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창의적 성취의도, 초인지 학습전략과 학습리더역량 간의 관계 분석

        최은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79

        In order to cope with the accelerating social change and to design one's future and achieve the visi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and prepare for the career goals during the college years. In particular, in order to be competitive in the future society, it is very important to prepare for self-learning, to set up a learning strategy with an achievement intention, and to lead learning with responsibility for one's own learning and team learning activ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and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as variables that affect learning leader competency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and learning leader competen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7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a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tests were conducted on them. The measurement tools were the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test(Lee Ka-hyung, Lee Kyung-hwa, 2020b), the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test(Lee Kyung-hwa, Choi Eun-ju, 2021a),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est(Choi Eun-ju, Lee Kyung-hwa, 2021b) and the learning leader competency test (Lee Kyung-hwa, Choi Eun-ju, 2021b)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in this stud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September 3, 2021 to September 21, 2021, and the final 762 data were analyzed, excluding 8 insincere out of 770 data.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PROCESS macro for SPSS (ver. 3.5),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reliability was calculated, and correlation was confirmed. In order to verif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d dual mediation effect of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and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in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on learning leader competency, the suitability of Hayes(2013) PROCESS macro Model 7(moderated mediation effect) and Model 6(dual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In addit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rated effect of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was confirmed in the mediation of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in which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ffects learning leader competency. In other words, hypothesis 1 was adopted that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would have direct effect on learning leader competency, and hypothesis 2 was adopt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would have indirect effect on learning leader competency through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Hypothesis 3 was adopted that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w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which is a mediating variable. Finally, hypothesis 4 was adopt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would be moderated by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to indirectly affect learning leader competency through a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Seco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and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in which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ffects learning leader competency. In other words, hypothesis 5 was adopt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would have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leader competency by achievement intention and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which dual-mediated variabl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t the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which had not been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on learning leader competency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confirmed the influence of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and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as dual mediator variabl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the basis for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to enhance the learning leader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In other words, it will be helpful to construct various curriculums consideri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creative achievement intention, and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y that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o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leader competency. 