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적층 봉지구조 설계를 통한 LED 패키지의 광 출력 개선 연구

        최현수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ly, white light-emitting diodes (LEDs) are used in various lighting applications. To obtain white light, it is typical to use GaN-based blue LED chips by combining yellow phosphors that are excited by the blue LED emission. Although GaN-based LEDs are already commercially available, their light output power (LOP) an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are still insufficient. The limited external quantum efficiency of LEDs is mainly attributed to very lower light extraction efficiency (LEE) than internal quantum efficiency (IQE). To improve the LEE in order to obtain a higher LOP and a higher EQE. The critical LEE factor is the large mismatch in the refractive indices between GaN (n=2.54) and air (n=1). As a result, the light rays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LED chip have small critical angle of 23.18° and a large internal Fresnel reflection loss of 20%. For these reason GaN-based LED devices exhibit a LEE of only 4% from the top surface. Therefore to improve the LEE much research has been reported. The first approaches attempted to modify the chip's structure using several methods such as the design of the structure, chip surface roughening, a microlens array, a photonic crystal, and chip microcavity design. These research show a great improvement in the LEE and LOP, which are difficult to commercialize due to technical difficulties and high manufacturing costs. Other approaches are related to the encapsulant of the LED package. The encapsulant plays the role of protecting the LED chip from the environment and, mixed with yellow phosphor, converts the blue emission from the LED chip into white light. In addition, LED manufacturers use encapsulant material with a refractive index between that of the chip (for GaN, n=2.54) and the environment (for air, n=1) to reduce Fresnel reflection and obtain an enhanced LEE. Currently, many approaches such as the bi-layered phosphor model, remote phosphor, addition of particles into the encapsulant, and the development of encapsulants with high refractive indices have been used to modify the encapsulants in attempts to improve the LOP and the LEE. Ming has reported the improvement of LEE by 2% using a multiple-layer graded refractive index (GRIN) encapsulant. He described the enhancement by reduced Fresnel reflection at the chip/air interface. However, in this case, the report mention only decrease of Fresnel reflection.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LOP of LED package through the extension of critical and decrease of the Fresnel reflection which consist of three research; 1. LED package in order to obtain higher LOP by experiment, and with simulation using 3-D raytracing simulation software. The three type of LED package was manufactured according to two kinds of refractive index (1.53 and 1.41) of encapsulant and double layer structure with two refractive index. To investigate the internal reflection of LED package using 3-D raytracing simu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OP of the double layer encapsulant increased by 2.6% compared to the single layer encapsulant with a refractive index 1.41, which was explained by the decrease of the Fresnel internal reflection. 2. In previous work, LOP of LED packages affected refractive index and encapsulation structure. An experimental factor double layer structures comprised of the two indices (1.41/1.53) were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flat, concave, and convex). We investigated the change in the LOP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 critical angle and Fresnel reflection.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LED package were measured using an integrating sphere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the light output and color coordinates. The measured light output was compared to the simulated results using the 3-D ray tracing simulation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new encapsulant design. 3.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adius of curvature, R, of a convex interface on the light output power (LOP) of an LED package. The encapsulation layers consist of two layers, with refractive indices of 1.41 and 1.53. By using a geometrical calculation and 3-D ray-tracing simulation, we quantify the effect of R on the light extraction efficiency (LEEec) by examining the escape cone and the Fresnel reflection loss. The increase of the LEEec is explained with respect to the change of the incident angle and the re-extraction of the reflected rays at the curved interface.

