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팔티도 알토(Partido Alto)가 변형된 재즈피아노 리듬 연주 기법 연구 : 엘리아니 엘리아스(Eliane Elias)곡을 중심으로

        최주영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Partido Alto is one of very important rhythmic patterns, which is indispensable in Samba a musical genre of Brazil. This is a phrase found in asymmetric arrangement of notes and rests and creates harmonious and independent rhythms. This can diversify musical grooves and make a new musical flow. Eliane Elias is a representative musician, who mixes Brazilian music with jazz when performing. Especially, she expressed novel and unique playing techniques using Brazilian rhythms, including Partido Alto. This paper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and the introduction explains the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The body introduces Partido Alto, which is a rhythm of Brazilian music and analyzes 17 remakes of Elias focusing on transformed Partido Alto used in these 17 songs. The analysis results displayed that transformed Partido Alto performed by Elias changed the positions of syncopation and accent through rhythmic rearrangem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weak beat accent and this diversified the new flow of chord progression.These analysis and research results were applied to 3 remakes without Partido Alto, 1 song that is similar to the melodic structure of Brazilian music and 1 researcher’s own song for reinterpretation. There was a limit in obtaining objective results due to over 300 songs that made it hard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ransformed Partido Alto used by Alias. It is thought that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is study can discover other various transformation techniques. Eventually, this will serve as data to help musicians develop their own individual rhythmic transformation techniques. 팔티도 알토(Partido Alto)는 브라질음악 장르인 삼바(Samba)에서 빠질 수 없는 아주 중요한 리듬패턴 중의 하나이다. 음표와 쉼표의 비대칭 배열속에 나타나는 프레이즈 그 자체로, 조화롭고 독자적인 리듬을 만들어 내고 이는 음악의 그루브를 다양하고 새로운 흐름으로 만들어낸다. 엘리아니 엘리아스(Eliane Elias)는 브라질음악을 바탕으로 재즈와 융합하여 연주하는 대표적인 연주자이다. 특히 팔티도 알토를 포함하여 브라질 리듬을 사용하여 새롭고 독창적인 연주기법을 표현하였다. 본 논문은 팔티도 알토를 연구하고, 엘리아스의 곡중 리메이크곡을 선정하여 그 곡들의 최초수록곡을 포함한 17곡에 사용된 변형된 팔티도 알토 구조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엘리아스가 연주한 변형된 팔티도 알토는 약박자 강세의 위치에 따른 리듬적 재배치로 인해 당김음과 강세의 위치가 바뀌며, 이로 인해 나타나는 새로운 흐름의 화성 진행의 다양성을 이끌어 내었다. 이렇게 분석하고 연구한 내용을 팔티도 알토가 들어가 있지 않은 리메이크곡 3곡과, 브라질 음악 선율의 구조와 비슷한 가요 1곡, 자작곡 1곡에 적용하여 새롭게 재해석 하였다. 그리고 엘리아스의 연주곡에 나타난 변형된 팔티도 알토의 사용기법을 통해, 피아노에서의 리듬연주 기법의 다양성을 제시하였다.

      • 김유정 소설 연구

        최주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김유정의 생애와 그의 소설이 어떠한 연결고리를 가지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그의 소설에 드러난 해학성과 작가의 콤플렉스와 양가감정, 성매매의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 교과과정 텍스트로서의 김유정 소설이 지니는 한계성과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한 작가의 문학적 특질은 작가의 작품세계를 다양한 면에서 연구해야 얻어질 수 있다. 그런데 김유정과 그의 소설은 주로 192,30년대의 시대 상황과 관련지어 연구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김유정과 그의 작품에 대한 더욱 깊고 넓은 이해를 시도해보고자 작가의 삶의 모습이 작품에 어떻게 투영되어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2장에서는 어머니의 부재, 연애의 실패, 형과 누이와의 단절 등 작가의 삶에서 결핍된 부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가의 결핍은 작품을 창작하고자 하는 심리로 이어져 그의 불행한 삶은 작품을 더욱 풍요롭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현실에서 충족되기 어려운 욕구를 작품에서 충족시키고자 한 예술가의 일반적인 심리는 김유정도 마찬가지였다.3장에서는 작품에 드러난 자전적 요소와 해학성, 성매매의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김유정의 작품에는 무지하고 어리숙한 주인공의 모습이 해학적으로 드러난다. 작가는 암울한 시대를 살던 하층민들의 삶의 모습을 해학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아픈 곳을 더욱 아프게 꼬집어내고 있는 것이다. 