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과 학생 웰빙의 관계 탐색

        추영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ms the foundation of students' learning and school life. Through this interaction, teachers and students exchange knowledge, emotions, attitudes, and values, promoting school participation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Particularly,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enhance students' autonomy, intrinsic motivation, and have a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student well-being. As the importance of well-being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the role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has become more significant. However, previous studies on interaction and well-being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Existing research has focused only on certain aspects of interaction frequency and pattern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with well-being, and has limitations in methodology, relying on self-report measures and qualitative research. Therefore, using learning analytics methods to collect and analyze interaction and well-being data more objectively can contribute to optimizing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better understand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 well-being.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frequency and pattern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and its relationship with student well-being.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frequency and pattern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and patterns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and student well-be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mixed research method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was used. Class videos, student well-being and related variable survey results, and interview data from teachers and stu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a fourth-grade class in a prim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ere transcribed by repeatedly watching the class videos, and quant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interaction analysis categories developed from the literatur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quantitative data on student well-being. In addi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ne homeroom teacher and five students. The research found correlations between student well-being and total frequency, total duration, average duration per interaction, and the ratio of teacher-led and student-led interactions. The total frequency and duration of interac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udent well-being, while average dur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eacher-led interaction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well-being, whereas student-led interac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is suggests that teachers interact more with students who have higher well-being, while spending more time interacting with students with lower well-being, indicating that teachers pay more attention to students who need help. The content and method of interac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udent well-being. However, in interviews, students mentioned that the non-verbal aspects of interaction with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 their emotions. Students value fair interaction from teachers and show acceptance when they perceive fair treatment. The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cademic support from teachers, and mention that tension is relieved and trust increases during the process of requesting and responding to help from teachers. Although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method of interaction and student well-being, students felt respected when teachers used honorifics, and recognized the need for teacher's controlling interaction methods for maintaining order in the clas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points were discussed. It was confirmed that as student well-being increases,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interaction with teachers tend to increase, suggesting that teachers can monitor student well-being and intervene when necessary. Especially, students value fair interaction from teachers, and perceive empathy and respect from teachers a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ir well-be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interact based on empathy and respect. Additionally, controlling interactions by teachers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of the class, and teachers need to mix autonomous support methods with control methods. Learner-centered teaching increases student-led interactions by enabling students to take a more active and leading role in the class process. Such student-led interaction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udent well-being, and learner-centered teaching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promotes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refore,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re an important educational strategy that positively affects students' overall well-being, and teachers should design their classes with a learner-centered approach. Lastly, it was confirmed that the well-being of teachers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student well-being, and caring for the well-being of teachers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contributes to the overall improvement of well-being in the educational field.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objective research on interaction through learning analytics and provided a new perspective on research 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tudent well-being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results of rich and objective data analysis using learning analytics methods will be used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systems that support teachers in evaluating and improving their classes.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은 학생의 학습과 학교생활의 근본 을 이룬다. 교사와 학생은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 감정, 태도, 그리고 가치관을 교류하며, 학교 참여와 사회 정서적 발달을 촉진한다. 특히, 교사와 학생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학생의 자율성을 증가시키고 내재적인 동기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학생 웰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해, 최근 웰빙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그러나 상호작용과 웰빙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연구 대상과 방 법의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상호작용의 빈 도와 양상 중 일부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웰빙과의 관계를 탐색 했으며, 자기보고식 측정과 질적 연구에 의존하는 방법론에 한계 가 있다. 따라서 학습 분석 방법을 활용하면 상호작용과 웰빙 데이터를 보다 객관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해야 한다. 이러한 접근은 학습 환경을 최적화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과 학생 웰빙 사이의 복잡한 관계를 더 잘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 빈도 및 양상을 파악하고 수업 중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빈도 및 양상과 학생 웰빙과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빈도 및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 빈 도 및 양상과 학생 웰빙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양적 및 질적 접근법을 동시에 활용하는 혼합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경기도의 초등학교 4학년 한 개 학급을 대상으로 수업 동영상, 학생 웰빙 및 관련 변인 설문조사 결과, 학생 및 교사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했다. 수업 동영상 반복 시청을 통해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의미 단위로 모두 전사하고, 선행문헌을 기반으로 개발한 상호작용 분석 범주 를 바탕으로 코딩해 상호작용 대상, 빈도, 지속시간, 내용에 따라 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학생 웰빙 양적 데이터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에 더해 담임 교사 1명과 학생 5명을 대 상으로 반구조적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 웰빙과 상호작용 총 빈도, 총 지속시간, 1회당 평균 지속시간, 교사 주도 및 학생 주도 상호작용 비율 간의 상관 관계를 발견하였다. 상호작용 총 빈도와 지속시간은 학생 웰빙과 양의 상관관계를, 평균 지속시간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교사주도 상호작용은 웰빙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학생주도 상호작용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교사는 웰빙이 높은 학생과 더 많이 상호작용하는 반면, 웰빙이 낮은 학생과는 더 오래 상호 작용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교사는 도움이 필요한 학생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 내용과 방식은 학생 웰빙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면담에서 학생 들은 교사와의 상호작용의 비언어적 측면이 정서에 큰 영향을 미 친다고 언급하였다.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공정한 상호작용을 중요 하게 여기며, 공정한 처치를 인식할 때 이를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학생들은 교사의 학업적 지원을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며, 교사의 도움 요청과 답변 과정에서 긴장이 해소되고 신뢰가 증가 한다고 언급했다. 상호작용 방식의 경우 학생 웰빙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교사가 존댓말을 사용할 때 존중 받는 느낌을 받은 동시에 교사의 통제적인 상호작용 방식이 학급 내 질서 유지에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의 사항을 논의하였다. 학생 웰빙이 높을수록 교사와의 상호작용 빈도와 지속 시간이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교사가 학생 웰빙을 모니터링하고 필요할 때 개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학생들은 교사의 공정한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며, 교사의 공감과 존중이 학생 웰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교사는 공감과 존중을 바탕으로 상호작용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사의 통제적인 상호작용이 수업의 효율성에 기여하며, 교사는 자율성지지 방식과 통제 방식 을 혼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습자 중심 수업은 학생들이 수업 과정에서 더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맡게 함으로써 학생 주 도형 상호작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학생 주도형 상호작용 은 학생 웰빙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으며, 학습자 중심 수업은 교사와 학생 간 관계를 강화하고, 학생들의 사회적 및 정서적 발달 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 수업 방식은 학생들의 전반적인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교육 전략으로 교사는 학습자 중심으로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웰빙이 학생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하였으며, 교사의 웰빙을 챙기는 것이 교육 현장의 전반적인 웰빙 향상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강조해야 한다. 본 연구는 학습 분석을 통해 상호작용의 객관적인 연구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또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 연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교육현장에서 학생 웰빙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학습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풍부하고 객관적인 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평가 및 개선을 지원하는 응용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활용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