      • 한·중 FTA 수산부문 개방품목과 양허수준 결정의 영향요인 연구

        최현수 서울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부는 FTA를 추진하면서 시장개방으로 피해가 예상되는 상품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개방대상에서 제외하거나 개방수준을 낮추는 조치를 취한다. 하지만 무역자유화를 목적으로 하는 FTA 협상에서 시장개방을 피할 수 있는 품목은 제한적으로만 허용된다. 그렇다면 정부가 어떠한 기준으로 상품의 개방수준을 결정하는지가 문제된다. 이에 이 연구는 정부가 국내 취약산업의 개방품목과 양허수준을 결정할 때 고려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대상으로는 한·중 FTA 수산부문을 선택하였다. 수산부문은 전면적인 시장개방에 대해서 유예나 보호가 필요한 대표적 산업중 하나이고, 중국은 우리나라의 수산물 최대 수입국으로 시장개방에 따른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은 정부가 개방수준을 결정할 때 고려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그 요인들이 실제 한·중 FTA 협정문에 표시된 품목별 개방수준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 사용된 통계는 한국무역협회 홈페이지와 해양수산부 수산정보포털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직접 또는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정부가 개방수준을 결정할 때 고려할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들을 탐색하기 위해서 먼저 보호무역의 동기를 설명한 다양한 경제학·정치학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검토결과, 현실에서 무역정책은 ‘집단행동의 문제’로 인해, 분산된 일반이익보다는 집중된 특수이익에 더 큰 영향을 받게 되기 때문에 국가 전체적으로 후생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보호무역정책이 시행될 수 있다는 이론을 채택하였다. 이 연구에서 특수이익은 어업인·수산업계의 이익을 의미하므로 정부의 정책목표는 한·중 FTA 발효로 수산물 시장개방이 되었을 때 어업인·수산업계의 경제적 후생감소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시장개방으로 인한 경제적 후생감소가 어떻게 측정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기존 FTA 영향평가나 수입수산물 민감도 분석연구에서 사용하는 변수들을 검토했다. 그 결과 ‘대중국 수입규모’, ‘국내시장에서 중국산 경쟁력’, ‘세계시장에서 국내산 경쟁력’, ‘국내 생산규모’, ‘중국산 가격경쟁력’, ‘기존 관세보호수준’, ‘조정관세 적용품목’ 등 총 7개의 독립변수를 도출하였다. 한편 기존의 FTA의 경제적 영향을 분석한 연구들에서 도출한 변수만으로는 FTA 협상 전반을 이끄는 정부의 역할을 과소평가할 우려가 있었다. 특히 2000년대 이후 FTA 로드맵에 따라 하향식으로 계획·추진한 우리나라의 경우 협상에서 행정부 스스로의 자율성과 선호를 반영할 필요가 있었다. 다만 여기서는 수산부문에 대한 분석에 국한되므로, 수산부문 품목별 개방수준을 결정할 1차적 권한이 있는 해양수산부의 독립적인 선호요인을 검토했다. 검토 결과 ‘중국어선의 불법조업금지’와 ‘총허용어획량(TAC: Total Allowable Catch)제도’를 해양수산부의 정책적 선호요인으로 선정하고 독립변수에 포함했다. 도출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인 개방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계량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국내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중국산의 경쟁력이 높을수록, 세계 수산물 시장에서 국내산의 경쟁력이 낮을수록, 국내 생산규모가 클수록, 중국산 수산물의 국내산 대비 가격경쟁력이 높을수록, 기존 관세보호수준이 높을수록, 조정관세 대상품목일 경우, 중국의 불법조업어종일 경우, 자원관리대상 어종일 경우에 양허수준이 낮게 결정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對중국 수입규모가 클수록 양허수준이 낮게 결정될 것이라는 가설에 대한 검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독립변수가 개방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조정관세 대상품목, 자원관리대상 어종, 중국의 불법조업어종, 국내시장에서 중국산 경쟁력, 세계시장에서 국내산 경쟁력, 기존 관세보호수준, 국내 생산규모, 중국산 가격경쟁력 순”으로 나타났다. 조정관세 대상품목인 경우를 제외하면, 대체로 정책적 측면의 변수들이 경제적 측면의 변수들보다 양허수준 결정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정부에서 공개한 협상결과에 대한 공식 설명자료와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개방수준을 결정할 때 고려한 요인들이 적절하게 포함되었음을 확인했다. 위에서 요약한 계량적 분석결과의 해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해양수산부는 FTA 협상에서 어업인이나 수산업계와 같은 특수집단의 이익을 국민 전체의 이익보다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이는 FTA 협상을 총괄 기획·조정하는 통상교섭본부와 해양수산부의 정책목표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양수산부의 정책동기가 분산된 국가 전체의 이익보다 집중된 어업인·수산업계의 정치적 압력에 반응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정부(해양수산부)는 FTA 협상에서 무역자유화와 직접 관계가 없는 독립적 정책 선호를 반영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정부가 주도적으로 FTA를 추진한 경우, 민간의 구체적인 요구사항을 담아 상향식으로 접근한 경우보다 협상에서 정부의 자율성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한·중 FTA 수산부문에 있어서는 ‘중국 불법조업근절’과 ‘연근해 수산자원보호’라는 해양수산부의 독립적인 정책선호가 강하게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해양수산부는 FTA와 같은 수산통상정책을 전체 수산정책의 하위정책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중 FTA에서 수산물 개방수준을 결정할 때 어업인·수산업계의 선호를 대표하는 경제적 측면의 변수들보다 정부(해양수산부) 스스로의 선호를 대표하는 정책적 측면의 변수들의 영향력이 대체로 더 크게 나타났다. 