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바이올린 특기적성 교육의 지도법 연구 : 스즈키를 중심으로

        한송이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특기적성 교육에서 음악교육은 음악의 심미적 체험과 그러한 체험을 통해서 창의적인 음악능력을 향상시키고 풍부한 음악적 심성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악기 연주는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악기로 표현하며 미적 체험을 하고, 음악 개념을 형성하고, 자신의 감정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음악 활동인 것이다. 본 논문은 특기적성 바이올린부에서 처음 바이올린을 배우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하고 스즈키 바이올린 교칙본 1권을 중심으로 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그 이유는 스즈키 교칙본은 외우기 쉬운 짧은 민요와 명곡들로 이루어져 있어 아이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임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또한 스즈키 지도법은 어린이에게 모국어를 가르치는 것과 같은 원리를 적용하며, 동기 유발, 칭찬과 격려 등을 학습의 수단으로 적절히 사용하여 어린이의 효과적인 학습을 유도한다. 스즈키 지도법의 근본 목적은 전문적인 음악가로 키우기 위한 조기음악교육이 아니라 음악을 매체로 삼아 어린이의 재능을 개발하고 인격 형성에 도움이 되게 하는데 있다. 이 논문을 통하여 초등학교 학생들의 잠재능력을 조기에 발견하고 학습지도안을 활용함으로서 학생들의 음악이해능력 향상 및 체계적인 음악성의 성장을 도울 수 있다. 또한 학생 및 학부모의 교육욕구를 충족시키고, 합주수업을 통해 화음에 대한 감지능력을 발달시키고 자기중심적 사고에서 탈피하여 사회성을 함양할 수 있다. 스즈키의 교육방법이 특기적성 바이올린부의 음악교육에 있어 좀 더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방법으로 다가가길 바라며 개개인의 특성과 개성을 충분히 배려하여 전인 교육의 중심의 심미적 체험을 통한 음악적 능력의 향상과 풍부한 음악적 심성의 계발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Ability Aptitude music education is to maximize creative music abilitie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and other such experiences and also to develop a rich musical foundation. Playing an instrument can be viewed as a highly important factor as the player is able to express their thoughts which allows for an aesthetic experience, creates a perspective on music and also gives the player an opportunity to express these feelings in creative ways. This thesis is a study guide written for new students from the Violin Ability Aptitude department based on Suzuki Volume 1. The decision to use Suzuki was made as it had its advantages containing short and easy folk songs and classics which are easy to memorize allowing it to attract the attention of young children during lessons. Also, Suzuki applies the same methods as teaching children their native language. It uses techniques such as creating motivation and giving children encouragement as their teaching methods being very effective on children.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uzuki teaching method is not to teach music in a child's early stages in order make him/her a musician but to use music as a tool to develop the abilities of a child and help build their personalities. Through this thesis, potential capacities of elementary students are able to be discovered at a young age and also through the proposed education process, students are able to develop their ability in understanding music and provide a systematical guide in the maturing of these musical abilities. Also, it satisfies both student and parent by providing orchestral opportunities allowing for the development of the ability to recognize harmony and allow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by getting away from self-centered ways of thinking. There is hope in that through the Suzuki education program music education in the specialty·aptitude violin department will become more diverse and approached in a more systematic behavior. Also, each individual's distinctive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must be cared for by concentrating throughout the educational body on an improvement of musical ability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and development of a rich musical background.

      •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명시적?암시적 어휘 학습이 중학교 수준별 영어학습자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송이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imation movies on the level differentiated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It also focuses on their attitude towards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through animation movies. One-hundred learners in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A(explicit-high level group), Group B(implicit-high level group), Group C(explicit-low level group), and Group D(implicit -low level group). They learned target words after watching three animation movies in English. Explicit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choosing the target word represented by the picture’, ‘matching the meaning with the target word’, ‘writing the target word for Korean meaning’. Implicit group participated in activities of ‘matching a movie character with his words’, ‘ordering what happened’, ‘filling in the blanks of summary of the movie’, ‘finding the statement according to the movie.’ Learners’ learning was measured through a post lexical knowledge test. Their attitude was examined through a survey after the experi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in both proficiency levels. Both high level group and low level group did not show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learner’s lexical competence. Second, learners in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type. Specifically, high level learners showed differences in productive knowledge but not in receptive knowledge. But vocabulary learning method had no effect on learner’s lexical competenc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type. Non-context evaluation yielded better results in measuring learner’s lexical competence than context-offered evaluation type. Also, the context offered in Korean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on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than the context offered in English. Significantly, high level learners showed better results in the context-offered in English evaluation type. It means that high level learners used English context to improve their lexical competence effectively. Third, pre-survey and post-survey measuring an effect on learner’s attitude in vocabulary learning found that most of participants showed improvement in terms of interest, motivation, confidence but high level