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레스베라트롤, 카테킨, 바이칼린을 배합한 발포정 형태 세치제의 구취예방효과

        최윤숙 단국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레스베라트롤, 카테킨, 바이칼린이 주성분인 발포정 형태의 세치제를 사용하였을 때 구취변화를 알아보고자 20대부터 40대까지의 성인 남녀 120명을 대상으로 4주 동안 실시하였다. 실험 세치제 사용 후 구취측정과 관능검사 Visual Analogue Scale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구취 측정치는 1주후, 2주후 모두 4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p>0.05), 4주후에는 실험군과 양성대조군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구취정도가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관능검사의 구취자각도 또한 실험군과 양성대조군이 음성대조군에 비해 구취정도가 실험 전에 비해 4주후에 유의하게 낮은 수준으로 감소한 것이 확인되었다(p<0.05). 이러한 연구결과 레스베라트롤, 카테킨, 바이칼린이 함유된 발포형태의 세치제를 사용할 경우 통상적인 구강양치용액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슷한 정도의 구취감소효과를 확인하였다.

      • Levobupivacaine의 혈관수축에 미치는 arachidonic acid metabolic pathway의 역할

        최윤숙 慶尙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Levobupivacaine은 장시간 작용하는 국소마취제로 racemic bupivacaine과 매우 비슷한 임상적 특징을 가졌지만 bupivacaine중독시 나타나는 중추신경계와 심혈관계 독성은 적고 안전역이 넓어 bupivacaine을 대체하는 약물로 개발 되었다. Levobupivacaine사용시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해 epinephrine를 첨가할 필요는 없다는 보고가 있다. 이런 결과는 levobupivacaine 자체가 혈관수축작용을 지니고 있는 것과 관계가 있다. 생체내와 생체외 연구에서 levobupivacaine과 bupivacaine 모두 용량에 의존하여 긴장성 혈관수축반응을 나타내는 장시간 작용형 국소마취제다. 분리된 혈관에서 bupivacaine에 의한 혈관수축은 세포외 Ca^(2+)에 의존하면서 voltage-operated Ca^(2+) channel (VOCC) 억제제에 의해 억제 된다. 또한 백서의 분리된 혈관에서 lipoxygeanse 억제제에 의해 VOCC로 유도되는 수축이 길항되어 lipoxygeanse경로 대사물이 VOCC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암시한다. Bupivacaine과 같이 n-alkyl-substituted pipecholyl-xylidines에 속하는 ropivacaine은 lipoxygenase경로를 활성화시켜 혈관수축을 유도하였다. 그러나 levobupivacaine에 의해 유도되는 혈관수축에 있어 arachidonic acid metabolism과 관련된 신호전달경로 (lipoxygenase, cyclooxygenase, cytochrome P450 epoxygenase)의 역할에 대해서 이제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이전 연구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levobupivacaine에 의한 혈관수축시 lipoxygenase경로가 Ca^(2+)에 의존하는 기전(calcium-dependant mechanism)을 중재한다고 가정하였다. 한편 nitric oxide (NO), prostacyclin, endothelium-derived hyperpolarizing factor (EDHF)은 endothelium-derived vasodilators로 혈관긴장(vascular tone)을 조절한다. 본 생체외 연구의 목적은 분리된 백서 대동맥에서 levobupivacaine에 의한 혈관수축에 관여하는 arachidonic acid metabolism 경로의 역할을 조사하고 내피에서 분비되는 어떤 혈관확장제가 levobupivacaine에 의한 혈관수축을 억제하는지 조사하였다. PURPOSE: Levobupivacaine is a long-acting local anesthetic with a similar clinical profile of racemic bupivacaine but a greater margin of safety that produces dose-dependent tonic vasoconstriction in vivo. The goal of this in vitro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pathway involved in arachidonic acid metabolism in the levobupivacaine-induced contraction of isolated rat aorta, and to determine which endothelium-derived vasodilators are involved in the modulation of levobupivacaine -induced contraction. METHODS: Rat thoracic aortic rings were isolated and suspended for isometric tension recording. Cumulative levobupivacaine dose (10^(-6) to 3 × 10^(-4) M)-response curves were constructed in: (1) aortic rings with no drug pretreatment (2) endothelium-denuded rings pretreated with either quinacrine dihydrochloride (QNC, nonspecific phospholipase A2 inhibitor; 2 × 10^(-5), 4 × 10^(-5) M), nordihydroguaiaretic acid (NDGA, lipoxygenase inhibitor; 10^(-5), 3 × 10^(-5) M), indomethacin (nonspecific cyclooxygenase inhibitor; 10^(-5) M), AA-861 (5-lipoxygenase inhibitor; 10^(-5), 5 × 10^(-5) M), fluconazole (cytochrome P450 epoxygenase inhibitor; 10^(-5) M), verapamil (10^(-5) M) or Ca^(2+)-free solution; (3) endothelium-intact rings pretreated with either NW-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nitric oxide synthase inhibitor; 5 × 10^(-5) M), indomethacin (10^(-5) M) or fluconazole (10^(-5) M).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treated with levobupivacaine alone or AA-861 plus levobupivacaine. Using Ca^(2+) image analysis, intracellular Ca^(2+) levels were monitored by Fluo-4 fluorescence. RESULTS: Levobupivacaine induced dose-dependent tonic contraction in rat aorta. Levobupivacaine-induced contractions (3 × 10^(-5) to 3 × 10^(-4) M) of endothelium-denuded rings were enhanced compared with those of endothelium-intact rings. Levobupivacaine-induced contraction of endothelium-denuded rings was attenuated by QNC, NDGA, AA-861, verapamil and Ca^(2+)-free solution and, to a lesser extent, by indomethacin. L-NAME enhanced levobupivacaine-induced contraction of endothelium-intact rings and indomethacin slightly attenuated. AA-861 attenuated levobupivacaine-induced intracellular Ca^(2+) increase i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CONCLUSION: Taken together, levobupivacaine-induced contraction of rat aortic smooth muscle is mediated mainly by activation of the lipoxygenase pathway and in part by activation of the cyclooxygenase pathway. In addition, this lipoxygenase pathway activation involved in levobupivacaine-induced contraction seems to facilitate Ca^(2+) influx via voltage-operated Ca^(2+) channels. Endothelial nitric oxide attenuated levobupivacaine-induced contraction. Some patients taking lipoxygenase pathway inhibitors or with compromised endothelial fuction may affect the action duration of concurrently administered levobupivacaine.