김유정은 어머니에게도 이성에게도 사랑받지 못하는 삶을 살았는데, 이는 여성에 대한 콤플렉스로 이어져 작품의 남주인공들의 행동 패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희화화된 무기력한 남주인공, 또는 여성을 마음대로 조종하는 남주인공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이는 작가의 현실 속에서 여성과의 관계에서 축적된 욕구불만이 표출된 증거로 볼 수 있다.4장에서는 교과과정 텍스트로 활용되고 있는 작품인 ‘봄봄’과 ‘동백꽃’이 어떠한 방식으로 교육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현재의 교육 방법이 지니는 한계성에 대해서 생각해보았다. 현 교과과정에서 김유정 소설의 감상의 주안점은 서정성과 해학성이다. 교과과정에서부터 김유정에 대한 고정적인 시각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교과서는 학습자에게 절대적인 위치에 있으며 교과서를 통하여 배운 것은 같은 작가의 다른 작품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준거 역할을 한다. 즉, 김유정 작품에 대한 최초의 인식이 되는 교과서를 통한 학습은 김유정을 ‘서정성을 지닌 해학작가’라는 틀 속에 가두게 된다. 이러한 한계성은 김유정 소설이 보여줄 수 있는 많은 것들을 놓치게 만든다. 그리하여 그가 살던 시대와 그의 삶이 작품을 형상화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해 생각해보게 만드는 학습과제가 요구된다. 이는 주요 학습과제로 제시되어 있는 해학성과 표현방법 등을 학생들로 하여금 더욱 자연스럽게 내면화 할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matter of connection between Kim, Yu-Jeong''s life and his novels. It is to examine the wit, a complex as an author, and the matter of prostitution on his novel. In addition, this paper aims at making a study of the limitation of his novel as a text in a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s and also suggesting an alternative.The characteristic of an author can be perceived by various studies on his literary works. Kim, Yu-Jeong and his novels were being studied in relation with the circumstances of 1920~30''s. In this paper, I examined how the aspect of the author''s life expressed on his novels to understand his works thoroughly.In chapter 2, I studied about the lacks, for example, of his mother, a failure in love affair, and a severance between his brothers and sisters. These kind of lacks are connected to a desire for his writing novels. Besides, his unfortunate lif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king his works richer. His wishes for being satisfied on his novels are the same as other writers, even though those wishes will be hardly realized in real lives.In chapter 3, I studied an autobiographical point of view, the matter of the wit, and that of prostitution. Kim, Yu-Jeong describes his innocent and dull heroes and heroines humorously in his works. He shows us the bitterness of the lower classes'' lives in the colonial period conversely through his humorous expressions. Kim, Yu-Jeong lived without his mother''s love and was never loved by women. It made him get a complex to a woman and had a effect on the patterns of heroes in his novels. He described some heroes as spiritless men humorously and others as dictators in their family lives. These are clear proofs of his unsatisfied desires in connection with women.In chapter 4, I studied how ‘봄봄’ and ‘동백꽃’ in curriculums were used as texts and considered the limitation of current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In current curriculums, the main points of teaching are lyricism and humor. Students'' fixed ideas are to made in this way. A textbook has its own authority and makes the students believe all descriptions are true. Therefore a textbook has the power to play a important role as a standard among students. In other words, students cannot but regard Kim, Yu-Jeong as ''a lyrical writer with humor'' by this kind of education. The limitation like this makes students miss so much important facts and less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students think about the way how the author''s life and circumstance were connected with his works. In this way, students can learn the sense of humor and the way of expression which were presented as the objects of a study.