사회변화의 가속화에 대처하고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여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학생 시기에 진로에 대한 목표를 명확히 하고 준비를 해나가야 한다. 특히, 미래사회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스스로 학습을 준비하며, 성취의도를 가지고 학습에 대한 전략을 세우고, 자신의 학습과 팀 학습활동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학습을 리드하는 역량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학습리더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창의적 성취의도, 초인지 학습전략을 선정하고 이들 변인 간의 관계와 학습리더역량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 소재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770명의 대학생이며, 이들에게 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창의적 성취의도 검사(이가형, 이경화, 2020b), 초인지 학습전략 검사(이경화, 최은주, 2021a)와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타당화한 자기주도학습준비도 검사(최은주, 이경화, 2021b)와 학습리더역량 검사(이경화, 최은주, 2021b)였다. 데이터 수집 기간은 2021년 9월 3일부터 2021년 9월 21일까지였고, 수집된 데이터 770명 중 불성실한 8명을 제외하고, 최종 762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SPSS 25.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for SPSS(ver. 3.5)를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기술통계량을 분석하고, 신뢰도를 산출했으며,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학습리더역량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의적 성취의도와 초인지 학습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매개효과 검증방법인 Hayes(2013)의 PROCESS macro Model 7(조절된 매개효과)과 Model 6(이중매개효과)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학습리더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초인지 학습전략의 매개에서 창의적 성취의도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학습리더역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이 채택되었고,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초인지 학습전략을 매개하여 학습리더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는 채택되었다. 창의적 성취의도는 자기주도학습준비도와 매개변인인 초인지 학습전략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가설 3이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초인지 학습전략을 매개하여 학습리더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창의적 성취의도에 의하여 조절될 것이라는 가설 4는 채택되었다. 둘째,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학습리더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창의적 성취의도와 초인지 학습전략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자기주도학습준비도는 창의적 성취의도와 초인지 학습전략을 이중매개하여 학습리더역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5는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학습리더역량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창의적 성취의도를 조절변수로, 창의적 성취의도와 초인지 학습전략을 이중매개변인으로 설정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학습리더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 구성에 기반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학생들의 학습리더역량을 높이기 위해서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자기주도학습준비도, 창의적 성취의도와 초인지 학습전략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한국의 라이브러리 음악의 필요성 연구

        최은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Study on Necessity of Library Music in Korea Choe, Eun ju Dept. of New Media Music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While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digital age, we will come into contact with many images due to the development of image media. Music, which is one of the necessary elements in video, cannot be neglected, but most of the music that plays in videos such as current affairs, documentaries, advertisements, storefronts, games, variety shows, and dramas is library music. Library music is not music that the public is familiar with, and there are many things that we don't understand well, but even if it's contradictory, the music that most of us have heard and touched is also library music. Library music has great advantages in terms of convenience and economy, and in terms of time and cost, library music, which possesses a huge amount of various contents, genres, concepts, atmospheres, sound effects, polysounds, etc., is convenient. Economicall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roducer, it is preferred over composing. It is also a good tool for people who want to insert music in broadcast programs that are produced in a short time or individuals who want to insert music in video production but cannot compose music. The majority of domestic entertainment programs, documentaries, current affairs programs, etc., generally use music imported from overseas, but there are many cases where music that is not easily buried in Korean emotional images is used. , Politics, Election campaigns, and it is not easy to find suitable music in overseas library music. This would be the reason for the need for Korean libraries. However, domestic library companies jumped into the library music market relatively early compared to overseas, so there are many points where the number of songs and quality are inferior to overseas libraries. Compared to overseas libraries, there are many points that fall short in terms of the number of songs and quality. Through research on the necessity of a domestic library, deviating from the dependence on foreign imported