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성격유형과 운동스트레스 및 탈진의 관계

        최재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47

        박사학위논문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성격유형과 운동스트레스 및 탈진의 관계 최재경 체육학과 체육학전공 영남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류호상) 국문초록 이 연구는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성격유형 및 운동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각 종목별 협회에 등록된 고등학교 운동선수 43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Type A 성격, 성취목표성향, 기본심리욕구, 사회적 지원 검사지(성격유형)와 운동스트레스, 스포츠 탈진 검사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WIN Version 19.0K를 이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기술통계, 빈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Schffe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격유형 및 운동스트레스, 탈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남자선수가 기본심리욕구와 사회적 지원이 높게 나타났으며(p<.001, p<.01), 여자선수가 운동스트레스와 탈진이 높게 나타났다(p<.001, p<.01). 저학년이 기본심리욕구가 높게 나타났으며(p<.001), 고학년이 운동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p<.05). 개인종목 선수가 단체종목 선수에 비해 기본심리욕구는 낮았으며(p<.001, p<.01), 운동스트레스는 높았다(p<.01). 둘째, 성격유형 중 Type A성격과 성취목표성향은 운동스트레스와 탈진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기본심리욕구와 사회적 지원은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p<.001) 성취목표가 강하고 Type A성격에 가까울수록 운동스트레스와 탈진에 노출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스트레스는 탈진에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p<.001).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이론적, 실증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주요어: 고등학교 운동선수, 성격유형, 운동스트레스, 탈 Ph.D. Dissertation Relationship of Personality Type, Exercise Stress and Athletic Burnout among High School Athletes Jae-Kyung Choi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Dr. Ho-Sang Yo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ersonality type, exercise stress and athletic burnout of high school athlet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36 high school athletes who registered with athletic associations for different sporting events. The instrument used to gather data was an inventory that covered personality type A,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ocial support(personality type), and another inventory was utilized, which covered exercise stress and athletic burnou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9.0K, and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Besides, Scheffe post-hoc analysis was made to look for intergroup gap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type, exercise stress and athletic burn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oy athletes had stronge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were given more social support(p<.001, p<.01), and the girl athletes suffered more exercise stress and athletic burnout(p<.001, p<.01). Stronger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found among the athletes who were in the lower grades(p<.001), and heavier exercise stress was found among the athletes who were in the upper grades(p<.05). The athletes of individual events had less basic psychological needs than those of team events(p<.001, p<.01), and the former suffered more exercise stress(p<.01). Second, type A, which was one of personality types,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exercise stress and athletic burnout(p<.001),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ocial support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two(p<.001). The athletes who were more achievement-goal-oriented and whose personality was more similar to type 1 were more likely to suffer exercise stress and athletic burnout. Third, exercise stres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to athletic burnout(p<.001).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from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in comparison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Keywords: high school athletes, personality type, exercise stress, athletic burnout.