learners’ confidence showed a minor decline. It seems that high level learners, already accustomed to the vocabulary learning method, failed to adjust to the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pedagogical implications can be made. First,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n learner’s lexical competence. Therefore, appropriate use of both ex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 needs to be incorporated in enhancing learner’s lexical competence. Second, learners in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are differently affected by evaluation types. Specifically, learners in the high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when productive vocabulary knowledge was measured and English-contexts were provided. Thus, we need to consider the types of evaluation in teaching vocabulary so as to appropriately measure learners’ lexical competence. Third, it is desirable to use animation movies as an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tool.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corporate animation movies into vocabulary instruction which uses explicit and implicit vocabulary learning methods.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한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이 수준별 학습자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동시에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어휘학습 방법과 수준별 학습이 학습자의 태도와 정의적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중학교 2학년 학습자 100명을 대상으로 45분씩 3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학습자들은 네 실험집단(명시적 상위집단, 암시적 상위집단, 명시적 하위집단, 암시적 하위집단)으로 구성되어 애니메이션 영화 3편을 시청한 후 목표어휘를 학습하였다. 명시적 집단은 ‘그림이 나타내는 목표어휘 찾기’, ‘우리말 뜻에 해당하는 목표어휘 쓰기’, ‘단어목록에서 품사와 뜻을 완성하기’의 활동으로 학습하였다. 암시적 집단은 ‘영화 속 등장인물과 그의 대사를 연결하기’, ‘영화 속 내용과 일치하는 진술 찾기’, ‘영화 속 일어난 일의 순서 정하기’, ‘영화를 요약한 글의 빈칸에 목표어휘 넣기’의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실시 후 사후 어휘지식평가와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의 어휘능력과 어휘학습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수준에 따른 명시적 어휘학습 방법과 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은 학습자의 어휘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에서 모두 어휘학습 방법이 학습자들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다고 불 수 있다. 둘째, 사후 어휘 지식 평가 유형별로 실험집단의 어휘능력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수용적 지식 평가 유형에서는 어휘학습 방법과 학습자의 수준이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산적 지식 평가 유형에서는 어휘학습 방법이 학습자의 어휘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학습자의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학습자의 어휘학습 태도와 정의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사전․사후 설문 결과, 학습자들의 대부분은 어휘학습에 대한 흥미, 자신감, 동기가 향상되었으나 상위집단의 자신감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영어 어휘수업에 주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이 어휘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없었으므로 어느 특정한 어휘학습 방법을 고수하기 보다는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 둘 다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어휘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 보았듯이 상위집단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어휘 평가 유형이 있으므로 어휘 평가의 유형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학습자들의 어휘능력을 높일 수 있겠다. 셋째, 어휘수업에 있어서 애니메이션 영화처럼 효과적인 어휘학습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기존의 어휘학습 방법 즉, 교사가 명시적으로 제시해주는 어휘수업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학습도구를 가지고 명시적․암시적 어휘학습 방법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강남지역 학부모의 의사결정 분석

        한송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서울 강남지역의 유⋅초⋅중학교 학부모들이 자녀의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또는 구성하는 데 있어서 보여 주는 제반 의사결정 및 판단의 내용과 그 특징, 그리고 자녀의 음악 사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들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남지역 음악 사교육은 학부모가 갖는 교육목표 의식에 따라 어떻게 유형이 구분되는가? 둘째,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학부모가 내리는 의사결정의 내용은 무엇이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운영을 위한 학부모 지원활동이 갖는 특징은 무엇인가? 넷째, 음악 사교육 관련 학부모 커뮤니티의 기능과 특성은 무엇인가? 다섯째, 이러한 연구결과가 교육에서의 학부모 참여 활성화 및 사교육 대응 정책 수립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 연구에서는 참여관찰과 면접법이 이용되었으며, 주로 심층 면담에 의해서 행해졌다. 대상자와의 면담 내용으로부터 의미 있는 진술과 주제, 주제모음, 그리고 범주 등을 이끌어 내어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남지역 음악 사교육은 학부모가 추구하는 음악 사교육의 목표나 기대 수준,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등에 따라 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기본교육형‘은 음악교육을 반드시 시켜 주어야 할 기본적 경험으로 받아들이되 초등학교에서 종료가 된다. 이는 '전공할 것이 아니니 음악의 기본만 시켜 주면 충분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으로 음악교육이 주지교과 학습에 지장을 초래한다고 판단될 경우 중단하게 된다. ‘내신관리형‘은 학교의 음악교과 성적을 높여주는 데 목적을 두는 음악 사교육으로써, 학교에서 실시하는 음악교과의 시험 대상이 되는 악기연주 실기시험이나 이론시험 대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이 유형에는 자녀에게 외국 유학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음악교육 관련 경력을 쌓도록 하려는 의도가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전공교육형‘은 음악을 전공으로 선택하고 명문대학에 진학할 것을 목표로 하는 입시 위주의 사교육으로써, 경제적 부담을 수반한 강도 높은 전문교육이 이루어지는 사교육 유형이다. ‘평생교육형‘은 음악의 내재적 가치를 중시하는 유형으로 단기적 효과를 추구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속적인 지원을 하여 자녀들에 대한 삶의 질 제고를 추구하는 유형이다. 이상의 음악 사교육 유형 결정에는 자녀의 음악적 재능이나 음악에 대한 태도 등도 중요한 고려사항이 된다. 이와 같이 음악 사교육의 유형은 다양하고 추구하는 목표의식이나 지원활동 등에서 유형별로 차이가 있다. 둘째, 학부모들이 자녀의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의사결정을 내리게 된다. 음악 사교육의 경우, 다른 교과 영역과 달리 단계별로 정형화된 공통적인 프로그램의 기준이 없는 관계로 학부모가 중심이 되어 의사결정을 하게 되는데, 이때 학부모들은 강사와 협의를 하거나 또는 학부모 커뮤니티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 음악 사교육을 시키는 학부모들이 내려야 하는 의사결정의 과제는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과제들이 포함된다. 먼저, 학부모들은 음악 사교육을 어떤 수준, 어떤 유형으로 시킬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자녀가 음악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는 정도만 할 것인가, 아니면 학교 내신성적에 도움이 되는 정도로 음악을 배우도록 할 것인가, 대학에서 음악을 전공하게 할 것인가, 또는 음악을 평생 즐기도록 할 것인가 등 목표의식을 어디에 둘 것인가를 고려하여 음악 사교육의 방향을 정한다. 이를 음악 사교육의 유형별로 구분해 보면 ‘기본교육형‘의 경우 대체로 큰 고민 없이 결정을 내린다. 반면에 ‘전공교육형‘이나 ‘내신관리형‘의 경우에는 다양한 가능성을 비교하면서 자녀의 입시경쟁에 더 유리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더 신중한 과정을 거쳐 의사결정을 내린다. 