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치의 욕망을 심미적으로 전도(顚倒)시키는 회화표현에 대한 연구

        최지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Every misfortune originates from greed. Watching daily news reports, we frequently see that many accidents begin from one's greed, bringing misfortune to themselves and people in their surroundings. We shame those people while watching the news but, although it is not reported through the mass media, we curse and hurt other people because of our greeds. However, at the same time, such greed is the evidence of our existence and the eternal energy of life. My most personal and endless desire relates to private space that is pleasant and comfortable. It may be a desire of extravagance, and it is an excessive desire, not a condition necessary for living. However, my ceaseless craving for private space lead to abhorrence towards the present space along with mental pain. This is the most inferior desire that is considered as an operation of mental consumption most uncalled for in my life. Therefore, appropriate measure for interception of personal desires impeding happiness of life is needed. The common desires are caused by one's inner elements. However, I believe that the primary cause which stimulate and encourage to discriminate such desires is fetishism of today. Nowadays, advertisements that are sensationally sophisticated, provocative phrases of overflowing magazines, produced photographs of advertisements, marts that are becoming bigger, show-windows of shopping departments and etc are stimulants of our senses, being seen, heard, touched and felt irrespective of time and space. Out of all such stimulants, to me, who is over-obsessive about private spaces, pictures of spaces that are made to look comfortable mostly arouse the desire of extravagance and bring constant dissatisfaction toward the space in which I am present. Photography of today lies in the territory of art,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tool of recording facts and also a form of play. We are living at an era where it is flooding with images and visual elements have become important. The photographs of advertisements which have been produced to look attractive has their purpose on the viewers, thereby stimulating our desires. They accomplish their duty of alluring consumers because photographs confirm the fact that they 'really exist'. My works from 2006 to 2007 adopted scenes of produced photographs that urge desires. Objects in the scenes which stimulate desires are edited into individual photographs and undergo through process of becoming unreal by turning into paintings. The view point which observes the materials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works of other artists who reflect time by adopting commercial images within prosperity of material production and consumption. The choice of colors and the method of expression used in my work possess the element of deleting the temptation factor of objects and emancipating from its original purpose. Color is the most dangerous element of temptation, therefore, the original magnificent colors are removed. Paintings are expressed in black, which means temperance, death and limitless space, with white, the part which have been erased, or blue, which means depression, sorrow and coldness, with white, the part which have been erased. The white part of the hollow-looking objects that have come to the front plays the role of something similar to a depressant. The plane surface which is filled with black or blue is erased with oil when it is in sticky and fluid condition. This process repeats the thought of erasing the object of desire, which needs to be erased in the mind, thereby hypnotizing my self, and the limited time of work extricates me from other earthly thoughts. Objects shown as a result appear strong without the seductive elements, free from the original purpose known as promotion for consumption. The erased part is empty but as it clearly reveals itself, it signifies as something similar to portraits. It resembles actual objects, however, it is changed into another false image, different from the real one. Eyes that head toward the object slide and bounce off from the smooth surface but there is no sense of deprivation, frustration or inferiority which we feel when facing with photographs of advertisements. The scenes that have become unreal are no longer objects of seductive possession but achieves independent meaning as an object of aesthetic. This thesis studied on the methods of expression and elements needed to converting the original purpose, which stimulate desires, into aesthetic objects by portrait-fying the objects, and self-hypnosis of controling and emptying infinite desires through the process of painting the produced scenes that are encouraging. Through this process, I hope to construct my own unique world of art. 