      • 정상 핵형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분자적 특성

        최윤숙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Recent advances in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cute myeloid leukemia (AML) have led to molecular classification of normal karyotype (NK) AML. Mutations of the NPM1 gene showed a good response to induction therapy and had a favorable prognosis, especially in the absence of a FLT3-ITD mutation, in the studies of NK AML. However, most studies regarding the NPM1 gene mutations have come from the Western countries. Thus we investigated role of two genetic mutations (NPM1 and FLT3-ITD mutations) and four genetic polymorphisms (GSTM1, GSTT1, GSTA1 and MDR1 C3435T gene) in Korean patients with NK AML. Patients and Methods Inclusion criteria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he followings: a new patient (1) with NK AML, (2) receiving standard induction chemotherapy consisting of anthracycline and cytarabine ('7+3' regimen), and (3) with DNA from leukemic blasts at diagnosis being available. Polymorphisms of 4 genes (GSTT1, GSTM1, GSTA1, MDR1 [C3435T]) and mutations of 2 genes (FLT3, NPM1) were analyzed using PCR for FLT3-ITD, GSTT1 and GSTM1, PCR-RFLP for GSTA1 and MDR1 C3435T, and direct sequencing for NPM1. Clinico-laboratory data were retrieved from the Asan Medical Center Leukemia Registry. Results This study included a total of 102 patients who were newly diagnosed as NK AML in the 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 between May 1999 and December 2006. Median age of the patients, 63 males and 39 females, was 44 years (range, 15-80). The null genotype of GSTM1 and GSTT1 was observed in 41.2% and 52.0% of the patients, respectively. The genotype of GSTA1 was CC in 75.3% and CT in 24.7%, and C3435T polymorphism of MDR1 gene was CC in 52.2%, CT in 39.1% and TT in 8.7%. FLT3-ITD mutation was detected in 22.8% and NPM1 gene was mutated in 36.5%. In baseline clinico-laboratory data, leukocyte count, LDH level, BM cellularity and BM blast percentage at diagnosi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FLT3-ITD compared to those without the mutation. NPM1 mutations were related to higher leukocyte count, negativity of HLA-DR and CD34 and higher frequency of FLT3-ITD mutations. For total patients, the rate of complete remission (CR) was 78.9%, and survival probabilities at 5-year were 39.9% for overall survival (OS), 57.9% for relapse-free survival (RFS), and 42.5% for event-free survival (EFS). Multivariate analyses demonstrated independent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for clinical outcomes of NK AML as followings: (1) for the achievement of CR, no independently significant factor, (2) for OS, age (year, 60 or more, RR 2.710, P=0.003) and FLT3-ITD mutation ( present, RR 1.947, P=0.025), (3) for RFS, age (year, 60 or more, RR 6.333, P<0.001), FLT3-ITD (present, RR 3.658, P=0.002), and uric acid level (mg/dL, 7.0 or more, RR 2.833, P=0.027), and (4) for EFS, age (year, 60 or more, RR 3.422, P=0.003), FLT3-ITD mutation (present, RR 2.655, P=0.005), and C3435T of MDR1 (CT/TT, RR 0.449, P=0.013). Conclusion Mutations of the NPM1 gene did not show significant impact on clinical outcomes in Korean patients with NK AML. But FLT3-ITD was an significantly unfavorable prognostic factor. The CT/TT genotypes of MDR1 C3435T polymorphism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avorable outcomes. Clinical significance of genetic alterations in NK AML might be different in a diversity of races and the possible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molecular classification is established in NK AML.