      • 북한의 비대칭 전력 위협과 한국군 대응 방향에 대한 연구 : 북한군 비대칭 4대 위협을 중심으로

        최재경 상지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study on The ROK Army Counter-measures against North Korean Asymmetric Military Threats. Jae Kyung Choi Dept. of Security Graduate School of Peace and Security Sangji University The Kim Jung En regime, was succeed by the leader of Kim Jung Il when he was dead in last 2011 December. Kim Jung En regime had internally showed reign of terror by killing his uncle Jang Seong Tek. And they externally claims that third, forth, fifth Nuclear experiments are just so called satellite. And by using satellite in it's name, they are focusing on developing Nuclear missile transportation. As a part of it, they are enhancing the special force such as Nuclear backpack forces including special warfare forces, and experimenting submarines which can surreptitiously fire SLBM on the sea. And also enhancing the Naval special forces. By this, North Korea is threatening South Korea by force from west sea. This kind of North Korea's illegal provocation leads to turn their backs not only UN, including west country but also China and Russia which they claimed strong allies. Our government realized the limit of cooperation with the North, we closed Gaeseong Industrial Complex and cut all the cooperation with North In defense. In militarily, we are come up with multifarious Military countermeasures such as an early development KMND system, securing early Kill-Chain power and building Korea-U.S mutual-assistance system to build THAAD, and deploying the Combined air power when North provoke at the Northeast Asia. Especially 2016 July 8, Korea government had officially announced that Korea-U.S military set THAAD all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recently by 2016, August, North's SLBM test and September's fifth Nuclear experiment, government is reviewing sanctions plans such as Joint Chiefs of Staff's KMPR and cooperativ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is research, as told earlier, through North Korea's treat and provoke, severe economic crisis and national isolation, and professor Paul's determinant of small country's asymmetric dispute, the war aspect that might occur in future will be asymmetric warfare based on forth generation warfare static. Their are several reasons. After 2000, difficult to run conventional army because of severe economic crisis, bad relationship with traditional allies, realizing military force is relatively weak for the power of South Korea and USA. To break this circumstances, they learned new static through USA's war with small countries such as vietnam war, Iraq war, Afghanistan war. They are make new form of military strategies form traditional blitz total war. Through this kind of strategies, the conventional warfare based on sneak attack and short warfare will change in to asymmetric warfare based on sneak attack and long warfare. The military power will change armored and Mechanized force to asymmetric. And also we can find out that the attacking targets are become anyone, not military and government. For that evidence, after 2000, North Korea is enhancing unconventional warfare by Nuclear treat to South Korea and U. S. A, using cyber squad to attack main facility and society, create light infantry. As a result this the recent North Korea's military aspect is forth generation warfare. And as mentioned earlier, this kind of new military strategies are asymmetric strategy. Actually the word of 'Asymmetric' first used in 1995 The joint doctrine. We should