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경용 철쭉재배품종의 형태적 특성 및 이용실태 분석

        최재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at the time of using royal azalea species and to suggest its improvement method by comparing morphological features of azalea cultivar (hereinafter called 'azalea species') being used for landscape and investigating price of azalea species, change of notified number of species and actual confusing status in using azalea among producers, landscape designers and contractors. In order to provide morphological features and classification standard of azalea species, produced major azalea species were collected by visiting landscape companies cultivating azalea species. Afterwards, qualitative, quantitative agronomic features of azalea was investigated based on technique of feature survey for new cultivar evaluation of azalea species being used by Korea Seeds & Variety Service. As the name of azalea is used unclearly even in academic circles, a name called by cultivating company was used as it is. As a next step, price and change of number of species of azalea were analyzed based on azalea species-related data being notified by Landscaping Tree Association,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d Korea Price Research Center (hereinafter called notifying institution and company) for the past 30 years.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actual confusing status of azalea species among its cultivating companies, 10 cultivating companies in major production area were selected and whether azalea species is clearly delivered based on the name of azalea at the time of telephone order was investigated. Finally, in order to identify actual using status of azalea in landscape design and construction, planting status of planting designed azalea species in design document and azalea species being planted at site was comparatively analyzed.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surveyed azalea species was 10 species including 'Beni', 'Daewang', 'Three', 'Zasanhong', 'Hancheol', 'Sancheoljuk', 'backcheoljuk', 'Gyeobsancheoljuk', ‘Akado’,‘Seokam’. As all 10 azaleas had mutually different clear morphological features, they were surveyed as other azalea species. Among these, 'Beni', 'Daewang', 'Three' species are commonly called as 'Yeognsanhong' and their distinction was not easy as their shape of leaf and flower was similar. These three species showed difference in flower color and shape; flower of 'Beni' species showed bright red color, its spot color and stigma were red, color of anther was yellow and length of pedicel was rather short as 0.6-0.9㎝. In addition, efflorescence count of inflorescence was 4-5 pieces like that of 'Three' species and its number was more plenty than other species. Flower of 'Daewang' species blooms in clear purple color and color of its pedicel is mixed color of red and green and flower spot color is characterized by turbid reddish brown. As characteristics of 'Three' species, its flower blooms in bright purple color, color of pedicel is medium green and length of pistil and stamen is same. 'Zasanhong' blooms in clear purple color, color of pedicel is red and compared with 'Hancheol', spot expression degree of flower is weaker. On the other hand, frontal leaf of 'Hancheol' has strong polish and it blooms in clear purple color and color of pedicel is purple. 'Sancheoljuk' is judged to be the same species as R. yedoense var. poukhanense being naturally growing in mountain area and compared with other azalea species, it bloomed in pinky grey color in early April. In addition, spot expression degree is strong and length of pistil was longer than that of stamen. 'Gyeobsancheoljuk' is a species of R. yedoense var. poukhanense and it bloomed in double flower and other character was almost similar. 'backcheoljuk' could be distinguished by its white flower color but it was hard to distinguish it by its leaf only and in particular, it could be confused with 'Akado' species. 