해양수산부는 수산부문의 FTA 협상을 기존 수산정책의 민감한 이슈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활용한다거나(중국 불법조업) 기존 수산정책과 연계(연근해 수산자원보호)함으로써 수산부문 전반적인 수산정책의 방향과 부합하도록 FTA 협상을 추진했다. 한편 이 연구는 FTA 개방수준이 전적으로 국내적으로 결정된다는 가정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이 한계로 지적되었다. 하지만 산업부문별 최종 자유화율을 사전에 합의하고 그 범위 내에서 소관부처가 개방수준을 결정한 한·중 FTA의 단계적 협상구조 때문에 분석결과의 타당성이 크게 저해되지 않을 것으로 보았다. 그 외에 독립변수의 의미가 항상 일의적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는 문제도 지적되었다. 또한 개방품목과 양허수준을 결정하는 기준을 분석하는데 있어 대부분을 계량자료에 의존했다는 점에서 향후 연구에서 추가되어야 할 요인들이 제기되었다. 협상을 총괄하는 통상교섭본부장 또는 협상수석대표,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장관이나 협상담당자의 성향, 어종별 생산자협회나 어촌계의 조직화 정도 등 계량화하기 어렵지만 분명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예상되는 요인이 포함하는 경우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한·중 FTA 수산부문이라는 단일사례에 대한 분석에 그쳤다는 점에서, 농업부문과 같은 유사부문의 개방수준 결정요인이나, 한-아세안 등 교역구조가 유사한 FTA와의 비교를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한·중 FTA에 의한 관세인하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는 시점에서는 수산부문의 생산량 감소나 소득수준 변화 등 실질적인 영향에 대한 확인을 통해 협상결과가 당초 목표한 성과를 달성하고 있는지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주요어 : 한-중 FTA, 수산물 시장개방, 양허수준 결정, 관세인하 효과, 보호무역, 통상무역정책

      • 한국과 미국 선수의 경영 종목별 경기력 비교

        최현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제 99회 전국체육대회(남자 : 20명, 여자 : 20명), 2018년 Speedo Junior Championships(남자 : 20명, 여자 : 20명) 80명을 분석하였다. 종목은 시합의 접영, 배영, 평영, 자유형 200M를 구간기록, 브레이크 아웃, 스트로크, 호흡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한국과 미국의 경기력과 전략을 분석하여 한국과 미국의 어떠한 차이가 있고 가장 필요한 엘리트 수영선수의 새로운 훈련 프로그램 개발, 기록 갱신을 위해 수영 지도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지도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추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키네시오라지 테이프(KinesiologyTape)를 이용한 발란스테이핑이 발목 근피로 후 동적 및 정적 균형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최현수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피로는 고강도 운동을 수행하거나 장기간의 활동을 할 때 일시적으로 근육의 수축능력이 감소되는 현상으로 보통 힘을 생산하는 능력의 감소로 정의 된다. 피로와 관련된 생체역학 및 대사변화 때문에 근육은 신경 자극에 덜 반응한다. 신경근 조절 기전의 효율성을 감소시켜 선 자세를 유지하거나 균형을 조절하는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발목 근육은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충분한 힘을 생산할 수 없다면 관절은 불안정해지고 자세 동요가 증가하여 균형 능력은 감소하게 된다. 현재 키네지오라지 테이핑은 근육뼈대계통 질환 및 신경계 질환을 치료하기위하여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지만, 근피로 후 키네지오라지 테이프를 이용한 발목균형테이핑이 신체의 균형능력 향상에 즉각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여 이를 알아보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성인 남녀 31명(남자 16명, 여자 15명)이 참여하였다. 단일눈가림(single blinding), 무작위 배정 비교(randomized control trial)로 발목균형테이핑(ABT) 군과 발목위약테이핑(APT) 군을 배정하고, 두 집단 모두 실험 전 BioRescue의 Romberg Test를 이용하여 동적 및 정적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발목 근육에 근피로 유발 운동 후 두 번째 측정을 실시하고, 발목균형테이핑(ABT)과 발목위약테이핑(APT) 후에 세 번째 측정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여 ABT 및 APT 집단의 동질성 확인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하였다. 