understand it as a "Asymmetric Approch to Warfare". Namely this concept made based on USA' s two time of wars at middle East. It called "Asymmetric treat" If there is a treat that limit the free use of U. S. A army. Therefore this research show that the North Korean's Asymmetric treat is not a level we can response now. Or still our army shows a bit inferiority at some specific area. And this kinds of North Korea treats's cores are, based on recent provoke, we can conclude that they will be massive killing weapon(Nuclear missile, Chemical weapon), long range artillery, special operation force, cyber warfare. In future South Korea, we can judge North Korean's asymmetric static's phase attack aspect. Treat and provoke by using WMD, cyber attack, social distraction and provoke by special operations forces, through North Korea sympathizers, creating ani-government, anti-U.S.A, struggles and trying to make psychological commove. Before Korea military's countermeasures, first, based on alliance with USA, we should make our trust firm. These are the reasons, this could be a first condition to inhabitate Nuclear in urgent circumstances. And next, South Korea's solitary countermeasures should be based of offensive inhabitate strategy and aggressive. Until now, our military's deniable inhabitation strategy, the 3 elements of inhabitation North Korea army and reign was not effective at all. So, in communication, trust, ability, the deniable inhabitation is not effective. We should change it in to vindictive strategy. And to run this. we should find out our current countermeasures and we need to know North Korea's asymmetric treat level and run it by phase. As a result, we need to build prevention of diffusion of WMD, because of North Korea's WMD treat, and maintain the South Korea's solitary countermeasure of Nuclear(Aggressive inhabitation way : Kill chain, Decapitation strike, Retaliation punishment of operations / Offensive inhabitation way : THAAD + KAMD). And we need to use weakness of long range artillery guns forces and conventional asymmetric strategies. Like this, we should establish the preemptive attack of response system. Lastly, by using active cyber warfare, we need to make response system for those four asymmetric strategies of North Korea. And also we need to make information asset surveillance, hitting ability and inhibition and offensive strategies early from North Korea's asymmetric treat And we should aware that we are ate the edge of the North Korea's asymmetric strategies treats and we should prepare for it. North Korea is focusing their power to improving and developing asymmetric strategies to maintenance of a system and fulfill their ambition. It is true that we are certainly not prepared for this kinds of asymmetric strategies. So we have to focus on preparing North Korea's asymmetric treats. 지난 2011년 12월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후 권력을 승계한 김정은 정권은 대내적으로 고모부인 장성택을 처형하는 등 공포정치를 자행하면서, 대외적으로는 제3, 4, 5차 핵실험 및 소위 인공위성이라는 미명아래 핵·미사일 운반체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북한은 핵 배낭 부대를 포함한 특수전 부대와 은밀하게 해상에서 잠수함으로 발사 가능한 SLBM(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실험 및 해상 특수세력에 대한 전력을 증강하고 있으며, 서해상에서의 무력사용에 대한 대남 위협도 배가하는 형태를 자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북한의 불법적인 도발행위는 UN을 포함한 서방국가는 물론, 심지어는 혈맹관계로 자타가 공인하는 중국 및 러시아마저도 등을 돌리는 결과를 낳았다. 