'Akado' species blooms in clear purple color in early May, contrary to other azalea species and its flower diameter was wide as 6-6.5㎝ like 'backcheoljuk' and 'Sancheoljuk'. Length of pedicel was 1.3-1.5㎝ and that of calynx piece was 1-1.2㎝ which was longer than that of other azalea species. Finally,‘Seokam’species could be distinguished with ease as its leaf size is smaller than other species and it bloomed in bright purple color in early May together with 'Akado' species. In analysis of price and number of species of azalea, price fluctuation of azalea species of Landscaping Tree Association, Public Procurement Service and Korea Price Research Center was moved in the same pattern. The reason of this is that price of azalea species of Landscaping Tree Association was used as a data of officially fixed pricing set by Korea Price Research Center and Public Procurement Service. Public Procurement Service notified the price of azalea by pricing it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two institutions by about 15 percent. and it is judged that the aim of this low pricing is for restricting price increase of landscape trees based on price restric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Price of azalea species is set by considering inflation rate but price increase rate of azalea species was not interlocked with inflation rate and showed unstable pattern. The reason of this is that as production period of azalea species is short, its price is rapidly changed depending on unbalance of supply/demand of azalea species rather than an effect of inflation rate. Price of azaleas species of 4-8 varieties was simply notified to notification institution and relevant organization for 30 years. It is judged that as landscape designers and contractors did not use cultivar name correctly, demand for new azalea cultivar was not available and so, only azalea species that was produced in the past was notified. As a result of placing an order with cultivation company based on azalea name notified to notification institution and relevant organization, as a name of 'Yeognsanhong', 'Beni', 'Daewang', 'Three' species were ordered and as a name of 'Zasanhong', 'Zasanhong' and 'Hancheol' species were delivered. 'Yeognsanhong' is commonly called as 'Beni', 'Daewang', 'Three' species and it may give confusion to cultivation company and in case of 'Zasanhong' and 'Hancheol' species, as its character is similar, it is believed that wrong delivery was made as cultivation company failed to distinguish its species clearly. In actual using status of azalea species for landscape design and construction, azalea specie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total shrub quantity specified in design document. In many cases, name of azalea species specified in design document followed the name of azalea species notified to notification institution and relevant organization or it was used comprehensively and unclearly. In design document, 'Zasanhong', 'Yeognsanhong', 'Sancheoljuk' were specified to be used but in the actual site, as 'Zasanhong', 'Hancheol', 'Beni', 'Akado' were planted, such species did not comply with the requirement of design document. The reason of this practice is that at the time of planting design, as correct species were not specified or species classification standard of azalea was not clearly established at the site, azaleas of similar flower color or cheaper azalea species were judged to be planted by matching it with the condition of the site. As ambiguous name of azalea being used in notification institution or relevant organization creates confusion among production company and the consumers, establishment of azalea species name is urgently required. Within the shortest time possible, relevant institutions such as Landscaping Tree Association, Korea Forest Service or Korea National Arboretum shall name azalea species again under consultation by targeting azalea species being mainly used locally and they shall notify its name again based on such new name. It is considered that through this re-naming, a confusion in using azalea among production companies, landscape design architects and contractors of azalea species would be minimized and as development and registration of new species of domestic azalea species are activated, production, use of diversified azalea species would be increased as a consequence. 