발목 근피로 유발 운동 직후와 ABT와 APT 적용 직후의 정적 및 동적 균형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을 하였다. 통계처리에 대한 유의수준(α)은 0.05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근육 피로유발 운동 전과 후에 동적인 상태에서 눈을 감았을때를 제외하고 ABT와 APT 두 집단 모두 중심 이동 면적이 유의한 차이 (p<.05)가 있었다. 피로 유발 운동 후와 비교해서는 ABT 후에만 중심 이동 면적이 유의한 차이(p<.05)가 있었다. 그러므로 ABT 적용은 외상으로 인해 발목의 기능적 불안정성이 있는 사람뿐 아니라, 스포츠 활동 및 일상생활 중 고강도 활동으로 근피로가 유발되어 발목의 불안정이 생긴 사람들의 부상을 예방 할 수 있을 것이다. Muscle fatigue refers to a decrease in the ability of a muscle to generate force. As a result, muscle contraction ability temporarily declines when high-strength exercises or long-term activities are performed. Fatigued muscles are less responsive to nerve stimulation than normal muscles are because of fatigue-related biomechanics and metabolic changes. Muscle fatigue negatively affects the ability of balance control or the maintenance of standing posture, as it de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neuromuscular control mechanism. Ankle muscle tissues have been reported to play a key role in maintaining balance. If these tissues are unable to generate sufficient force to ensure stability, the joints may be unstable and posture sway would increase, reducing the ability to maintain balance. Currently, kinesiology taping has been widely used in clinical settings to treat diseases of the musculoskeletal and nervous systems. However, no studies examining the immediate effect of ankle balance taping using a kinesiology tape on improvements in balance ability have been conducted.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investigate this topic.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study sample, 31 adults (16 men and 15 women) were recruited. The experiment was designed using a single-blinded and randomisedcontrolled trial. The experimental and placebo groups were randomly assigned, and the dynamic and static balance abilities of both groups were measured before the experiment by using the Romberg test on a BioRescue (RM INGENIERIE, Rodez, France). After induction of fatigue in the ankle muscles, the dynamic and static balance abilities of both groups were measured again. Thus, the dynamic and static balance abil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ankle balance taping (ABT) and those of the placebo group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ankle placebo taping (APT). SPSS 18.0 was used as the statistical tool for independent t-test to confirm the identity of the ABT and APT groups.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changes in static and dynamic balance immediately after induction of ankle muscle fatigue and immediately after application of ABT and APT. The significance level (α) for statistical processing was set to 0.05.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between the ABT and APT groups in terms of the surface area ellipse, except when the muscles were dynamically closed before and after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 <.05) in surface area ellipse only after ABT, compared to that observed after fatigue-inducing exerci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ABT in individuals with ankle instability will prevent injuries due to muscle fatigue caused by high-intensity activities during sports and daily activities. ABT would also be beneficial for individual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due to trauma.

