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정보화와 중소기업 및 벤쳐기업 활성화를 위한 정보시스템 구축

        한기흥 順天鄕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웹 에이전트 기술과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이용하여 근거리 지역의 정보화와 지역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의 정보 인프라 구조를 지원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순천향대학교 정보통신 창업지원센터를 대상으로 하여, Work Flow 분석을 통해, 창업지원, 경영정보관리, 마케팅정보 유통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본 시스템은 3 계층구조를 기본으로 하여 GUI로직을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 그리고 기존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은 지역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의 창업부터 성숙기까지의 지원체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designs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hich effectively supports business of small to medium size enterprises in local area, using web agent and web application technology. The implemente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upports the commencement of an enterprise,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and marketing information calculation based on work flow analyses of diverse enterprises in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oon-chun-hyang Venture Center. The 3-tiered implemented system includes clients executing GUI logic, an application server serving business logic, and a component supporting conventional database applications. The system can be used as a effective business supporting system for small to medium size ventures .

      •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기흥 한서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 Internet addiction on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find the mutual relation factors, the problem of this study were specified as follows; I. How was actual condition of Internet use? II. Are there differences in Internet addiction depending on the gender of teenagers and college students? III. Are there differences in degree of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ages? IV. What difference in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degree? V. Wha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factors? VI. What factor most likely to predict Internet addiction? The subjects consist of 1150 students of 10 high schools and 4 universities. Students' answer which responds insincerely and do not respond on certain question was eliminated on research. Thus, total 1072 students' answer(high school: 514 college : 558) were left. The average age of high school students(male:282 female:232) were male 17.40(SD=.684) years old and felmale 17.48(SD=.720) years old. College students'(male:226 female:332) average were male 22.68(SD=2.384) years old and female 21.01(SD=1.488) years old.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include 1)Internet addiction standard - which was used to measure Internet addiction of highschool and college students. For measure high school students' Internet addiction, K-standard which was developed by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Korean information culture center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s research team(2002) and for the college students' A-standard which was developed by Oh won-lee and so on in 2005 was used. 2)Self-Esteem Standard -was used to measure self esteem and this standard was developed by Rosenberg in 1979. 3)Self-efficacy Standard was used to check Self-efficacy which was made in 1997 by Kim Ah Young. 4)Social Support Standard was used to measure percept social support developed by You Seoung Eun in 1997. 5) Social avoid and Anxiety standard was used which was made by Choi Jeong-hoon and Lee Kyung-yun in 1994. 6) Stress Management Standard to check how students manage their stress which was developed by Park Ae-sun and Lee Young-hee in 1992. 7) Beck depression Standard - to check depression, developed by Lee Young-ho in 1993 8) Beck suicide Standard - to measure students impulse on suicide which was developed by Shin Min-sup in 1993 9) Trait-anaxiety standard - to check anxiety, developed by Han Deuk-yoong, Lee Jang-ho and Jun Kyum-kyu in 1996 10) Parents - Offspring communication stard - to measur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their offspring, developed by Choi Tae-san and Hpng Kyung-ja in 1997. Data was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0 and September 30, 2007 from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teacher and professor in charge in class. These are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of all, Result show that there are no Internet addicted students because study's objects are limited to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ho manage normal life. However, divide these students into 3 categories according to their times of Internet use show limitation on this research. Thus, afterward study should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et addicted and normal people. Second, there could be a difference in Internet use between human knowledge high school students and business high school students. Also, college students could have difference in Internet use depending on their major. Thus, afterward study requires to subdivide group more specific. Third, This study use confirmed Internet addiction factors at earlier studies. Therefore, there are need to verify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like Parents' attitude in rearing, attachment to their