모든 불행은 욕심으로부터 시작된다. 연일 보도되는 뉴스를 보면 많은 사건들이 욕심에서 시작되어 본인과 주변 사람들까지 불행하게 만드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우리는 뉴스를 보면서 그들을 탓하지만 보도되지 않을 뿐 우리는 늘 욕심 때문에 누군가를 미워하고, 상처를 주고받는다. 그러나 동시에 이러한 욕심은 살아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며 영원히 계속되는 삶의 에너지이기도 하다. 본인의 욕심 중 가장 사사로우면서도 끊임없는 욕망은 쾌적하고 안락한 개인적 공간에 대한 것이다. 이것은 사치의 욕구라고도 할 수 있으며 이는 삶을 살아가기 위한 필수조건이 아닌 여분의 욕구이다. 그러나 본인의 개인적 공간에 대한 끊임없는 갈망은 정신적인 고통과 함께 현재의 공간에 대한 증오로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이것은 본인의 삶에서 가장 불필요한 정신적 소모 작용으로 여겨지는 저급한 욕망이다. 그렇기에 사사로운 욕망이 삶의 행복을 저해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우리는 적절한 대책이 필요하다. 세속적 욕망의 원인은 사람들의 내면에도 그 요인이 있지만 그것을 자극하고 부추기며 차이를 느끼게 하는 현 시대의 물신(物神)주의가 가장 원색적인 요인이라고 여겨진다. 놀라울 정도로 세련된 광고와 넘쳐나는 매거진의 자극적 문구, 연출된 사진 광고, 점점 대형화 되는 마트나 백화점의 쇼윈도 등 요즈음의 광고는 장소와 시간에 관계없이 보여지고, 들려지고, 만져지고, 느껴지는 오감(五感)자극제이다. 그 중에서도 개인적 공간에 유독 집착하는 본인에게 안락한 공간을 연출한 사진은 가장 사치의 욕망을 불러일으키며 현재 자신이 가지고, 속한 공간에 대한 끊임없는 불만족을 유발시킨다.. 오늘날의 사진은 예술의 한 영역이기도 하고 사실을 기록하기 위한 도구이기도 하며 놀이이기도 하다. 우리는 시각적인 요소가 매우 중요해진 이미지의 홍수 시대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특히 매력적으로 연출된 광고 사진은 그 목적이 보는 사람을 유혹하는데 있는 만큼 우리의 욕망을 자극한다. 그것은 사진이 가진 ‘실제로 존재함’을 확신시켜주는 이유로 소비자를 유혹하라는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달성해 낸다. 2006년부터 2007년으로 이어지는 본인의 작품들은 욕망을 부추기는 연출된 장면의 사진을 차용하고 있다. 욕망을 자극하는 장면 속의 대상은 독사진(獨寫眞)의 형태로 편집되어 비실재(非實在)적으로 전도(顚倒)되는 회화화(繪畵化) 과정을 거친다. 물질의 생산과 소비의 풍요로움 속에서 상품이미지를 차용하여 시대를 반영한 다른 작가들의 작품들과는 물질을 바라보는 시각에서 차이를 두고 있다. 본인의 작품은 색의 선택과 표현기법에서 대상의 유혹적 요소를 삭제시키고 본래 목적으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한 요소를 가진다. 색은 가장 위험한 유혹의 요소이므로 화려한 본래의 색채는 배제된다. 작품은 절제와 죽음, 무한한 공간의 의미를 가지는 검정색과 지워낸 자리의 흰색 또는 우울함, 슬픔과 차가움의 푸른색과 지워낸 자리의 흰색으로 표현된다. 대상이 드러난 텅 빈 느낌의 흰색은 진정제와 같은 역할을 한다. 검정색 또는 파란색으로 가득 채워진 화면은 물감이 끈적끈적하고 유동적인 상태에서 기름으로 지워진다. 이 과정은 마음에서 지워내야 할 욕망의 대상을 지워낸다는 생각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자기 최면을 걸고, 한정된 작업 시간은 다른 잡념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결과적으로 드러난 대상은 유혹적 요소를 잃은 경건한 모습으로 소비의 촉 진이라는 본래의 목적으로부터 벗어나 있다. 지워낸 자리는 비어있지만 또렷하게 드러나면서 마치 초상화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실재하는 대상과 닮았지만 실제와는 다른 허상으로 변화된 것이다. 대상을 향한 시선은 매끈한 표면에서 미끄러지고 튕겨져 나오지만 광고사진을 대할 때 느끼는 박탈감이나 좌절, 열등감은 없다. 허상이 된 장면들은 더 이상 유혹적인 소유의 대상이 아닌 심미적 대상으로 독립적 의미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은 본인을 자극하는 연출된 장면을 회화화(繪畵化) 하는 과정을 통해 무한한 욕망을 조절하고 비워내는 자기최면을 걸고, 대상의 초상화화(肖像畵化)를 통해 욕망을 자극하는 본래의 목적으로부터 심미적 대상으로 전도(顚倒) 시키고자 하는 표현 기법과 요소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인의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 Chromium methionine chelate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증식, 분화와 transcription factor발현에 미치는 영향

        최지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Cr은 glucose tolerance factor로서 당대사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혈중지방대사물질의 변화와 체지방의 변화와 같은 지방대사에 영향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Cr이 어떻게 지방 대사에 영향 하는지에 대하여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세포수준에서 지방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r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는 생쥐(mouse)의 배아(embryo)로부터 분리한 세포로, 이들이 지방세포로 분화하기 때문에 지방세포분화를 연구하는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를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배양액에 10% bovine serum(BCS)를 섞어서 배양용기에 꽉 찬 상태까지 배양했고, 세포 seeding 6일 후에 호르몬(insulin, dexamethasone, isobutyl - methylzanthine) 을 처리해서 세포분화를 유도했다. 