음악 사교육의 유형을 정하게 되면 그 다음은 무슨 악기를 배우도록 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악기 선택에 있어 ‘전공교육형‘ 이외의 유형에서는 피아노, 관⋅현악기 중에서도 기본적인 악기가 중심이 된다. 이때 학부모 커뮤니티의 조언을 바탕으로 자녀의 성격이나 소질과의 적합성, 내신성적 관리에 대한 도움 여부 등을 고려한다. ‘전공교육형‘의 경우에는 어릴 때부터 익숙하게 연주해왔던 악기를 선택하는데 궁극적으로는 대학입시에서의 경쟁력을 더 중시한다. 악기 선택과 함께 중요한 의사결정의 과제는 실제로 교육을 담당할 강사를 선정하는 것이다. 특히 ‘전공교육형‘의 경우 강사 선택에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 주변의 추천을 받거나 학부모 스스로 전문 연주자들을 만나는 등 우수한 강사를 찾기 위해 적극 노력을 한다. 또한 강사의 교육역량, 인지도, 경력 및 전문성, 특히 입시 정보와 입시전략에 대한 전문성이 강사 선택에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전공교육형‘ 과 달리 ‘비전공교육형‘의 경우에는 음악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수준의 강사 또는 강남지역에서 이미 레슨을 하고 있는 강사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 경우 자녀의 바쁜 스케줄 맞추기, 레슨시간 정확히 지키기, 자녀 성향, 자녀와의 관계 등을 함께 고려한다. 셋째, 학부모는 자녀가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학습 환경조성, 일정 및 시간 관리, 입시정보의 수집과 관리 등 다양한 지원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지원활동의 내용이나 적극성의 수준은 음악 사교육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기본교육형‘의 경우 거의 방임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소극적인 수준에서만 지원활동이 이루어진다. 반면 ‘내신관리형‘의 경우 학교 시험 일정에 따라 음악 사교육의 구체적 내용과 시간을 조정하는 등 학부모가 적극적인 코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심한 경우, 학부모들은 자녀의 의사와 관계없이 자신의 생각을 강요하며, 강사의 교수법이나 레슨 진도 등 레슨활동에 관여하기도 한다. ‘전공교육형‘의 경우 학부모의 지원활동은 매우 적극적이며 강사의 의견을 존중하고 절대적으로 신뢰하는 편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학부모가 연습 내용을 확인하는 등 실기 보조교사의 역할까지 수행하게 된다. ‘평생교육형‘의 경우, 학부모는 음악회 참석, CD 구입 등 음악교육에 도움이 되는 환경조성에 중점을 두며 여유를 갖고 음악 사교육을 지원한다. 넷째, 음악 사교육에 대한 의사결정에 있어서 학부모 커뮤니티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 지역사회의 특성상 학부모 커뮤니티와 같은 인적 네트워크가 잘 구축되어 있다. 강남 학부모들은 인맥과 경제적 뒷받침으로 인해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언제든지 필요하면 전문적인 강사를 확보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가지고 있다. 학부모 커뮤니티는 폐쇄적 연결망을 통해서 자신들만의 고급 정보를 교류하면서 서로 협력하고 함께 고민을 나누는 장이 되고 있다. 또한 이 학부모 커뮤니티는 음악 사교육의 유형을 결정하거나 운영 방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는 음악교육과 관련한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학부모 커뮤니티는 예술학교 커뮤니티, 강사 중심 커뮤니티, 아파트 커뮤니티, 일반학교 커뮤니티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된다. 강남지역 학부모의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 구성 및 선택 행위의 특징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사교육의 동기와 유형이 다양하다. 자녀의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함에 있어서 학부모들은 입시경쟁의 측면을 고려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자녀의 교육적 성장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와 같은 교육적 관점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교육은 공교육의 부족함을 보완하는 성격을 갖는다. 둘째, 음악 사교육의 유형을 다양하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인 학부모의 교육열이 갖는 다면적 특성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교육열은 자녀의 교육적 성공을 위해서 학부모가 갖는 책임의식으로부터 비롯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학부모의 체면유지나 자기과시를 위해 자녀의 교육적 성공을 추구하고자 하는 열망으로부터 비롯되기도 한다. 셋째, 음악 사교육의 유형을 다양하게 하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 음악교육의 가치에 대한 관점의 다양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학부모들은 대학입시에서의 성공과 같은 수단적 가치, 단기적 가치를 중시하지만 일부 학부모의 경우 음악의 내재적 가치, 장기적 가치, 즉 음악을 통한 심성의 함양이나 교양 함양에 더 큰 관심을 기울이기도 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 기초한 사교육의 경우 억제하기보다는 오히려 권장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들이 적극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넷째, 입시 경쟁에 초점을 두는 학부모의 경쟁 전략으로 ‘뒤처지지 않기 전략’ 과 ‘앞서 가기 전략’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는 뒤처짐에 대한 불안감에 기초한 소극적 전략으로써 일부 집단에서 시작한 사교육을 널리 확산되게 만드는 전략으로 작용한다. 후자는 새로운 유형의 사교육을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선행학습 전략, 조기교육 전략, 특성화 전략 등이 이에 포함된다. 다섯째,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의 실제적 내용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학부모 커뮤니티가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들 커뮤니티에서 공유되는 정보들은 학부모의 사교육 활동을 이끌어 가는 실제적 지침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 중에는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정보에서부터 잘못된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공적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킨다면, 폐쇄적인 커뮤니티로 인해 나타나는 정보 접근의 제약성을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이며, 사교육의 부정적 문제점들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이 연구는 서울 강남지역 학부모들의 음악 사교육 프로그램 구성, 선택 및 지원활동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 지역 음악 사교육은 다양한 유형을 보이고 있으며, 각 유형별로 학부모의 지원활동과 태도가 뚜렷하게 차이가 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음악교육은 초등학교 입학 전후 시기에 감성능력과 문화적 소양을 기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학교교육에서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통해 사교육을 줄이고 공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or considerations that the parents in Gangnam area, Seoul use in selecting or composing their children's private music education programs and the characteristics observed in supporting their children's music education. The main areas of this research include the following: First, how can we categorize private music education in the Gangnam area into different types based on the objectives that the parents have? Second, in the process of composing a private music education program for their children, what are the decisions that the parents make, and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decisions? Thir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port offered by the parents who compose and manage their children's private music education programs? Fourth, what are the ro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s' community in relations to private music education? Fifth, what are the notable points we can mak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o initiate parents'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build up public policy regarding private education? In the present study, the participation-observation method and the interview method were adop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as the main method. From the interviews with the parents, meaningful statements, themes, theme groups, and categori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several different types of private music education in the Gangnam area in terms of objectives, expectations, or