      • 『리바이어던』에 나타난 홉스 정치사상의 몇 가지 쟁점

        최현수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Hobbes who is rated among the most influential philosopher on political philosophy wrote his most famous work, entitled 『Leviathan』. In it, he said about theory of social contract as well as his thoughts about Christ. In this thesis, I'm going to mention about his political ideas first then think about three issues. First, Hobbes said that people were born to be fair in the state of nature. He believed that every human being is fair. And he said that people who have same abilities and talents were born to desire the same thing. It causes a war. To overcome the war, governments were created, according to Hobbes, to protect people from their own selfishness and evil. In the rule of a king, people can meet their needs and peace. But we are not same, mentally or even physically. His ideas are just for insisting an absolute monarchy and theory of social contract. Second, Hobbes are sorted as a people who has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evil. Hobbes believed that humans basically selfish creatures who would do anything to better their position. People therefore should not be trusted to make decisions on their own. That's why people should be ruled by one monarch. But, I don't think there no goods and evils before people built a country. Even though, there were no rules or morality, it doesn't mean that people are wicked. Third, I don't agree with the Hobbes's theory which absolute monarchy and human's liberty can be compatible. Hobbes argued that absolute monarchy is an only way to keep a security in society. But, He didn't consider about the result which was created by a monarch as a man did an evil for his personal gain. So, people may lose their liberty by a monarch. In conclusion, there are not any real liberty in absolute monarchy. With three commons of these issues, We can guess that these three issues are means for final insists of Hobbes. In spite of these criticism, the theory of Hobbes give us realistic suggestions.

      • 중성화가 진행된 폐콘크리트계 미분말의 소성조건에 따른 수화성 회복

        최현수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시멘트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석회석의 가채광년수가 점점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골재와 같은 부존자원의 매장량은 한정되어 있다. 또한 구조물의 노후화에 따른 도시재개발사업과 환경정비 등으로 인해 구조물의 해체공사가 증가함으로써 발생되는 폐콘크리트 및 건설폐기물로 인한 환경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 의하여 최근 국내외를 중심으로 콘크리트를 재활용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골재가 실용화 단계에 있다. 특히, 현재까지 수화성이 없는 폐기물로서 활용도가 거의 없었던 폐콘크리트의 20%이상을 차지하는 폐콘크리트계 미분말의 재생시멘트로서의 재활용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연구의 대부분이 재령 28일 시점에서의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연구가 행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실험상의 모재는 중성화 등이 진행된 실제콘크리트 폐기물내 수화물과는 화학적으로 많은 차이가 있게 된다. 따라서, 폐기시점 콘크리트의 경우, 최소한 콘크리트의 표면부터 피복까지는 중성화가 일어났다고 생각할 때,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시멘트의 개발에 있어 중성화에 의한 수화물의 화학적 변화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콘크리트의 재활용을 위한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중성화된 콘크리트계 미분말의 수화성 회복을 위한 재생방법의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중성화가 진행된 콘크리트 폐기물을 재생시멘트로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의 일환으로, 소성조건에 따른 폐콘크리트계 미분말의 수화성 회복에 관한 실험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모재의 열분석에 의한 성분분석 결과, 중성화가 진행될수록 CaCO_(3) 성분의 함유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재생시멘트의 재수화를 위한 소성온도의 결정에 있어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2) 재생시멘트의 X선 회절분석 결과, 미중성화 페이스트 모재의 경우 소성온도 700℃에서 CaO 피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재 내 중성화 성분이 증가할수록 CaO 발생을 위한 소성온도가 증가하였다. (3) 중성화 성분의 혼합율이 50% 이하의 모재에서는 소성온도 700℃가 가장 우수한 강도성상을 발현하였으며, 혼합율에 따른 압축강도의 감소도 크지 않았다. 그러나 중성화에 따른 모재의 화학변화가 확연히 나타나는 점을 고려할 때, 페콘크리트의 재생시점에 따른 재생시멘트의 품질관리에 다소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중성화된 폐콘크리트계 미분말의 모재는 실재 구조물에서 채취한 폐콘크리트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폐기시점의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미분말의 화학분석과 미세구조 분석을 통하여 재생시멘트 모재의 재령에 따른 품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technique to use cementitious powder as recycle cement produced from deteriorated Concrete waste which has a large quantity of calcium carbonate. Therefore, after having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d on the properties of high-heated concrete and concerning about neutralization of Concrete, we analysis chemical properties of ingredients of cementitious powder. After making origin cement paste, then processing the accelerated carbonation, we consider the properties of hydration and chemical properties of cementitious powder under various temperature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thermal analysis, the CaCO_(3) content of cementitious powder would affect decision of heat temperature to recover its hydrated ability because CaCO_(3) content is increased when neutralization is progressed. And as a result of XRD analysis, in case of origin powder of non-neutralized paste, CaO peak is found at 700℃. but, heat temperature to generate CaO would increase when the content of neutralized ingredients is increased. Finally, recycle cement heated at 700℃ shows the best compressive strength when the content of neutralized ingredients in recycle cement is less then 50%. However, it would be quite difficult to manage quality of recycle cement according to recycling points of various concrete waste.

