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강성 라운드 리클라이너 설계를 위한 실험 및 유한요소 해석

        최재혁 강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 제품의 성능과 품질 향상은 물론 비용절감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안전띠(seat belt), 시트(seat) 등 승객의 안전과 직결되는 장치에 대해 유한요소해석(FEA) 기법을 확대 적용하여 안전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제품을 설계, 생산하고 있다. 최근 라운드 리클라이너는 기존의 경량화와 비용절감 추세에서 벗어나 고강성을 목적으로 개발되는 추세이며, 이는 하나의 국책과제 이기도 하다. 고강성 리클라이너는 시트의 후방충돌 성능과 직결되는 부품으로 후방충돌 시험은 시험 장비가 고가이고, 시트 제품 모두가 필요하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현재 단품강도 시험으로서는 진자를 이용하여 강성을 평가하는 시험과, 정하중 시험이 가장 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 여러차례 연구되어진 단품 강도 시험에 맞추어, 유한 요소 해석을 이용한 고강성 리클라이너 단품의 정하중 해석을 실시하였고, 리클라이너 단품의 기어 치형부를 단순 모델 시편을 제작하여 단순 모델시험의 실험과 해석을 수행한 후 그에 따른 변수들을 비교 분석 하였다. Sea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of an automobile for passenger's safety especially when an accident happens. A recliner is a part of the seat assembly, having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back-plate angle of a seat. Recently, many kind of recliners because of its broad compatibility and structural simplicity. A High Stiffness Recliner's development purpose is trend to higher hardness than existent light weight anger and cost-cutting. In this study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rengh analysis has been performed using a commercial code ABAQUS/Explicit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a new high stiffness recliner model.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esing of stiffness of recliner model through analytical and experimental approaches. The finite element result for the high stifness recliner has been compared with that for the conventional type.

      • 고 CNT함량의 MWCNT-ABS 마스터배치를 이용한 고 전도성 PC/MWCNT-ABS 복합체에 대한 연구

        최재혁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존에 Multi-Walled Carbon Nanotube(MWCNT)와 Polymer간의 복 합체 혹은 Blend의 제조엔 직접 분산, 표면개질, 중합을 통한 분산 등의 여러 방법이 있고, 대부분의 분산 방법은 여러 문제점이 존재하지만 CNT의 함량을 높이기 어렵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가장 문제가 되는 부 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체 내의 CNT 함유량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 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중합을 통한 분산방법 중에서 Suspension Polymerization을 선택하여 ABS(Acrylonitrile - Butadiene - Styrene Copolymer)와 CNT의 마스터 배치를 합성한 뒤 Extruder를 통한 압출 성형을 통해 Polymer와 복합체를 1.3wt%, 5.2wt%, 9.1wt%, 13wt%의 CNT 함량을 가지도록 제조하였다. 이후 이를 이용해 Hot press를 사용 하여 압축성형을 통해 시편을 제작하여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물성을 측정하였고, 전기적 특성은 four-point probe method를 이용하여 표면 저항을 측정하였으며, 기계적 물성의 경우 Izod Impact Test(충격 시험 기)를 통해 충격강도를, Universal Testing Mechine(만능 재료 시험기, UTM)을 통해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사교육 선택 및 사교육 비용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과정과 고등학교 과정 비교 분석