그 후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는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활성도에 의해 측정했고, Oil red O 염색으로 세포 내 지질방울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였고 지방전구세포의 증식은 MTT 방법을 통해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지방세포로 분화시 분화를 조절하는 대표적인 전사인자인 PPARγ, C/EBPα와 지방특이지표유전자인 FAS, LPL, aP2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Cr은 50ppb Cr-Met와 Cr-Pic를 사용하였으며 세포를 seeding하고 이틀 뒤부터 첨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Cr 첨가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 대한 지방세포의 증식과 분화에는 차이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전사인자와 지방특이유전자의 mRNA 발현량도 Cr 무첨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r의 지방대사 조절은 지방세포의 증식과 분화와는 연관성이 높지 않음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Cr에 의한 지방대사 조절의 기전은 오히려 지방의 축적량 조절과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Chromium has emerged as an essential trace mineral in nutrition. Chromium has a role in carbohydrate and lipid metabolism. A number of studies have evaluated the effect of Cr on glucose tolerance and insulin regulation that associated with lipid metabolism. However, the exact mechanism of lipid metabolism is not known yet. This in vitro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chromium on th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 in 3T3-L1 preadipocyte. 3T3-L1 cell is a well-established cell line derived from mice embryo and the differentiate into adipocyte. This cell was plated in Dulbecco's modifed Eagle's medium(DMEM) plus 10% bovine serum(BCS). After six days, the cell was plated, and induced to differentiate by hormone treatment (day0) [insulin, dexamethasone and isobutyl-methylzanthine]. Differentiation of the 3T3-L1 cells were determined by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activity and was monitored morphologically with Oil red O staining. Proliferation of the 3T3-L1 cell was determined by MTT assay. And,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PPARγ, C/EBPα) and fat specific marker gene(FAS, LPL, aP2) in 3T3-L1 preadipocyte were also measured. There were no (p>0.05) significant differences on proliferaton and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 among Cr treatment. There were either no (p>0.05) differences on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 and fat specific marker gene in 3T3-L1 preadipocyte among Cr trea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ere could be no effect of Cr on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in 3T3-L1 preadipocyte. Therefor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action of Cr in lipid metabolism was associated with adiposity tha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adipocyte.

      • 장마전선상의 하층제트 유입으로 인한 집중호우에 관한 연구

        최지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general, heavy rainfall in Korea is mostly associated with inflow of 850hPa low-level jet. It transports abundant heat and moisture flux to the Changma front. In this study, synoptic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in Korea from a case study is examined by classifying heavy rainfall cases with synoptic patterns, in particular distribution of upper- and low-level jets, western North Pacific high, and moisture flux. The surface and upper-level weather charts including auxiliary analysis chart and radar and satellite images obtained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500hPa geopotential heights from NCEP/NCAR are used and then KLAPS is applied to understand the local atmospheric structure associated with heavy rainfall. Results show that maximum frequency in 60 heavy rainfall cases with more than 150mm/day appears in the Changma type of 43 cases (a proportion in relation to a whole is 52%) including the combined Changma types with typhoon and cyclone. As indicated in previous studies, most heavy rainfall cases are related to inflow of low-level jet. In addition, synopt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es of weather charts, radar and satellite images, and KLAPS in heavy rainfall case of 12 July, 2009 reveal that the atmospheric vertical structure in particular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favorable for effective inflow of warm and moist southwesterly into the Changma front is linked to large potential instability and the strong convergence accompanied with low-level jet around Suwon contributes to atmospheric upsliding along the Changma front, producing heavy rainfall.