offspring and characteristic. Fourth, This study limited to Internet addiction. However, there are need to research on sub-categories of Internet addiction like game addiction, Pornographic addiction. Fifth, unlike other studies which did not classify group according to the age or limited object merely highschool 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verify various factors which have impact on Internet addiction to both male, fema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ese are suggestions for afterward study. First, this study's participants are limited to specific region, it would be hard to generalize results to all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fterward study should be survey various groups. Second, this study classify the Internet addicted based on self diagnosis, it couldn't figure out that they are real internet addicted or merely show symptoms. Thus, afterward study should used method not only self diagnosis but also various conduct standard. Third, this study is need to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f searching to internet addiction and internet pathological diagnosis. This study suggests that relations of depression, social avoidance, anxiety, stress copy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f Internet addiction on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이 논문은 고등학생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는데 주안점이 있다고 하겠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변인들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남녀 고등학생은 물론 남녀 대학생들에 대해서 확인하고, 각 집단의 인터넷 중독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검증함으로써, 각 집단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인터넷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며,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건전한 인터넷 사용과 문제행동예방에 도움을 주는데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인터넷 사용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서 차이가 있을 것인가? 셋째, 연령에 따라 인터넷 중독 정도에서 차이가 있을 것인가? 넷째, 인터넷 중독 정도에 따라 관련변인들에서 어떤 특성적인 차이가 있을 것인가? 다섯째,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변인들 사이에 어떠한 특징적인 관계가 있을 것인가? 여섯째, 인터넷 중독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대상자는 당진군과 대전시에 소재하고 있는 10개 고등학교와 4개 대학교에서 전체 1,150명이 연구대상자로 표집 되었다. 불성실한 응답을 하거나 응답을 누락한 학생들을 제외하고 전체 1,072명(고등학생: 514명, 대학생: 558명)이 최종분석에 포함되었다. 고등학생(남: 282명, 여: 232명)의 평균연령은 남성 17.40(SD=.684)세, 여성 17.48(SD=.720)세였고, 대학생(남: 226명, 여: 332명)의 평균연령은 남성 22.68(SD=2.384)세, 여성 21.04(SD=1.488)세였다. 이 연구의 측정도구는 1)인터넷 중독 척도- 인터넷 중독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고등학생용과 대학생용 인터넷 중독 척도를 사용하였다. 고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문화원 및 서울대 연구팀(2002)이 개발한 한국형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검사(K-척도)를 사용하였다.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을 측정하기 위하여 오원이 등(2005)이 개발한 성인 인터넷 사용 자기보고 척도(A-척도)를 사용하였다. 2) 자기존중감 척도- 자기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osenberg(1979)의 자기존중감 검사가 사용되었다. 3) 자기효능감 척도-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아영(1997)이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4) 사회적 지지척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성은(1997)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였다. 5) 사회적 회피 및 불안척도- 사회적 회피 및 불안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정훈과 이정윤(1994)이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6) 스트레스 대처척도-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애선과 이영희(1992)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7) Beck 우울척도-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영호(1993)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8) Beck 자살생각척도- 자살생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Beck의 자살생각척도를 신민섭(1993)이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9) 특성불안 척도- 불안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덕웅, 이장호, 전겸구(1996)의 상태-특성불안척도를 사용하였다. 10)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태산과 홍경자(1997)가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7년 9월 10일부터 2007년 9월 30일 까지 대전과 충남의 실업계고등학교와 인문계고등학교 및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수업시간을 이용하여 담임교사 및 담당교수에 의해 실시되었고, 소요된 시간은 약 30분 정도였다. 자료 분석은1) 인터넷 사용 실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X2분석을 실시하였다. 2)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3)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인터넷 중독 정도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X2분석 실시하였다. 3) 인터넷 중독에 따른 관련변인들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4)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표집이 정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는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에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인터넷 중독에 해당하는 연구대상자들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정상집단에서 인터넷을 더 많이 사용하는 집단, 중간 정도로 사용하는 집단, 적게 사용하는 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므로, 후속적인 연구에서는 실제로 인터넷을 병리적으로 과다하게 사용하는 인터넷 중독 집단과 정상집단들 사이의 차이를 연구하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고등학생들은 인문계 고등학생들과 실업계 고등학생들 사이에 인터넷 사용에서 상이한 양상을 보일 수 있으며, 대학생들 역시 각자의 전공영역에 따라 인터넷 사용에서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후속적인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집단을 보다 세분화 하는 것과 요구된다. 셋째, 이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이미 확인된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변인들만을 사용하였으나, 부모의

      • 스마트 재난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사회안전망 구축이 재난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소방안전관리를 중심으로