attitudes of the parents towards the education: (1) The "basic education" type (where the parents believe that music education is limited to the basic training that a child should get during the elementary school years) (2) The "academic achievement" type (where the parents believe that music education can help the children get good grades at school and/or prepare them for study abroad); (3)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ype (where the parents believe music education is for entering a reputable university as a music major); and (4) the "life-long education" type (where the parents focus on the long term objective of enriching the children's life with cultural experience). Second, since private music education tends to not have a commonly adopted formal curriculum, parents have to make their own decisions through consultation with instructors and sometimes with the help from other parents in the community. The decisions that the parents make include, among others, (i) level of objective for the education (among the "objective types" mentioned above), (ii) type of musical instrument(s), and (iii) instructors. Various factors are considered in making each decision and the education objectives play some role in most of the decisions that the parents have to make. Third, the parents participate in various activities to support the education, such as setting up environments for education, managing the schedule and time, and collecting information regarding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s, in order to provide support to their children in undertaking private education programs. The details and degrees of support that the parents provid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objective types" explained above. In the case of "basic education type," only minimal support is provided. In the case of "academic achievement type," the parents tend to get deeply involved and even control the contents and the schedules of the music education in light of school exam schedules. In the case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ype," although the parents actively provide support, they respect and trust the instructor's decisions. In the case of "life-long education type," since the parents' focus is to set up an environment for music education, such as sending their children to music concerts or buying music CD, their support is provided in a more relaxed manner. Fourth, in the Gangnam area, the parents’ commun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when it comes to private education. The parents' community in this area tends to be a closed one where high-value information is shared only amongst them and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ciding the types of music education and the management of that education. The limited nature of the information on music education is one of the causes for such tendencies. Notable points found in the activities of Gangnam parents related to their children's music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s for and the types of private music education are diverse. While the parents consider the competition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as an important factor on the one hand, they also value their children's personal growth. In that regard, the private education can supplement the deficiencies of public education. Second, another factor related to the variety of private music education is the "educational fever" of the parents. On one hand, this fever is the result of the parents'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ir children, but on the other hand, it may be an expression of the parents' desire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al achievement for the purpose of saving their own face or boasting. Third, one of the factors related to the variety of private music education is the differences in perspectives of the value of music education. Generally the parents consider the instrumental values (or, short-term values), such as the success in entrance examinations, as more important. However, some parents consider the internal values (or, long-term values) of music as being more important. In the case of private education, achieving the long-term goal of providing the children with cultural enrichment should be encouraged and supported rather than suppressed simply because it is "private" education. Fourth, the competitive strategies of the parents focused on the college entrance competition include (i) "Not lagging behind" and (ii) "Moving ahead." The former one is based on anxieties about lagging behind others, and can work as a strategy for expanding a specific private education made for a minority group into a prevalent one. The latter strategy can work in making new types of private education, which includes "advance-study" strategy, early education strategy, and specialization strategy. Fifth, the parents’ community plays a critical role in deciding the contents of the private music education. The information shared in such a community acts as a practical guideline with respect to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private education, although some information is inaccurate. By initiating public sharing of information within and between communities, parents can overcome the limitation of access to information caused by the closed nature of the existing communities, which can alleviate some of the problems of private education. As explained abo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selection of and support for private music education by the parents in the Gangnam area. According to the study, the music education in this area is categorized into diverse types, and parents' supports are clearly differentiated depending on the type. Music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up cultural sensitivity and attainment of the students around the time of entrance to elementary school. The methods for strengthening public education and reducing private education should be sought after by initiating better art education in the public school system.