본 연구는 조경용으로 이용되는 철쭉재배품종(이하, 철쭉류)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하고, 철쭉류 가격 및 고시 품종수의 변동, 생산자 및 설계자, 시공자간의 철쭉류 이용상 혼선실태 등을 조사하여 철쭉류의 이용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철쭉류의 형태적 특성 및 분류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철쭉류 재배업체를 방문하여 생산되는 주요 철쭉류를 수집하였다. 그 후에 국립종자관리소에서 사용하는 철쭉 신품종심사를 위한 특성조사요령을 준하여 철쭉류의 질적·양적 형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조경용 철쭉류는 품종명이 불명확하여 재배업체에서 불리는 명칭대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철쭉류의 가격과 품종수의 변동은 조달청, (사)한국조경수협회, (사)한국물가협회(이하, 고시기관 및 업체)에서 과거 30년간 고시된 철쭉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또한, 재배업체에서의 철쭉류 혼선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주요 생산지역의 10곳 재배업체를 선정해, 이곳에 고시된 철쭉류 명칭대로 전화주문시 명확하게 철쭉류가 배달되는지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조경 설계 및 시공에서 철쭉류의 이용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신축된 아파트 3곳의 조경공간에서 설계도서상 식재설계된 철쭉류와 현장에 심어진 철쭉류의 식재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조사된 주요 철쭉류는 베니, 대왕, 쓰리, 자산홍, 한철, 산철쭉, 겹산철쭉, 백철쭉, 아까도, 석암으로 총 10개 품종이었다. 10개 철쭉류 모두 서로 다른 확연한 형질특징을 지녀 각각 다른 철쭉품종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에 베니, 대왕, 쓰리 품종는 영산홍으로 통칭해 쓰며, 잎과 꽃의 형태가 유사해 구분이 쉽지 않았다. 세 품종은 꽃의 색과 형태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베니 품종은 밝은 빨강색으로 피고, 꽃의 반점색과 암술주두의 색이 빨간색이며 약(葯)의 색깔은 노란색, 소화경 길이는 0.6~0.9㎝로 짧은 편이었다. 또한 화서의 개화수는 쓰리 품종과 함께 4~5개로 다른 철쭉류에 비해 많았다. 대왕 품종은 선명한 자주색으로 꽃이 피며, 소화경 색은 빨간색과 녹색이 섞어 보이며 꽃의 반점색이 탁한 적갈색인 것이 특징적이었다. 쓰리 품종의 특징으로는 밝은 자주색으로 꽃이 피며, 소화경의 색은 중간녹색을 보이고, 암술과 수술은 길이가 같다는 점이었다. 자산홍은 선명한 보라색으로 꽃이 피고 소화경의 색이 적색이며, 한철에 비해 꽃의 반점 발현정도가 약한 편이었다. 이것에 비해 한철은 잎 앞면에 광택이 강한 편이며, 꽃은 선명한 자주색으로 꽃이 피고 소화경의 색은 자주색이었다. 산철쭉 품종은 산지에 자생하는 산철쭉(R. yedoense var. poukhanense)과 동일한 종으로 판단되며, 다른 철죽류에 비해 4월 초에 분홍빛 회색으로 일찍 피었다. 또한, 반점 발현정도는 강한 편이고, 암술의 길이가 수술에 비해 길었다. 겹산철쭉은 산철쭉의 품종으로 겹꽃으로 피었으며 다른 형질은 거의 유사했다. 백철쭉은 꽃이 흰색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었지만, 잎만으로는 구분이 어려웠는데 특히 아까도 품종과 혼돈하기 쉬었다. 아까도 품종은 다른 철쭉류에 비해 늦은 개화시기인 5월 초에 선명한 자주색으로 피었고, 꽃직경은 6~6.5㎝로 백철쭉, 산철쭉과 함께 넓은 편이었다. 소화경의 길이는 1.3~1.5㎝, 꽃받침 조각의 길이 1~1.2㎝로 다른 철쭉품종에 비해 길었다. 마지막으로 석암 품종은 잎크기가 다른 품종에 비해 작아 쉽게 구별되었으며, 아까도 품종과 함께 5월 초에 밝은 자주색으로 피었다. 한편, 철쭉류의 가격 및 고시 품종수 변동 분석에서 조달청, (사)한국조경수협회, (사)한국물가협회(이하, 고시기관 및 단체)의 철쭉류 가격변동은 동일한 패턴으로 움직였다. 이는 (사)한국조경수협회의 철쭉류 가격을 (사)한국물가협회와 조달청에서 고시가격 책정자료로 이용하기 때문이었다. 조달청은 두 고시단체에 비해 15%정도 낮게 책정해 철쭉류의 가격을 고시하였는데 이는 정부의 물가억제 정책으로 인해 조경수목 가격상승을 억제하기 위함이라 판단된다. 철쭉류의 가격은 물가상승률을 감안하여 책정되지만, 철쭉류의 가격상승률은 물가상승률과 서로 연동하지 않았고 불안정한 패턴을 보였다. 이는 다른 조경수목에 비해 철쭉류는 생산기간이 짧아 물가상승률의 영향보다 철쭉류의 공급량과 수요량의 불균형에 따라 가격이 급변하는 것으로 보인다. 고시기관 및 단체에서는 4-8품종의 철쭉류를 30년 동안 단순하게 고시하였다. 철쭉류의 품종명이 확실하지 않아 조경 설계자 및 시공자가 정확하게 철쭉류를 설계 및 시공을 하지 않아 새로운 철쭉류의 수요가 없어 과거 주로 생산하는 철쭉류만이 고시되는 악순환이 반복될 것으로 판단된다. 고시기관 및 단체에 고시한 철쭉류 명칭(겹철쭉, 백철쭉, 산철쭉, 영산홍, 자산홍)대로 재배업체에 주문한 결과, 영산홍 명칭으로는 베니, 대왕, 쓰리 품종이 주문되고, 자산홍의 명칭은 자산홍과 한철 품종이 배달되었다. 영산홍은 베니, 대왕, 쓰리 품종의 통칭으로 재배업체 및 주문자간 혼선을 줄 수 있으며, 자산홍과 한철 품종은 형질이 유사하여 재배업체에서 명확히 품종구분을 하지 못해 잘못 배달되는 것으로 보인다. 조경 설계 및 시공에서의 철쭉류 이용실태에서는 설계도서상 설계된 관목수량 중에 철쭉류는 절반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설계도서상 철쭉류의 명칭은 고시기관 및 단체에서 고시한 철쭉류 명칭을 따르거나 포괄적이고 불분명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설계도서상에는 자산홍, 영산홍, 산철쭉, 철쭉 등으로 설계되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자산홍, 한철, 베니, 아까도 등이 식재되어 불일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원인은 식재설계 시 정확한 품종명을 기재하지 않거나 현장에서 철쭉류의 품종분류기준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아 비슷한 꽃색이나 저렴한 철쭉류를 현장조건에 맞게 식재하기 때문일 것이다. 고시기관 및 단체에서 사용하는 모호한 철쭉류 명칭은 재배업체 및 수요자간에 혼선이 발생시키고 있어 철쭉품종명의 정립이 절실하다. 국내에서 조경용으로 사용되는 철쭉류를 대상으로 빠른 시일 내로 한국조경수협회나 산림청, 국립수목원 등의 관련기관이 협의하여 철쭉류의 형질특징에 맞게 철쭉품종명을 다시 붙이고, 이 명칭으로 재고시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재배업체, 조경설계자와 시공자간의 철쭉류 사용에 있어 혼선이 최소화될 것이며, 향후 국내 철쭉류 신품종 개발 및 등록이 활성화되어 다양한 철쭉품종의 생산·이용이 증가될 것이다.

