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학원생의 지각된 서비스 공정성과 관여도, 무용몰입, 고객만족,고객충성도간의 구조모형검증

        최정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학원생의 지각된 서비스 공정성과 관여도, 무용몰입, 고객만족, 고객충성 도간의 구조모형을 검증함으로써 무용학원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학원생의 만족과 충성 도를 높게 할 수 있는 유효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착수하였다. 조사대상은 대도시 소재의 37개 무용학원을 중심으로 성별, 연령을 고려하여 유 층 집 락 무선 표 집 방식에 의해 748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과 자료 분석을 토대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서비스공정성 차원에서 무용학원에 대한 분배공정성은 여자 학원 생이 남자 학원 생에 비해서, 또한, 14-19세 집단이 가장 낮게 지각하였다. 그리고 무용학원의 참여빈도가 3-4회 참여집단, 참여시간은 1시간 이하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지각하였다. 상호공정성에 대한 지각은 연령이 많고, 참여빈도가 낮을수록, 참여기간이 오랜 집단일수록 무용학원의 서비스가 보다 친절하고 학원 생 들에게 관심을 더 많이 표현해 주며 정중하게 대해 준다고 지각하였다. 무용학원생의 지속관여 도는 남녀 학원 생 간이나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황관여 도는 남자학원 생이 여자학원 생보다 높았고, 14-19세 집단이 가장 높았다. 이어서 무용학원 참여빈도가 많을수록 상황관여도가 높게 나타났고, 연습시간이 길수록 지속관여도가 높았으며, 연습기간이 길수록 지속관여 도와 상황관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무용몰입의 차이를 보면, 행위몰입에서 14-19세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고, 무용학원의 참여 정도 즉,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에 따라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 차이가 있었다. 아울러 남자 학원 생이 여자 학원 생에 비해 고객충성도가 높았던 반면, 연령집단 간에 고객만족과 고객충성에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무용학원 참여시간이 길수록 고객충성 도는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둘째, 무용학원생의 지각된 서비스공정성, 즉, 분배 공정성 혹은 상호작용 공정성이 높게 지각할수록 무용활동에 대한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무용학원생의 지속관여 도와 상황관여도가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넷째, 무용학원생의 무용활동에 대한 인지몰입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무용학원생의 무용몰입의 하위요인, 즉, 인지몰입과 행위몰입 모두 고객충성 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무용학원생의 지각된 서비스 공정성과 관여도, 무용몰입, 고객만족, 고객충성도간 인과적 구조모형 적합성이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각 변인간 인과적 관계를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 9개 경로 중에서 7개 경로는 유의한 인과적 관계를 보였지만, 2개의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서비스 공정성과 무용몰입, 관여 도와 무용몰입, 무용몰입과 고객만족간에는 유의하였지만 무용몰입과 고객충성도 간에는 유의 하지 않았다. 아울러 서비스 공정성과 고객만족, 서비스 공정성과 고객충성도, 관여 도와 고객만족, 관여 도와 고객충성도 간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과적 관계를 보였으나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 간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학원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해서는 일방적인 운영자 중심의 하드웨어적 마캐팅 전략 보다는 학원 생 중심의 소프트웨어적 전략이 필요하다. 즉, 무분별한 시설의 확충이나 화려한 프로그램 나열 보다는 학원 생 배경 별 특성을 잘 이해하고 기대와 목표를 고려하며, 무용지도나 연습조건, 그리고 시설이용의 편의성 등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무용학원의 서비스 제공이 공정하다고 스스로 높게 지각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원생의 태도와 가치관을 바르게 설정하고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갖도록 무용학원에 대한 관여 도를 높여야 한다. 즉,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정보탐색을 충족시킬 수 있는 학원의 특성과 전통, 프로그램 구성의 다양성, 새로운 무용기술, 세계적 무용흐름에 대한 정보 등의 제공을 통하여 의사결정과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차별화된 고객관리를 수행해야 한다. 셋째, 무용학원의 각종 서비스를 학원 생 들에게 제공 함으로서 개인의 무용활동에 대한 몰입수준을 증가시키고 학원에 대한 신뢰와 지속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무용학원 생들의 무용몰입을 높여 만족을 높게 하기 위해서는 지나친 홍보나 과도한 서비스 공세보다는 관심과 배려를 통한 수용, 기술개발과 창작활동을 위한 전문성 증대, 미래 비젼 을 위한 방향제시 등이 적절히 제공될 때 고객만족도와 더불어 고객충성도가 향상될 수 있다.