      • 마음챙김기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최윤숙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간호 대학생들은 평균연령이 청소년 후기, 성인초기에 해당하며 이 시기에 정체감, 인생관 및 사회적 가치관등의 발달과업이 확립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의 갈등은 인생의 어느 시기보다도 그 정도가 심하게 나타나고, 발달 과업의 실패는 역할혼돈과 정체감 혼미, 우울 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 시기의 우울은 고립감, 자살, 자존감, 식이장애, 문제행동, 스트레스 생활사건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낮은 자존감은 우울을 설명하는 더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또한 간호학생들은 일반적인 청소년 후기 발달의 요구 외에도 간호대학이라는 특수한 배움의 여건 때문에 타 전공의 대학생보다 더욱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순간순간의 사고, 신체감각, 느낌을 보다 더 잘 자각하고 이전과는 다르게 관계하는 방식을 개발하여 부정적인 사고와 느낌에 대한 마음챙김적 인식과 수용을 익히고 ‘탈중심화(decentering)’ 할 수 있는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프로그램을 예비 의료인인 간호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스트레스 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대조군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C대학의 간호학과 3학년을 대상으로 무작위 배정을 통해 실험군과 대조군을 배정하였으며 연구 참가에 동의한 실험군 18명과 대조군 21명으로 배정하였다. MBCT 프로그램은 주 2회 5주 동안 총 8회를 수행하였고 1회기당 90분 동안 진행되었다. 실험처치 전에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사전검사를 시행하였고, 실험처치가 끝난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MBCT 프로그램은 Orientation, 자동조종, 마음챙김 호흡, 방해요인 다루기, 현재에 머물기, 수용하기, 생각이 사실은 아니다. 자신을 돌보기, 현실에 적용하기 등의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실험 처치 전 ‘일반적 사항,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을 측정하였으며, 실험처치가 끝난 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을 측정하였다. 스트레스는 유지수 등(2008)등이 개발한 척도로 측정하였고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료를 전병제(1974)가 번안한 한국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울은 Beck(1978)이 개발한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로 측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일반적 사항은 χ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에 대한 분석은 paired t-test와 t-test, repeated measured of ANOVA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음챙김기반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에서 스트레스 점수는 실험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t=4.07, p=.001), 대조군과 차이를 검정한 결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2.34, p=.025) 2. 마음챙김기반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에서 자아존중감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1.07 p=.297). 3. 마음챙김기반 인지치료(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에서 우울점수는 실험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t=3,80, p=.001), 대조군과 차이를 검정한 결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t=2.18, p=.035).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MBCT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자아존중감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스트레스나 우울이 자존감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간호대학생들에게 긍정적이고 목표지향적으로 작용할 수 있겠다. 이로서 MBCT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방법으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수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가능한 변수들을 통제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University period is an important transition period during which a juvenile becomes an adult. During this period, university students go through various developmental processes such as determining their future career or establishing self-identity. Students in nursing colleges experience more stress than others because of strict curriculum, excessive learning task, stern behavior standard, government examination, practice under various clinical situations and responsibility toward patients. Excessive stress decreases self-esteem and causes emotional problems related to depression.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so that they can decrease stress, increase self-esteem and relieve depression.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as quasi-experimental.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8 nursing students;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20 nursing students. They are all juniors in a same Nursing College.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8 sessions of the therapy over 5 weeks period;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herapy. The length of each therapy session was 90 minutes.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ending of 8 sessions were analyzed by t-test and paired t-test using SP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r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2.34, p=.025). 2. The result of self-esteem variable analysis wa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t=-1.07 p=.297). 3.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de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t=2.18, p=.035). Above results imply that MBCT program decreases stress and depression; while it does not have impact on self-esteem. The reason of no improvement in self-esteem is believed that there was difficulty in concentrating to each individual in the group during this study. Therefore, further study with more session and longer duration in MBCT program than this study would be required. Keywords : MBCT, Stress, Self- esteem, Depression , nursing student