우리 정부도 대북협력에 대한 한계를 통감하고, 개성공단 폐쇄 및 해외에서의 북한과의 협력을 전 방위적으로 단절하였고, 군사적으로는 KMND체제 조기 구축, 킬 체인(Kill-Chain) 전력 조기 확보 및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THAAD) 구축을 위한 한미 공조체제 구축, 동북아 지역에서의 북한 도발에 대응할 수 있는 연합공중 전력의 전개 등과 같은 다방면적인 군사대응책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특히 2016년 7월 8일 정부는 한반도에 주한미군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 배치를 공식 발표하였으며, 최근 2016년 8월 북한의 SLBM 실험과 제5차 핵실험에 즈음하여 대량응징보복작전(KMPR)을 공식화하는 한편, 국제사회와 협력한 더 강도 높은 제제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본 연구는 위에서 열거한 북한 위협 및 도발 사례와 현재 심각한 경제난과 국제적 고립, 그리고 Paul 교수의 약소국의 비대칭 분쟁 선택의 결정요소를 북한으로 대입해 보았을 때, 미래 한반도에서 출현할 전쟁 양상은 소위 4세대 전쟁의 전술을 기초로 한 비대칭전으로 추론되며, 이를 수행하기 위한 핵심적 수단으로 비대칭 전력을 적극 활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이유는 2000년 이후 북한은 심각한 경제적 악화로 인한 재래식 군사력 유지의 어려움, 전통적 우방국과의 소원한 관계, 한미 연합전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소한 전력 등의 불리한 상황을 단숨에 타파하고 미국과 약소국의 전쟁인 베트남 전, 이라크 전, 아프가니스탄 전 등에서의 답습을 통해 기존 전면전 위주의 전통적인 속전속결의 전략전술에서 발전된 그들만의 새로운 형태의 군사적 전략전술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그들만의 전략전술에 의하면 기습공격과 단기전을 기초로 한 정규전 형태의 전쟁양상이 제한된 기습공격과 장기전을 기초로 하는 비정규전(또는 정규 및 비정규전 혼합) 형태의 전쟁 양상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실행시킬 군사력의 활용 수단도 기갑 및 기계화 부대에서 비대칭 전력으로, 공격대상 또한 군과 정부에서 불특정 다수로 변화할 것으로 유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로 2000년 이후 핵·미사일을 이용한 한국 및 미국 본토 공격 협박, 장사정 포병을 활용한 서울 불바다 위협, 사이버전을 통한 주요 기관과 남한 사회에 대한 공격, 그리고 전방군단에 경보병 사단 창설을 통한 비정규전 수행능력 향상 등 비대칭적 능력을 지속적으로 개발 및 증강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북한군의 최근 군사적 양상은 기존 전면전 위주의 대남전략전술이 아닌 소위 제 4세대 전쟁의 양상으로 변화하는 군사적 행동의 증거라 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제시한 북한군의 이러한 새로운 군사적 전략전술의 실행 수단이 바로 비대칭 전력인 것이다. 비대칭이란 용어는 1995년 미 합동교리에 언급된 용어로써, “전쟁에서의 비대칭적 접근(Asymmetric Approach to Warfare)" 개념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즉 당시 중동지역에서의 2차례에 걸친 미국의 전쟁경험을 바탕으로 창출된 개념으로 미국의 군사력의 자유로운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위협이 있다면 이를 “비대칭 위협”이라고 통칭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도 북한의 비대칭 위협은 우리가 현 단계에서 대응할 수 없는, 또는 아직 특정분야에서 아군 전력이 다소 열세한 분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북한군의 위협의 실체의 핵심은 최근의 도발을 기초로 볼 때 대량살상무기(핵·미사일, 화생방 무기), 장사정 포병, 특수작전 부대, 사이버전 분야로 대별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를 활용한 미래 한반도에서 북한군의 비대칭 전력의 공격 양상을 판단해 보면 WMD를 이용한 협박과 도발 위협, 사이버 공격, 특작부대 침투를 통한 남한 사회 교란 및 도발, 북한 동조세력을 통한 반정부, 반미 시위와 투쟁, 심리적 동요 유발 등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한국군 대응방안에 앞서 우선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한미연합전력의 대응태세, 즉 미국의 확장억제의 신뢰성을 공고히 해야 한다. 이는 핵을 자체 보유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이유로 한국군의 현 위급한 상황에서 핵억제를 위한 선제조건이라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한국군의 독자적 대응태세는 공세적 억제 전략과 선제적 공격태세를 기본으로 하는 방향으로 나야가야 한다. 지금까지 우리군의 거부적 억제전략은 북한군 및 북한정권에게 억제전략의 3요소 차원에서 효과적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즉 의사전달, 신뢰성, 능력면에서 북한군에게 매우 비효과적이기에 억제의 방법을 거부적 억제에서 보복적 억제의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순서로는 현재 실행 가능한 방안과 북한군의 비대칭 위협의 수준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북한군 WMD 위협에 대해 바로 시행 가능한 WMD 확산방지 체계를 구축하고, 한국군의 독자적인 핵 대응태세(공세적 억제수단:킬체인, 참수작전, 대량응징보복작전 /방어적 수단:사드+KAMD, 한미 분업체계 및 한국군 조직 및 국방기획 개선)를 유지하며 장사정 포병을 포함한 재래식 비대칭 전력에 대해서는 적의 약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등 선제공격 위주의 대응체계를 수립하며, 마지막으로 적극적인 사이버전 수행을 통해 북한군의 핵심적 4대 비대칭 전력에 대해 철저한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북한의 비대칭 위협에 대해 필요한 감시정보자산과 타격 능력, 억제 및 공세 전략 개념 등을 조기에 완성시켜야 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한국군은 북한의 비대칭 전력의 위협에 벼랑 끝에 서있다는 것을 인식(우리군의 의식 개혁)하고 필사적으로 대응태세를 갖추어야 한다. 북한은 이 시각에도 자신들의 야욕을 채우고 체제유지를 위해 모든 역량을 비대칭 전력 개발 및 향상에 쏟고 있으며, 이러한 비대칭 전력에 한국군 자체적으로 아직 완벽한 대안을 준비시켜 놓지 못했음은 자명한 사실이기에 북한의 이러한 생존을 건 비대칭 전력의 위협에 사력을 다해 준비해야 한다.