      • 병원 방사선 작업 종사자의 방사선 노출이 기능성 소화불량과 과민성 장증후군의 유병에 미치는 영향

        최주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기능성 위장질환의 정신사회적 요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물리적 인자인 방사선도 면역체계에 영향을 주어 과민성 장증후군을 유발한다는 주장이 있다. 본 연구는 방사선 노출과 정신사회적 스트레스가 동반될 것으로 예상되는 의료기관의 방사선 작업 종사자들에서 기능성 소화불량과 과민성 장증후군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질병의 유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화여자대학교부속 목동병원에서 근무하는 방사선 작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가 보고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선량계를 이용하여 연간 방사선 노출량을 측정하였다.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와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를 이용하여 수면의 질과 스트레스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병원 방사선 작업 종사자에서 방사선 노출량, 스트레스의 수준 등이 기능성 소화불량과 과민성 장증후군의 유병과 연관이 있는지 분석 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70명(남성: 58.6%, 평균연령: 37±9세)의 연간 평균 방사선 노출량은 0.56 ± 0.92 mSv이었고, 기능성 소화불량과 과민성 장증후군의 유병률은 각각 31.4%, 22.9%이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의 유병과 연관된 요소는 높은 스트레스였다(교차비 6.37, 95% 신뢰구간 1.38-29.53). 과민성 장증후군의 위험인자에 대한 단변량 분석의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위험인자는 없었다. 연간 방사선 노출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상위 30%군(≥ 0.6 mSv)과 상대적으로 노출량이 적은 군(70.0%, <0.6 mSv)을 비교하였을 때, 양 군 간에 기능성 소화불량(28.6% vs. 32.7%, p=0.84)과 과민성 장증후군(19.0% vs. 24.5%, p=0.83)의 유병률의 차이는 없었다. 3년간의 누적 방사선 노출량을 확인할 수 있었던 48명을 대상으로, 3년 누적 방사선 노출량의 상위 20%에 해당하는 9.4 mSv 이상(10명) 군과 9.4 mSv 미만(38명) 군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양 군 간에 기능성 위장질환(30.0% vs. 31.6%, p=0.92)과 과민성 장질환(40.0% vs. 15.8%, p=0.09)의 유병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방사선 작업 종사자에서 기능성 소화불량과 과민성 장증후군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지는 않았고, 높은 스트레스가 기능성 소화불량의 발생과 연관이 있었다. Background and Aims: The importance of psychosocial factors has been emphasized as the cause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On the one hand, physical factors like ionizing radiation have been reported to generate symptoms of IBS. Health care workers inevitably become to encounter many physical hazards including ionizing radiation, and have an increased level of psychological disturban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of hospital radiation workers and also determine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those results. Methods: From June 2010 to May 2011, radiation workers who are working as technologists and nurses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ere recruited as subjects. Their whole body doses of radiation were evaluated using the electronic dosimeter. The prevalences of functional dyspepsia (FD)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were assessed by the validated bowel symptom questionnaire. The quality of sleep and stress levels were measured by using PSQ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nd BEPSI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Classifying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radiation dose, sleep quality, and psychological stress level, their prevalences of FD and IB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Results: A total of 70 subjects (men: 58.6%, mean age: 37.2±0.9 years) were recruited. Average radiation dose per exposed worker for 1 year was 0.56 ± 0.92 mSv. Each prevalence of FD and IBS was 31.4% and 22.9%, respectively. Between the workers who received individual annual doses ≥ 0.6 mSv (relatively high-dose exposed group, 30.0%) and < 0.6 mSv (relatively low-dose exposed group, 70.0%),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work experience and length of work. There was no difference of prevalence in IBS (19.0% vs. 24.5%, p=0.83) and FD (28.6% vs. 32.7%, p=0.84) between the high-dose and low-dose exposed group. However, compared to the high-dose exposed group, the low-dose exposed group showed higher PSQI scores. But, no difference of stress level was reveal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FD was their high level of stress (odds ratio =6.37, 95% confidence interval=1.38-29.53). Between the radiation workers with IBS and those without IB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ir rotating shift work, radiation exposure level, sleep quality, and stress level. Conclusions: Occupational exposure to low levels of radiation does not seem to be significantly related with IBS and FD, but high stress level seems to be related with FD.