      • 크로스 테이핑(Cross taping) 적용방향에 따른 아래팔의 근육 긴장도, 악력, 근육 두께 및 정맥혈류 속도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

        최현수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aping is categorized into elastic taping and non-elastic taping, while the latter is further divided into sports taping and cross taping. The tape used in cross taping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 grid where non-elastic tapes of four and three crisscrossed lines meet at a perpendicular angle. The tape is mostly applied to the tension points or acupuncture points. The modified O-Ring test is used to determine the direction of cross taping when applied to the patient. It is a method used in assessing the strength of a patient's finger bending ability as the investigator pulls the O-ring on both sides. In this method, the direction to which a stronger finger bending ability is observed is defined as positive. The positive direction should have the four lines aligned at an angle of 45° to either the left or right of the muscle fiber. However, in most cases, the test is applied without differentiating the direction. This study thus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cross taping, by applying the cross taping to the mid-forearm with the flexor muscle and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muscle tone, grip strength, muscle thickness, and venous flow volume in accordance to the taping direction. The subjects were 30 men and women in their twenties who had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Prior to cross taping,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nd for each group, the muscle tone, muscle thickness, venous flow volume, and grip strength were measured in a random order before applying the cross taping. Next, for one group, the cross taping was applied in a positive direction to the subject, while for the other group, it was applied in the negative direction. After the cross taping, all test items that had been measured before applying the cross taping were measured again. After one week, all test items were measured again, and the subjects in each group were administered the cross tap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applied in the previous week. After the cross taping, all test items were measured again. For statistical analyses, SPSS 18.0 was used, an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level of change in the values obtained after the positive direction and those obtained after the negative direction,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he level of significance (α) was set at 0.05. The cross taping in the positive direction was shown to have led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muscle tone and significant enhancement of the grip strength and venous flow volume. The muscle thickness of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and flexor carpi radialis had significantly increased,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that of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The cross taping in the negative direction was shown to have led to a significantly increased muscle tone and significantly decreased grip strength and venous flow volume. The muscle thickness of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and flexor carpi radialis, as well as that of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Depending on whether the cross taping is applied in the positive or negative direction, the change observed for the muscle tone, grip strength, muscle thickness, and venous flow volume, was immediate with an actual influence on the results of the modified O-ring test. The findings in this study provide evidence to support the use of cross taping in the positive direction for the modified O-ring test in clinical practice. 테이핑은 탄력 테이핑(Elastic taping)과 비탄력 테이핑(Non-elastic taping)으로 나누어지며 비탄력 테이핑은 스포츠 테이핑과 크로스 테이핑(Cross Taping)으로 다시 나눌 수 있다. 그 중 크로스 테이핑에 사용하는 테이프는 크로스 형태의 맞교차된 4선과 3선의 늘어나지 않는 테이프가 직각으로 만나서 격자무늬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는 테이프를 사용한다. 테이프를 긴장된 반응점이나 경혈점(Acupuncture points)에 대부분 적용한다. 수정된 O-링 테스트(Modified O-Ring test)는 대상자에게 크로스 테이핑 적용 방향을 결정할 때 사용되는데 O-링 형태를 검사자가 양쪽으로 당겨서 손가락 굽힘의 강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더 강한 손가락 굽힘 반응이 나오는 것이 양성 방향으로 정의하고, 양성 방향은 근육 섬유 방향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4선을 45° 방향으로 배치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 방향에 대한 구별 없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손과 손목 굽힘근육의 중간 부위에 크로스 테이핑을 적용하고 방향에 따른 근육 긴장도(Muscle Tone), 악력(Grip Strength), 근육 두께(Muscle Thickness), 정맥혈류 속도(Venous Flow Volume)의 변화를 확인하여 크로스 테이핑 방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실험 참여에 동의한 20대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크로스 테이핑 적용 전 무작위 배정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은 크로스 테이핑 적용 전 무작위 순서로 근육 긴장도, 근육 두께와 정맥혈류 속도, 악력을 측정하였다. 