      • 지속가능한 평생학습마을 만들기 사례연구 : 의왕시 청계나눔행복학습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최재경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자본주의의 도래로 빠른 변화를 거치면서 상업화되고 도시화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경험하게 된 지역사회의 붕괴를 회복시키고 삶의 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지역공동체 회복에 대한 관심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지속가능한 사회를 꿈꾸는 사람들도 미래의 대안문화로서 마을공동체를 주목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 시대의 필요성에 의해 중앙정부 및 각 지자체는 평생학습마을 만들기를 추진하고 있다. 평생학습마을 만들기는 마을에서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지역의 도전과 과제를 주민의 자주적 학습을 통하여 함께 해결하고 마을의 독특한 문화를 만들어가는 지역 학습공동체를 지향한다. 학습공동체 속에서 자신들만의 평생학습을 주민 스스로가 계획하고 참여할 뿐만 아니라 주민들끼리 서로 연대하는 경험을 마을에서 할 수 있으며, 학습을 통해 삶의 질의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생학습마을 만들기는 지자체의 지속적인 행정적, 재정적 지원 및 점검부족과 마을주민들의 평생학습에 대한 이해도 부족 및 마을 주민 간 갈등 등으로 성공적으로 정착되기까지 많은 난관이 있다. 따라서, 지역현황을 고려한 의왕시 청계나눔행복학습마을 만들기의 사례를 통하여 효율적인 지역재생을 촉진하기 위한 지역사회와 주민의 특성에 맞는 평생학습 만들기 운영시스템 및 사업운영의 촉진 및 저해요인과 마을자립방안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평생학습마을 만들기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의왕시 청계나눔행복학습마을의 운영시스템을 분석하였다. 둘째, 의왕시 청계나눔행복학습마을 사업운영의 성공 및 저해요인을 살펴보았다. 셋째, 지속가능한 평생학습마을 만들기를 위한 평생학습마을 자립 방 안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로 평생학습마을교장, 학습코디네이터, 마을주민, 시 및 수행기관의 평생학습담당 등 학습마을 운영에 실제로 참여한 운영 인력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는 이 사업 운영에 총괄 팀장으로 직접 참여하여 처음부터 참여관찰을 하였다. 자료 수집은 문헌자료로 의왕시 청계나눔행복학습마을 운영자료로 문헌조사를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왕시 평생학습마을 만들기의 운영시스템을 분석해보면 마을운영 TF팀 구성, 월 정례회의 개최, 마을자립방안 회의 개최, 주민사업 설명회 및 요구조사 실시, 운영인력에 대한 효율적인 평생학습 교육, 의왕시의 다른 평생학습 마을과의 정보교환, 마을 주민간의 다양한 소통채널, 학습마을 운영인력의 열정, 마을 내 기관의 관심과 협조가 있었다. 세부적으로 연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차 년도에는 학습마을 인력 양성 및 배치를 실시하고 주민사업설명회를 통해 평생학습마을 사업에 대한 주민의 이해를 넓혔고 주민요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2차 년도에는 주민요구 프로그램 운영, 주민들이 마을내의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다양한 교육사업 운영, 특강, 자원봉사자 활용, 마을바자회 및 축제 개최, 동아리 운영 등 매우 다양하고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3차 년도에는 마을운영 인력의 업무 숙련도가 높아져 수행기관의 도움 없이 자율적으로 학습마을이 운영되며 지역 내 유관기관 및 단체와의 연계가 더욱 활발해져 독자적인 사업 운영 및 지역 내의 다양한 현안 문제를 주민 스스로 해결하였다. 이처럼 의왕시 청계나눔행복학습마을이 성공적인 운영시스템을 갖출 수 있었던 것은 시의 적극적인 협조와 수행기관의 다양한 운영 경험, 그리고 학습마을교장 및 학습코디네이터의 열정과 우수마을을 성공적으로 벤치마킹함으로써 시행착오를 최소화하여 빠르게 평생학습마을을 정착하게 한 노력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의왕시 청계나눔행복학습마을 만들기 사업운영의 촉진 및 저해요인을 살펴보면, 촉진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 수행기관, 마을 등 운영인력 간의 의사소통이 매우 원활하였고, 각 기관은 적합한 역할분담을 하였다. 주민사업설명회 개최, 주민 요구조사를 매월 실시하여 주민맞춤형 의견을 반영할 수 있었고, 마을운영에 대한 문제점은 마을운영기관과 마을학교 운영진이 주민과 소통하여 가능한 즉시 해결하였다. 둘째, 평생학습마을의 주도적인 운영인력인 마을리더, 학습코디, 주민강 사에게 평생학습의 이해 및 열정과 사명감을 갖도록 심화교육을 추진하였다. 셋째, 우수기관을 벤치마킹하여 마을의 빠른 정착 및 마을기업, 사회적 기업에 대한 노하우와 핵심 전략을 연구하였다. 넷째, 주민강사, 학습코디네이터에게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의 인재가 지역의 리더로 봉사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시스템을 정립하였다. 다섯째, 마을학교 동아리, 지역유관 기관, 의왕시 내의 세 개의 평생학습 마을과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평생학습관련 정보를 공유하였다. 여섯째, 평생학습마을 운영 정관제정 및 업무 매뉴얼을 작성하여 행복학습마을 운영에 따른 체계적인 운영기준 및 시스템을 마련하여 운영의 효율화를 극대화했다. 평생학습마을운영 저해요인으로는 주민들의 평생학습에 대한 이해부족, 마을주민 및 단체 간 이기주의, 의견차이로 인한 다툼 및 갈등, 기관의 행정·재정적 지원 중단 시에 마을운영의 어려움 등으로 분석되었다. 지속가능한 평생학습마을 만들기를 위한 평생학습마을 자립방안으로는, 첫째, 평생학습마을을 자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자립계획 수립 및 추진, 매주 수익 창출 프로그램 개발 회의를 개최하여 지역 특화프로그램을 발굴하였고, 청계나눔행복학습마을은 현재 소외된 계층과 함께하는 교육협동조합 설립을 목적으로 컨설팅을 추진하고 있다. 둘째, 청계나눔행복학습마을은 지역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MOU를 체결하고 상호간의 재능기부 및 자원봉사를 통해 지역의 인재들이 지역의 발전을 위해 봉사하고 다양한 평생학습 프로그램이 운영되도록 하는 선순환 시스템을 정착시켰다. 셋째, 각종 행사 참가 및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수강생의 학습 결과물을 판매하는 등 평생학습을 통한 수강생의 물품을 상시 판매하였다. 수강생들이 직접 만든 결과물을 홍보 및 판매하여 일자리를 창출하고, 마을기업 설립으로 연계하여 마을자립경제 달성 방안을 계획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의왕시청계나눔행복학습마을 만들기의 사례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와 주민의 특성에 맞는 평생학습 만들기를 위한 효율적인 운영시스템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평생학습사업 운영의 촉진 및 저해요인과 마을자립방안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지속가능한 평생학습마을 만들기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 것에 의의를 둔다.