      •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최주영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은 배경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인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대구광역시교육청 관내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회수된 설문지는 297부로서 이 중 일부 문항에 대한 응답을 누락하여 제출하는 등의 분석에 적절치 못한 설문 응답지 13부를 제외한 284부(88.75%)에 대해 의견을 수렴․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이론적 배경에서 고찰된 연구변수에 대한 핵심요소를 분석하고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설문지를 참고하여 수정․보완하여 구성하였다. 먼저 독립변인인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의 경우 김민강(2008)의 선행연구에 개발된 평가 문항을 활용 하여 절차공정성(6문항), 상호작용공정성(6문항)로 구성하여 총 12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일부 문항은 “교무분장” 영역이라는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종속변인인 학교조직효과성의 경우 이론적 배경을 고찰한 결과 본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학교 조직효과성 핵심요소와 일치하는 이진원(2010)의 선행연구에 개발된 평가 문항을 활용 하여 직무만족(6문항), 조직적응성(6문항), 직무성과(6문항)로 구성하여 총 18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일부 문항은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인 PASW(Predictiv Analytics Software) version18.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대한 자료 처리는 연구 문제를 규명할 수 있도록 각 문제에 맞게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산출, 다중회귀분석(Multiple-Linear Regression Analysis)과 같은 다양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무분장에 대한 교사들의 공정성 인식 수준은 보통 수준이었으며, 공정성 하위 요인에서는 절차공정성보다 상호작용공정성을 다소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 전체 수준의 차이는 남자가 여자보다,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을 높게 인식하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근무하고 있는 학급 수에 따른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 수준을 보면 36학급 이상의 비교적 큰 규모의 학교가 소규모 학교보다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른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석 인시 수준의 차이는 10년 미만의 경력 교사보다 10년 이상의 경력 교사가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현 학교 근무년수에 따른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 수준 차이는 현 학교에서 3년 이상 근무한 집단이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 수준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 직급, 학급 수 변인별로는 교무분장에 대한 절차공정성의 인식 수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에서 보면 경력이 10년 미만일 때 보다 10년 이상인 교사들의 교무분장에 대한 절차공정성의 인식 수준이 높았으며, 현 학교 근무년수가 3년 이상인 집단에서 교무분장에 대한 절차공정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무분장에 대한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 수준은 교사들의 성별, 직급, 학급 수, 경력이라는 배경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으나 현 학교 근무년수가 길수록 교무분장에 대한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 수준이 높았으며 다른 집단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교 조직효과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준은 다소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조직효과성 하위 요인으로는 직무성과, 조직적응성, 직무만족 순으로 다소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사의 배경변인 별 학교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직급과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장교사가 평교사보다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았으며, 경력 요인에서도 10년 이상 교사가 10년 미만 교사보다 학교 조직효과성에 대하여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배경변인 별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대한 인식 차이는 직급, 학급 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직급이 높을수록, 근무하는 학교의 학급 수가 비교적 많은 36학급 이상의 규모에서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 직급, 경력에 따라 조직적응성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조직적응성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부장교사와 10년 이상의 경력교사의 조직적응성에 대한 인식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과 초등학교의 조직효과성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공정성의 하위변인 별로 살펴보면 상호작용공정성이 절차공정성보다 조직효과성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무분장에 대한 절차공정성은 조직효과성의 하위요인인 직무만족, 조직적응성, 직무성과 순으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교무분장에 대한 상호작용공정성은 직무만족, 조직적응성, 직무성과 순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학교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조직효과성 전체 영역에서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절차공정성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효과성의 하위변인인 직무만족에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절차공정성보다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성과에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절차공정성보다 훨씬 더 많이 영향을 미치며, 조직적응성에는 상호작용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비슷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볼 때 교무분장에 대한 공정성 하위 변인 중 절차공정성보다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효과성의 세 가지 하위변인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교무분장이 이루어지는 절차 그 자체 보다는 그 과정에서 학교의 관리자와 교사간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 활발히 이루어진다고 인식할수록 교사의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적응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has aims to clarify the influence of justice of academic affair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pecific questions for the study are: a) The difference from the variables of teachers' backgrounds about the perception of justice on the academic affairs division in elementary schools. b) The difference from the variables of backgrounds abou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s, and c) The influence of justice of academic affair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 sent a questionnaire to 320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 Daegu Office of Education, 297 teachers answered, but I had to exclude the 13 answers since they are irrelevant and failed to answer some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 thus 284 answers(88.75%) are gathered and analy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The level of the teachers' perception of justice in the division of academic affairs is ordinary in elementary school, their perception about the reciprocal justice is higher than procedural justice in sub-factor of justice. The perception of over 10-year-career teachers' about procedural justice in the division of academic affairs is higher than less than 10-year-career teachers. And the group of teachers who worked over 3 years in the current school has a high perception about the procedural justice in the division of academic affairs, which has meaningful difference in statistics. The level of reciprocal justice perception of the academic affairs division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service at the school, which has meaningful difference from other groups in statistics. b)High level of perception about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an be found among teachers, and sub-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job performance, organization adaptability,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When it comes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 we can concluded that the higher ranked teacher and the more classes like over 36 classes, the higher perception of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Male teachers has hig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 adaptability than female teachers, higher organization adaptability also can be found in teachers with over 10-year-career and department head title. c) The correlation between justice of academic affairs divis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 shows high correlation in statistics. reciprocal justice has a higher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an procedural justice does in sub-variables of justice. The correlation level of procedural justice about the academic affairs division with sub-factors a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adaptability, and job performance in order,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 adaptability, and job performance in order in the level of reciprocal justice. From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bout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academic division justi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 can verify that reciprocal justice has a strong influence over procedural justice in overall section, reciprocal justice over procedural justice in the sub-sector of job satisfaction, much strong influence from reciprocal justice over procedural justice in that of job performance, and comparable influence in that of organization adaptability. we can conclude that reciprocal justice has strong influence on thre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 adaptability than procedural justice, in other words, a teacher's job satisfaction, job performance, and organization adaptability will be enhanced through the activ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school management section. This study has led us to conclude tha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s higher in proportion to the level of perception of reciprocal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about the academic affairs division among teachers. That is to say, it is critical for the school organization to maintain the reciprocal justice and procedural justice in he academic affairs division. Thus, Standards and procedures about the academic affairs division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discretion of each school and understanding from the teaches and management section, training program for the justice should be introduced as well. The efforts from the school management to secure the justice in the organization and interaction among teacher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perception about the academic division justi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recommended.