libraries, the demand for music that understands the Korean emotions and feelings of many contents that require domestically produced music. present a solution to the irreplaceable problems of the current music market. First, as mentioned earlier, he talked about publicity strategies and symbiotic effects that create a virtuous circle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libraries and artists. Second, he recognized the use of foreign music libraries in Korea and the problems that arose through this, and recognized the need for Korean-style library music with a high degree of understanding of Korean emotion and identity. The third 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brary industry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f it is possible to creat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works to be included in the vast amount and quality of domestic libraries in the field of music production education through a contract with a music college, it will provide more diverse opportunities for studen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library industry. He said this could lead to a virtuous cycle of synergistic effects. Fourth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domestic music production environment. If an environment is created in which domestic composers can proceed to recording through demonstrations and produce high-quality music, domestic libraries will be able to produce music of better quantity and quality. Departing from the current situation of relying on foreign library music, it will ultimately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cultural industry. Fifth, he mentioned the need for self-made commercial library music. In this paper, we are currently trying to deviate from Japan's dependence on foreign libraries and propose points to supplement the domestic library, with the prospect that it can be fully developed in Japan, and ultimately the need for domestic libraries. It also describes the expected effect of the domestic library by setting the nature and development direction. Theme: library music, video music, background music, BGM, trailer music 국 문 요 약 한국의 라이브러리 음악의 필요성 연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뉴미디어음악학전공 최은주 우리는 디지털 시대에 접해 들어가면서 영상미디어의 발전으로 영상물들을 많이 접하게 된다. 영상에서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인 음악을 빼놓을 수가 없는데 시사, 다큐멘터리, 광고, 매장, 게임, 예능, 드라마 등 영상 속에서 흘러나오는 음악 중 대다수 흘러나오는 음악들은 라이브러리 음악들이다. 라이브러리 음악은 대중들에게 익숙한 음악이 아니며 잘 모르는 경우도 많지만 모순되게도 우리가 대다수 많이 듣고 접해본 음악 또한 라이브러리 음악이다. 라이브러리 음악은 편리성과 경제성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고 시간적, 비용적인 면에서 다양한 츠와 장르, 컨셉, 분위기, 효과음, 폴리사운드 등 방대한 양을 소유한 라이브러리 음악이 편리성과 경제적으로 제작자 입장에서는 작곡에 비해 선호하게 된다. 빠른 시간내에 제작하는 방송 프로그램이나 개인이 영상 제작으로 음악을 삽입하고 싶은데 음악 작곡을 하지 못하는 이들에게도 좋은 수단이 되어 준다. 국내의 대다수 예능, 다큐멘터리, 시사 등의 방송 프로그램의 경우 대체적으로 해외로부터 음악을 수입해와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국 정서적으로 맞추어진 영상에 잘 묻어나지 않는 음악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고 정치, 선거 활동 또한 이에 맞는 음악을 국외 라이브러리 음악에서 찾기는 쉽지 않다. 이것은 한국적 라이브러리의 필요성에 대한 이유가 될 것이다. 하지만 국내 라이브러리 회사는 라이브러리 음악시장에 뛰어든지 비교적 오래되지 않았으므로 해외 라이브러리에 비해 양과 질적인 면에서 발전해야 할 요소들이 많다. 해외 수입형 라이브러리에 대한 의존적인 측면을 벗어나 국내 라이브러리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 제작된 음악이 필요한 많은 콘텐츠의 한국적인 정서와 감정을 이해하는 음악에 대한 수요를 쫓아가지 못하는 현 음악시장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향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앞에 기술하였듯이 라이브러리와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선순환 작용을 불러 일으키는 홍보전략과 상생효과를 말하였다. 두 번째는 한국에서 이루어진 해외 음악 라이브러리의 활용과 이를 통해 발생하였던 문제점들을 인지하여 한국의 정서와 정체성에 대해 이해도가 높은 음악의 한국적 라이브러리 음악의 필요성을 인지하였다. 세 번째는 라이브러리 산업발전과 인재양성을 위한 것이다. 음악제작에 관한 교육현장에서 국내 라이브러리의 방대한 영역에 학생들의 작품이 포함될 수 있는 기회를 음악대학들과의 계약을 통해 만들어 줄 수 있다면 학생들에게 보다 더 다양한 기회을 제공함과 동시에 라이브러리 산업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선순환적인 상생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음을 말하였다. 네 번째로 국내 음악 제작환경 개선의 필요성으로서 국내 작곡가가 실연을 통한 녹음까지 진행하여 높은 퀄리티의 음악을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수만 있다면 국내 라이브러리는 더 나은 양과 질의 음악들을 만들고 해외 라이브러리 음악들에게 의존적인 현 상황에서 벗어나 최종적으로 국내의 문화산업 발전에 긍정적 효과를 주게 될 것을 기술하였다. 다섯 번째로 본 연구자가 연구하고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상업적 라이브러리 음악의 자체 제작 필요성을 말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국내 라이브러리의 보완점들과 이에 대한 제안점들이 국내의 해외 라이브러리들에 대한 의존적인 측면에서 벗어나 국내에서도 충분히 발전할 수 있는 전망을 갖고 최종적으로 국내 라이브러리의 필요성과 발전방향 설정으로 인한 국내 라이브러리로 인한 기대효과까지 기술하였다. 주제어 : 라이브러리 음악, 영상 음악, 배경 음악, BGM, 트레일러 음악, 영화 음악