      • 거리공간의 완비성에 대한 연구

        최지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We prove that finite dimensional euclidean space ℝ is complete with respect to both usual metric(euclidean metric) and square metric. Moreover, we prove that infinite dimensional euclidean space ℝ is complete with respect to the uniform metric. We study the compactness of metric space and prove the main theorem called Ascoli Theorem. 우리는 유한차원 유클리드 공간인 ℝ에 usual metric(euclidean metric) 과 square metric이 주어져 있을 때 완전함을 증명한다. 또한 무한차원 유클리드 공간인 ℝ도 unifom metric에 대하여 완전함을 보인다. 우리는 거리공간의 compact성에 대해 공부하고 Ascoli 정리라 불리는 주요한 정리를 증명한다.

      •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 베이스의 표면 처리에 의한 bonding/debonding 특성제어 및 효과

        최지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심미에 대한 환자 및 술자의 기대가 증가함에 따라 교정 영역에서 세라믹 브라켓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라믹 브라켓의 장점을 활용하고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재료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강도와 투명도가 우수한 세라믹 브라켓의 디본딩 특성 개선 및 향상을 위한 것으로 디본딩 특성 향상을 위해 제안된 표면 처리의 효과 및 영향에 대하여 표면 처리 면적을 인자로 고찰하였다. 이 실험의 목적은 브라켓의 개발 과정 중 새로운 베이스 처리 방법을 사용한 단결정 세라믹 브라켓의 임상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에 사용한 세라믹 브라켓은 사파이어 단결정 소재를 출발 원료로 하여 절삭 및 연마공정을 통하여 준비하였고, 기계적 유지 구조를 부여하기 위한 표면 처리를 시행하였다. 베이스 그래뉼 코팅은 그래뉼 분산 및 도포, 융착 열처리 공정을 통해 이루어졌다. 표면 처리 면적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그래뉼 분사 면적을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8 종류의 브라켓을 제작하였다(0, 20, 30, 40, 50, 60, 80, 100%). 레진 인공 치아 88개와 통상적 치료 과정에서 발거된 상악 소구치 88개를 각 8군으로 분류하였다. 치관의 협면 중앙에 레진 인공 치아는 샌드블라스팅, 자연 치아는 37% 인산 산부식으로 전처리 하였다. 제작된 8개 군의 브라켓 베이스 표면에 adhesive agent, adhesive resin paste 적용 후 치면에 접착, 여분의 레진을 제거하고 광중합 하였다. 브라켓의 접착면이 전단력 측정 기구의 작용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치근 부위를 레진 몰드에 고정하였다. 전단 결합 강도 측정기의 cross head speed는 0.5mm/min 으로 설정하였다. 브라켓 제거 후 분리된 치아 표면을 관찰하였다. 잔여 레진의 양을 ARI 지수로 기록하고, 브라켓 파절 여부 및 자연 치아의 표면 손상 여부를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전단 결합 강도는 자연 치아의 경우 50% 군에서 8.09±2.66 MPa, 60% 군에서 8.68±2.87 MPa 로, 임상적으로 적용 가능한 브라켓의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었다. ARI 측정 결과 레진 인공 치아와 자연 치아에서 유사한 분리 양상을 보였으며, 표면 처리 면적이 넓을수록 잔여 레진의 양이 감소하였다. 브라켓 파절은 불특정한 4개의 시편에서 발생하였다. 자연 치아의 표면 손상 관찰 결과, 전단 결합 강도가 과도하게 나타난 80%와 100% 군에서 일부 치아의 에나멜 손상이 관찰되었다. 세라믹 브라켓의 제작 과정에서 다양한 요소의 조절을 통해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표면 처리 면적 비율 조절로 접착 강도 및 디본딩 양상을 알아보는 실험을 시행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50, 60% 군이 임상적으로 활용 가능한 범위내의 전단 결합 강도 및 디본딩 양상을 나타내었다. 표면 처리 면적을 세분화한 부가적인 실험이 가능하며, 다양한 인자 조절을 통해 임상에 활용 가능한 우수한 성질의 세라믹 브라켓 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 한국 야생 너구리에서 광견병 바이러스의 당단백질과 핵단백질을 발현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의 적용

        최지영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견병은 매우 치명적인 인수공통전염병으로, 광견병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모든 온혈동물에 발생할 수 있으며 사람은 주로 광견병에 걸린 동물로부터의 교상에 의해 감염된다. 한국에서는 특히 야생 너구리가 광견병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너구리에 대한 광견병 예방 조치가 매우 중요하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아데노바이러스를 벡터로 하여 광견병 바이러스의 당단백질과 핵단백질을 발현하는 재조합 백신을 한국 야생 너구리에 적용했으며 백신의 접종 경로에 따른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조사하였다. 