      • 텐션볼트를 사용한 2-Arch 변단면터널의 암반 필라 보강방안 연구

        최재진 수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Expansion of the industrial base facilities such as roads, railways and tunnels has become necessary due to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in urban areas. For safety reasons, one-way twin tunnels are favored against the two-way single tunnels, but this becomes difficult due to land shortage in highly populated cities .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arallel tunnels used to be designed as more than double the diameter of each tunnel, but it is gradually decreasing in recent designs. This causes stress concentration in pillar,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rogressive fracture could take place. Thus a thorough stability analysis of the pillar has become more important.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section-varying 2-arch tunnels. The 2-arch tunnels require minimal spacing between the 2 tunnels and thus occupy small amount of land compared to parallel tunnels. But it is rather expensive. The parallel tunnel is not as expensive, but it requires more land than 2-arch tunnels. This may cause problem when there is land shortage. This new design has advantages of 2-arch tunnels and parallel tunnels by vary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two tunnels. Stability of the pillar for rock class III was theoretically analyzed and examined by numerical simulations for various widths. Displacement monitoring was also conducted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numerical results. Cost-effectiveness analysis has been also carried out and showed reductions in construction cost and period by 11% and 10 months respectively. The applicability of this new design to the cases where rock condition is not even fair has to be verified. Therefore both two and three dimensional numerical analyses were conducted and pillar stability was examined for rock classes IV and V in two different ways. Results showed that this new design is still effective for poor rock conditions as long as overburden is less than five times of the tunnel diameter. The optimal support design is yet to be found by further studies including the spacings and tensioning forces.

      • 갑상선 종양에서 3p14, 7q31, 9p21. 17p13 염색체에서의 이형접합 소실의 의의

        최재진 연세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Microsatellite alteration(MSA) such as loss of heterozygosity(LOH) has been reported as a novel mechanism of carcinogenesis and as a useful prognostic factor in many malignant tumors. LOH is known to be related with allelic loss of various tumor suppressor genes. Most thyroid nodular lesions are asymptomatic and difficult to detect early. Recently, much effort to elucidate genetic events as prognostic factor of the thyroid nodular lesions have been made. Although many tumor suppressor genes are known to be lost or mutated in a variety of thyroid tumors, the study of LOH mechanism as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in thyroid tumor is rare. Thus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the possible genetic abnormalities seen in LOH.(Material & Method) One hundred thyroid tumor cases(20 nodular hyperplasias, 20 follicular adenomas, 10 follicular carcinomas and 50 papillary carcinomas) have been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LOH for chromosomes 3p14, 7q31, 9p21 and 17p13 allelic los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and DNA obtained from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archival tissues. Each chromosome is related to FHIT(fragile histidine triad) gene, c-met gene, p16 gene and p53 gene. LOH was examined at eight microsatellite loci including D3S1300, D3S1067, D7S486, D7S655, D9S162, D9S104, TP53 and D17S796.(Results) There was no detectable LOH in nodular hyperplasia. LOH on 3p14 was found in 10.5%, 33.3% and 30.4% of follicular adenomas, follicular carcinomas and papillary carcinomas, respectively. LOH on 7q31 was found in 31.6%, 66.7% and 4%, respectively. LOH on 9p21 was found in 6%, 44.4% and 47.8%, respectively. LOH on 17p13 was found in 0%, 40% and 45.8%, respectively. LOH results of 3p14, 9p21 and 17p13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rimination between benign tumor and malignant tumor. Also, LOH on 7q31 was specific to follicular tumors. LOH results of 9p21 and 17p13 correlated well with poorly-differentiated tumors. LOH results of 3p14 and 17p13 were more frequently detected in papillary carcinoma