      • 병원 내 심정지 후 체온이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최은주 울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의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3%에 불과하며, 심정지 후 생존한 환자의 2/3 이상이 심각한 신경학적 손상의 후유증을 겪는다. 심폐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후 자발순환 회복된 환자에서 고체온이 불량한 예후와 연관이 있고, 병원 밖에서 발생한 심정지의 원인이 심실세동 또는 무맥성 심실빈맥으로 CPR 후 자발순환 회복된 환자에서 혼수상태가 지속되는 경우에 치료적 저체온요법이 효과가 있다는 연구는 있지만, 병원 내 심정지(In-hospital cardiac arrest [IHCA]) 환자의 치료적 저체온요법에 대한 연구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PR 후 자발순환 회복된 환자에서 체온과 생존율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병원 내 CPR 후 자발순환 회복되어 중환자실에 입실한 환자를 대상으로 체온에 따라 정상 체온군, 저체온군, 고체온군, 저체온군과 고체온 둘 다 해당하는 군으로 나누어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고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CPR 후 체온 조절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후향적 조사연구로, 2010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일반 병동에 입원한 만 18세 이상 성인환자로 병원 내에서 심정지 상태로 발견되거나 또는 심정지 발생이 목격되어 CPR을 시행 받은 자 중 자발순환 회복되어 중환자실에 입실하여 3일 이상 생존한 환자 27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CPR 결과를 분석하고, 심정지 후 자발순환 회복되어 3일 이내 최고 체온, 최저 체온을 기준으로 정상 체온군(36.0-37.9℃), 저체온군(최저 체온 36.0℃ 미만이며 최고 체온 36.0-37.9℃), 고체온군(최저 체온 36.0-37.9℃이며 최고 체온 38.0℃ 이상), 저체온과 고체온 둘 다 해당하는 군(최저 체온 36.0℃ 미만이며 최고 체온 38.0℃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4.0 for Window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대상자의 연령의 중앙값은 67세(interquartile range [IQR] 54.8-74.0), 남자가 171명(63.3%), 퇴원 생존율은 166명(61.5%)으로 나타났다. 2. 체온군에 따라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정상 체온군의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28일 생존한 환자는 총 184명(68.1%)으로 정상 체온군, 저체온군, 고체온군, 저체온과 고체온 둘 다 해당하는 군에서 각각 69명(80.2%), 52명(58.4%), 40명(70.2%), 23명(60.5%)으로 정상 체온군의 생존한 환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13). 1년 생존한 환자는 95명(35.2%)으로 정상 체온군, 저체온군, 고체온군, 저체온과 고체온 둘 다 해당하는 군에서 각각 40명(46.5%), 24명(27.0%), 20명(35.1%), 11명(28.9%)으로 정상 체온군의 생존한 환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44). 생존하여 퇴원한 환자는 166명(61.5%)으로 정상 체온군, 저체온군, 고체온군, 저체온과 고체온 둘 다 해당하는 군에서 각각 64명(74.4%), 44명(49.4%), 37명(67.9%), 21명(55.3%)으로 정상 체온군의 생존한 환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6). 3. 정상 체온군과 저체온군의 심폐소생술 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28일 생존한 환자는 각각 69명(80.2%), 52명(58.4%)이었고(p=.002), 1년 생존한 환자는 각각 40명(46.5%), 24명(27.0%)이었으며(p=.007), 생존하여 퇴원한 환자는 64명(74.4%), 44명(49.4%)으로 정상 체온군에서 생존한 환자가 많게 나타났다(p=.001). 4. 저체온군 중에서 치료적 저체온 유지군과 대조군의 심폐소생술 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28일 생존한 환자는 각각 9명(39.1%), 43명(65.2%)이었고(p=.029), 1년 생존한 환자는 2명(8.7%), 22명(33.3%)(p=.022), 생존하여 퇴원한 환자는 각각 6명(26.1%), 38명(57.6%)으로 치료적 저체온 유지군의 생존한 환자가 적게 나타났다(p=.009). 5. 심장성 원인군과 비심장성 원인군의 CPR 후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28일 생존한 환자는 각각 68명(73.1%), 116명(65.5%)으로 두 군 간의 차이가 없었고(p=.204), 1년 생존한 환자는 각각 44명(47.3%), 51명(28.8%)이었고(p=.002), 생존하여 퇴원한 환자는 65명(69.9%), 101명(57.1%)으로 심장성 원인군에서 생존한 환자가 많게 나타났다(p=.040). 6. CPR 후 생존율은 중환자실 입실 당일 Sequential organ failure assessment (SOFA) 점수가 1점 증가 시 0.80배(95% confidence interval [CI] 0.73-0.87), 심정지가 발생하는 경우 초기 리듬이 무수축인 경우 0.40배(95% CI 0.17-0.94), CPR 지속시간이 1분 증가 시 0.96배(95% CI 0.93-0.9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PR 중 제세동을 시행한 경우에는 2.72배(95% Cl 1.22-6.0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병원 내 CPR 후 자발순환 회복된 환자에서 정상 체온군의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다. CPR 후 생존율은 중환자실 입실 당일 환자의 중증도가 낮을수록, CPR 지속시간이 짧을수록, CPR 중 제세동을 시행한 경우에 생존율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CPR 후 체온 조절보다는 효율적인 CPR 수행이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국내에서 CPR 후 체온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IHCA 환자를 대상으로 체온에 대해 이루어질 추후 연구에서 의미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 여창 가곡의 해금 선율 비교 연구 : 평조 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거를 중심으로

        최은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가(正歌)에 속하는 가곡(歌曲), 일명 만년장환지곡(萬年長歡之曲)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성악곡(聲樂曲)의 하나로 그 예술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어서 판소리, 범패(梵唄)와 더불어 한국의 3대 성악으로 꼽히고 있는 노래이다. 가곡은 평조(平調)와 계면조(界面調) 음계 위에 얹어 부르며 남창(男唱)ㆍ여창(女唱)ㆍ남여창(男女唱)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연창(演唱)되는데 남창의 곡수는 총 26곡으로 우조(羽調)음계의 11곡, 계면조의 13곡, 반우반계(半羽半界)의 2곡이 전해오고 있으며, 여창은 우조의 5곡, 계면조의 8곡, 반우반계가 2곡, 모두 15곡으로 총 41곡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선행 논문들은 <이수대엽>을 중심으로 <이수대엽>과 <중거>, <이수대엽>과 <평거>, <이수대엽>과 <두거>를 단순 비교하는 경우는 여러 번 있었으나, 본 논문은 4 악곡을 함께 여창 가곡의 해금 선율 비교 연구를 처음 시도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각 곡들의 상호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악곡 구조에서는 <이수대엽><중거><평거><두거>가 초장, 2장, 3장, 중여음, 4장, 5장, 대여음으로 구성되며, 총 240박, 총 90마디로 되어 있어 동일한 구조이다. 둘째, 선율을 비교 해 본 결과, 음계는 黃(e^(♭)음)-太(f음)-仲(a^(♭)음)-林(b^(♭)음)-南(c음)의 평조로 모두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4장만 仲이 주요음이고, 나머지 악장들은 林이 주요음 임을 알 수 있었다. <이수대엽>과 <평거>의 출현음이 ?(a^(♭)음)-亻林 ( b^(♭)음)- ?(c음)-黃(e^(♭)음)-太(f음)-仲(a^(♭)음)-林(b^(♭)음)으로 동일하고, <중거>는 <이수대엽><평거>의 출현음에 南이 첨가되었으며, <두거>는 南, 黃, 氵太 가 추가 되었다. 시김새인 꾸밈음을 5가지로 구별하여 장 2도 앞짧은 꾸밈음(I), 단 3도 앞짧은 꾸밈음(II), 완전 4도 앞짧은 꾸밈음(III)과 겹앞꾸밈음인 장 2도+완전 4도(I+III), 단 3도+완전 5도(II+III)로 나누어 빈도수를 살펴 본 결과 <이수대엽>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5가지 중 4가지가 골고루 사용된 악곡은 <두거>임을 알 수 있었다. 