      •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사례연구

        최정옥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상담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집단독서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2. 집단독서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의 개개인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가? 본연구를 위해 대전시 서구에 위치한 B초등학교에 다니는 한국인 아버지와 아시아계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다문화가정 자녀 8명을 선정하여 2015년 4월 17일부터 2015년 7월 17일까지 주 1회(회기당 60분) 총 12회기의 집단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집단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후에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개개인의 행동변화에 대한 관찰은 매회기를 마치고 사회복지사, 보조자1인과 함께 관찰평가를 실시하였다. 특이사항으로는 연구대상 아동 8명 중 2명이 형제관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Salovey와 Mayer(1996)가 제시한 정서지능 모형을 근거로 이병래(1997)가 수정.번안한 후 구성한 정서지능검사를 사용하였다. 총 31문항 중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인지수행 능력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여 총 10문항으로 축소하여 시행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은 집단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SPSS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사후간의 차이를 t-검증으로 분석하였으며, 양적분석을 보완하기 위하여 매 회기 활동내용과 연구자의 프로그램 진행 내용 및 관찰일지 내용분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독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자기인식/표현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대인관계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매 회기 활동내용과 연구자의 관찰 내용 분석 결과 정서지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독서치료가 다문화가정 아동 개개인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집단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책을 통해 '나'를 포함한 주위 환경에 대해 직.간접적으로 생각해보고 경험해봄으로써 '자기'와 '타인'에 대한 인식 및 표현능력이 긍정적으로 강화되었던 부분에 큰 의미가 있다.

      • 사료학습을 통한 중학생의 역사교육

        최정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 : 사료학습을 적용한 다양한 수업방법의 적용을 통하여 중학생의 역사의식 및 역사적 사고력의 신장을 목적으로 함

      • 中學校 男女共學 混性學級 運營의 敎育 效果性에 대한 硏究

        최정옥 漢城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educational class in middle school. To make a conclusion, carried out both of theoretical study and question survey. As a condensation of this study are ; Firstly, mixed class was preferenced both of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position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especially teachers preference ratio was higher than students. It became clear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for mixed class. Secondly, both of teachers and students shown high response in the point of practical attitude and the operation of mixed class was more effective on the practic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Thirdly, both of teachers and students also sown positive and high preference of mixed class in the point of emotional development. It may reflection of teachers opinion which enforced in education of humanity than knowledge input. Fourthly, in the side of friendship between the sexes, both of teacher and students preferenced, particularly student group points was higher than teachers. It makes know that the student had most interesting in friendship with a different surname. Teachers positive view were understood that mixed class made inclease mutual understanding each others. Otherwise the reason of negative were pointed the difficulties of educational curriculum. The ability between sexes was denied and it didn't recognized of differency of sexes ability. Fifthly, for the effective and reasonable operating method of mixed class, it need to develop of applicable programs. Otherwise even most school had emphasis to counselling for their students but the teachers response was still negativeness. It seems to asked of a reform measure for this problem. About 80% of responser has point as unconvenienced factor to locker room in school. Thus it need to keep enought facilities which concern. Most practical problem were the connection with a different surname. In case of the teacher pay attention for friendship between sexes in the mixed class, we believe that the effectiveness from this mixed class would be much higher.