        최재혁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사교육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2005(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05; KELS 2005)』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한 중학교 과정과 고등학교 과정을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각 교육과정별로 사교육 선택 및 비용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사교육의 양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사교육비용 변수와, 그 질적인 측면을 나타내는 요소인 시간당 사교육비용 변수를 비교하기 위해, 학교교육만족도가 시간당 사교육비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교육만족도가 사교육시장의 수요를 공교육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할 수 있는지를 보기 위해, 학업과 정의 상관관계가 높은 학생의 혼자공부시간을 종속변수로 두고 이에 미치는 영향을 합동회귀분석 및 고정효과모형 패널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전반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자면, 사교육 선택에 있어서, 중학교 과정은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교육을 받을 확률이 더 높다고 나타났고, 고등학교 과정은 학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교육을 받을 확률이 적다고 나타났다. 반면에 사교육비용 지출에 있어서는, 중학교 과정은 영어와 수학 교과목에 한하여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교육비용은 줄어든다고 나타났고, 고등학교 과정은 학생은 언어, 외국어, 수리 세 교과목에 대해서, 그리고 학부모는 외국어와 수리 교과목에 대해서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교육비용 지출은 줄어든다고 나타났다. 시간당 사교육비용 또한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중학교 과정에서 학생의 경우에는 영어와 수학 교과목에 대해서, 학부모는 영어 교과목에 대해서만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시간당 사교육비용이 줄어든다고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과정에서 학생은 언어, 외국어, 수리 세 교과목에 대해, 학부모는 외국어와 수리 교과목에 대해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시간당 사교육비용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중학교 과정에서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교육을 받을 확률이 늘어나는 반면, 사교육비용은 줄어든다는 논리적 모순을 설명할 수 있다. 중학교 과정에서는 사교육을 공교육의 보완 방안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아,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교육을 받을 확률은 늘어나지만, 시간당 사교육비용, 즉 고액의 사교육은 줄어들기 때문에 전체적인 사교육비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사교육을 공교육의 대체 방안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교육을 받을 확률, 사교육비용, 시간당 사교육비용 모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지닌 것으로 밝혀진 학생의 혼자공부시간에, 학교교육만족도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추정결과에서는, 중학교 과정과 고등학교 과정 모두 세 교과목에서 학생의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사교육의 수요를 공교육으로 전환하는 데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밖에 눈여겨 볼 만한 결과로는, 중‧고등학교 과정 모두, 남녀공학에 재학 중인 학생일수록 혼자공부시간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난 것과, 중학교 과정에서는 가계수입이 혼자공부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가계수입이 적은 학생일수록 혼자공부시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난 것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사교육시장의 규모를 축소시키고 그 수요를 공교육으로 끌어오기 위해서는 중학교 과정에서는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모두 높일 필요가 있고, 더불어 이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 역시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used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KELS 2005) to determine how both the students’ and parents’ satisfaction level in school education (SLSE) affects the private tutoring market. In this researc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ere separated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Furthermore, the impact of students and parents’ satisfaction level in each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education were analyzed to see how the selection of private tutoring and its expenses were affected. Additionally, to compare tutoring fee and its hourly cost, representing quantitative aspect and qualitative aspect respectively, the effect of SLSE on hourly tutoring fee was researched. Finally, in order to check whether SLSE was able to draw demands of private tutoring to public education, ordinary least square (OLS) and fixed effect model were used. These models were used to see the impacts of self-studying time, since it had a strong positive relation with schoolwork and was defined as a dependent variable. General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when it comes to selecting private tutoring in middle school, the higher the parents’ SLSE, the higher the chances of receiving private tutoring. As for high school, the higher the students’ SLSE, the lower the chances of receiving private tutoring. As for the expenses, in the middle school, the higher the students’ and parents’ contentment in school education, the lower the tutoring expense were. However, this only applied to English and Mathematics. In the high school, students with higher SLSE had potential to spend less money in taking Math, English, and Language Art tutoring, while parents with higher SLSE did not tend to invest their money in English and Math tutoring.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hourly tutoring cost. In middle school, students satisfied with school education had less hourly tutoring expenses in English and Math. However, for the parents, this was only for English. During high school, students who enjoyed school education tended to have less hourly tutoring expenses in Language Art, Math and English while same results were found only in English and Math for the parents. The results above can account for logical contradictions that private tutoring expenses decrease while parents with higher SLSE in middle school increase the chances of receiving tutoring. Since parents generally consider private education as supplements in middle school, even with the increasing chances of taking tutoring, hourly tutoring cost, namely high costs of tutoring diminished. This results in an overall decrease in tutoring cost. On the other hand, students and parents mostly regard private tutoring as alternatives in the high school. Notably, higher SLSE led to lower chances of having tutoring, tutoring expenses, and hourly tutoring cost. Furthermore, the estimation results to see the impact of SLSE on students’ self-studying time suggested that all three subjects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 were highly and positively correlated and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Hence, students’ SLSE somewhat play a positive role in converting demands of private education into public education. Another eye-catching result is that students attending coeducation school have less self-studying time. Besides, household income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elf-studying time in middle school while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lower household incomes tended to study more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demands for public education and reduce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higher parent SLSEs are required in the middle school while higher student and parent SLSEs are necessary in high school. To do so, institutional supports from government are also essential.