종지음을 악곡별, 악장별로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이 林이였으며, 중여음의 <두거>만 仲으로 달랐다. 또한, 4장과 대여음은 모두 太로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리듬을 살펴보면, 기본형과 변화형으로 세분화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A형 리듬(?)은 <중거>에서, B형 리듬(?)은 <중거><평거>에서, C형 리듬(♩♩♩)은 <이수대엽>에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두거>의 리듬은 다를 경우 빈번함을 살펴보았다. 5가지 꾸밈음 빈도수를 합하면 <이수대엽>이 21회, <중거><평거>는 모두 20회, <두거>는 18회로 <이수대엽>이 가장 빈도수가 높았다. 하지만 5가지 꾸밈음 중 4가지가 골고루 사용된 악곡으로는 <두거>임을 알 수 있었다. 4 악곡의 마디별 리듬 유사정도를 살펴본 결과, <이수대엽>은 총 90마디 중에서 78마디가 86.66%로 나머지 악곡과 동일한 리듬이다. <중거>는 96.66%(87마디), <평거>는 85.55%(77마디), <두거>는 33.33%(30마디)로 4 악곡 중에서 <두거>가 나머지 악곡과 가장 많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해금 주법에서는 9가지가 있는데, 활 주법에 관한 ①? ②∨, 꾸밈음 연주할 때 활 주법에 관한 ③∨∨ ④??, 퇴성과 추성에 관한 ⑤? ⑥︶, 농현에 관한 ⑦× ⑧△ ⑨○ 로 나누었다. 해금 주법을 살펴 본 결과, <이수대엽>과 <평거>가 ①~⑨의 해금 주법 횟수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중거>는 비슷하였으며, <두거>는 현저하게 많았다. 여창 가곡의 해금 선율 비교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평조 <이수대엽><중거><평거>는 모든 면에서 거의 유사하나, <두거>는 중심음과 시김새, 종지음, 변화형의 리듬, 해금 주법 등에서 현저하게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수대엽>과 <평거>는 같은 악곡 구조와 같은 음계를 가지며, 특히 출현음이 ?-亻林 -?-黃-太-仲-林으로 동일하며, 출현음의 빈도수도 유사하였다. 마디별 유사리듬 형태구분에 의한 수치는 <중거><이수대엽><평거><두거> 순서로 <중거>가 가장 나머지 악곡들과 동일한 리듬이며, <두거>가 가장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결국, <이수대엽><중거><평거><두거>는 같은 악곡이며, 그 안에서 <중거>가 나머지 악곡과 가장 동일한 선율을 가지며, <두거>가 가장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Gagok, one that is among the pieces of Jong-ga, and it is called Man-nyen-jang-whan-gi-gok in other way. With Pansori and Bumpae, Gagok is the most valuable sacred music of Korea. Gagok is sung following the notes of Pyung-jo and Gye-myen-Jo, and sung in various forms like a male songs, a female songs and 'male & female singing together' songs. The male songs are 26 pieces in total and in details 11 pieces of woo-jo, 13 pieces of Gye-myen-jo, and 2 pieces of half woo-jo & half Gye-myen-jo. The female songs are divided into 5 pieces of woo-jo, 8 pieces of Gye-myen-jo, and 2 pieces of half woo-jo & half Gye-myen-jo. The total of 41 pieces are hand down. The precedence thesis were usually about looking over two pieces like Isoodaeyeop & Joong-geo, Isoodaeyeop & Pyung-geo, Isoodaeyeop & Doo-geo, but in this thesis I wanted to compare and looked over the melodies of all four pieces. The result of what was found is followed. First of all, about the formation, Isoodaeyeop, Joong-geo, Pyung-geo, and Doo-geo has the formation of "Part 1 through Part 3, Joong-yeo-um, Part 4, Part 5, Dae-yeo-um". They are a total of 240rhythms, 90phrases. Second of all,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melodies are followed. The four pieces(Isoodaeyeop, Joong-geo, Pyung-geo, and Doo-geo in Pyung-Jo) all have the same scale which is 黃(e^(♭))-太(f)-仲(a^(♭))-林(b^(♭))-南(c) . Only in Part 4, the main note is 仲 and the other parts have 林 for the main note. The following notes of Isoodaeyeop and Pyung-geo is ?(a^(♭))-亻林 ( b^(♭))- ?(c)-黃(e^(♭))-太(f)-仲(a^(♭))-林(b^(♭)) which is the same. Joong-geo scale is similar with Isoodaeyeop and Pyung-geo by adding the 南 note and the scale of Doo-geo is added 南, 黃, 氵太 in the scale of Isoodaeyeop and Pyung-geo. There are five different composed notes which are the two notes ornament(I) , three notes ornament(II) , four notes ornament(III) , the join of (I)+(III) ornaments, the join of (II)+(III) ornaments. From these , Isoodaeyeop had most of the ornaments and Doo-geo has used four out of five ornaments evenly. About the ending notes in the classification by the musical pieces and by the parts, the last note equally b^(♭), and only for Joong-yeo-um part in Doo-geo was equally 林, and only the Joong-yeo-um of Doo-geoended with 仲. Also the Part 4 and Dae-yeo-um all ended with 太. Third of all, in detail of the basic rhythms and the variation rhythms, rhythm A(?), rhythm B(?), C(♩♩♩) each were mostly seen in Joong-geo, in Joong-geo and Pyung-geo, rhythm in Isoodaeyeop. The sum of all five ornament notes, there were 21ornament notes in Isoodaeyeop, 20ornament notes in Joong-geo and Pyung-geo, and 18ornament notes in Doo-geo. From the five different ornament notes, Doo-geo had four different notes evenly. The result of the similarity in rhythms by a tune, from the total of 78 tunes out of 90 tunes (86.66%) in Isoodaeyeop were the same. 87 tunes (96.66%) in Joong-geo, 77tunes(85.55%) in Pyung-geo, 30 tunes(33.33%) Doo-geo was the same. Last of all, there are nine kinds of signs when playing hae-gum. When using the bow the signs are ①? ②∨, using the bow for the composed notes the signs are ③∨∨ ④??, when lifting or dropping melodies the signs are ⑤? ⑥︶, and for the vibrating melodies the signs are ⑦× ⑧△ ⑨○. In a result, the number of the musical signs ①~⑨ in Isoodaeyeop and Pyung-geo were the same, and that of Joong-geowas similar, that of Doo-geo was different. The overall result of the study of <The study of the melodies about hye-gum in female song> is that the four pieces(Isoodaeyeop, Joong-geo, Pyung-geo, and Doo-geo in pyung mode) very much alike each other and has a little change in the composed notes and various rhythms, the style of playing of <Doo-geo> only. Isoodaeyeop and Pyung-geo was similar in most of the ways, especially the notes that come out in the piece was the same(?