      • 치과위생사의 건강자각증상 특성 평가

        최정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ffectively manage and improve indoor air quality of dental clinic by surveying indoor self-consciousness symptoms experienced by dental hygienists and evaluating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which represent each trait. The survey questionnaire of 265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 was done between March 24 and April 11 in 2008. Indicators of building related self-consciousness symptoms of health were extracted from 12 related sentences of NIOSH. Statistical analyses were done including ANOVA, t-test, auto-correlation and covariance by using SPSS 12.0 software package. The dental hygienists' level of recognition of indoor air quality was in the middle and they evaluated the indoor air quality are at the worst level in the afternoon. The recogni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 among dental hygienists who do not wear protective gear when taking X-rays. Among building related self-consciousness symptoms of health, the group of general symptoms and stimulus symptoms were higher than the group of skin symptoms and respiratory organs symptoms. Among general traits, age, marriage, and the number of working years were analysed as significant variables. And among general working environmental traits, work satisfaction, salary satisfaction and the type of medical office were analysed as significant variables. These results conclude that dental clinic has an indoor environment which can arouse a lot of dust, noise and foul smell, and these environmental elements can affect dental hygienists' self-consciousness symptoms. Accordingly, appropriate management strategies for indoor environment are needed for each dental clinic. 본 연구는 치과병의원의 효율적인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하여 치과위생사들이 경험하는 실내자각증상을 조사하고, 각 특성을 대변하는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여 치과병의원의 실내환경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부산, 경남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265명을 대상으로 하여 2008년 3월 24일부터 4월 11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빌딩관련 건강자각증상 지표로는 NIOSH의 문항 중 관련된 12문항을 발췌하여 사용하였고, 통계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분석 및 t-test, 상관분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실내환경에 대한 인지도는 보통이었으며, 하루 중 실내 공기환경이 가장 나쁜 시기는 오후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특수기기 사용에 있어 방사선 촬영시에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는 치과위생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빌딩관련 건강자각증상 중에서는 일반증상군과 자극증상군이 피부증상군과 호흡기계증상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과 관련한 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여부, 근무년수가 의미 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일반적인 근무환경에서는 업무만족도, 급여만족도, 진료실 형태가 의미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진료실 유해환경에 따른 건강자각증상과 관련한 요인으로는 분진, 악취, 방사선, 광조사가 의미있는 변수로 분석되었으며, 일반증상군외의 다른 증상군에서는 유발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빌딩관련 건강자각증상과 관련있는 요인으로는 일반증상군에서는 외출시간, 업무만족이 , 자극증상군에서는 외출시간, 실내쾌적정도가 의미있는 변수로 분석되었다. 업무만족도가 낮을수록 일반증상에 대한 자각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실내쾌적의 정도가 불쾌할수록 자극증상 자각정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치과병의원은 특수한 치과의료 행위로 인해 많은 분진, 소음, 악취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실내환경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환경적 요인들이 치과위생사의 건강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치과병의원의 특성에 맞는 특수한 실내환경에 대한 적절한 관리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 동화를 재구성한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최정옥 숙명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동화를 재구성한 후 그 내용을 바탕으로 책 만들기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들의 창의성 증진에 효과를 미치는 것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사회, 경제적 수준이 비슷한 중류층의 경북 P시에 소재한 E유치원과 O유치원의 만 5세원아 총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집단이 각 각 20명으로 구성하였다. 이 중 20명의 실험집단 유아에 대해 책 만들기 활동을 9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는 Torrance의 창의력 사고력 검사(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TTCT 한국 4판 2006, 6월)를 사전검사는 도형B형, 사후검사는 도형A형을 각 각 사용하였다. 그 밖에도 유아의 행동변화를 관찰하는 교사용, 부모용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Torrance의 창의력 검사결과의 자료 분석은 SPSS/For Windows 15.0을 이용하여 t검증을 사용하였고,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재구성한 책 만들기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동화를 재구성한 책 만들기 활동은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추상성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유아들은 회기를 거듭할수록 유아들이 자신의 경험을 나누면서 동화의 제목, 주인공을 다시 변형하여 이야기를 만드는 동화재구성 활동에 유능하였고 상상력을 효과적으로 재현하였다. 둘째, 동화를 재구성한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을 증진시키는데 교사와 부모는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유아들은 시각적 표현과 언어적 표현을 동시에 함으로써 유아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데 자신감을 갖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그리기, 만들기, 꾸미기 과정을 통해서 책에 대한 열정을 키우며 책을 존중하며 책의 내용을 독창적으로 재구성하는 창의적 표현능력이 신장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유아들이 기본활동 이외에도 스스로 활동을 응용하고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 주었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유아들이 만든 책 만들기 활동 속에 포함되어있는 문제 해결을 해보는 다양한 경험들이 유아의 창의적 증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본다. 이러한 결과를 비추어 볼 때 동화를 재구성한 책 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효과를 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으로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various book making activities through a book making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content from reconstructing fairy tales upon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age five from E kindergarten and O kindergarten located in P city, Gyeongbuk who were from middle?class families at almost equal economic level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reatment of book making activity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9 times. The test for measuring children’s creativity conducted in this study was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Besides, questionnaires for teachers and parents were also used to observe the behavior development of children. For data analysis of TTCT, t?test was used by using SPSS/For Windows 15.0, and ANCOVA with covariance as a pre?score was conducted.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f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in book making activities with reconstructed fairy tales. Also, book making activities with reconstructed fairy tales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upon the improvement of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abstractness as a sub?variable of creativity. As sessions went on, children got accustomed to making stories i.e., transforming titles of fairy tales, and making new stories by reconstructing main characters of fairy tales while exchanging their own experiences with each other, showing that there reconstructing activity experiences effectively reproduced their imagination 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that book making activities with reconstructed fairy tales have a positive effect upon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Children made visual and linguistic expressions at the same time, which not only helped get the confidence in showing their own ideas and feelings but also showed that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ability of reconstructing the content of book with originality was improved as well as rearing their passion toward and respecting books. In the process of session operation, children showed that they utilized and expanded their own activities other than basic activities, and it was assumed that through these activities various experiences of problem solving that were part of children’s book making activities could affect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creativity. In light of these results, book making activities with reconstructed fairy tales had a positive effect upon children’s creativity improvement. And it was thought that book making activities with reconstructed fairy tales could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s for improving children’s creativity in the field of child education.