      • 현대건축의 활성표피가 형성하는 장소성에 관한연구

        최재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화 사회, 미디어 사회, 등으로 지칭되는 오늘날의 사회에서 건축가는 사회의 변화에 맞춰 영원불멸의 건축이 아닌 보다 능동적이고 다양한 요소들을 이용하여 근대 건축에서 추구하던 공간 개념이 아닌 현 시대가 원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상실되었던 ‘장소(Place)’는 새롭게 나타나고있다. 특히 도시의 경계면으로서 발전하고 있는 건축외피의 경향 중에 하나인 활성표피는 근대 건축에서 소외된 장소의 의미와 가능성을 현대 도시에 제시하고있다. 이처럼 근대 건축의 외피의 형성과정 중 발생되는 도시공간의 장소상실의한계와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서 현대건축의 장소형성을 위한 다양한 실험중 건축외피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효과와 발전방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발전을 통해 나타난 새로운 외피를 통한 도시공간의 장소형성을 분석하여 특성을 파악하며 장소성의 성격과 한계 그리고 앞으로 발전방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현대의 도시공간의 (전통적 의미의)장소가 상실됐다고 전제한다. 이러한 현대 도시의 활성표피를 통한 장소형성에 관한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과정으로 연구를 진행 하였다. 1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를 실행하게 된 목적 및 연구 방법과 각 장별 연구 진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2장 ‘건축외피의 시대적 변화와 그에 따른 장소형성에 대한 논의’에서는 산업화에 따른 재료와 시공방법의 변화를 기준으로 근대 전후로 나눠 건축외피로 인해서 형성된 장소형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근대 이전의 구축적인 외피의 제한적인 장식적 외피를 통한 장소의 형성과 근대에 들어서 꼬르뷔제의 돔-이노 시스템을 통한 구조에서 분리된 외피로 인한 장소의 상실에 대해서 알아보며, 뉴 미디어 사회에 새롭게 나타난 재료를 통해 장소의 상실을 극복하기 위한 현대 건축가(장누벨, 헤르조그 & 뒤 뮤롱, 토요이토등)들의 새로운 외피 실험을 중심으로 새로운 건축외피에 대해서 알아본다. 3장 ‘현대 건축의 활성표피의 개념과 사례 분석’에서는 2장 말미에 나타난 다양한 현대건축의 외피 실험중 하나인 활성표피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며 이를 바탕으로 활성표피를 정의하고, 현대건축에 적용된 사례를 선정하여 정리?분석한다. 활성표피는 이미지를 전달하는 매체적 특성과 도시공간의 환경요소와 도시민의 상호작용 요소로서 분류하며, 활성표피를 통한 도시환경과 건축물 그리고 도시민의 관계형성을 통한 도시민에게 다양한 행위를 유발하는 특성을 보인다. 4장 ‘활성표피를 통한 도시공간의 장소적 특성’에서는 3장의 분석을 기반으로 현대 도시의 장소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3장에서 활성표피는 현대도시 공간을 장소로 탈바꿈 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이를 통해 활성표피가 형성하는 도시공간의 장소적 특성을 시간성의 내포와 커뮤니케이션의 확장으로 구분하여 현대도시의 장소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5장에서는 활성표피의 가능성과 현대 도시의 장소의 상실이 아닌 많은 의미를만들 수 있음을 알리며, 시간적 제한에 의한 장소 체험이라는 한계를 지적하면서 결론을 맺는다. 결론적으로, 활성표피는 현대 건축의 다양한 표현 방법에 따라 건축과 도시공간을 매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건축의 형태, 공간을 구성하는 볼륨으로서의 물리적 건조 환경이 가지는 태생적인 의미, 상징 보다 건축표면이 매개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요소와 정보, 변화와 그것들 간의 관계의 다양함이 늘어날수록 거기에 발생하는 의미를 통해 인간과 도시는 건축과 관계를 맺고 그로 인한 경험은 보다 풍부한 장소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단순한 시각적 유희만을 위한 피상적 외피 표현에 그치는것이 아니라 도시 공간을 보다 풍부한 ‘장소’로 채울 수 있는 활성표피를 통해 도시의 다양한 환경과 건축 그리고 도시민의 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해야 할 것이다.

