가운데 사고력과 관찰력, 창의력, 표현력이 향상되어가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외 타 교과 시간에도 그림이나 삽화를 살펴보는 활동에서 더욱 의욕적이고 흥미롭게 참여하였으며 만들기, 꾸미기, 문장 구성력, 의사 표현력 등이 향상되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넷째, ‘바른 생활’은 학습 내용의 제시, 학습 자료의 제시, 구조화의 기능을 통해 학생 스스로 교과 내용의 체계화된 습득 방식을 익히도록 하는 내용 제시, 학습 동기의 유발, 탐구 과정의 유도 등의 기능을 가지는 바와 같이 학생의 자기 주도적인 교과서 삽화 분석 활동은 탐구하거나 발견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되고, 학생들에게 도전감과 용기를 불러일으키며, 상상력을 발휘하면서 자신의 성장을 이끌도록 하는 참신한 자료와 내용이 제시되어 ‘바른 생활’교과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었다. 아직 어리고 미숙한 점이 많은 1학년이지만 예리한 관찰력으로 다양하고도 수준 높은 내용을 제시하려는 학생들의 욕구를 단위 시간 내에 충족시켜 주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좀더 치밀한 연구와 계획으로 시간 안배와 활동량을 조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수업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분석하기에 적절한 교과서 삽화 및 예화내용을 의도적으로 집필하여, 학생들 스스로 교과서 삽화 분석 활동을 통해 자기 주도적으로 무한한 잠재력을 발휘하며 마음껏 성장하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계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ivate 'Right Life' instruction through the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analysis of textbook illustrations. While working with the analysis, the students engaged in various play activities and assurance activities, which naturally led them not only to internalize morality but also to practice moral behaviors. The followings were the study results uncovered by 'Right Life' instruction based on the learner-led analysis of textbook illustrations. First, the student-led analysis of textbook illustrations made student-led moral instruction possible in a significantly effective way. Second, the student-led analysis of textbook illustrations allowed them to be interested in and take part in other learning activities in a more active way. Third, the student-led analysis of textbook illustrations made it more feasible to fulfill the functional role of 'Right Life' as an integrated curriculum subject, not to mention the strengthening effect of students' learning capabilities in other subjects. Fourth, the student-led analysis of textbook illustrations allowed them to have an opportunity of inquiry and discovery with one's own inquisitiveness and meaning, which also brought challenge, courage, and creativity to their learning. In conclusion, the student-led analysis of textbook illustrations significantly contributed not only to the achievement of 'Right Life' subject goals but also to the activation of 'Right Life' instruction in an elementary setting.

      • 중학생의 학급담임교사와의 상담 실태와 요구 분석

        한숙자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학생의 학급담임교사와의 상담실태와 요구분석 (An Analysis of the Actual State of and Needs for Classroom Teacher's Counsel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한 숙 자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의 학급담임교사와의 상담실태를 조사하고 상담요구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구미시․김천읍․상주읍․문경읍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선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먼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분포를 확인한 다음, 연구문제에 따라 배경변인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교차분석(χ²-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의 필요성을 느낄 때 학생들은 상담적합자로 선배 및 친구, 부모, 다음으로 ‘학급담임교사, 상담교사, 기타, 교과담임 교사’순으로 응답하였으며, 고민하는 문제는 진로문제, 학습문제가 대부분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문제, 진로문제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담임교사와 년 1회 이상 상담을 하는 학생은 66%이며 한 번도 하지 않는 학생도 34%나 되었다. 상담장소는 주로 교무실, 교실, 복도였으며 시간은 10~20분 정도가 가장 많았다.. 둘째, 담임교사와의 상담 시 담임교사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는 전문적인 자질 및 상담기술, 이해적 상담태도, 비밀보장, 시간, 장소, 사전예고에 대한 배려로 순으로 응답하였고, 원하는 상담방법으로 대부분 면담상담을 원하였으나, 3학년, 여학생이 집단상담에 대한 반응이 높았다. 학급담임교사로서 20대 미혼 여교사를 가장 선호하고 남교사 보다는 여교사와 젊은 교사를 선호하며, 담임교사와 부모님과의 상담은 가급적 하지 않을 것을 원하였다.

      • Hard Times에 나타난 Gradgrindian System에 대한 고찰

        한숙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1973 국내석사

        RANK : 247631

        Hard Times was published as a weekly serial in Household Words over a five- month period in 1854. and afterwards as a single volume. which was inscribed to Tomas Carlyle with whom charles Dickens worried about. "a terrible mistake" duri ng those days in England. Literary historians usually categorize Hard Times as an industrial novel. and for many readers the main idea of the book is obviously the faults and failings of modern industrialism - utilitarian economy. But the thesis of Hard Times is broader than the attack on utilitarian economy. since it also encompasses criticism of the educational system, the caste system, and divorce laws. Here the main discussion is on the criticism of the educational system, which is the so called Gradgrindian system and its influences upon the characters. especially upon Louisa. The Gradgrindian system represents a hard philosophy the aggressive formulation of an inhumane spirit, which forstered and sanctioned the inhumanities of the Victorian civilization. According to the system, man must be educated only by the facts and calculus, not by fancy and imagination; the whole social system is a question of self-interest, not of self-forgetfulness; everything is to be paid for; gratitude is to be abolished. Gradgrind philosophy is contrasted to that of sleary which is well expressed by the people of sleary's circus who have an abundance of fancy and imagination, a remar kable gentleness and childishness, a special inaptitude for any kind of sharp practice, and an untiring readiness to help and pity one another. Dickens does not challenge the fundamental necessity of Gradgrind philosophy, only its right to be so calculating, dispassionate. excessively reasonable and logical. He simply believes that the ideal person is educated through the harmony of heart and head, fancy and fact. As Dickens says in his letter to Mr. Cole, he expects that they [he and Gradgrind] would meet at last at some halfway house where there are flowers on the carpets, and a little standing- room for Queen Mab's Chariot [fancy] among the steam Engines [fact]. In that respect, there is an affinity between Dicken's theme in Hard Times and J.S.Mill's thought in his utilitarianism - the amalgam of Bentham's old enlightenment which is experimental, innovative, infidel, abstract, matter-of- fact, and essentially prosaic and Coleridge's new romanticism which is ontological, conservative, religious, concrete, historical and poetic. In other words, Gradgrind philosophy is similar to Bentham's utilitarianism and sleary philosophy could be compared to Coleridge's speculations. Both Dickens and Mill seem to agree that the halfway house, where Bentham [head, reason] and Coleridge [heart, emotion] meet, and where Gradgrind [fact] and Sissy [fancy] meet is the only solution to "the terrible mistake" of those days. Therefore Dickens fictionalized the thesis in his Hard Times clearly, coherently, and persuasively, and Mill theoretically embodied it in his Utilitarianism (1863). Lastly, even though Sissy who plays the symbolic role of the heart in Hard Times is Dickens' favorite character, it is Louisa who recognizes the faults of Gradgrind philosophy and is expected to achieve Dickens' intention in Hard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