      •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우세손기능 향상을 위한 치료적 악기연주 훈련 적용 사례연구 : MIDI 중심으로

        한송이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TIMP) in uninvolved hand function for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Participant were recruited from a welfare center for people with cerebral palsy(CP) in Seoul. Three children aged 11 to 12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children received 20-minute individual TIMP sessions and a total of 15 sessions were provided for each of all children. Hand function was measured by using Jebsen Hand Function Test and manual dexterity was tested using Box and Block test. Both tests were conducted at pre-experiment and post-experiment for each child. Also, MIDI evaluation was performed to examine if subjects in the study would show differences in their hand function after receiving TIMP sessions. MIDI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t pre-experiment, mid-term and post-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of Jebsen Hand Function test and Box and Block test were increased at post-test than at pre-test for all subjects. The results from MIDI data exhibited that for subject A and subject B the values of velocity which indicated the velocity of finger movements were increased after receiving TIMP sessions, while subject C showed decreased velocity value at post-test than at pre-test. Improved hand function observed in the study indicate that provision of TIMP sessions for children with CP may effectively improve overall hand function, manual dexterity, and velocity of finger movement of these children. The results from the study also suggest that the potential of TIMP for hand function rehabilitation of children with CP. 본 연구의 목적은 MIDI 중심의 치료적 악기연주 훈련에 참여한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의 우세손기능이 향상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의 뇌성마비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초등학교 4∼5학년(11세∼12세) 아동 3명을 대상으로 3주간 12회기∼15회기에 걸쳐 20분 동안 실시되었다. 아동의 손기능은 Jebsen Hand Function Test(젭슨 손 기능 평가), Box and Block Test(상자와 나무토막 검사)로 사전, 사후로 측정하였고, MIDI는 사전, 중간, 사후에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 A, B, C는 Jebsen Hand Function Test(젭슨 손 기능 평가)에서 손기능 향상과 Box and Block Test(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 기민성이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또한 MIDI 평가에서 A, B 아동은 건반을 누르는 손가락 타력이 증가 되었으며, C아동의 손가락 타력이 감소된 결과를 보였다. 치료적 악기연주 훈련이 아동들의 우세손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으며, 손기능과 기민성, 손가락의 세기와 독립적인 움직임의 효율성을 높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치료적 악기연주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손기능 재활훈련의 한 부분으로 접근방법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

      • Oil 및 Grease 검사법에 관한 비교 분석 연구

        한송이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환경부에서는 광유류의 오염을 규제하기 위해 배출허용기준을 두어 관리하고 있다. 그 기준은 광유류 함유량을 총 노말헥산 추출물질 함유량으로 규제하고 있는데 이는 국내 수질공정 시험법과 미국 환경시험법의 총 노말헥산 추출물질을 검사하기 위한 시험법이 있다. 이 두 시험법 중 국내 수질공정 시험법에서는 활성규산마그네슘을 이용하고 미국 환경시험법에서는 실리카겔을 이용하며 그 방법을 간단히 서술하면 동식물유지류를 흡착 및 제거하여 총 노말헥산 추출물질에서 광유류 만을 남겨 그 무게를 측정하여 정량 하는 방식을 채택한다. 산업체, 군부대, 세차장 등에서 유류에 오염된 지역 또는 기구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하는 합성세제는 노말헥산 추출물질을 분석함에 있어 간섭현상을 일으킨다. 합성세제는 노말헥산으로의 액-액 분별을 할 때 거품 및 에멀젼이 생겨 용매와 수층의 분리가 어렵다. 또한 총 노말헥산 추출용액에 결정형 물질이 생성되어 재 용해가 되지 않는다. 이 재 용해가 되지 않는 물질의 결과해석에 따라 결과에 큰 차이가 보인다. 즉, 합성세제에 의한 간섭현상으로 인해 국내 수질공정 시험법과 미국 환경시험법을 통한 광유류의 오염도에는 상이한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각 시험법의 방법 분석 및 한계점을 서술하여 비교분석 한 문헌을 찾아볼 수 없어 한계점을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부대의 합성세제로 인해 오염된 하천수를 이용하여 그에 따른 간섭현상을 알아 보았으며, 두 검사법의 차이점 및 총 노말헥산 추출물질을 정량을 위한 방법을 알아보았다. 또한,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국내 수질공정 시험법의 결과해석에 대해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수입 브랜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한송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날로 증가하는 외국 화장품에 대한 수입과 공격적이고도 적극적인 선진 마케팅 기법을 이용한 수입 브랜드 화장품의 국내 화장품 시장의 잠식을 최소하기 위하여 수입 브랜드 화장품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세분화된 변수 적용과 소비자의 화장품 구매행동 저변에 깔린 선택 속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소비자 관점에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가져오게 할 수 있는 국내 브랜드 화장품 업계의 마케팅 전략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화장품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탐색적인 연구 방법으로서, 여성의 화장품을 연구 대상 품목으로 선정하여 기초, 색조 화장품을 가지고 20, 30대의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지 방법을 통하여 요인분석, 다변량 분석, 판별분석 등의 통계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화장품에 대하여 수입 화장품 선호 집단과 국산 화장품 선호 집단으로 나누어 수입 브랜드 선호 집단과 국산 선호 집단의 수입 화장품에 대한 태도와 국산 화장품에 대한 속성을 평가해보고, 각 집단의 여러 가지 특성을 살펴 보았는데 그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입 화장품 선호 집단과 국산 화장품 선호 집단은 국산 화장품의 각 속성과 수입 화장품에 대한 태도에 다른 의견을 갖고 있었다. 수입 화장품 선호 집단은 국산 화장품의 각 속성(가격, 기능성 제외) 에 대해 국산 화장품 선호 집단보다 낮게 평가하고 있었고, 수입 화장품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가격을 제외하고 국산 화장품 선호 집단보다 전반적으로 호의적인 태도를 보여 주었다. 둘째, 수입 화장품 선호 집단과 국산 화장품 선호 집단의 라이프 스타일의 유형에서는 수입 화장품 선호 집단은 화장품에 대한 유행에 민감하며, 유행을 추구하는 새로운 화장패턴을 선호하였고, 고급 제품을 선호하는 의식이 강하며, 브랜드에 대한 강한 충성도를 나타냈다. 반면에 국산 화장품 선호 집단은 제품 구매에 대하여 수입 화장품 선호 집단보다 애국심이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수입 화장품 선호 집단은 국산 화장품 선호 집단에 비해 본인을 위한 한달 평균 지출금액과 한달 화장품 구매액이 더 높았다. 두 집단을 판별하는 데에 있어서는 유행 지향의 라이프 스타일과 브랜드 로열티, 준거집단, 연령, 화장품 구매액이 주요 요인이 되었다. 위와 같은 탐색적 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수입 화장품의 선호와 구매의 주된 원인을 찾아 우리 국산 화장품을 제조하는 기업들도 소비자의 정확한 니드를 바탕으로 그들의 요구에 어필할 수 있는 브랜드를 만들어 수입 브랜드에 필적 할 수 있는 제조국의 이미지와 위상을 높이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ose variables that can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ence group and non-preference group of foreign product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ir attitudes toward the foreign cosmetics and beliefs on the attributes of those cosmetics, their demographic variables, life-style factors, an consumer behavior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their preference toward the foreign versus domestic cosmetic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from Korean woman who are 20 year and 30 year old b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235 samples were analysed by statistical method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wteen the 2 groups in the attitudes toward the domestic cosmetic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2 groups in beliefs on attributes of the domestic cosmetics. the group preferring the foreign cosmetics believes that the foreign ones are better than domestic ones with respect to quality, package, color, fragrance and brand name. Thir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found in life style factors.