      • 푸드 아트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나는 유아의 표상에 관한 연구

        최정옥 경남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olves the conduct of a qualitative analysis of preschool children's representation skills as exhibited during food art programs.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established: What changes did preschoolers' representation skills undergo as a result of the food art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6 five year-old children (3 boys and 3 girls) from S Kindergarten located in K City, Gyeongnam Province. Based on a consideration of the period needed to grow plants and preschoolers' exploration and representation skills, the researcher selected educational themes that revolved around seasonal food ingredients, and planned the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 related educational content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ver a 34-week period spanning from the second week of April 2009 to the third week of December 2009. The food art program was implemented two or three times a week for 30-40 minutes at a time. The research materials were amassed using such methods as the recording and photographing of the children's activities; the collection of materials related to the representation activities; and the gathering of the children's portfolios, teacher's journal, and the children's observation records.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ased on four criteria, namely verbal, physical, musical, and artistic repres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loration of the food ingredients using the children's five senses was found to help them with their verbal representation, in that it encouraged the active expression of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both a spoken. Second, where physical representation is concerned, the children were able after exploring nature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rough gesture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preschoolers enjoyed engaging in integrated physical expressions with the peer group. Third, as far as musical representation is concerned, the preschoolers were able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in a rhythmic manner during the exploration of nature. Such representation was further expressed during active musical activities such as the making of songs, the changing of words in songs, and singing and the playing of musical instruments. Fourth, in terms of artistic representation, the preschoolers' exhibited improved observation skills and self-confidence during painting and creative construction activities. This was fou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s creative expression skills. 본 연구는 푸드 아트를 유치원교육과정에 접목한 푸드 아트 프로그램을 실시했을 때 유아의 표상은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푸드 아트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나는 유아의 표상은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가? 연구 참여자는 경상남도 K시에 위치한 S유치원의 원아 중 만 5세 유아 6명(남 3명, 여 3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재직하고 있는 S유치원 푸드 아트 프로그램의 연간 교육주제, 식물의 생육시기, 유아의 탐색과 표현을 고려하여 제철의 채소과 식재료 8가지를 교육주제로 선정하여 교육내용에 따른 활동을 계획하였다. 2009년 4월 2주부터 12월 3주까지 총 34주간 주 2회에서 3회씩, 1회 약 30분~40분가량 푸드 아트 프로그램을 전개하였다. 푸드 아트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의 표상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비디오 레코딩 및 유아 활동사진, 유아 표상활동 자료, 유아 포트폴리오, 교사 저널 및 유아관찰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준거는 언어적 표상, 신체적 표상, 음악적 표상, 미술적 표상 등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언어적 표상은 연구기간 전반에 걸쳐 지속적인 변화 양상을 보였다. 유아들은 한, 두 가지의 감각적 탐색에 의존하여 관찰하고 말하던 것에서 오감을 사용하여 탐색한 것을 비교를 통해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각과 느낌을 글로 쓰기에 대해 소극적인 모습을 나타내던 유아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생각과 느낌을 글로 쓰게 되었다. 둘째, 신체적 표상은 보다 적극적인 감정의 표현과 함께 또래간의 협력적 활동으로 나타났다. 생각과 감정을 몸으로 표현할 때 어색해하며 최소한의 행동으로 표현하던 유아들이 자연에서 찾은 형태와 움직임 등을 찾아 적극적인 몸동작으로 표현하고 미술적 표현과 통합한 신체 표현, 극놀이 등 통합적 신체표현을 즐기게 되었다. 셋째, 음악적 표상은 자연을 탐색하며 떠오르는 생각과 느낌을 단순히 의성어와 의태어로 말하던 것에서 교사의 적절한 개입으로 리듬에 실어 표현하기, 새로운 노래로 만들어 부르기, 개사하기, 악기로 연주하며 부르기 등 적극적인 음악적 표현으로 변화되어갔다. 넷째, 미술적 표상에서는 그리기와 창의적인 구성하기를 통해 뛰어난 관찰력과 자신감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더불어 창의적인 표현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푸드 아트를 통해 자연의 조형적 요소를 응용하여 입체적인 구조물을 만드는 창의적 표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