        한기흥 호서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Department of Safety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Hoseo University Asan,, Korea (Supervised by Hong, Kim) In this study, the social safety net is used as an independent factor, the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is used as a parameter, and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capability is used as a parameter to establish safety service environment, social safety net, and intelligent CCTV and big data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as a subordinate variable as the detail items of job performance and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and the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on fire officers of Chungnam province,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afety net,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isaster safety management capability,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capacity. Respectivel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safety net constru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disaster management performance and work environment improvement, which are the detailed factors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capability. The social safety ne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to perform disaster duti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disaster work environment under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inputting fire safety service and education, fire safety environment, and autonomous fire preven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inputting disaster safety management capability as a dependent variable, there was no problem in the multiple cohesivenes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all of them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Fourth, the smart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capacity. Fif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inputting disaster task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with IoT platform construction, intelligent CCTV, network technology standardization, big data utiliza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all of the four steps of mediation analysis were satisfied. In conclusion, we analyzed the impact of fire safety service, fire safety environment, fire safety education, and autonomous fire prevention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capacity, and confirmed that disaster service performance and work performance environment of fire fighting officer and safety management were affect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installation of intelligent CCTV, standardization of network technology, utilization of big data, fire safety service, fire safety environment, fire safety education, social safety net of autonomous fire prevention affect disaster safety management capacity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사회안전망 구축이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을 매개로 재난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재난안전관리시스템이 재난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소방안전서비스, 소방안전환경, 소방안전교육, 자율화재예방이 재난 안전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제4차 산업사회에서 소방영역의 사회안전망 구축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며,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이 소방공무원의 재난 업무수행 능력과 업무수행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사회안전망, 재난안전관리시스템, 재난안전관리 역량과 관련한 연구자들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안전망(소방안전서비스, 소방안전환경, 소방안전교육, 자율화재예방)을 독립변수 요인으로 하고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IoT(사물인터넷) 플랫폼 구축, 지능형 CCTV 활용, 네트워크 기술 표준화, 빅데이터 활용)을 매개변수 요인으로 하고, 재난 안전관리 역량(업무수행능력_신속성, 지식, 교육훈련, 업무계획, 업무환경개선_안전 네트워크, 환경개선, 시정요구, 재난안전교육)을 업무수행 능력과 업무환경 개선의 세부 항목으로 한 종속변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충남지역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증 분석결과 소방안전서비스, 소방안전환경, 소방안전교육, 자율화재예방의 사회안전망은 재난 안전관리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방안전서비스, 소방안전환경, 소방안전교육, 자율화재예방의 사회안전망 각각의 요인은 재난 안전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소방안전서비스, 소방안전환경, 소방안전교육, 자율화재예방의 사회안전망은 재난 안전관리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방안전서비스, 소방안전환경, 소방안전교육, 자율화재예방의 사회안전망 각각의 요인은 재난 안전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 있어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이 재난 업무환경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다만 IoT 플랫폼 구축을 통한 재난안전관리시스템이 재난 업무환경 개선에 궁극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지능형 CCTV 설치, 네트워크 기술표준화, 빅데이터 활용에 대해서는 재난 업무환경 개선을 위해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하는 스마트 관리시스템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자가 바라보는 소방공무원의 사회안전망 확충을 위한 소방안전교육, 자율화재예방 활동, 소방안전서비스 개선, 재난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환경개선 등을 제언해 보고자 한다. 첫째, 소방공무원의 업무환경 개선사항으로 재난현장에서 실제로 치명적인 장면들을 목격하고 처리하고 있으므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에 노출되지 않도록 위기관리를 해주는 위기상황 스트레스해소 활동 및 소방 개인 일류장비 보급이 필요하다. 둘째, 안전사고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위험이 발생하고 난 후 사후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도구로 지능형 CCTV활용, 빅데이터 활용, 네트워크 기술 활용 및 IoT 기기 활용을 할 필요성에 있다. 셋째, 재난발생에 대한 위험성은 항상 우리 주위에 도사리고 있는데, 그 가능성과 상황변화를 예측하기는 무척 어렵다. 그러므로 재난의 발생원인과 발생패턴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빅데이터 및 네트워크 기술을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 넷째, 안전 IoT의 표준화가 필요한데, 지진이나 대형 재난에 직면할 가능성도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안전 IoT 기술을 활용하여 체계적이고 통합된 안전 및 재난 방지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다섯째, 안전교육 프로그램 강화 방안으로 안전사고 유형 및 대응방법에 대한 분석 DB를 구축하고 대응 시나리오 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소방공무원의 안전의식 고취 및 스마트 재난안전관리시스템 이해 증진을 위해 소방안전본부 직원 및 가족을 위한 평생교육기반 구축, 공동 관심분야 학술교류 및 공동연구·학술회의 개최 등을 통해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은 소방 분야 전문 인력을 양성하도록 해야 한다.