      • 실손의료보험 면책약관의 연구

        최재경 국민대학교 법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손의료보험 가입자는 FY'14년도 기준 약 3천 4백만 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보험은 일반적으로 개별 보험계약자가 예측하기 어려운 위험을 위험의 양과 질에 따라 합리적으로 보장하며, 그 결과 보험계약자 또는 피보험자가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실손의료보험의 손해율은 FY'15년 상반기 기준 124.2%로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어 개별보험 소비자를 위한 일방적인 보장확대만을 강조하여서는 안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러한 지속적인 손해율 악화는 보험료의 급격한 인상으로 귀결되어 보험단체 구성원들의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약관을 포함한 면책약관을 중심으로 보험료 부담의 형평성과 각 약관의 변천과정에 따른 면부책 변화 정도를 심도있게 분석하였다. 따라서 과거와 현재의 면책약관에 대하여 수립배경과 면책취지 등을 살펴보고 각 면책조항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적용되는지 또는 부적절한 적용논란에 대한 분쟁사례와 판결을 중심으로 논문을 구성하였다. 실손의료보험은 보험소비자가 보험자 선택을 통해 보험계약을 구성하는 사적 계약으로서 공적인 기능을 강조하기 보다는 그 운영의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 하지만 국민건강보험 공백의 보장을 통한 국민의료비 부담완화와 의료수요 충족이라는 본연의 기능을 과도하게 축소하여서도 안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편타당한 위험에 대한 보험보장을 강화하고 모랄헤저드를 내포한 과도한 보험금 청구를 제외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특약분리를 통해 선택가입자에 대해서는 추가 보험료 재원을 확보하여 충분한 보장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면책약관은 실손의료보험이 다수의 동질의 위험을 가진 보험단체의 구성원리에 어긋나지 않도록 합리적인 보장구조 개선에 기여해야 할 것이며, 기존의 낡은 체계를 고수하는 보수적 입장을 벗어나 국제적 사회변화 트랜드에 맞는 자기책임의 원칙이 존중되는 노련하고 선제적인 모습으로 발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ㄱ형강의 콘크리트 부착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재경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형 L 형강에 대한 부착강도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두 가지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L 형강의 종류 및 피복두께, 부착길이 등을 변수로 한 푸쉬아웃 실험체를 계획하고 푸쉬아웃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L 형강의 부착강도는 평균 3.08MPa, 표준편차 1.01MPa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이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제한된 실험결과로부터 부착강도를 하위 5%인 1.42MPa로 제시하였으며, 이는 기준의 공칭부착응력 및 공칭수평전단응력을 상회한다. 둘째, L 형강의 종류, 정착길이, 겹침구간 내 보강상세 등을 변수로 한 6개의 보실험체를 계획하고 겹침이음 휨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로부터 스터럽이 배근되고 정착길이가 450mm인 실험체는 L 형강의 응력손실없이 연성적인 거동을 나타내며 충분한 정착성능을 확보하였다. 스터럽 유무에 따른 내력증가율은 A30-L300 계열 실험체에서 7.9%, A50-L350 계열 실험체에서 10.3%로 나타나 겹침구간의 길이가 적을 경우 스터럽 보강에 따른 큰 정착내력 증가율을 보여 정착성능향상에 큰 기여를 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발전시설 복수정류기의 실시간 설정 부하전류 출력을 위한 점호각 자동 조정에 관한 연구

        최재경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larg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were built and operated over 50 sites. At the electrical power plant, the digital excitor control system is very essential to keep high performance of electric generation, but it makes often problems in circuit and devices. It needs to be upgraded by new control technology.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nd managing thyristor or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devices, which convert power from rectifiers to supply power stably while operating multiple rectifiers, which are key facilities for converting power, is emerging. Since the thyristor element has different stresses affecting the element and characteristics of each element in accordance with the lapse of the operation time, more current flows through the thyristor having a smaller load during operation, and the rectification period load current becomes different. Before designing to prevent such phenomena beforehand, verification is done through sufficient tests, but it is impossible to feed the same current to each rectifier.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periodically maintain and manage the thyristor devices used in the rectifier when operating the power generation facility.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current variation due to the adjustment of the firing angle delay when the load currents output through the test are different. 모든 대형 발전시설에서 전력을 변환시켜주는 핵심 설비인 여자(勵磁) 구동용 정류기는 복수기로 운용하고 있다. 