광견병 바이러스의 당단백질과 핵단백질을 발현하는 재조합 아데노바이러스 (Ad-0910G, Ad-0910N)가 adenoviral system에 따라 제작되었고, 293A 세포 (Human Embryonic Kidney Cell)에서 증식되었다. Ad-0910G와 Ad-0910N을 3 : 1로 혼합하여 만든 백신을 1년령의 너구리에 근육 주사 또는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너구리는 백신 접종 전에 실시한 광견병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검사에서 결과가 음성 (< 0.1 IU/mL)으로 판단된 개체만을 선별하였다. 백신 접종 0주, 2주, 4주, 6주 후 채혈하여 혈청에서 광견병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 항체 (Virus Neutralizing Antibody, VNA)를 측정했고, 혈청 내의 VNA 수치가 0.1 IU/mL 이상이면 백신에 의해 면역 반응이 유도된 것으로 평가하였다. 아울러 연구 전체 기간 동안 너구리의 임상 증상 여부도 관찰되었다. 실험 기간 동안 모든 너구리에서 백신 접종에 의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근육 주사군 (n = 7)은 백신 접종 2주 후 VNA 평균이 36.37 IU/mL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반면, 경구 투여군 (n = 10)은 접종 6주 후까지 70% (7/10)만이 VNA가 증가했고 근육 주사군에 비해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대조군 (n = 4)의 VNA는 변화가 없었으며 모두 0.1 IU/mL 미만으로 면역 반응이 유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에 의해 군 별 VNA는 p < 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근육 주사군의 VNA가 경구 투여군과 대조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Ad-0910G와 Ad-0910N의 혼합 백신은 모든 너구리에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았고, 근육 주사를 통한 백신 접종에서 광견병에 대한 VNA가 높은 수치로 생성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Ad-0910G와 Ad-0910N은 너구리에 안전하고, 광견병 바이러스에 대한 중화 항체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된다. Rabies is one of the most lethal zoonotic disease, caused by infection with the rabies virus (RABV). All warm blooded species, including human can be infected with RABV. Most of human rabies occur by bites from rabid animals. In South Korea, especially raccoon dogs have played a key role in transmitting rabies since 1993. Accordingly, preventative measures against raccoon dogs have to be strengthened.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two recombinant adenoviruses expressing the glycoprotein or nucleoprotein of the rabies virus. We then investigated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these strains in raccoon dogs, depending on inoculation route. Recombinant adenoviruses expressing the glycoprotein (Ad-0910G) or nucleoprotein (Ad-0910N) of RABV were constructed in 293A cells using an adenoviral system. One-year-old raccoon dogs underwent intramuscular (IM) inoculation or oral administration of the recombinant Ad-0910G and Ad-0910N. Clinical symptoms were observed and virus-neutralizing antibodies (VNA) against RABV were measured at 0, 2, 4 and 6 weeks after the vaccination. Raccoon dogs were considered positive if VNA titers were ≥ 0.1 IU/mL. All raccoon dogs did not exhibit any clinical sign of rabie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All raccoon dogs (n = 7) immunized through IM showed high VNA titers (mean 36.37 IU/mL) at 2 weeks after inoculation. On the other hand, 70% (7/10) of raccoon dogs administered viruses via the oral route slightly responded by 6 weeks after administration against RABV. All raccoon dogs (n = 4) that non-vaccinated showed < 0.1 IU/mL (0.07 IU/mL) VNA titers and were considered negative. When p < 0.05, VNA tit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M route group compared to that in the oral route group and control group. In conclusion, raccoon dogs inoculated with Ad-0910G and Ad-0910N showed no adverse effects. Vaccination via the IM route showed high VNA titer against RABV. These result suggest that immunization with the combined Ad-0910G and Ad-0910N to Korean raccoon dogs may be safe and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inducing VNA against RABV in raccoon dogs.