그 후 한 그룹에는 대상자 기준 양성 방향(Positive Direction)으로 먼저 크로스 테이핑을 적용하고 다른 그룹에는 대상자 기준 음성 방향(Negative Direction)으로 크로스 테이핑을 적용하였다. 크로스 테이핑 적용 후 각 그룹에 테이핑 전 실시 했던 모든 항목들을 재측정하였다. 1주일 후 각 그룹에게 크로스 테이핑 적용 전 모든 항목들의 사전 측정을 실시하고 크로스 테이핑을 1주일 전의 반대 방향으로 적용하였다. 크로스 테이핑 적용 후 다시 모든 항목을 재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고, 양성 방향 적용 값과 음성 방향 적용 값의 전후 변화량을 비교분석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사용하였다. 유의수준(α)은 0.05로 정하였다. 양성 방향으로 크로스 테이핑을 적용하였을 때 근육 긴장도는 유의하게 감소 하였고 악력과 정맥혈류 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깊은손가락굽힘근과 노쪽손목굽힘근의 근육 두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근육 두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음성 방향으로 적용하였을 때는 근육 긴장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악력과 정맥혈류 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깊은손가락굽힘근, 얕은손가락굽힘근, 노쪽손목굽힘근의 근육 두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양성 방향과 음성 방향에 따라 크로스 테이핑 적용 시 즉각적으로 근육 긴장도, 악력, 근육 두께, 정맥혈류 속도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수정 된 O-링 테스트 결과에 실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임상에서 크로스 테이핑을 사용할 때 수정된 O-링 테스트의 양성 방향으로 적용해야 하는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 DAMBRK 模型에 의한 貯水池 崩壞 時 下流地域의 洪水 分析

        최현수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recent unusual changes in the weather, high-recording extraordinary storms that exceed the design frequency of hydraulic structures frequently occur, which causes inundation and overtopping, leading to the destruction of hydraulic structures and the loss of human life and property. For the recent natural disasters, as many of them exceed the design criteria and do not allow prediction and enough time to deal with the problem, the reality is that not much can be done to avoid the loss of human life and property in their wake. Thus, in this study, the inundation in the downstream area of the reservoir based on the assumption of the destruction of a reservoir as a representative hydraulic structure was analyzed using the DAMBRK mode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With the assumption that PMF and the flood discharge resulting from a dam breach flow in from the reservoir upstream, the flood discharge flowing in from upstream was estimated to reach 1,281 ㎥/sec for the 6 hours duration of rainfall and the maximum flood discharge resulting from the dam breach was 2,846 ㎥/sec under breach conditions, which was 2Hd-0.4 hr. Based on these conditions, a simulation of reservoir failure was conducted in this study. In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influence of the flood on the downstream area, the time that took the first flood to reach the downstream area located 3.2 km from the reservoir was 24 min, and approximately 1 hour for that located 6.0 km from the reservoir. 2.For the estimation of the reservoir failure outflow hydrograph, the breach flood discharge was estimated under 15 conditions, with 0.1-0.5 hr breach duration variation and within dam height scope of 1~3Hd. As a result of this estimation, the maximum flood discharge was within the 3 Hd-0.1 hr range and the minimum was within the 1Hd-0.5 hr range. The analysis of the flood in the downstream area of a reservoir revealed that from the reservoir to the downstream area, the increase in the flood discharge and level was reduced. It can thus be concluded that this result is due to the ease of geographic gratitude, the water-containing section expansion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lain and the pooling effect in midstream regions. 3.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breach flood discharge from a dam brea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undation depth and the inundation area in the downstream area can appear to be wide. The breach flood discharge is determined by the shape and size of the dam breach section, and the height of the dam is the main factor influencing it. In this research, the height of the dam, ranging from maximum to minimum, was applied. The height of the dam, however, differs at various points, and where a breach will occur in the whole dam cannot be precisely determined.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the mean height of a dam, under the aforementioned 15 conditions, it is reasonable to exclude the conditions of the mean width of the breach (Bm)-1Hd which the height of the dam breach section appears to be below one-third, and to apply the conditions of mean width of the breach (Bm)-2Hd, 3Hd which the height of the dam breach section appears to be above two-thi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