-亻林 - ?-黃-太-仲-林) and they were evenly shown through the piece. The similarity of the rhythms in tunes in order of Joong-geo, Isoodaeyeop, Pyung-geo, and Doo-geo, Joong-geo had the most common musical boundary and Doo-geo was a bit different from other pieces. It gives us the result that Isoodaeyeop, Joong-geo, Pyung-geo, and Doo-geo is the same piece and in these pieces Joong-geo has the most similarities through all four pieces and Doo-geo is a bit different.

      • 현대시를 활용한 한국어문화 교육방안 연구 : 박재삼의 연작시 「춘향이 마음」을 중심으로

        최은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erial poetry, ‘Choon-hyang's mind’, which is written by a poet, Park Jae-sam, is the best of the great works including traditionality of ‘Choon-hyang’, a classic Korean novel. ‘Choon-hyang’ is representative one of classic Korean novels favored by Koreans and rich in Korean emotion and culture. ‘Choon-hyang's mind’, which is in succession to ‘Choon-hyang’, has connotative, symbolic high level vocabularies, Korean emotion and traditional culture. Foreigners who are on the purpose of studying and employment need to acquire high-level vocabularies and cultural understanding through poetry to settle cultural conversational issues.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it is essential to teach not only a language but also poetry which makes cultural understanding. ‘Choon-hyang’ called a national literature having been in succession from 500 years. We can find literary values in the aspects of co-ownership, lamination, aquisition and changeability, which are properties of culture. ‘Choon-hyang’ is shared in various ways throughout all ages and reflects the culture in about 100 other remakes. It has been also educated in family, school and society since childhood and recreated in media. This way, ‘Choon-hyang’ has high literary value including cultural properties. ‘Choon-hyang’ has an educational value from the point of view of language, culture and recreation. As a novel, ‘Choon-hyang’ has a history of language formation, change and extinction in the process of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for about 500 years. Also, it is high in abundance for educational value language material and literary expression. ‘Choon-hyang’ has Korean culture richly from life culture like Tan-oh, seasonal customs, and food, clothing and refuge of confucian culture which impose strict morality. It is matter of course that this literary work shows Koreans' unique emotion, Han, also in Pan-so-ri culture. These cultural factors have been reflected on the works in reproduction and developed in various ways with the growing media. Choon-hyang's cultural factors would be succeeded under the vigorous development of diverse cultural contents such as festivals. Composed of ten poems, Park Jae-sam's serial poetry, ‘Choon-hyang's mind’, which succeeds Choon-hyang's tradition with high cultural and educational value and embraces these factors like love and emotion of Han derived from ‘Choon-hyang’. Because Park Jae-sam had his own individual poetic expression, word formation and symbol, thus we can understand cultural context in each poem depending on them. There are cultural factors found in ‘Choon-hyang's mind’ to know cultural factors which can be useful in culture education of Korean teaching. ‘Choon-hyang's mind’ bears Han emotionally as it succeeds Choon-hyang's tradition. Words in his poem show a traditional versification of three and four rule, which is also used in folk song and Si-jo. Poetic words in his poem have various culture factors in real life like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Tan-oh seasonal customs. The study of educational method using ‘Choon-hyang's mind’ is meaningful in teaching Koran language because poetic literature has been taught rarely. It is required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to employ the teaching aid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depending on the research materials.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foreign learners to communicate easily when they understand culture of the language they are learning. Understanding the culture means comprehending the identity of the social members. Poetic literature education can make communication skill, cultural communication skill and culture creation ability improved by acquiring high level vocabularies. It is necessary for researchers to revise teaching methods for Korean culture by using poetic literature and utilize them at teaching Korea language for the future.