      • 중국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 연구

        최지영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국 베이징 소재 한국국제학교 12학년 학생들의 한자어 어휘 지식을 크기와 깊이의 측면으로 나누어 측정하고,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의 한자어 어휘력이 국어·중국어 능력과 관련되는지, 중국 이주 연령 및 학습 이력과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은 다양한 언어 능력과 학습 이력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어를 제1 언어(L1)로 사용하면서 영어와 중국어를 구사할 줄 아는 삼중언어자(trilingual)인 경우가 많다. 이들은 중국어를 L1으로 사용하는 조선족이나 영미권에 거주하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자와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의 언어 능력을 고찰한 연구는 거의 없다. 어휘력은 일반적으로 읽기 능력과 관련되고 학업 능력에도 영향을 미쳐 어휘력이 부족할 경우 학습 부진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높다(우정한 외, 2017; 이희란, 2017; 조영희·고혜정, 2015; 허명진·박찬희, 2017). 한국국제학교 졸업생들은 대부분 한국 대학으로 진학하기 때문에 이들의 한국어 어휘력은 대학에서의 수학 능력과도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대학 수준의 고급 어휘가 대부분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한자어를 얼마나 폭넓게 잘 알고 있느냐가 중요하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으며 연구 문제를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본고의 논의와 관련된 선행 연구는 이중언어자의 어휘력 연구와 어휘력의 관련 변인 연구로 나뉜다. 먼저 이중언어자의 어휘력을 살핀 연구를 재중 한국어 화자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이중언어 어휘 평가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학습자 변인과 관련하여 다중언어 어휘 습득에서 나타나는 교차 언어적 영향(cross-linguistic influence)을 논의한 연구를 살펴보고, 어휘 습득과 관련된 여러 가지 변인 간의 관계를 살핀 연구를 검토하였다. 연구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1)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이 가진 한자어 지식의 크기와 깊이가 국내 고등학생의 한자어 지식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2)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과 관련된 학습자 변인을 고찰하는 것이다. Ⅱ장에서는 본고의 논의와 관련되는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첫 번째로 어휘력의 개념을 어휘의 크기와 깊이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두 번째로 어휘력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어휘 측정 도구들을 살펴보고 타당성과 적절성을 검토하였다. 세 번째로 다중언어 어휘 습득과 관련한 쟁점을 고찰하고 한국어의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교차 언어적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자어와 중국어 단어 사이의 동형 및 이형 관계를 살펴 두 언어 사이의 어휘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어휘력과 관련되는 변인을 이주 연령 및 거주 기간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설계와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의 절차를 밝히고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실시한 두 차례의 예비 조사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실험 참여자의 특성과 연구에 사용된 평가 어휘 목록 및 한자어 어휘 측정 도구를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지의 내용과 자료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첫 번째로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의 한자어 어휘력을 측정하였다. 어휘력 측정은 어휘 지식의 크기 측정과 깊이 측정으로 구분된다. 어휘 크기 측정은 얼마나 많은 단어의 의미를 폭넓게 알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고, 깊이 측정은 어떤 단어의 의미를 얼마나 구체적으로 알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어휘 크기 측정에 사용한 도구는 Nation(1990)이 고안한 ‘어휘 수준 테스트(Vocabulary Level Test: VLT)’를 연구자가 한국어에 맞게 변용하여 작성한 것이었고, 테스트 어휘는 3급, 4급, 5급에 속하는 한자어 각 30개였다. 어휘 등급은 김광해(2003), 신명선(2004)을 기준으로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 ‘TOPIK 어휘 목록’ 등을 참고하여 결정하였다. 대학 진학을 앞둔 고등학생 수준에서 알아야 하는 어휘는 4급 어휘지만, 피험자가 가진 어휘 지식의 크기가 4급에 미치지 못하거나 4급을 뛰어넘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3급과 5급에 대한 테스트를 함께 실시하였다. 어휘 깊이 측정에 사용한 도구는 Read(2000)가 고안한 ‘단어 연상 테스트(Word Associate Test: WAT)’를 연구자가 한국어에 맞게 변용하여 작성한 것으로 테스트 어휘는 4급 한자어 30개였다. 어휘력 측정 결과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지식은 크기 면에서 국내 고등학생과 차이가 없었지만 깊이 면에서 국내 고등학생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이 국어 및 중국어 능력과 관련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한국국제학교 학생이 가진 다중언어 능력이 L1의 어휘력과 관련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한자어 지식의 크기와 깊이가 모두 국어과 학업 성취도와 양적 선형관계에 놓여 있었고 어휘 크기보다 어휘 깊이와의 상관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어 능력은 어휘 지식의 크기와는 상관성이 있었지만 깊이와는 관련이 없었고, 국어 능력과의 상관관계도 찾을 수 없었다. 중국어 능력과 한자어 어휘 크기 사이에서 상관성이 나타났으므로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 사이의 교차 언어적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발음·형태·의미 유사성이 어휘 크기 테스트 점수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발음 및 형태 유사성이 명시적으로 드러나도록 기존의 테스트에 한자를 병기하여 2차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한자를 병기한 테스트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상승했고 두 언어 사이의 발음이나 한자 형태 유사성이 단어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유사성이 클수록 단어의 1차적인 의미를 더 잘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중국 이주 연령과 학습 이력이 한국국제학교 학생들의 한자어 지식과 관련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어린 나이에 중국으로 이주한 학생이 늦게 이주한 학생에 비해 어휘 지식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이주 연령에 따른 그룹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주 연령에 따라 구분된 각 그룹과 국내 고등학생의 어휘 점수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부분적으로 도착 연령 효과가 발견되었다. 어휘 크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12세를 기준으로 초등 과정을 이수하기 전에 이주한 학생들은 국내 고등학생에 비해 어휘 깊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초등 과정을 이수한 후 이주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았다. 어휘 크기에서 이주 연령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지 않은 것은 모든 피험자가 일정 기간 한국국제학교에서 한국어로 공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 어린 나이에 이주한 피험자의 중국어 어휘 지식이 한자어 어휘 크기에 영향을 준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어린 나이에 이주한 경우에도 가정에서 빈번하게 한국어를 사용하고 지역 사회에서도 한국어를 쉽게 접하는 등 한국어 습득에 긍정적인 요인이 많다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습 이력에 따라 한자어 어휘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시행하였다. 