with metastasis and extrathyroidal tumor invasion,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crosatellite alterations on various chromosomes such as 3p14, 9p21 and 17p13 may independently contribute to the malignant transformation of follicular cells and malignant thyroid tumor progression. Also, LOH on 7q31 may specifically contribute to the morphogenesis of follicular tumor. Also, combined use of various LOH markers may help in deciding the prognosis in thyroid tumor patients. (연구 목적) 최근 갑상선 종양 발생은 증가 추세에 있으며, 수술전 진단과 예후 판정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갑상선 악성 종양의 발생에 대한 다양한 분자종양학적, 종양생물학적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나, 다른 장기에 비하면 아직까지 체계적인 분자종양학적인 연구가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특히 p16, p53, FHIT(fragile histidine triad) 유전자같이 대다수 장기의 암종에서 많이 연구되고 발암 과정에서 중추적인 종양억제 유전자들로 알려진 유전자들을 대상으로 한 유전적 변이에 대한 연구는 갑상선 종양에서는 거의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갑상선암의 발생과 진행에 있어 종양억제 유전자의 이형접합 소실(LOH)의 검출 양상을 파악해 보고 이를 통해 LOH가 갑상선암의 신뢰성 있는 표지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갑상선 종양을 대상으로 암억제유전자인 p16INK4A, p53, FHIT의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9번, 17번, 3번 염색체를 비롯해서 최근 세포성장을 조절하는데 그 중요성이 인식된 Hepatocyte growth factormet signalling pathway와 관련된 7q31 염색체 좌위에서의 LOH를 검출하고, 이 결과를 병리학적 소견과 비교하였다.(재료 및 방법) 외과 수술적으로 적출된 갑상선 종양 조직 100례(결절성 증식 20례, 여포 선종 20례, 미소 침윤 여포상 암종 10례 및 유두상 암종 50례)를 대상으로 3p14, 7q31, 9p21 및 17p13 염색체에서의 LOH를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포르말린에 고정되고 파라핀 블록에 포매된 종양과 정상 조직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였고, 시발체가 되는 microsatellite 표지자는 염색체 좌위 3p14상의 표지자 D3S1300, D3S1067, 7q31상의 D7S486, D7S655, 9p21상의 D9S162, D9S104 및 17p13상의 TP53, D17S796 등 총 8개를 사용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실시하였다. PCR 산물을 얻어 다형성 분석을 시행하였다.(결과) 8개 표지자로 검출된 LOH를 보인 증례는 결절성 증식에서는 단 한 예도 없었으며, 여포 선종에서 45%, 여포상 암종 90%, 유두상 암종 84%이었고, 비암종에 비해 암종에서 높은 검출률을 보였다. 염색체 3p14에서의 LOH 검출률은 여포 선종, 여포상 암종, 유두상 암종에서 각각 10.5%, 33.3%, 30.4%이었으며, 9p21에서의 LOH 검출률은 각각 6%, 44.4%, 47.8% 및 17p13에서의 LOH 검출률은 각각 0%, 40%, 45.8%로서 염색체 3p14, 9p21, 17p13에서의 LOH 검출률은 악성 종양에서 양성 종양과 비교하여 의의있게 높았다. 한편, 염색체 7q31에서의 LOH는 여포 선종, 여포상 암종, 유두상 암종에서 각각 31.6%, 66.7%, 4%에서 검출되어 여포 선종 및 암종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LOH 검출률을 보였다. 유두상 암종의 3p14, 7q31, 9p21, 17p13 염색체에서의 LOH 검출은 성별, 연령, 종양의 크기 및 종양내에 형성된 림프 색전의 유무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종양의 분화도에 따른 경우 9p21, 17p13 염색체에서의 LOH는 저분화성 암종에서 의미있게 높은 검출률을 보였다.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없었지만, 갑상선외 종양 침범이 있는 경우 3p14, 17p13 염색체에서의 LOH 검출이 높게 검출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17p13 염색체의 경우 비전이성에 비해서 전이성에서 높은 검출의 경향을 보였다.(결론)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3p21, 9p21, 17p13 염색체에서의 LOH는 갑상선 암종에서 유의하게 높게 검출되었고 9p21, 17p13 염색체에서의 LOH는 저분화성 유두상 암종에서 의의 있게 높게 검출되었다. 따라서 3p21, 9p21, 17p13 염색체에서의 LOH는 갑상선 종양에서 악성화 기전에 기여함을 시사하며, 양성 및 악성 종양의 감별에 유용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7q31에서의 LOH는 여포성 종양에서 특이적으로 높게 검출되어 여포성 종양 형성 기전에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며, 임상적으로 여포성 종양과 유두상 암종과의 감별에 유용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고정화 미생물에 의한 유해 유기 황화합물 제거에 관한 연구

        최재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스상의 유해 유기황화합물의 처리에 응용되는 생물학적 처리법 중에서 고정화 미생물법을 이용하여 폐가스인 황화합물을 전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고 분해 제거하는 실험연구이며, 고정화 방법과 온도 및 pH변화가 유해성 폐가스의 처리효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활성오니를 선택배지에서 배양하고 호기성이며, 독립 영양균인 황산화세균을 분리하고, 최적온도 ∼25℃∼, 최적 pH ∼5.0∼인 용액배지에서 증식시켰으며, 담체는 활성탄 Ca-alginate 복합 담체를 만든다음 Ca를 Al로 치환시켜 여기에 황산화 세균을 포괄시켜 pellet을 만들어 직경 50mm, 높이 800mm인 충진탑에 채운후 유해가스인 황화 수소 및 메칠 메르캅탄을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충진탑 하부에 주입시켰으며, 충진탑 상,하부의 입출구에서 측정한 농도값에 의해 유해 유기황화합물의 분해 제거효율을 계산하였다. 황화 수소를 포함한 폐가스는 공탑속도가 0.08m/sec일때 입구농도가 20.86ppm 이하에서는 90%이상의 제거속도를 보였으며, 공탑속도가 0.16m/sec일때는 입구농도가 5.62ppm 이하에서 91%이상의 제거속도를 가졌다. 메칠 메르캅탄을 포함한 폐가스는 공탑속도가 0.08m/sec일때 입구농도가 5.56ppm이하에서 91%이상의 제거속도를 가졌다. 