여자전류를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발전기 유지관리의 경제성 그리고 정류기의 수명 유지를 위해 정류기에서 전력을 변환해주는 사이리스터(Thyristor or SCR: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소자의 전류제어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정류기 핵심 부품인 사이리스터 반도체는 운전시간 경과와 전류 분담에 따라 소자의 수명에 미치는 스트레스와 각 소자마다의 특성이 변하기 때문에 동작 시 부하가 적은 사이리스터로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각각 정류기의 부하전류가 차이 나고, 파손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류기 모듈별 고장과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설계 전 충분한 시험을 통해 검증을 하고 있다. 그러나 각 정류기마다 부하전류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동일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발전시설 운용 시 정류기에 사용되는 사이리스터 소자에 대하여 주기적인 유지 및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험을 통하여 각각 출력되는 부하전류가 상이할 시 점호각 지연조정에 따른 전류변화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 무연 솔더 페이스트 칩 접합부의 전단 시험방법 표준화

        최재경 부경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lectronics industry is attempting to replace Pb-base solder with lead-free solder because of the growing environmental regulations governing the use of lead. Lead-free solder paste does not yet have an evaluation method to classify its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shear strength. In this study, we made solder paste from Sn-3.0Ag-0.5Cu using the reflow method. To standardize the shear test method, we measured the shear strength of the solder joint of a 2012 ceramic chip at a shear rate of 3 to 60 mm/min and a shear height of 10 to 380 ㎛ using variously shaped shear jigs. We statistically analyzed the optimum number of shear test repetitions by calculating the accumulative average value, standard deviation, and width of the confidence interval. We then examined the fractured surface of the solder joint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캡슐 내시경 통신을 위한 Low-IF 구조의 CMOS RF 수신기 설계

        최재경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캡슐 내시경은 인체의 소화기계의 질환을 진단하는 내시경 기술의 한 분야로 인체 외부의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지 않아 검사자와 피검사자 모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이러한 캡슐 내시경 입체 삽입 의료기기의 통신을 위해 400 MHz 근방에 배정된 Medical Implant Communication Service(MICS)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하며, 통신 시 이용하는 1개 채널의 대역폭은 300 kHz 이다. 본 연구에서는 MICS 대역 통신 표준을 만족하는 캡슐 내시경 통신을 위한 저전압, 저전력의 CMOS RF 수신기 회로 설계하였다. 수신기의 구조로는 Low-IF 구조를 채택하고 해당 구조의 결점인 이미지 신호의 간섭 문제의 해결을 위해 Complex 대역 통과 필터 형태로 기저 대역 회로를 구성하였다. 본 문의 내용에 각 블록의 설계 기법과 성능을 기술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 결과 수신기의 변환 이득은 90 dB 이고 잡음 지수는 2.6 dB이며, IP1dB는 -34.8 dBm, 소모 전력은1-V 공급 전원 조건에서 2.9 mW이다. 설계된 수신기를 TSMC 65 nm CMOS 공정에서 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수신기는 캡슐 내시경의 통신을 비롯한 저전력, 협대역 통신을 위한 수신기에 응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직업전문학교 훈련생들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

        최재경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직업전문학교 훈련생들의 배경변인(성, 연령, 학력, 직장생활유무, 경제생활정도)에 따른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의 차이를 탐구하고 이들 두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북 소재 직업전문학교 훈련생 236명을 대상으로 진로자기 효능감검사, 진로탐색장애검사를 실시하였다. 배경변인별 각 척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t검증과 F검증를 실시하고 척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직업전문학교 훈련생들 중 여자훈련생이 남자훈련생보다 진로자기효능감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51세이상>31-40세>21-30세>41-50세>20세이하, 학력은 대졸>전문대졸>고졸>중졸, 직장생활경험은 유경험자가 무경험자보다 비교적 높은 수준(p<.01)을 보였으며, 경제생활 정도에 따른 수준은 중층>중상층>중하층>하층>상층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전문학교 훈련생들 중 남자훈련생이 여자훈련생보다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0세이하>31-40세>41-50세>21-30세>51세이상, 학력은 중졸>고졸>전문대졸>대졸, 직장생활은 무경험자, 경제생활수준 하층>중하층>상층>중층>중상층 순으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벽의 관계는 전체 배경변인별로 매우 높은 부적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진로와 관련한 자기능력에 대한 확신감을 나타내는 진로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과 진로지도의 실제에서 고려해야할 