      • 1990년대 이후 북한 경제 정책 고찰 : 김정일 시대의 경제 정책 특징 연구

        최은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1990년대 후반 김정일 체제 하에서 제시된 일련의 경제 정책들이 갖는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 북한 경제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김정일 체제 하에서의 경제 정책 변화 및 그 특징은 이전 시기 경제 정책들과의 비교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북한의 기존 경제 이론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 이론을 통해 추진되었던 경제 정책이 현실적으로 구현되는 과정에서 어떤 문제점들을 가졌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1990년대 중반 북한이 경제 위기를 겪어야 했던 원인들을 규명할 수 있어야 김정일 체제가 ‘북한 경제의 회복 및 재건’이라는 핵심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경제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제 정책들이 갖는 변화의 핵심적인 특징들은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다. 즉, 현재의 경제 정책들이 과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현실적으로 나타난 어려움을 근본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향에서의 정책적 변화인지, 단순한 임시방편적 변화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1990년대 북한의 경제 위기는 대외적· 대내적 상황의 변화가 복합적으로 결합되어 나타난 결과이다. 본 논문은 이 두 요소 중에서도 특히 북한 경제 이론 및 정책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보다 주목하고자 한다. 먼저 북한 경제의 가장 큰 특징은 계획 경제 체제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계획 경제 체제가 갖는 문제점들은 북한 경제의 위기를 촉발시킨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북한 당국이 결정한 경제 계획의 실패와 극심한 침체 이후 나타난 시장의 확대 현상은 이후 북한의 경제 정책을 변화시키는 원인들 중 하나가 되었다는 점에서 반드시 짚어보아야 할 문제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사회주의 가격 결정 원칙 및 제정 방식이 가져온 문제들이다. 국가 정책을 토대로 수립된 경제 계획의 실패가 사회 전반적으로 공급 부족의 상황을 야기했다면, 가격 제정의 문제는 이를 심화시킨 기제로 작동했다고 볼 수 있다. 즉 공급 부족 하에서 상품 및 상품적 형태에 대한 국가의 가격 결정이 적절한 수급상황을 반영하지 못한 채 지속적으로 저가 정책을 유지함으로써 만성적인 초과 수요 상태 야기하였고, 이러한 상황은 경제주체들로 하여금 필요한 상품을 구입하기 위해 시장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조건을 형성, 시장으로의 이탈을 가속화시켰고 이는 결국 국가의 계획 경제 전반에 걸친 위기로 표출되었던 것이다. 1990년대 중반 ‘고난의 행군’을 끝내면서 공식적으로 출범한 김정일 체제는 향후 북한 경제의 재건 및 발전을 위한 일련의 경제 정책들을 제시하는데 이는 크게 두 시기로 나누어 파악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시기는 김정일 체제가 출범한 직후인 1990년대 후반으로, 이 시기에는 사회주의 헌법 제정, 인민경제 계획법 제정 등과 같이 대체로 기존의 경제 제도들을 정비하는 ‘체제 내 개혁’에 그쳤다. 그러나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북한 당국은 2002년 ‘경제관리개선조치’(이하 7·1조치)를 시작으로 경제 전 부문에 걸친 포괄적인 개혁 정책들을 실시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경제 제도를 변화시키는, ‘체제 개혁’적 성격을 띤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경제 위기의 결과로 확대된 시장을 북한 당국이 수용하고 이를 경제 개혁의 기제로 활용하고, ‘실리 사회주의’를 토대로 새로운 경제 운영 원리를 제시하는 등의 변화는 지속적인 북한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게 한다. 이렇듯 북한의 개혁은 분명 시작되었으나, 아직 북한이 공식적으로 중장기 경제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있지 않은 시점에서 이후 북한 경제의 변화 양상을 판단하는 것은 매우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다만, 이제까지의 일련의 조치들이 성과적으로 북한 경제를 회복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후속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은 명확하다. 특히 김정일 체제가 제시한 북한의 강성대국 건설 노선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략적 방법으로 제시된 실리 사회주의는 내용적으로 긴장 관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체제의 강화를 통한 사회주의 강성대국 건설 노선의 핵심은 경제 강국의 실현인데, 이를 수행하기 위해 제시된 실리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경제 부문의 개혁, 개방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실리 사회주의’ 구현을 통한 ‘주체의 강성대국 건설’이라는 현재 북한 지도부의 전략은 그 의도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건 속에서 7·1조치는 1990년대 초반 개혁의 실패가 경제 위기로, 급기야 체제의 불안까지 예측하게 했던 경험을 교훈삼아 ‘우리식· 주체식’으로 개혁의 성공과 체제 안정화 모두를 달성하고자 하는 김정일 체제의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주목해야 할 것이다.