      • 부모의 수용-거부양육태도와 정서표현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최주영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거부양육태도와 정서표현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62명(남:145명, 여:217명)을 대상으로 부모양육태도검사(PARQ), 한국판 정서표현갈등척도(AEQ-K), 대인관계 불안척도(IAS), 삶의 만족척도, PANA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연령분포는 만 18세에서 27세(M=21.48, SD=2.27) 사이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통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구변인들의 차이를 살펴보았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관계를 검증하였다.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연구변인들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중다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라 부모의 수용-거부양육태도와 정서표현갈등, 대인불안 및 주관적 웰빙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거부양육태도와 주관적 웰빙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부모의 학력이 고학력인 경우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양육태도와 삶의 만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모의 거부양육태도를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경제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부모의 수용양육태도는 주관적 웰빙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부모의 거부양육태도와 정서표현갈등, 대인불안은 주관적 웰빙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셋째, 부모의 수용-거부양육태도와 정서표현갈등 및 대인불안 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수용양육태도와 정서표현갈등 및 대인불안이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관적 웰빙에 대한 설명력은 어머니의 수용양육태도가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대인불안, 정서표현갈등, 아버지의 거부양육 순으로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수용적 양육이 중요하고, 아버지는 거부적 양육을 삼가야 하며 대학생의 정서표현갈등과 대인불안 수준을 낮추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부모의 수용-거부양육태도, 정서표현갈등, 대인불안, 주관적 웰빙

      • 경도인지장애, 정상노화, 알츠하이머병 치매간의 기억차이에 대한 연구 : 기억평가방식을 중심으로

        최주영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환자의 감별에 민감한 기억평가 방식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기억평가 방식은 정보처리 이론에 근거해, 단순 반복학습과 단서를 활용한 학습으로 크게 나누었으며, 단서에는 범주, 도식, 연합을 사용하였다. 정상노인 17명, 경도인지장애 환자 15명, 초기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 1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네 가지 기억평가도구로,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CERAD-K)의 단어목록 반복학습, Cued Recall 16 items(CR-16)의 범주단서학습, Pattern Recognition Memory(PRM)의 도식단서학습, Image Coupled Association(ICA)의 연합단서학습을 활용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 ROC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단순반복학습은 경도인지장애를 초기치매와 정상노화로부터 감별하는데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단서제시학습은 경도인지장애를 초기치매와 정상노화로부터 민감하게 감별할 수 있었다. 경도인지장애와 정상노화를 가장 민감하게 구별해주는 단서는 도식과 범주였고, 경도인지장애와 초기치매를 민감하게 구별해주는 단서는 도식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도인지장애 감별에 다양한 단서제시학습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도식단서제시 기억평가도구의 유용성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 경도인지장애의 예후에 대한 감별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겠다.