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demographic factors as an age, expenditure level, and expenditure on cosmetics level. In summary, preference group and non-preference group of domestic cosmetics have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attitudes, believes toward domestic cosmetics, life-style facto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한송이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아동기의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선정하여 이들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매개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5개의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남자 아동 243명과 여자 아동 252명을 포함하는 총 49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척도(PCS-YSR),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척도(CINSS), 아동의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추정하기 위해 각 요인의 빈도수와 백분율과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 α 계수 산출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의 방법론에 근거한 3단계 매개효과 검증과 Sobel Test를 실시하여 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 및 공격성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 및 기본심리욕구충족의 상관은 모두 유의미 하였고,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 및 아동의 공격성과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둘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으며,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이 부분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각각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의 영향력을 나누어 살펴 본 결과 모두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을 매개로 하여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공격성의 관계에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인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 충족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각 하위요인이 부분매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기본심리욕구의 하위요인 가운데 관계성 충족의 매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유능감 충족의 매개효과가 높게 나타난 반면 자율성 충족의 매개효과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통한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중요성과 긍정적인 관계 안에서 유능감을 경험하는 것이 아동기의 심리적 성장과 사회적 적응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이는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긍정적인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본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가정 및 사회의 노력을 제안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 심리적 통제, 기본심리욕구 충족, 공격성 This study verified the selected the psychological control and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parent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ggression of children to verify the their relati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parents affects the aggression of the children through the mediation of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verified. For this, 234 male students and 252 female students enrolled in fifth and sixth grades of fiv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The parents of these 495 students were studied using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PCS-YSR), Children's Intrinsic Needs Satisfaction (CINSS), and child aggression scale to collect data.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PSS 19.0 program was used to estim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frequency of each factor, the percentage and verification of the confidence in the measurement tool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Cronbach α coefficient. In order to measur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on aggression, the three phase mediation effect verification based on the methodology of Baron and Kenny(1986) and the Sobel 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eff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the children's aggression,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subjects in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aggression and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ere all significa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aggression, while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s well as the children's aggress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aggression. It was confirmed that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mother and the father, the effects were reviewed separately. Both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s aggression through the mediation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agg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autonomy, relatedness and competence, which are sub-factors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ere reviewed. Each sub-factor was verified to have a partially mediating effect. In particular, of the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edness satisfaction was the greatest, followed by the mediating effect of satisfying competence, whereas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was relatively lower. This study verified that importance of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through positive child-rearing behavior of the parents, as well as the fact that experiencing competence within a positive relation contributes to the psychological growth and social adjustment of the chil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basic set of data that can suggest improved efforts from family and society to children's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and promote appropriate child-rearing behavior from parents.