      • 유발된 굴절이상에 의한 보행패턴의 변화

        최재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gait pattern changes during gait by causing various refractive errors. Forty adults in their 20s (23 males, 17 females, average age 22.23 ± 1.99 years) who had no problems with corrected binocular vision, history of systemic diseases and taking medications related to ocular disea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induce a refractive error using a (±) spherical lens in a full correction condition and then measured visual acuity, accommodation, stereoacuity and gait pattern (step length, cadence, stance phase, swing phase, walking velocity). The binocular accommodation was measured by the push-up method, and stereopsis was measured by the frisby stereotest method. After 10 seconds of gait naturally on a treadmill with speed of 4km/h, the gait pattern was measured by using a gait analyzer (Optogait) on both rails at the same tim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visual acuity and stereoacuity measured in the induced binocular myopia & hyperopia, myopic & hyperopic anisometropia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00 D compared to the full correction condition (p<0.05). In accommodation, induced binocular myopia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00 D compared to the full correction condition (p<0.05) and induced binocular hyperopia and hyperopic anisometropia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00 D compared to the full correction condition (p<0.05). The step length measured in induced binocular myopia & hyperopia, myopic & hyperopic anisometropia in the position of the dominant ey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00 D compared to the full correction condition (p<0.05) and cadenc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00 D compared to the full correction condition (p<0.05).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isual acuity and binocular function and gait parameters, the correlation between accommodation and step length was binocular hyperopia = 0.255, hyperopic anisometropia (dominant eye) = 0.200, hyperopic anisometropia (non-dominant eye) = 0.174.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ccommodation and cadence was binocular hyperopia = -0.250, hyperopic anisometropia (dominant eye) = -0.204, hyperopic anisometropia (non-dominant eye) = -0.18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all refractive errors affect the gait pattern. In particular, the accommodation action of hyperopic refractive errors appears to create an unstable gait pattern by causing an imbalance in sensory integration. Thus, the optimal correction is to help to maintain body stability during gait. 다양한 굴절이상을 유발시켜 보행 시 보행 패턴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양안 교정시력에 문제가 없고, 전실질환의 병력 및 안질환과 관련된 약물 복용 경험이 없는 20대 성인 40명(남자 23명, 여자 17명, 평균 연령 22.23±1.99세)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완전교정상태에서 (±)구면렌즈를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유발시킨 다음 시력, 조절력, 입체시, 보행 변수(보폭 길이, 분속수, 입각기, 유각기, 보행 속도)를 측정하였다. push-up 방법으로 양안 조절력을 측정하였고, frisby stereotest 방법으로 입체시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속도 4km/h의 트레드밀 위에서 10초간 자연스럽게 걷게 한 후, 동시에 양쪽 난간에 보행 분석계(Optogait)를 이용하여 보행 변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발된 양안 근시 및 원시, 근시성 및 원시성 부등시에서 측정된 시력 및 입체시는 완전교정상태와 비교하여 ±1.00 D부터 현저하게 감소하였고(p<0.05), 조절력 경우, 유발된 양안 근시에서는 완전교정상태와 비교하여 +1.00 D부터 현저하게 증가하였고(p<0.05), 유발된 양안 원시 및 원시성 부등시에서는 완전교정상태와 비교하여 –1.00 D부터 현저하게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유발된 양안 근시 및 원시, 유발된 근시성 및 원시성 부등시에서 측정된 보폭 길이는 완전교정상태와 비교하여 ±1.00 D부터 현저하게 감소하였고(p<0.05), 분속수는 완전교정상태와 비교하여 ±1.00 D부터 현저하게 증가하였다(p<0.05). 시력 및 양안시 기능과 보행 변수 간의 상관 분석을 해본 결과, 조절력과 보폭 길이의 상관계수는 양안 원시 = 0.255, 원시성 부등시(우위안) = 0.200, 원시성 부등시(비우위안) = 0.174로 나타났고, 조절력과 분속수의 상관계수는 양안 원시 = -0.250, 원시성 부등시(우위안) = -0.204, 원시성 부등시(비우위안) = -0.185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적으로 모든 굴절이상은 보행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원시성 굴절이상의 조절 작용은 감각 통합에 불균형을 발생시켜 불안정한 보행 패턴을 만드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최적의 교정을 해주는 것이 보행 시 신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 조적허리벽을 포함한 저층 RC 프레임 학교 건축물의 한국형 지진손실함수 개발