      • 요가심신치료를 통한 우울 여성의 신체 및 심리적 변화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최주영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a variety of vivid experiences of depressive women and the meaning of their life for three depressive women by focusing on the change in their body and mind through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with a view to understanding the life of individual women more comprehensively and deeply. The therapy that integrates Yoga therapy and the psychological treatment is referred to as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 (YTMB). This therapy focuses on the resolution of physical, emotional, psychological, and relational problems based on the system of Yoga's holistic health and healing which cover the body, mind, and soul.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targeted at three female subjects who were in a depressive stat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2 to August, 2012 with the format of a total of 12 sessions; one session per week with the time limit of 90~110 minutes per session. In addition, 90minute final interview was conducted after one month of the session closing. This study was based on narrative explorative methodology.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include records by sessions, reflective journal, individuals' training diaries, the researcher's field diary, depression scale, questionnaire papers and final interviews. Collected data became the basi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ree subjects' experience stories and this study drew the meaning of experiences by exploring the individual and social meaning with these data. The experiences of depressive women about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xperience of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for 'A' <Accepting yourself as you are by being free from thinking and feeling>, <Keeping healthy distance from family members, and controlling mood swing>, <Connecting body and mind, and Knowing that taking care of body is a way of loving yourself>, <Gaining confidence by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yourself>, <Forming comfortable relationships with others>, <Increasing satisfaction or a sense of freedom in life.>, <Encouragement and support, derived from mantra for yourself>, and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tailored to your body as a way of healing which can cover the both body and mind>. 2. Experience of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for 'B' <Controlling thoughts and widening the views about yourself>, <Comfortable feeling in the body and mind because of regular lifestyle>, <Showing more generous attitudes towards children because of better marital relationship>, <Eliminating a sense of shame by accepting the stomach rumbles>, <Knowing that body and mind move together through physical perception>, <Gaining confidence and courage through mantra which is matched to yourself>, and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as a sort of meditation making it possible to make close observation about yourself>. 3. Experience of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for 'C' <Escaping from thoughts and emotions through being aware of those conditions>, <Opening your mind to your husband and reducing your discomfort even in a situation of no conversation>, <Regarding being together with others as important and regaining your energy>, <Mitigating your chronic pain in the leg and listening to the sounds of the body>, <Realizing the connection with past memories and dreams through tension, imbedded in the body>, <Gaining consolation through mantra for yourself>, and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as a way of healing, making it possible to look into yourself>. The experience stories of three depressive women in regard to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can be reconstructed in terms of six meanings as follows. First, the patterns of thinking and feeling which trigger depressive state are connected to the perception and awareness in daily lives. Second, you can meet the past shape of “You” and accept the present condition of “You” through the memories of the body. Third, your change comes out of yourself through being aware of the dysfunctional patterns of your family and personal relationships. Fourth, the connection between body and mind is felt and the body value is recognized. Fifth, positive spirit as well as confidence increases b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yourself. Sixth,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is perceiving yourself, which is healing itself. The final conclusion on depressive women through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individual's therapy and healing,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of the study subjects were mitigated or ameliorated through the yoga therapy for mind and body(YTMB), which utilizes yoga movements, breathing, releasing method (yoga nidra), meditation