의사결정나무에서 어휘 크기 점수가 높은 피험자는 초등 시기에 국내에서 교육을 받고 중등 시기에 한국국제학교나 중국 공립학교를 다닌 학생이었다. 어휘 깊이 점수가 높은 피험자는 초등 시기에 국내 학교나 영어 국제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중등 시기에 한국국제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학생이었다. 반면 어휘 크기와 깊이에서 어휘 점수가 가장 낮을 것으로 예측되는 피험자는 초·중·고 과정을 모두 한국국제학교에서만 이수한 학생들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초등 시기에 일정 기간 국내에서 교육을 받는 것이 한자어 어휘 지식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 초·중등 시기에 적극적으로 다른 언어를 학습하는 것이 모국어 어휘 지식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요약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힌 다음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거주 한국인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을 고찰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를 통해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이 크기 면에서는 국내 학생과 차이가 없지만 깊이 면에서는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국국제학교 고등학생의 한자어 어휘력은 국어과 학업 성취도와 관련이 있었다. 그리고 중국어 능력이 한자어 어휘 습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다중언어 습득이 전반적인 언어 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중국 거주 한국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기초 연구로서 더 나아간 후속 논의의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no-Korean ability of 12 graders at the Korean International School in Beijing, China, by comparing it to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whether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Sino-Korean vocabulary ability is related to their Korean and Chinese abilities, and whether they are influenced by migration age to China and educational background. Students at Korean International School have multi language skills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y are often trilingual, speaking English and Chinese, while using Korean as their first language (L1).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ethnic Koreans who speaks Chinese as their L1 or from bilingual Koreans reside within England and America, and there are only few studies done to examine their language skills. Vocabulary ability are generally associated with reading skill and academic ability, which is likely to result in poor learning problems if there is lack of vocabulary knowledge. (Woo Jung-han et al., 2017; Lee Hee-ran, 2017; Cho Young-hee and Ko Hye-jung, 2015; Huh Myung-jin and Park Chan-hee, 2017). Since most of the graduates from Korean International School go on to Korean universities, their Korean vocabulary skill is an important issue that directly relates to academic learning ability. It is especially essential to know Chinese characters with breadth, as the college-level vocabulary are mostly consist of Chinese characters.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I describ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reviewed the preceding research, and summarized the research problems. The precedent research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original manuscript was done mainly in two parts. First, the study that examined vocabulary ability of bilingual compatriots was revised focusing on the ethnic Koreans living aboard. And the discussion of vocabulary measurement tools and evaluation methods for bilingual users was reviewed. Second, the analysis was done on study that discuss the vocabulary acquisition of multi-language users and the resulting cross-lingual impact. And the analysis was done on the study on variables involved in vocabulary acquisition of bilingual user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largely established in three ways: (1)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breadth and depth of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and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2) Does the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correlate with their Korean and Chinese skills? (3) Does the migration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ffect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Chapter II outl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ssociated with the discussion of original manuscript.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 1, the concept of vocabulary ability was first inquired by dividing it by breadth and depth of the vocabulary. Second, the measurement tools to evaluate vocabulary ability were checked, and as well as its validity and appropriateness. Then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 2, the issues associated to acquisition of multi-languages was observed, along with cross-lingual impacts that may arise between Sino-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Research was done particularly to identify lexical similarity between the two languages by studying the correlation between identically-shaped Sino-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and differently-shaped Sino-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Finally, the variables related to vocabulary ability was reviewed in relation to research questions 3, focusing on migration age and length residence. Chapter III describes research design and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 procedures were revealed and two preliminary surveys were introduced