      • 식물성 레진과 나노 충전제를 이용한 기능성 나노 복합재료 제조

        한송이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석유로부터 생산되는 소재들을 대체할 수 있는 재생가능한 바이오 복합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soybean 레진(AESO, MAESO)과 유기 개질된 나노클레이로부터 고기능성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였으며 soybean레진을 바인더로 이용하여 TiO₂ 광전극을 제조하여 친환경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개발하였다. 기능성 soybean 레진과 comonomer로 styrene을 혼합한 후 유기 개질된 나노 클레이를 직접 분산시키고 라디칼 개시제를 이용하여 공중합하였다. 제조된 나노복합재료의 모폴로지는 모너머의 삽입에 의해 층간 간격이 증가된 형태와 박리된 형태를 나타냈고 클레이 함량이 증가됨에 따라 물리적 성질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OOH기가 첨가된 MAESO에서 분산도가 향상되었고 초음파 처리에 의해 분산도가 더욱 향상되어 물리적 특성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또한 TiO₂를 질산처리를 한 후 soybean레진을 바인더로 이용하여 분산시켜 나노 다공성 TiO₂ 광전극을 제조였다. 그리고 염료를 흡착시킨 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하였다. AESO와 MAESO를 바인더로 제조한 TiO₂ 광전극에서는 향상된 분산성으로 인한 표면적의 증가로 높은 전류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첨가된 기능기의 영향으로 TiO₂ 표면의 저항이 낮아져 매우 좋은 광전기화학적 특성과 높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Multi-functional nanocomposites from soybean resins (AESO, MAESO) and nanoclay were prepared and TiO₂ photoelectrode for environmental friendly dye sensitized solar cell using soybean resin binder were also prepared, in order to develop renewable bio-based nanocomposites as an alternative source for petroleum-based polymeric materials. Organo-modified nanoclay was directly dispersed in functionalized soybean resins after mixing with styrene as a comonomer and radical initiator was used to copolymerize the nanocomposites. The observed morphology was a mixture of intercalated/exfoliated structur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improved by adding organo-modified nanoclay. A nanocomposite using MAESO, which added COOH functional group to the soybean resin, showed more improved dispersibility than AESO composites. Ultrasonic treatment of the nanocomposites also improved the physical properties. Nanoporous TiO₂ photoelectrode was also prepared using soybean resins as a natural binder, after acid-treatment of TiO₂ surface. Dye-sensitized solar cells were developed after adsorbing dye molecules on it. The TiO₂ photoelectrode prepared using soybean binder had high current density because of increased surface area by improved dispersibility. The photoelectrochemical properties and conversion efficiency of the solar cell were significantly improved using the soybean binder, due to the decreased impedance caused by large number of functionalities.