      • 입원 진행암환자 가족 돌봄자를 위한 통합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최윤숙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진행암은 병의 진행속도가 빠르고 증상의 중증도가 심하여 다수의 환자들이 치료기간 동안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경험한다. 이들의 1차 간호제공자로써 가족 돌봄자는 광범위한 돌봄을 가정과 병원에서 제공하고 이로 인한 가족체계 불균형, 역할 변화, 지식부족, 가정경제 지출증가, 사회적 역할변화, 신체적, 심리적문제 등으로 상당한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따라서 입원기간 동안 진행암환자 가족 돌봄자의 스트레스 관리와 퇴원 후 가정에서 돌봄자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에 신체적, 심리․사회적 중재 뿐 아니라 영적인 측면의 스트레스 완화를 위해 통합스트레스관리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진행암환자 가족 돌봄자를 위해 Lazarus와 Folkman의 스트레스-대처 확장 모형(Glanz & Schwartz, 2008)에 근거한 통합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유사 실험연구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이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일개 암센터에 입원한 진행암환자의 가족 돌봄자로 대조군 25명, 실험군 26명으로 총 51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3월 22일부터 2017년 4월 30일까지였다. 실험도구는 Lazarus와 Folkman의 스트레스-대처 확장 모형(Glanz & Schwartz, 2008)을 기반으로 문헌고찰과 심층면담 및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개발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가족 돌봄자의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인지재구조화와 대처기술 향상을 위한 중재로서 총 6회차, 1회에 50분씩, 주 3회 제공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진행은 개별적 혹은 소그룹(2∼4명)으로 가족 돌봄자의 상황에 따라 회의실 또는 병실에서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Gort 등(2005)이 간이형으로 수정한 돌봄 부담감 도구, Ugalde, Krishnasamy와 Schofield (2013)가 개발한 자기효능감 도구, Lazarus와 Folkman (1984)이 개발한 대처방식 도구를 박주영(1995)이 수정한 대처방식 도구, Herth (1991)가 개발한 희망 측정도구, 최신옥(2009)이 수정, 보완한 삶의 질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hi-square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와 Shapiro-Wilk test로 분석하였다. 1. 개발된 통합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개발된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Lazarus와 Folkman의 스트레스-대처 확장 모형(Glanz & Schwartz, 2008)을 기반으로 입원 진행암환자 가족 돌봄자의 인지재구조화와 대처기술을 증진시켜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중재는 개별 혹은 소그룹(2∼4명)으로 가족 돌봄자의 상황에 따라 회의실 또는 병실에서 진행하였고, 총 6회차, 주 3회, 1회에 50분씩이다. 프로그램은 매회기 스트레스관리와 희망중재, 진행암에 대한 이해와 통증관리, 대처기술 증진, 호스피스․완화의료 이해와 준비, 의사소통 증진 및 자원 관리이며 도입, 교육, 활동의 3단계로 실시하는 것으로 구성되었다. 2. 입원 진행암환자 가족 돌봄자를 위한 통합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 가설 : “통합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이하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이하 대조군)보다 돌봄 부담감의 감소 정도가 클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처치 후 돌봄 부담감의 점수 차이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가설 1은 지지되었다(t=-3.09, p=.002). 2) 제 2 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의 증가 정도가 클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처치 후 자기효능감의 점수 차이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가설 2는 지지되었다(t=4.59, p<.001). 3) 제 3 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대처방식에 변화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 2가지 부가설을 검증하였다. 제 1 부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적극적 대처방식의 증가 정도가 클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처치 후 적극적 대처방식의 점수 차이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가설 3-1은 지지되었다(t=2.23, p=.015). 제 2 부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소극적 대처방식의 증가 정도가 클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처치 후 소극적 대처방식의 점수 차이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지 않아 가설 3-2는 기각되었다(t=1.03, p=.154). 4) 제 4 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희망의 증가 정도가 클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처치 후 희망의 점수 차이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가설 4는 지지되었다(t=3.60, p<.001). 5) 제 5 가설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삶의 질의 증가 정도가 클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 처치 후 삶의 질의 점수 차이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가설 5는 지지되었다(t=3.53, p<.001). 결론적으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통합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은 입원 진행암환자 가족 돌봄자의 돌봄 부담감을 경감시키고, 자기효능감, 적극적대처방식, 희망,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통합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은 향후 입원 진행암환자 가족 돌봄자를 위한 새로운 간호중재 전략으로 임상실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