이 결과에서 보면 황산화균은 메칠 메르캅탄 보다 황화 수소를 포함한 폐가스의 제거율이 크다는 특징을 얻었다. When a hazardous organic sulfur compound-containing air and water pollutants decomposes not easy to decontamination in the natural condition but these were not easy to treatment. In this study was formulated before carbon-calcium alginate complex that the Al-complex keep a stereostructure substituted for the Ca-complex. Next, a immobilized microorganism catalyst prepared the spherical porous pellet for entrapment in sulfur-oxidation bacteria. And, the decomposition of gaseous phase have been carried out in pellet packing fixed bed on the removal of hazardous organic sulfur-compound waste gas containing hydrogen sulfide and methyl mercaptan by immobilized microorganism catalyst. The removal rate was estimated with composite gas mixtures at varied concentrations and superficial gas velocities by gas detector tube at inlet and outlet of the colum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ixed culture derived from the activated sludge was inoculated into of media of pH 1.0∼8.0. No growth occurred at pH8.0 and the most rapid development was at pH∼5.0∼with rates of increase in A_600. 2. The optimum activity of immobilized biocatalyst was determined to the pH 3.0 and being halved at pH 1.0∼5.0. 3. A sulfur-containing hazardous waste gas was determined to this packed column at the superficial velocity of 0.08m/sec, inlet concentration 20.86ppm for a hydrogen sulfide-containing air mixed gas to attain the removal rate of 90% or more and the superficial velocity of 0.16m/sec, inlet concentration 5.62ppm for a waste gas to attain the removal rate of 91% or more. 4. A methyl mercaptan-containing waste gas was determind to the superficial velocity of 0.08m/sec, inlet concentration 5.56ppm for a mixed waste gas to attain the removal rate of 91% or more.

      • Alteromonas haloplanktis 유래 Organophosphorus Acid Anhydrolase 의 유전자(opa) 클로닝 및 발현

        최재진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독성 유기인 화합물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유기인 분해효소organophosphorus acid anhydrolases (OPAA)들은 다양한 진핵 및 무핵 생물체내에서 발견되고있다. 이러한 효소들 acelylcholinesterase(AChE)의 억제제(inhibitors)로 작용하는 유기인계 신경작용제인 DFP 등과 농약(pesticides)을 가수분해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다. Altermonas haloplanktis ATCC 23821로부터 PCR를 통해 증폭된 OPAA을 Escherichia. coli 와 Bacillus subtilis에 재조합하고 발현에 대해 연구하였다. PCR를 통해 1323 bp의 증폭된 OPAA를 획득하였고, pET28a, pET29b, pET30a, pBluescriptSk(-), pGEXOP, pADD124 에 재조합 하였다. 재조합한 OPAA를 E. coli BL21DE, BL21 와 B. subtilis DB104에 형질전환 하였다. E. coli에서 발현시킨 재조합 OPAA를 ITPG 에 의해 유도하여 발현시켜 SDS-PAGE 에서 50 kDa 의 밴드를 확인 하였으나 pGEXOP를 제외하고 모두 불용성단백질로 발현되었다. 불용성으로 발현된 단백질을 복귀시켜본 결과 적은 양의 단백질이 복귀되었고, 복귀시킨 단백질의 DFP의 분해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원 균주와 비슷한 분해 능을 가졌다. 그리고 pGEXOP는 불용성 단백질과 수용성 단백질이 약 10:1로 발현이 되었는데, 수용성 단백질에서 원 균주 보다 2배 높은 DFP의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에서 발현시킨 OPAA는 는 세포 밖으로 단백질을 분비하기 위하여 사용하였으나 소량의 단백질만이 세포 밖으로 발현되었고, DFP의 분해 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원 균주와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세포내에 분비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단백질은 원 균주보다 2.5배 높은 분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Organophosphorus acid(OPA) anhydrolase enzymes have been found in a wide variety of prokaryotic and eukaryotic organism. These organophosphorus acid anhydrolases (OPAA) catalyze hydrolysis of a variety of toxic acetlylcholinesterase inhibitors such as G-type nerve agents and pesticides. In this work, cloning and expression of the OPAA gene from Alteromonas haloplanktis ATCC 23821 was studied in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subtilis. The 1,323 bp DNA fragment encoding the OPAA was amplified with PCR. And the PCR amplified OPAA gene was subcloned into several expression vectors, such as pET28a, pET29b, pET30a, pBluescriptsk(-), pGEXOP and pADD124. The recombint plasmids were transformed to E. coli BL21(DE3), BL21 or Bacillus subtilis DB104. The expression product could be observed on SDS-PAGE gel as a protein band with molecular weight of about 50,000. OPAA activity expressed by the recombinant clones was demonstrated by using diisopropylfluorophosphate(DFP) as a substrate. After induction with IPTG, the most of the target proteins in E. coli were located intracellular and aggregated into the inclusion bodies. But in the case of pGEXOP in E. coli(BL21), about 10% of the target protein was expressed as soluble from. Refolding experiment showed that the insoluble OPAA fraction was refolded with very low yield. Compared with the native OPAA from A. haloplanktis ATCC 23821, the refolded OPAA showed a similar activity of DFP hydorlase. The degradation efficiency of soluble OPAA from pGEXOP was 2 times more activity than the native OPAA. Compared with the native A. haloplanktis ATCC 23821, the culture soop of the recombinant Bacillus subtilis cells showed a similar activity, but the activity of the cell lysate was increased 2.5-fold compared to the native OPAA.