      • A Study on Multi-modal Biometrics Based on Face and Iris by Using Near-Infrared Light in Mobile Phone

        한송이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security requirements of mobile phones have increased over the years, there has been extensive research into using one biometric feature (e.g., an iris, a fingerprint, or a face image) for authentication. Many companies have attempted to adopt biometric technology in their mobile phones. Therefore i research about two topics. As first topic, i propose a new NIR (Near-Infra-Red) lighting face recognition method for mobile phones by using mega-pixel camera image. This paper presents four advantages and contributions over previous research. First, i propose a new eye detection method for face localization for mobile phones based on corneal specular reflections. To detect these SRs (Specular Reflections) (even for users with glasses), I propose successive On/Off activation of the dual NIR illuminators of mobile phone. Second, because the face image is captured by the NIR illuminator, the nose area can be highly saturated, which can degrade face recognition accuracy. To overcome this problem, I use a simple logarithmic image enhancement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mobile phones with low processing power. Third, considering the low processing speed of mobile phones, i adopt integer-based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for face recognition excluding floating-point operation. Fouth, by comparing the recognition performance using the integer-based PCA to those using LDA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and ICA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methods, i could know that the integer-based PCA showed better performance apt for mobile phone with NIR image. Also, as second topic, i proposed a new method that fused face and iris. The accuracy of uni-modal biometrics is much degraded in some actual cases. For example, when the large specular reflection on glasses surface hides the iris region in case of user wearing glasses, the false rejection error of iris recognition is much increased. Another case is that there exists the great amount of the change of facial expression or illumination, or user inputs the dry or scared fingerprint, which also take much effect on the false rejection error. Therefore, in this paper, i propose a new method that combines the score values of face and iris authentication in order to improve accuracy in mobile environments. I present three advantages and contributions over previous research. First, in order to capture both face and iris images at fast speeds and simultaneously, i used a built-in conventional mega-pixel camera in a mobile phone, which was customized to capture NIR (Near-InfraRed) face and iris images. Second, to increase authentication accuracy, i used a score-level fusion method based on a hierarchical support vector machine (SVM). Third, in order to increase processing speed, i used integer-based face and iris authentication algorithm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authentication accuracy when using a hierarchical SVM was better than that when using uni-modal (face or iris image), or any of the SUM, MAX, MIN, weighted SUM rules and a single SVM.

      • 철자유형 및 음운규칙유형에 따른 저학년 일반아동과 언어학습장애아동의 철자쓰기 특성 비교

        한송이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년을 일치시킨 초등학교 1-3학년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철자유형과 음운규칙유형에 따른 철자쓰기 수행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철자쓰기에 나타난 오류유형 및 빈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학년을 일치시킨 경기 지역 내 초등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언어학습장애아동 10명(1학년 5명, 2학년 3명, 3학년 2명), 일반아동 10명(1학년 5명, 2학년 3명, 3학년 2명)으로 총 2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철자유형에 따라 네 가지 유형별 과제를 구성하였고, 음운규칙의 교과고빈도 음운규칙 네 가지를 선정하여 받아쓰기 방식으로 검사했다. 연구결과는 첫째, 철자유형에 따라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언어학습장애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철자쓰기 수행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철자유형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였는데, 자소-음소 일치단어에서의 수행능력이 가장 높았고, 겹자음이 포함된 불일치 단어에서의 수행능력이 가장 낮았다. 또한 집단과 철자유형 간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다. 일반아동은 불규칙단어 중 형태소가 두 개인 단어를 형태소 한 개인 단어보다 잘 했으나 언어학습장애아동은 다른 패턴을 보여주었다. 둘째, 음운규칙유형에 따라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철자쓰기 수행능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두 집단 모두 격음화에서 가장 낮은 철자쓰기 수행능력을 보였고, 비음화에서는 가장 높은 철자쓰기 수행능력을 보였다. 연음화에서는 언어학습장애아동이 일반아동과의 평균 차이가 가장 많이 났다. 음운규칙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집단과 음운규칙유형 간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는 않았다. 셋째, 철자쓰기에 따른 오류유형 별 오류빈도는 언어학습장애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음운처리오류가 가장 높았고, 표기처리오류, 형태처리오류 순으로 나타나 두 집단이 비슷한 오류패턴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철자유형이나 음운규칙유형에 따라 아이들의 철자쓰기 수행능력에 차이가 났다는 연구결과는 추후 언어학습장애아동의 철자쓰기를 지도할 경우 철자유형 및 음운규칙 유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특히 철자유형에서 형태소 수에 따라 철자쓰기 결과가 서로 다른 패턴을 보여준 것은 철자쓰기에 있어 형태소지식의 사용에 대해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spelling performances between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and normal children from first grade to third grade in elementary school, compared in parallel, by spelling rules and phonological rules. In addition, it is to observe error types and error frequencies in their spelling performance. A total of 22 students from first to third grade within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10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5 first grade, 3 second grade, and 2 third grade) and 12 normal children (7 first grade, 3 second grade, 2 third grade). Research tools were composed of four different types of assignments based on different spelling types, which were dictation based assessments selected upon four different highly frequent phonological ru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and normal children by spelling types: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showed lower spelling performance compared to the normal children. Differences between spelling types were significant as the performance was the highest for grapheme-phoneme identical vocabularies, whereas performance was the lowest for vocabularies with doubleton grapheme with consonant blend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s and spelling types. For irregular vocabularies, normal children performed better in vocabularies with two morphemes than single morpheme vocabularies; while,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showed different pattern.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and normal children by phonological rules: the both group showed the lowest performance for aspirations, and spelling performance on nasalization was the highest. For lenition,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performance of normal children and those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was the highest. There were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groups and phonological rules. Third, frequency of error based on error types in spelling performances was the highest in phonological processing for both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followed by orthographic processing errors and morphological processing errors; error patterns of the two groups were similar. To conclude, findings from this study, that there was a distinction in children’s spelling performance by spelling types and phonological rules suggest that we must take spelling types and phonological rules into account when educating spelling skills to children with language-learning disabilities. Especially, different patterns observed in spelling performances by the number of morphemes imply that we must consider incorporating disciplines in morphemes in spelling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