        최재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total number of earthquakes in Korea has increased sharply in the past five years, earthquake losses have also increased. In particular, in 2017, when the Pohang earthquake occurred, earthquake losses accounted for 45.4 percent of the total disaster losses. Among the earthquake losses of public facilities due to the Pohang earthquake, the ratio of school buildings is about 48%. The reason why earthquake losses occurred greatly in school buildings is that only about 23.2% of school buildings with seismic design applied. In addition,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damage caused by the Pohang earthquake, it can be seen that shear cracks occurred in the column due to the short column effect.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risk of earthquakes in school buildings in Korea because school buildings in Korea can be greatly damaged by earthquakes in the future.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velop a Korean-style earthquake loss function to express the risk of earthquakes in general terms rather than engineering terms. In order to develop a Korean-style seismic loss function for a school building, it was Koreanized in both aspects of damage and cost. In terms of damage, a prototype model that implements shear failure of a short column by a partial masonry infills of a Korean school building was produced and the seismic fragility of each component was analyzed. In terms of cost, the components affecting the loss of the building were classified, and the repair cost of each damaged state was reflected through the domestic construction cost for the components. Comparing the Korean-style earthquake loss function developed in this study with HAZUS methodology developed in the U.S., the Korean earthquake loss function developed at low seismic intensity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the actual damage data of school buildings caused by Pohang earthquake. 한국의 총 지진 발생 횟수가 최근 5년간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지진에 의한 손실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포항지진이 발생한 2017년의 경우, 지진손실이 전체 재난 손실의 45.4%를 차지하고 있다. 포항지진에 의한 공공시설물의 지진손실 중, 학교 건축물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48%이다. 학교 건축물에서 지진손실이 크게 발생한 이유는 내진설계가 적용된 학교 건축물이 약 23.2%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또한, 포항지진에 의해 발생된 구조적 손상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면, 단주효과(short column effect)에 의해 기둥에 전단균열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한국의 학교 건축물은 향후 지진에 대해 피해가 크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학교 건축물의 지진에 대한 위험도를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에 대한 위험도를 공학용어가 아닌 일반용어로 표현하고자 한국형 지진손실함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학교 건축물의 한국형 지진손실함수를 개발하기 위해서 손상과 비용 두 가지 측면에서 한국화를 하였다. 손상 측면에서는 한국 학교 건축물의 조적허리벽에 의한 단주의 전단파괴를 구현하는 프로토타입 모델을 제작하여 각 구성요별 지진취약도를 분석하였다. 손실 측면에서는 건축물의 손실에 영향을 주는 구성요소를 분류하고, 그 구성요소에 대해 각 손상상태의 수리비용을 국내 공사비를 통해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형 지진손실함수를 미국에서 개발한 HAZUS의 방법론을 따라 도출한 지진손실함수를 비교한 결과, 낮은 지진 강도도 구간에서 개발한 한국형 지진손실함수가 포항지진에 의한 학교 건축물의 실제 피해데이터에 비교적 높은 상관도를 보이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경북지역 고추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한 살충제 저항성 연구

        최재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mong the registered and marketed insecticides, 10 different insecticides belonging to 8 chemical classes (Acrinathrin 5.7% SC, Acetamiprid 5% SL, Dinotefuran 10% SL, Spinetoram 5% WG), Abamectin 1.8% EC, Emamectin benzoate 2.15% EC, Chlorfenapyr 5% EC, Cyclaniliprole 4.5% EC, Fluxametamide 9% EC, and Flometoquin 10% SC) were investigated for insecticide resistance in western flower thrip (Frankliniella occidentalis) strains collected from 3 regions (Andong, Bonghwa and Youngyang) of Gyeonsangbuk-do area. The insecticid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origin of the F. occidentalis strain tested. The most effective insecticides included; flometoquin against the Andong strain, and spinetoram against both Andong and Bonghwa strains. These two insecticides showed high efficacy of more than 90% when compared with their recommended doses. Additionally, Flometoquin also showed a high efficacy of 81.3% against the Youngyang strain. The LC50 and RR50 of flometoquin against the Youngyang strain was 55.676ppm and 0.54, respectively. The LC50 of spinetoram was lowest in the Bonghwa strain (0.683ppm), with a resistance ratio (RR50) of 0.07. When tested against the Andong strain, spinetoram was also highly effective with a LC50 and RR50 value of 1.014ppm, and 0.1, respectively. Notably, fluxametamide was highly effective (100% efficacy) against the lab strain. Among the 10 insecticides used in this study, F. occidentalis strain from Andong showed resistance to 6 insecticides (Acrinathrin, Acetamiprid, Dinotefuran, Abamectin, Chlorfenapyr, Cyclaniliprole); the strain from Bonghwa was resistant to 7 insecticides (Acrinathrin, Acetamiprid, Dinotefuran,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Chlorfenapyr, Cyclaniliprole); and the Youngyang strain exhibited resistance to 8 insecticides (Acrinathrin, Acetamiprid, Dinotefuran, Spinetoram,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Chlorfenapyr, Cyclaniliprole). No insecticide resistance was expressed in studies involving flometoquin and fluxametamide against all the tested F. occidentalis strains in Gyeongsangbuk-do area. In conclusion, in order to avoid continued development of insecticide resistance in F. occidentalis, it is necessary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choice of the available insecticides in Gyeongsangbuk-do area. Flometoquin and fluxametamide are still effective against all strains, and can therefore be recommended for use in control of F. occidentalis in Gyeonsangbuk-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