      • 모호한 경계의 풍경

        최은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Vague refers to something unclear and hard to discover an simple explanation. Although the modern society requires rational, objective, and resealable thinking, art needs creative thinking, not analytic. Vagueness is hard to find definition and contains many possible meanings. Moreover, it is often beyond social customs due to its wide range of interpretations. A marked boundary has one clear and exact definition. However, a vague boundary is ambitious and difficult to divide or define. This paper, A Landscape of a Vague Boundary, deals with a landscape of a boundary of a dream and a reality. In this unclear boundary, an audience can't divide a dream and a reality and freely cross the line. This landscape of a vague boundary can be a dream or a reality depending on who you are, where you are, and what you think and imagine. Your landscape of a vague boundary gets into shape as you add dreams into an actual landscape. You see, feel, and sketch a landscape in a real world, and add dreams with imagination. While seeing and sketching nature in a tour, you recognize characteristics of a landscape, decide what you want you to draw and what you don't, and add new factors from your feeling. This gives you direction and richness on the work. This process of personally observing and feeling in a sketch is associated with impressionism that catches and shows momentary impression. Dream can be added to real views like cloud, smoke, fog, and shadow. Thus, it makes a landscape of a dream-like reality and a reality-like dream. Cloud, smoke, and fog symbolize holy or a transcendental state and are far from the mundane world all over the world. When the three things are combined with a real view, a landscape that you might have seen in a real world but never really saw is made. The same is true of stars and moon. They are never seized like cloud. For instance, too many stars in the sky or the moon shaped strangely or put in an odd place give us fantasy and blurs of a reality and non-reality. These fantastic factors make an actual scene a dream-like landscape that crosses a dream and a real life. This is related to surrealism that shows unrealistic imagination. To the author, a landscape of a vague boundary is not an actual view neither landscape in dreams, but author's inner side. This ambiguous landscape could be close to a reality to someone and close to a dream to other. A landscape of a vague boundary is open and free so that an audience can interpret the way he or she wants. 모호하다는 말은 불분명하고 부정확하여 무엇을 나타내는지 알 수 없다는 뜻이다.현대에는 합리적이며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사고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예술의 영역에서는 분석적 사고가 아닌 창조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모호성은 어느 한 가지로 정의내릴 수 없기 때문에 각기 다른 의미로 해석 가능한 포괄성을 지닌다. 또한 자율적으로 해석 할 수 있기 때문에 관습적 인식의 한계를 벗어날 수가 있다. 명확한 경계는 한 가지로 정의할 수 있기에 정확하고 확실하다. 그러나 모호한 경계는 경계가 애매모호하기 때문에 딱 잘라 나눌수도, 한 가지로 정의할 수도 없다. 본 논문의 제목 모호한 경계의 풍경은 꿈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의 풍경이다. 꿈과 현실의 불분명한 경계는 꿈과 현실, 두 가지로 나누지 못하고 꿈과 현실을 자유로이 넘나들 수 있게 한다. 현실이기도, 꿈이기도 한 모호한 경계의 풍경은 한정적인 해석에서 벗어나 보는 이에 따라 그리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해석과 무한한 상상력을 펼칠 수 있다. 본인의 모호한 경계의 풍경은 현실의 풍경에 꿈을 덧붙여 나가면서 생겨난다. 현실의 풍경을 보고, 느끼며 사생 한 후, 상상력을 이용하여 꿈을 덧붙여 나가는 것이다. 여행 속에서 자연을 보고 그리는 사생의 과정은 그리고자 하는 풍경의 특징을 파악하고 본인이 표현하고 싶은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하며 풍경을 보며 느낀 것을 토대로 새로운 요소들을 추가하기도 한다. 이 과정은 작업의 방향성을 제시해줌과 동시에 작업에 풍부함을 준다. 이러한 자연을 직접 관찰하고 느끼는 사생의 과정은 자연의 순간적인 변화를 포착하여 자연의 감동을 보여주려 했던 인상주의와 연관성이 있다. 몽환적인 요소인 ‘꿈’은 잡히지 않는 구름이나 연기 안개 그리고 그림자 등을 실경에 덧붙임으로써 꿈과같은 현실, 현실과도 같은 꿈의 풍경을 만든다. 구름, 연기, 안개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성스러운 것 혹은 세속을 멀리 떠난 초월적 경지를 상징한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 존재하는 풍경에 이것들이 덧붙여졌을 때 현실에서 본 것 같은 풍경이면서도 본 적 없는 것 같은 풍경이 만들어졌다. 별과 달과 같은 요소들 또한 마찬가지 이다. 하늘에 떠있는 별과 달은 구름과 마찬가지로 잡히지 않는다. 이런 요소들은 예를 들어 별이라면 매우 많이, 달이라면 있을 수 없는 모양, 위치에 놓음으로써 환상성을 가미하여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에 놓여지게끔 한다. 이렇듯 현실의 풍경에 판타지적인 요소를 덧붙임으로써 꿈과 현실을 자유로이 넘나드는 몽환적인 풍경이 된다. 이러한 꿈의 풍경은 현실을 벗어나 비현실적인 상상력을 드러낸 초현실주의와 연관성이 있다. 본인의 모호한 경계의 풍경은 실재하는 현실의 실경이 아니면서 꿈 속의 풍경도 아닌 작가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관념의 풍경이다. 꿈과 현실이 뒤섞여 있는 이 풍경은 누군가에게는 현실에 가깝고, 누군가에게는 꿈에 더 가까울 것이다. 이렇듯 모호한 경계의 풍경은 꿈과 현실의 경계를 모호하게 함으로써 관람자가 자유로이 해석할 수 있는 보다 자유롭고 열린 풍경이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