method, and mantra. The study subjects got out of negative patterns of repeated depressive thinking, feeling, and behaviors and moved towards a positive direction by getting aware of themselves as they are. For the study subjects, self-perception and self-control became routine and they tried to establish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acquaintances by responding to others differently from the past. In addition, the study subjects, who had been insensitive to their body, recognized the value of their body through the continual awareness about the body and physical symptoms which are connected to the psychological state newly. In terms of the academic study, this study conducted a narrative explorative methodology for the concrete recognition about the positive effect of yoga on body and mind. In additio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clinical data which can be applied to the fields of psychotherapy and Yoga therapy with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therapeutic value and approach of yoga. In terms of social values, this study suggested Yoga as an integrated therapy for 본 연구는 우울 상태에 있는 세 명의 여성 연구 참여자들이 요가심신치료를 통하여 몸과 마음으로 체험한 생생하고 다양한 경험들과 그들이 갖는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한 개인으로서 그들과 그들의 삶을 요가심신치료를 통해 폭 넓고 깊이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요가심신치료는 몸, 마음 그리고 영혼에 이르는 요가의 전일적인 건강 및 치유 체계를 바탕으로,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관계적 문제의 해결에 중점을 두고 요가치료와 심리치료의 원리 및 기법을 통합한 치료를 일컫는다. 본 연구는 우울 상태에 있는 세 명의 여성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2012년 1월부터 2012년 8월까지, 매주 1회 총 12세션, 세션 당 90분에서 110분 정도의 요가심신치료를 진행하였다. 또한, 세션 종료 한 달 후 90분 동안의 마감인터뷰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에 따라 연구되었으며, 자료 수집은 세션별 축어록, 성찰일지, 개인수련일지, 연구자의 현장일지, 우울 척도, 마감 설문지와 마감 인터뷰가 있다. 수집된 자료는 세 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이야기를 재구성하는 데 바탕이 되었고, 이것은 연구 문제와 개인 ․ 사회적 의미에 대해 고찰하며 경험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나타난 우울 여성의 요가심신치료에 관한 경험을 참여자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A’의 요가심신치료 경험 <생각과 감정으로부터 분리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다.>, <가족 간의 건강한 거리를 만들고 감정 기복을 조절하게 되다.>, <몸과 마음이 연결되고,몸을 돌보는 것이 나를 사랑하는 것임을 알게 되다.>, <나를 인정하고 이해함으로써 자신감이 생기다.>, <사람과의 관계 맺기가 편안해지다.>, <삶에서 만족감과 자유로움을 느끼다.>, <나를 위한 만뜨라를 통해 응원과 지지를 얻다.>, <내 몸에 맞춘 요가심신치료는 몸과 마음을 함께 다룰 수 있는 치유이다.>. 2. ‘B’의 요가심신치료 경험 <생각을 조절하게 되고 나를 보는 시각이 넓어지다.>, <규칙적인 생활방식으로 돌아오니, 몸과 마음이 편안해지다.>, <부부관계가 개선됨으로써 아이들에게도 짜증을 내지 않게 되다.>, <배에서 나는 소리를 인정하고 수용하니, 부끄러움이 사라지다.>, <신체 자각을 통해 몸과 마음이 같이 움직인다는 것을 알게 되다.>, <나에게 맞춘 만뜨라를 통해 자신감과 용기가 생기다.>, <요가심신치료는 나를 세밀하게 느끼고 관찰하는 명상과 같다.>. 3. ‘C’의 요가심신치료 경험 <생각과 감정에 휩쓸리지 않고 그 상태를 알아차려서 빠져나오다.>, <남편에 대한 마음이 열리고 대화가 없어도 불편한 마음이 적어지다.>, <사람들과 함께하는 것이 소중하며 그들을 통해 에너지를 얻다.>, <오래된 다리의 통증이 완화되고 내 몸의 소리에 귀 기울이다.>, <몸에 배어있는 긴장감을 통해 과거의 기억과 꿈이 연결됨을 알게 되다.>, <나를 위한 만뜨라를 통해 위로받다.>, <요가심신치료는 나를 들여다볼 수 있게 해주는 치유이다.>. 이들 세 명의 우울 여성의 요가심신치료에 관한 경험이야기를 다음과 같이 6가지의 경험의 의미로 재구성해 볼 수 있다. 첫째, 우울 상태를 유발하는 생각과 감정의 패턴을 자각하고 일상의 알아차림으로 이어지다. 둘째, 몸의 기억을 통해 과거의 나를 만나고 현재의 나를 받아들이다. 셋째, 가족 및 대인관계의 역기능적 패턴을 알아차리고 스스로 변화를 일으키다. 넷째, 몸과 마음이 연결됨을 느끼고 몸의 가치를 알게 되다. 다섯째, 나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함으로써 긍정적인 기운과 자신감이 생겨나다. 여섯째, 요가심신치료는 나 자신을 자각하는 것, 그것이 곧 치유이다. 이를 통해 우울여성의 요가심신치료 경험에 관한 최종결론은 다음과 같다. 개인의 치료 및 치유 측면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요가 동작, 호흡, 이완법(요가 니드라), 명상, 만뜨라 등을 적용한 요가심신치료를 통해 우울 상태의 심리 및 신체 증상이 완화되거나 해결되었다. 참여자들은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자각하게 됨으로써 습관적으로 반복되는 우울한 생각, 감정과 행동 등의 부정적인 패턴에서 빠져나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고 조절해나갔다. 자기 자각과 조절은 일상생활로 연결되었고, 역기능적인 가족과 대인관계 패턴에서 이전과는 다른 반응을 함으로써 스스로 긍정적인 관계를 만들어나갔으며 좀 더 친밀한 유대감이 형성되고 발전되었다. 또한, 몸에 대해 둔감하거나 방치해왔던 참여자들은 세션 중 심리 상태와 연결되어 나타난 신체 증상과 끊임없는 신체 자각을 통하여 몸과 마음의 연결됨과 몸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학술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는 요가를 통한 몸과 마음의 긍정적인 효과를 개인의 경험을 통해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내러티브 탐구방법론으로 시도하였다. 또한, 이는 요가의 심신 치료적 가치와 접근 방법을 심리치료와 요가치료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임상적 기초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사회적 가치 측면에서 본 연구는 다이어트, 운동과 같은 요가에 대한 기존 인식에서 벗어나

      • GSP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대칭이동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최주영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2학기 도형의 대칭 단원을 GS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지도했을 때, 도형의 대칭이동 학습과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GSP를 활용하여 도형의 대칭을 학습한 실험집단과 GSP를 활용하지 않고 도형의 대칭을 학습한 비교집단은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나. GSP를 활용한 실험집단과 GSP를 활용하지 않은 비교집단은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해 실험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 정선군에 소재하고 있는 S초등학교 5학년 2개 반(43명)으로 하였다. 이 학교는 2013년 인근 학교와 통합되어 학급 정원이 늘어났으며, 학교의 시험 제도가 상시평가제로 바뀌면서 중간, 기말평가가 없어지고, 대부분의 시험이 수행평가로 실시되고 있다. 학력 수준은 보통이지만 학생 간 편차가 크고, 대부분의 학생이 학업 성적에 무관심한 편이다. 