      • Stroemungsakustische Untersuchungen an Schalldaempferelementen : Ki-Heung, Han

        Ki-Heung, Han Univ. Kaiserslautern 1996 해외박사

        RANK : 247324

        엔진에서의 소음 발생은 자동차의 원하지 않는 부수 효과이다. 이 소음은 엔진에서의 연소음과 배기가스 유동에 의한 유동소음에(Flow generated Noise )의하여 생성된다. 엔진특성 테스트에서 배기가스에 의한 소음생성은 일정 엔진회전수 이상에서는 항상 엔진에서의 연소음을 능가하고 있다. 배기가스 유동에 의한 소음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동소음은 배기가스가 소음기를 통하 여 대기로 방출되기에 불가피하다. 이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배기가스에 의한 소음기 요소의 소음생성과 그의 유체음향공학적 특성에 관하여 이론과 실험을 통하여 연구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보다 효율높은 소음기 설계와 동시에 배기가스에 의해 소음기 내부에 서 생성되는 유동소음의 감소에 있다. 이론연구에서는 어떤 현상들이 소음기 내부에서 어떤 메커니즘을 통하여 유동소음을 발생시키며, 어떠한 수학적 변수들이 유동소음 발생을 서술하고 있는지를 보여주고있다. 더 나아가 이 소음기 내부에서 유동소음이 어떠하 게 대기로 전파되어지며 또한 배기통에(Expansion Chamber)의한 소음의 변형 에 대하여 밝혀주고 있다. 또한 이 이론적 연구는 실험을 통하여 검증되어 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control process for single-joint movements about the elbow joint by examining behaviors of preprogrammed and on-line modulated motor commands identified from the patterns of multiple EMG variables. Twelve subjects performed elbow extension movements at two velocities, during which external loads imposed on the movement could be unexpectedly altered either assisting or opposing intended movements. For each response, the elbow angles were transduced by a potentiometer, and the EMG activities of the triceps brachii and the biceps brachii were acquired by a polygraph. Digitized data for the EMG activities were utilized to calculate multiple EMG variables, including (1) Agonist peak amplitude (AgoPA), (2) Agonist area for the first 50 ms of movement (AgoSO), (3) Agonist area after the first 50 ms of movement (AgoPostSO), (4) Antagonist peak amplitude (AntPA), (5) Antagonist area for the first 50 ms of movement (AntSO), (6) Antagonist area after the first 50 ms of movement (AntPostSO), (7) Time to reach agonist peak amplitude (AgoTPA), and (8) After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s on groups of dependent variables, each EMG variable was subjected to three-factor ANOVAs (2 velocities x 2 amplitudes x 3 external loads) with repeated measures on all factors. Analysis on the Ago50 reveal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velocity requirements and movement amplitudes. While 35 deg movements resulted in significantly larger Ago50 than 70 deg movements at both low and high velocity conditions, the difference was substantially larger at the high velocity condition. The external loads, however, did not affect the Ago50 at a given velocity-amplitude condition. Unlike the AgoSO, analyses on other EMG variables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of external loads as either a main effect or interaction with another variables. For the AgoPost50, assisting and opposing loads resulted in significantly larger areas than no change in load. Altered external loads also generated significantly higher AgoPA than no change in load at the low velocity condition although their effect was not significant at the high velocity condition. Time to reach AgoPA was also delayed with opposing loads compared to assisting loads or no change in load, which were not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the AntSO, both assisting and opposing loads resulted in higher Ant50 than no change in load regardless of velocity requirements and movement amplitudes. Assisting and opposing loads also resulted in substantially larger AntPost than no change in load, although the amount of changes was not the same for different velocity-amplitude conditions. In addition, assisting loads produced a larger AntPA B,ehaviors of EMG variables at different velocity-amplitude conditions suggest that only Ago50 can be identified as a preprogrammed muscle activation pattern. While nonsignificant effects of external loads on the Ago50 at a given velocity-amplitude condition indicate that the control system can not access an early portion of motor commands responsible for this variable, significant effects of velocity requirements and movement amplitudes imply that knowledge about initial task constraints is incorporated into preprogramming of motor commands. Other EMG variables, however, can be identified as on-line modulated muscle activation patterns because they were sensitive to unexpectedly altered external loads. Observed patterns of EMG variables imply that the movement control process is not completed by preprogramming of motor commands, but continues until the movement is terminated. Although the control system must preprogram some of the controlling factors before it can initiate a specified movement, the preprogrammed motor commands are not the key determinants of the final movement outcome. Rather, the accuracy of the final movement outcome will be determined by the precision of both the preprogrammed and on-line modulated controlling factors. Therefore, the control system has to operate continuously during the movement control process utilizing both its predictive ability and current sensory inputs as the basis for the programming of motor comm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