      • 韓美同盟과 韓國의 國家利益

        최재진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1953년 10월 1일 한미상호방위조약의 체결로 성립된 한미동맹은 지난 반세기 동안 한국의 국가안보와 경제발전에 버팀목 역할을 했으며, 여타 다른 동맹과는 달리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되어 왔다. 한미동맹은 한미 양국 간에 엄청난 국력의 차이, 지정학적 위치 등으로 태생적으로 비대칭적 관계로 형성되었으나, 이후 경제발전과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민족적 자긍심의 성장과 더불어 한국인의 동맹관계에 대한 인식이 크게 변화하였으며, 아울러 과거와는 다른 보다 평등한 동맹관계를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1998년 ‘국민의 정부’를 표방한 김대중 정부의 대북포용정책으로 2000년 6월 15일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 남북정상회담이 개최된 이후 북한의 위협은 남북한의 신뢰 구축의 정도에 따라 얼마든지 최소화될 수 있는 개념으로 바뀌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북한위협의 약화는 한미관계 재구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의 확산으로 한미동맹관계는 이완될 수밖에 없었다. 특히, 2003년 출범한 한국의 노무현 정부와 미국의 부시 정부간 동맹관련 긴장관계가 크게 증가되었으며, 한국은 국내적으로 강력한 동맹관계에 대한 조정압력이 강화되었다. 이와 같이, 오늘날 한미동맹은 국내외 환경의 변화로 동맹관계가 조정되어야 할 기로에 서 있다. 그래서 한미동맹 관계 변화를 국내적 요인과 국제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현 시점에서 한국의 국가이익이 무엇이며, 이를 유지․확보하기 위해 한미동맹관계가 어떻게 발전해야 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한미동맹관계 변화의 국내적 요인으로, 첫째, 한국의 역대 정부의 인사들과는 달리 참여정부의 정치지도자와 측근들은 미국으로 편중된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한미동맹 조정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갖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중국 등과의 관계를 진전시켜 균형정책을 유지함으로써 자주성을 확보하고자 했다. 둘째, 한국의 경제적 성장과 민주화는 한국인의 국민적 자긍심으로 연결되어 보다 대등한 한미동맹관계와 국제적으로 걸맞은 대우를 원하게 되었다. 셋째, 한국인은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에 대한 위협인식이 크게 줄어들었으며, 나아가 북한을 화해․협력의 대상으로 보는 경향이 증대되었다. 넷째, 일방적인 대북정책으로 미국에 대한 반미감정과 미국에 대한 비판인식이 대중화되었다. 한미동맹관계 변화의 국제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적인 차원에서 냉전체제의 종식으로 자유주의 진영과 공산주의 진영 간의 대립구조가 약화되었다. 둘째, 2001년 9.11테러사건 이후 미국은 군사혁신과 세계미군재배치전략을 구체화하였으며, 결국 미국은 세계적 차원과 미국의 국가이익 차원을 배경으로 한미동맹 조정 협상에 나섰던 것이다. 셋째, 중국의 경제적 급부상과 일본의 우경화, 미일동맹 강화, 그리고 중-일간 대립은 동북아의 불안정을 초래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모든 국가들은 자국의 국가이익을 바탕으로 외교안보정책을 마련하고 전개한다. 한국도 한미동맹 변화나 조정 과정에서 한국의 국가이익을 철저히 확보하고 이를 유지․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21세기 이 시점에서 한국의 국가이익은 남북한 대립구조를 없애고 한반도 통일을 이룩하는 것, 동북아의 평화와 구축과 번영을 위한 지역안보 구조 정착화, 세계 자본주의 발전에 동참하기 위해 세계시장으로의 자유로운 접근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반도의 평화를 정착해야 하며, 동북아지역의 안보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고, 한국의 선진산업구조를 구축해야 하는 것이다. 한미동맹은 공통의 적인 북한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 국력의 변화, 한국인의 의식 변화 등으로 동맹의 조정이 요구되고 있지만, 한미동맹은 북한의 남침 억제와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통일 우호세력 뿐만 동북아 균형자로서의 전략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문명사회의 보편적 가치를 강화할 수 있는 동맹으로 가치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볼 때, 한국이 한국의 국가이익을 지키기 위해서 협력해야 할 최우선 순위를 두어야 할 국가는 아직까지 미국이다. 한미동맹 관계도 반세기를 지나면서 조정을 요구받고 있지만, 냉철하게 합리적이며 실리적인 차원에서 한국의 국가이익을 철저하게 계산하고 전략적 사고를 통해 안정적인 한미동맹관계를 유지함으로써 한국의 이익을 지켜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부는 한미 양국 간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국민여론에 휘둘리지 않고 한국의 국가이익에 대한 냉정한 평가에 기초해서 외교안보정책을 수립하고 일관성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한미 양국 정부는 국내외 환경변화를 수용하여 과거와는 다른 보다 대등하고 수평적인 정책을 펼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한다. 이러한 노력으로 현재 제기되고 있는 한미관계의 위기는 기회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 표준연결망을 활용한 표준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사회연결망 분석 및 AHP 기법을 중심으로

        최재진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표준 관리의 관점에서 표준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정량적 요소의 빅데이터 분석, 정성적 요소의 객관화 과정으로 나누어 두 가지 방향에서의 연구를 실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기법을 한국산업표준(KS) 정보에 적용한 표준연결망을 이용하여, 인용표준 간 관계를 사회연결망의 중앙성 분석으로 도출한 후 표준 유료판매량과의 상관관계분석과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개별표준의 중앙성 수치가 높을수록 활용도가 높은 표준으로 평가되어 표준의 유지ㆍ보수 시 우선 순위에 두어야 하는 중요한 표준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연구는 계층화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활용하여, 표준 평가와 관련하여 4개의 상위항목, 13개의 하위항목의 선택속성을 도출하였고, 표준 분야의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전체 중요도 측면에서 유료판매량(표준 활용성), 위세중앙성(표준 연결성), 제품표준(표준 종류)이 각 항목별 상위 순위에 위치함을 분석하였다. 