진로장벽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진로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은 내적 장애를 더 많이 지각하는 경향이 있고 개인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곧 진로장벽에 대한 극복여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선택이나 수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직업 전문학교 훈련생들을 위해서 자기효능감을 함양시키는 상담 절차들이 고안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하고 실제 기술개발과 더불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이나 정확한 결과에 대한 기대를 갖도록 도와주는 일, 목표설정 방법을 가르치고 성공적인 직장생활을 위해 필요한 의사소통기술이나 장애를 극복하는 방법 등을 준비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difference in the career self-efficacy and the career barriers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ge, academic career, whether or not job life, and the economic-life level) of trainees for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o do this, it conducted the career self-efficacy test and the career barrier inventory targeting 236 trainees of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located in Jeonbuk. It carried out t-test and F-test, respectively, aiming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each scale by background variable, and conducted the correlation analysis aim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al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shown to be a little higher in the career self-efficacy of female trainees than male trainees among trainees of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It showed a relatively high level (p<.01) in more than 51 years old>31-40 years old>21-30 years old>41-50 years old>less than 20 years old as for age, in university graduate>college graduate>high-school graduate>middle-school graduate as for academic career, and in persons with experience than without experience as for job life, and the level depending on the economic-life degree was shown to be higher in order of middle class>middle-upper class>middle-lower class>lower class>upper class. Second, the male trainees were shown to be perceiving the career barriers more highly than female trainees among trainees of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each was shown to be high in less than 20 years>31-40 years old>41-50 years old>21-30 years old>more than 51 years old, in middle-school graduate>high-school graduate>college graduate>university graduate as for academic career, in persons without experience as for job life, and in order of lower class>middle-lower class>upper class>middle class>middle-upper class as for economic-life level as for economic-life level. Third, the career self-efficacy and the career barriers showed the very highly negative correlation (P<.001) by background variable of the whole.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career self-efficacy, which shows the confidence in self-ability related to career, has close relationship with a concept of career barriers, which will need to be considered virtually in the career development and the career guidance. It implies that a person with lowly career self-efficacy tends to perceive the inner barrier more and that the self-efficacy level of an individual can just have decisive influence on whether or not overcoming the career barriers. Accordingly, as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recognizes the necessity of devising the counseling procedures that foster self-efficacy aiming at trainees of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who are experiencing the difficulty in choosing or performing the career, and a devised program aiming to enhance self-efficacy, together with the virtually technical development,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in a bid to help with having the expectation of the exact result, to teach a method of setting up a goal, and to enable the preparation of a method of overcoming the communication skill or barriers necessary for the successfully job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