previously to the full-scale study. It also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iment participants and the evaluation vocabulary list and vocabulary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study. Finally, it describes the content of the survey and data analyzation techniques. Chapter IV describes the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English, Chinese abiliti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vocabulary skills. Vocabulary skill measurements are largely divided into breadth measurement and depth measurement. A vocabulary breath measurement evaluates how broadly one knows the meaning of a word, and a depth measurement evaluates ow specific one knows the meaning of a word. In this study, the tool used to measure vocabulary breadth was written by the researchers using a Korean adaptation of the ‘Vocabulary Level Test: VLT’ schemed by Nation (1990), and the test vocabulary was 30 Sino-Korean characters each belonging to Level 3, Level 4, and Level 5. The vocabulary level was decided based on Kim Kwang-hae (2003) by referring to Shin Myung-sun (2004), “Vocabulary list for learning Korean,” and “TOPIK vocabulary list”. While the vocabulary level required at high school for college entrance was Level 4, the tests were as well conducted on Level 3 and 5 because the breadth of the subjects’ vocabulary knowledge could possibly fall short or exceed Level 4. The tool used to measure vocabulary depth was written by researchers changing Korean adaptation of ‘Word Associate Test: WAT’ schemed by Read (2000), and the test vocabulary was 30 Sino-Korean characters in Level 4. Vocabulary ability tests showed that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knowledge of Sino-Korean words did not differ from that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breadth, but they lacked in terms of depth. Next, the research focuses on whether Sino-Korean ability of the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 is related to their Korean and Chinese ability. The study showed that breadth and depth of knowledge in Sino-Korean ability were both placed in a quantitatively linear relationship with Korea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vocabulary depth was more correlated than the vocabulary breadth. Chinese ability was related to breadth of vocabulary knowledge, but not depth, and could not found relativity with Korean or English ability. More studies were done to see whether similarities in pronunciation, form, and meaning between Sino-Korean and Chinese vocabulary affect the vocabulary test scores. A second test was conducted with Chinese character written in prior vocabulary breadth test to clearly show similarity in pronunciation and form. As a result, the scores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test of written Chinese character, and pronunciation and similarity in Chinese form between two languages helped to comprehend the meaning of the words. Besides, it turned out that more similarity they have, the better the subjects were at grasping the primary meaning of the word. The following research checked on whether the migration age and educational history in China affected Korean International School students’ Sino-Korean knowledge. Students who move to China at an early age were expected to lack knowledge of Sino-Korean due to relatively low exposure to Korean, yet no correlation was shown.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Chinese vocabulary knowledge of subjects with Chinese ability affecting their Sino-Korean vocabulary ability. Lastly, decision making tree was portrayed to see if there are any differences in Sino-Korean vocabulary ability depending on the history of education. Subjects with high vocabulary score in decision making tree were exposed to Korean and Chinese during their elementary period in either Korean International School or Chinese School, and they received domestic education or attended English-speaking international schools in middle school. Whereas subjects with low vocabulary score only studied at Korean International School throughout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Not only does this suggests that receiving Chinese education during elementary period gives positive effect on Sino-Korean vocabulary knowledge development, but receiving education only at the Korean International School can rather limit the development of Sino-Korean knowledge. Finally, Chapter V summarizes the study results, identifi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n describe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is the primary study to examine the Sino-Korean abilit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China. Study has confirmed that Sino-Korean vocabulary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n International School relates to their Korea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hat their Chinese ability can affect the acquisition of Sino-Korean vocabulary. There are barely any studies conducted on their Korean ability, with a significant number of Korean students residing in China and most of them entering Korean universities after graduation. The hope for this study is that, as a primary study of Korean students residing in China, it will serve as a basis for further discussion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