사전검사는 사전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 검사와 사전 도형 이해력 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동질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은 GS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도형의 대칭을 9차시 분량으로 학습하였고,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방법(지필수업)으로 9차시를 학습하였다. 사후검사는 사후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 검사와 사후 도형의 대칭 이해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SP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한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방식으로 학습한 비교집단의 사후 도형의 대칭 이해력 검사 결과 t-검정에서 유의미하므로 GSP 프로그램을 활용한 수업이 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GSP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습한 실험집단과 전통적인 방식으로 학습한 비교집단의 사후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 검사 결과 t-검정에서 유의미하므로 GS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습 했을 때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GSP를 활용하여 학습한 실험집단에서 매우 높은 성취도가 나타났으므로, GSP가 도형의 대칭 학습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에 연필과 자로 도형을 작도하는 수업에서는 똑같은 활동이라도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도하는 것이 어려워서, 즉각적으로 수정하고 피드백하는 것이 힘들었다. 하지만 GSP 프로그램은 작도를 손쉽게 할 수 있고, 수정하는 것이 수월하기 때문에, 학습목표를 달성하는 데 효과적이다. 둘째, GS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업을 했을 때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가 향상되었다. 이는 GSP 프로그램을 활용하면 도형의 변의 길이, 각의 크기 등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스스로 수정하고 피드백 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은 자와 연필을 이용하여 작도하는 것보다 GSP를 활용하여 작도하는 것을 선호하고, 재미있어 했으며, 도형을 탐구할 때도 틀리는 것에 대해 부담을 갖지 않고 다양한 방법으로 탐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GSP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게 되면서, 교과서에서 제시하는 내용 이외의 것도 탐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두 학급을 대상으로 하며, 도형의 대칭 단원만을 지도했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있다. 그러므로 GSP를 다양한 내용에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한 단원 전체를 GSP로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하다면 지필도구를 활용하여 GSP 프로그램이 갖는 한계를 극복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

        최주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5개의 대학교에서 대학생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척도(PBI), 내현적 자기애 척도(CNS), 우울증상 척도(CES-D) 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사용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1982)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돌봄, 과보호)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별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이 부모의 돌봄적 양육태도를 낮게 지각할수록 우울증상이 높게 나타난 반면, 우울증상에 미치는 과보호적 양육태도의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돌봄, 과보호)이 내현적 자기애 성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별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돌봄적 양육태도가 낮을수록, 과보호적 양육태도가 높을수록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별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높을수록 우울증상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성별을 통제하고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돌 봄, 과보호)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돌봄적 양육태도와 과보호적 양육태도 모두 우울증상과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 성향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양육태도와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영향을 통합적으로 탐색하고,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우울증상의 관계를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매개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Depressive Symptom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431 university students(224 men and 207 women) in Seoul, Gyeonggi Province. For the measuring tool, Parent Bonding Instrument scale, Covert Narcissism Scal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was used as a measure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To examine mediating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Depressive Symptoms, Baron and Kenny’ s(1986) model was used. Lastly,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tatistical validity of mediation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as the level of Parental low care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Depressive Symptoms was increased. Also, as the level of Parental Protection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Depressive Symptoms was increased. Second, as the level of Parental low care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Covert Narcissism was increased. Also, as the level of Parental Protection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Covert Narcissism was increased. Third, as the total score of Covert Narcissism was increased, the total score of Depressive Symptoms was increased. Fourth, verification of the mediation effect based on the steps developed by Baron and Kenny’ s(1986) model and Sobel test. They showed that covert narcissism mediated completely the link between parental low care and depressive symptoms. Second, covert narcissism mediated completely the link between parental prote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