표준 분야 관계자들의 제품표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상대적으로 방법표준, 전달표준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균형적 표준 관리를 위해서 표준연결망의 개념과 표준 평가 선택속성의 특징을 함께 고려하여야 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를 요약하면, 표준과 다양한 주변요소들이 함께 영향을 주고 받는 하나의 커다란 표준 생태계로 인식하는 표준연결망의 개념을 확장시키고, 표준연결망의 핵심 요소인 표준 간 인용관계를 기본으로 하여 표준 자체의 서지정보 분석을 통한 표준 평가의 기준을 제시하였고, 표준 평가 선택속성들을 추출하는 기준과 함께 그 우선순위를 도출한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산업표준(KS)을 기반으로 하였기에 정부로부터 국가표준 개발·관리 업무를 이양 받은 표준개발협력기관(COSD, Co-operating Organization for Standards Development)의 관계자들에게는 직접 활용이 가능한 레퍼런스가 될 수 있지만, 다양한 형태와 개별 산업 분야의 표준에 대한 평가의 보편적인 기준으로 제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범용적으로 표준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지표와 방법 개발이 후속 과제가 되어야 한다. 인증, 적합성평가 등의 표준 활용 연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홀하였던, 표준 제ㆍ개정ㆍ확인 등의 표준 개발ㆍ관리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체계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riteria that can be used for standard evalu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standard management. To this end, research was conducted in two directions, divided into big data analysis of quantitative factors and objectification of qualitative elements. The first study, us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 applied to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KS) information, der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normative references through the centrality analysis of the social network and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standard paid sales volume and a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higher the centrality level of each standard, the higher the utilization level, the more important the standards should be in order to maintain or repair them.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the second study derive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four higher and 13 lower categories in relation to the standard assessment. Through the survey of experts in the standard field, paid sales volume(standard usability), prestige(standard connectivity), and product standard(standard type) were analyzed to be placed at the top of each item in terms of overall importanc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roduct standards of the concerned parties in the standard field are highly favored. The importance of method standards and horizontal standards is often overlooked, so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standard network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andard assessment selection attribute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for balanced standards management. Summarizing the performance of this study, I have expanded the concept of a standard connection network that recognizes standards and various peripheral elements as one large standard ecosystem that is influenced and received together. Based on the references between standards, which are key elements of the standard network, the criteria for evaluating standards through analysis of the standard's own bibliographic information were presented. It derived its priorities with criteria for extracting standard assessment selection attributes. Based on the Korean Industrial Standards (KS), this study can be a reference that can be used directly to the staff of COSD(Co-operating Organization for Standards Development), which has received the task of developing and managing national standards from the government. However, there is a limit to present as a universal standard for evaluation of standards in various forms and in specific industrial sectors. Therefore, the subsequent task should be to develop indicators and methods that can be used in general-purpose standards evaluations. Systematic research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with interest in standards development and management, such as standard enactment, revision and verification, which were relatively neglected compared to research on standards utilization such as certification and conformity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